KR200495073Y1 - 조각도 연마용 지그 - Google Patents

조각도 연마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073Y1
KR200495073Y1 KR2020200002793U KR20200002793U KR200495073Y1 KR 200495073 Y1 KR200495073 Y1 KR 200495073Y1 KR 2020200002793 U KR2020200002793 U KR 2020200002793U KR 20200002793 U KR20200002793 U KR 20200002793U KR 200495073 Y1 KR200495073 Y1 KR 2004950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raving
blade
diameter side
jig
press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7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345U (ko
Inventor
이광훈
Original Assignee
(주)리벨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벨리코리아 filed Critical (주)리벨리코리아
Priority to KR20202000027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073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3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3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0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0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6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too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sub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각도 연마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원호변과 지름변을 갖는 반원판형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지름변에 대응하는 누름봉과, 상기 누름봉을 상기 지름변에 밀착시켜 주는 밀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기본적으로 둥근칼 조각도의 칼날을 균일한 기울기로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고,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원호변의 하단 중앙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끌칼이나 세모칼 조각도의 칼날도 균일한 기울기로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는 조각도 연마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각도 연마용 지그{Sharpening Jig for Carving knives and Chisels}
본 고안은 조각도 연마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원호변과 지름변을 갖는 반원판형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지름변에 대응하는 누름봉과, 상기 누름봉을 상기 지름변에 밀착시켜 주는 밀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기본적으로 둥근칼 조각도의 칼날을 균일한 기울기로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고,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원호변의 하단 중앙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끌칼이나 세모칼 조각도의 칼날도 균일한 기울기로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는 조각도 연마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의 미술학습이나 목공예 분야 등에 주로 사용되는 조각도(‘새김칼’ 또는 ‘끌’이라고도 함)는, 대체로 칼날과 칼몸 및 손잡이로 구성되며, 상기 칼날과 칼몸의 형태와 용도에 따라 창칼, 끌칼, 둥근칼, 세모칼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창칼은 칼날이 뾰족한 것으로 대개 날카로운 선이나 세밀한 부분을 파낼 때 사용되고, 끌칼(또는 평칼)은 칼날이 수평으로 형성된 것으로 필요 없는 부분을 없앨 때나 거친 면을 정리할 때 사용된다. 그리고, 둥근칼은 칼날과 칼몸이 둥글게 휘어진 것으로 굵은 선을 파낼 때나 넓은 면을 파낼 때 편리하게 사용되며, 세모칼은 칼날과 칼몸이 일정 각도로 꺾인 것으로 가는 선을 파내는 데 편리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조각도는 상기 칼날을 형성하는 빗면의 상태에 따라 그 성능이 크게 좌우된다. 즉 상기 칼날의 기울기가 낮고 빗면의 상태가 균일할수록 칼날이 날카롭고 우수한 조각 성능을 나타낸다. 그래서 조각도를 사용하는 횟수가 증가하여 칼날이 무디어지면, 사포나 숫돌 등을 이용하여 상기 빗면을 다시 갈아서 칼날을 세워주는 연마작업을 실시한다.
조각도에 대한 연마작업은 대체로 사용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연마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칼날의 기울기가 균일하고 평탄하게 연마하는 것이 쉽지 않다. 특히 둥근칼 조각도의 경우, 칼날을 형성하는 빗면이 둥글게 휘어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칼날을 둘레방향으로 균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연마하기는 매우 까다롭다.
그래서 종래에도 공개실용신안 제20-1996-4234(1996년 02월 14일)나, 등록특허 제10-0802097호(2008년 01월 31일) 및 제10-2025515호(2019년 09월 19일) 등에는 조각도 연마장치 또는 연마용 보조기구 들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각도 연마장치 및 보조기구들은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높을 뿐 아니라,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제20-1996-4234(1996년 02월 14일) 등록특허 제10-0802097호(2008년 01월 31일) 등록특허 제10-2025515호(2019년 09월 19일)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전체적인 구조가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사용이 편리하여 조각도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조각도의 칼날을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는 조각도 연마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둥근칼 조각도의 칼날을 둘레방향을 따라 균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손쉽게 연마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끌칼이나 세모칼 조각도의 칼날도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는 조각도 연마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각도 연마용 지그는, 원호변(11)과 지름변(12)을 가지며, 상기 지름변(12)의 중앙에는 조각도(B)를 상기 지름변(12)과 교차하도록 삽입할 수 있는 고정홈(13)이 형성되어 있는 반원판형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지름변(12)에 대응하는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고정홈(13)에 삽입되는 조각도(B)를 눌러서 고정시켜 주는 누름봉(20)과; 상기 누름봉(20)을 상기 몸체부(10)의 지름변(12)에 분리 가능하게 밀착시켜 주는 밀착수단(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몸체부(10)의 원호변(11)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원호변(11)에 대하여 접선(接線) 방향으로 배치되는 받침편(40)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각도 연마용 지그는, 상기 몸체부(10)의 고정홈(13)에 둥근칼 조각도(B)를 삽입하고, 누름봉(20)과 밀착수단(30)을 이용하여 상기 조각도(B)를 고정시킨 다음, 상기 몸체부(10)의 원호변(11)을 이용하여 둥글게 휘어진 칼날(B3)의 빗면을 손쉽게 연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각도 연마용 지그는, 필요에 따라 상기 몸체부(10)의 원호변(11) 중앙에 받침편(40)을 결합함으로써 칼날(B3)이 직선 구조로 배치되어 있는 끌칼이나 세모칼 조각도의 칼날(B3)도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각도 연마용 지그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상기 연마용 지그에다 둥근칼 조각도(B)의 손잡이(B1)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상기 연마용 지그에다 둥근칼 조각도(B)의 칼몸(B2)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상기 연마용 지그를 이용하여 끌칼 조각도를 연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이들 도면에 의해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고안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기술에 속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 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각도 연마용 지그는, 첨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호변(11)과 지름변(12)을 갖는 반원판형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지름변(12)에 대응하는 누름봉(20)과, 상기 누름봉(20)을 상기 지름변(12)에 밀착시켜 주는 밀착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원호변(11)의 하단 중앙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편(4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먼저 상기 몸체부(10)는 반원 형태의 판체로서, 둘레 방향으로 테두리를 형성하는 원호변(11)과, 지름 방향으로 테두리를 형성하는 지름변(12)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지름변(12)의 중앙에는 조각도(B)를 상기 지름변(12)과 교차하도록 삽입할 수 있는 고정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홈(13)은 조각도(B)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첨부 도면에서는 상기 고정홈(13)이 반원 형태인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기 고정홈(13)은 예컨대 삼각형이나 사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누름봉(20)은 몸체부(10)의 지름변(12)에 대응하는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고정홈(13)에 삽입되어 있는 조각도(B)를 눌러 고정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누름봉(20)의 일변에는 상기 고정홈(13) 속으로 삽입되는 지지돌부(21)가 돌출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밀착수단(30)은 상기 누름봉(20)을 몸체부(10)의 지름변(12)에 분리 가능하게 밀착시켜 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수단이면, 공지의 밀착수단 중 어떤 수단을 사용해도 좋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수단(30)은, 상기 고정홈(13)의 양쪽에 몸체부(10) 속으로 매설된 한쌍의 조임너트(31)와, 상기 조임너트(31)에 결합되는 한쌍의 조임볼트(3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누름봉(20)에는 상기 조임볼트(32)가 관통하는 볼트공(2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 상기 조임너트(31)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데, 상기 조임너트(31)는 몸체부(10)의 원호변(11) 중앙에 설치된 결합너트(43)의 모양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너트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임볼트(32)로는 사용자가 특별한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조일 수 있는 나비너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 도 2는 상기 몸체부(10)의 고정홈(13)에 둥근칼 조각도(B)의 손잡이(B1)를 삽입하고, 그 위에 누름봉(20)을 덮은 다음, 양쪽 조임너트(31)에 각각 조임볼트(32)를 체결하여 상기 조각도(B)를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렇게 하면, 상기 조각도(B)는 몸체부(10)의 지름변(12)과 거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본 고안의 지그와 조각도(B)를 함께 작업대 위에 올려놓으면, 상기 조각도(B)가 작업대 상면과 소정 각도의 경사를 이루면서 몸체부(10)의 원호변(11)과 칼날(B3)이 작업대 상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작업대 상면에 연마용 사포나 숫돌을 올려두고, 그 위에 칼날(B3)의 빗면을 밀착시킨 다음, 상기 원호변(11)을 따라 몸체부(10)를 조금씩 돌려가면서 칼날(B3)을 연마하면, 상기 칼날(B3)이 둘레방향으로 일정한 각도와 함께 평탄한 빗면을 이루도록 연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칼날(B3)의 빗면각도는 상기 몸체부(10)에 대한 조각도(B)의 고정 위치에 의존한다. 즉, 상기 몸체부(10)와 칼날(B3)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질수록 칼날(B3)의 빗면 각도가 높아지고, 상기 간격이 멀어질수록 빗면 각도가 낮아진다. 상기 칼날(B3)의 빗면 각도가 낮아지면, 그만큼 칼날(B3)이 예리해지지만, 쉽게 무디어 질수 있다.
상기 몸체부(10)의 고정홈(13)에는 조각도(B)의 손잡이(B1) 부위를 고정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칼몸(B2) 부위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둥글게 휘어진 칼몸(B2)이 고정홈(13) 속에 완전히 잠겨서 그 위에 누름봉(20)을 덮어도 조각도(B)가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그래서 첨부 도 3과 같이, 일변에 지지돌부(21)가 돌출되어 있는 누름봉(2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돌부(21)는 고정홈(13)에 칼몸(B2) 부위를 고정하는 경우 이외에도 손잡이(B1)의 직경이 고정홈(13)의 높이보다 작은 손잡이(B1)를 고정할 때도 상기 지지돌부(21)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10)의 원호변(11) 하단 중앙에는, 추가적으로 받침편(4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편(40)은 예컨대 상기 누름봉(20)과 유사한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원호변(11)에 대하여 접선(接線)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받침편(40)은 결합볼트(41)에 의해서 상기 몸체부(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받침편(40)에는 상기 결합볼트(41)가 통과하는 볼트공(42)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10) 속에는 상기 결합볼트(41)가 결합되는 결합너트(43)가 매몰되어 있다.
상기 받침편(40)은 칼날(B3)이 직선 구조로 배치된 조각도, 예컨대 끌칼이나 세모칼 조각도를 연마할 때 사용된다. 도 4는 상기 받침편(40)의 사용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몸체부(10)의 고정홈(13)에 조각도(B)를 고정하는 방법은 상기 도 2 및 도 3과 동일하다. 다만, 직선형 칼날(B3)의 방향을 상기 받침편(40)의 방향과 나란히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칼날(B3)의 빗면을 일정한 각도로 균일하게 연마한다.
이때, 칼날(B3)의 방향과 받침편(40)의 방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칼날(B3)의 좌측 폭과 우측 폭, 즉 빗면의 좌측 기울기와 우측 기울기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방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 조임볼트(32)를 풀고 조각도(B)를 약간 비틀어서 칼날(B3)의 방향을 받침편(40)과 일치시킬 수도 있으나, 도 4와 같이 조임볼트(32)를 풀지 않고 상기 받침편(40)의 방향만 약간 비틀어서 양쪽 방향을 서로 일치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각도 연마용 지그에서 몸체부(10)와 누름봉(20) 및 받침편(40)은 각각 목재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10) 몸체부 (11) 원호변
(12) 지름변 (13) 고정홈
(20) 누름봉 (21) 지지돌부
(22) 볼트공 (30) 밀착수단
(31) 조임너트 (32) 조임볼트
(40) 받침편 (41) 결합볼트
(42) 볼트공 (43) 결합너트
(B) 조각도 (B1) 손잡이
(B2) 칼몸 (B3) 칼날

Claims (4)

  1. 원호변(11)과 지름변(12)을 가지며, 상기 지름변(12)의 중앙에는 조각도(B)를 상기 지름변(12)과 교차하도록 삽입할 수 있는 고정홈(13)이 형성되어 있는 반원판형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지름변(12)에 대응하는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고정홈(13)에 삽입되는 조각도(B)를 눌러서 고정시켜 주는 누름봉(20)과;
    상기 누름봉(20)을 상기 몸체부(10)의 지름변(12)에 분리 가능하게 밀착시켜 주는 밀착수단(30)과;
    상기 몸체부(10)의 원호변(11)의 하단 중앙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호변(11)에 대하여 접선(接線) 방향으로 배치되는 받침편(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도 연마용 지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수단(30)은 상기 고정홈(13)의 양쪽에 몸체부(10) 속으로 매설된 한쌍의 조임너트(31)와, 상기 누름봉(20)을 관통하여 상기 조임너트(31)에 결합되는 한쌍의 조임볼트(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도 연마용 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봉(20)의 일변에는 상기 고정홈(13) 속으로 삽입되는 지지돌부(21)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도 연마용 지그.
KR2020200002793U 2020-07-30 2020-07-30 조각도 연마용 지그 KR2004950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793U KR200495073Y1 (ko) 2020-07-30 2020-07-30 조각도 연마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793U KR200495073Y1 (ko) 2020-07-30 2020-07-30 조각도 연마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345U KR20220000345U (ko) 2022-02-08
KR200495073Y1 true KR200495073Y1 (ko) 2022-03-02

Family

ID=80254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793U KR200495073Y1 (ko) 2020-07-30 2020-07-30 조각도 연마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07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748A (ja) * 1998-11-10 2000-07-25 Mami:Kk 彫刻刀の刀研ぎ用治具
US20020197942A1 (en) * 2001-05-30 2002-12-26 Tormek Ab Grinding jig
US20080085666A1 (en) 2006-10-10 2008-04-10 Steven James Lindsay Hand engraving sharpening device
KR101962794B1 (ko) 2017-12-13 2019-03-27 현진소재주식회사 대형 금속 구조물의 표면 연마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234Y1 (ko) 1992-02-17 1996-05-23 강진구 압축기의 오일냉각장치
JP2594215Y2 (ja) * 1993-06-01 1999-04-2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バイト研磨用ホルダー
KR960004234U (ko) * 1994-07-27 1996-02-14 하욱동 조각도용 반원형 칼의 날연마 장치
KR100802097B1 (ko) 2007-03-14 2008-02-11 이창수 조각도 연마보조기
KR102025515B1 (ko) 2019-07-02 2019-09-25 이창수 조각도 연마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748A (ja) * 1998-11-10 2000-07-25 Mami:Kk 彫刻刀の刀研ぎ用治具
US20020197942A1 (en) * 2001-05-30 2002-12-26 Tormek Ab Grinding jig
US20080085666A1 (en) 2006-10-10 2008-04-10 Steven James Lindsay Hand engraving sharpening device
KR101962794B1 (ko) 2017-12-13 2019-03-27 현진소재주식회사 대형 금속 구조물의 표면 연마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345U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6385A (en) Cutting edge straightening, aligning and sharpening device
US4538382A (en) Apparatus for sharpening a knife blade or the like
US4936055A (en) Spring file
US5317839A (en) Four-way diamond file
AU692947B2 (en) Dual rotary cutter blade sharpener
KR200495073Y1 (ko) 조각도 연마용 지그
US4418588A (en) Sharpening device for single edge type cutting blades
US7337545B2 (en) Folding knives
US11192217B2 (en) Tool sharpener with tiltable sharpening stage
US6846231B2 (en) Removable sharpening attachment for a rotary hand tool
CA2589436A1 (en) Sharpening and deburring tool for single and double edge type cutting blades
US6887139B2 (en) Sander blocks for minisaws
US3751804A (en) Deburring tool
CA2527835C (en) Chainsaw sharpener
US3293949A (en) Multipurpose blade reconditioning tool
KR100802097B1 (ko) 조각도 연마보조기
KR102025515B1 (ko) 조각도 연마 장치
US5575711A (en) Wood jointer and planer blade sharpening and honing holder
WO1998046315A1 (en) Apparatus for sharpening/bevelling of ski or snowboard edges
US2087023A (en) Scissors sharpener and stone holder
CN212735660U (zh) 一种园林剪刀磨削及紧固装置
US20220088737A1 (en) Tool sharpener with concave sharpening surface
US2498938A (en) Lawn mower sharpener
CN2287539Y (zh) 多功能磨刀器
CN213258999U (zh) 手持式磨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