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604Y1 - 유아용 피젯 스피너 - Google Patents

유아용 피젯 스피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604Y1
KR200494604Y1 KR2020210001346U KR20210001346U KR200494604Y1 KR 200494604 Y1 KR200494604 Y1 KR 200494604Y1 KR 2020210001346 U KR2020210001346 U KR 2020210001346U KR 20210001346 U KR20210001346 U KR 20210001346U KR 200494604 Y1 KR200494604 Y1 KR 2004946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coupling
case
support member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조
Original Assignee
김형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조 filed Critical 김형조
Priority to KR2020210001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6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6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6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2Devices for converting reciprocal or vibratory motion into rotary motion, e.g. for propell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유아용 피젯 스피너가 개시된다. 개시된 유아용 피젯 스피너는 상단부에는 베어링의 내측회전부가 안착되는 베어링 안착부가 구성되고, 하단부에는 자루부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자루결합부가 구성된 서포트부재; 상기 자루결합부에 인서트사출을 통해 형성되며, 소정길이를 갖는 기둥형태로 이루어져 재질유아가 손으로 파지하도록 구성되며 실리콘 재질로 구성된 자루부;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외측회전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에 의해 상기 서포트부재에 대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베어링케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베어링부; 상기 서포트부재의 상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 안착부에 설치된 베어링의 내측회전부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핀; 상기 베어링케이스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케이스와 연동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유아가 회전시키면서 놀이할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복수의 날개를 구비한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아용 피젯 스피너 {fidget spinner for child}
본 고안은 손가락으로 자루를 잡고 상단부분의 날개를 돌리는 장난감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히 유아들이 안전하고 편하게 유희 및 지능발달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피젯 스피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젯 스피너{fidget spinner}는 중앙의 베어링을 축으로 하여 이것에 이어진 몇 개의 날개로 구성된 납작한 모양의 장난감으로, 베어링 부분을 손가락으로 잡고 날개를 회전시키며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제공하는 장난감의 일종이며, 이러한 피젯 스피너는 집중도 향상과 무료한 시간을 달랠 수 있어 다양한 연령층에서 크게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 피젯 스피너는 납작한 모양으로 이루어져, 중심부에 구성되 베어링 부분의 상단과 하단을 엄지와 검지 또는 엄지와 중지를 이용하여 잡고서 다른 손가락으로 날개를 돌려 회전시키면서 놀이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년이나 성인들은 쉽게 사용할 수 있으나, 손가락 사용이 발달되지 않은 유아 등의 저 연령층에서는 사실상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기존 피젯 스피너는 엄지와 검지 또는 엄지와 중지를 이용하여 베어리부분을 잡고 날개를 회전하게 되면 베어링부분을 잡고 있는 손의 손바닥에 날개가 닿으면서 날개의 회전이 멈춰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기존 피젯 스피너는 날개가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어 회전하는 날개가 유아의 피부에 닿았을 때 피부에 쉽게 상처가 나는 문제가 있고 이에 따라 저 연령층이 안전하게 사용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486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362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7508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54655호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중앙부에 베어링의 회전축과 동심축 상으로 유아가 손으로 잡기 위한 자루가 구성되어, 유아가 편하게 자루를 잡고 날개를 돌려 회전시켜가면서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해주며, 아울러, 자루를 실리콘을 인서트사출을 통해 구성하여 밀착감을 높여주어 유아가 보다 안정적으로 자루를 잡도록 해줄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피젯 스피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날개를 실리콘으로 구성하여 회전시 피부에 닿아도 별다른 피부 손상이 없도록 하여 유아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날개 내부에 웨이트부재가 매립되도록 구성하여 날개의 회전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피젯 스피너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베어링이 날개와 자루에 보다 용이하고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베어링의 이탈에 따른 고장발생 없이 사용수명을 연장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피젯 스피너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날개의 상면에 별도의 회전플레이트를 추가 부착하여 회전놀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지능발달과 흥미유발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피젯 스피너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고안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유아용 피젯 스피너는 상단부에는 베어링의 내측회전부가 안착되는 베어링 안착부가 구성되고, 하단부에는 자루부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자루결합부가 구성된 서포트부재; 상기 자루결합부에 인서트사출을 통해 형성되며, 소정길이를 갖는 기둥형태로 이루어져 재질유아가 손으로 파지하도록 구성되며 실리콘 재질로 구성된 자루부;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외측회전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에 의해 상기 서포트부재에 대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베어링케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베어링부; 상기 서포트부재의 상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 안착부에 설치된 베어링의 내측회전부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핀; 상기 베어링케이스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케이스와 연동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유아가 회전시키면서 놀이할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복수의 날개를 구비한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개부는 상기 베어링케이스의 외주면으로 실리콘을 인서트사출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복수의 날개 마다 매립형성되어 회전지속성을 향상시키는 복수의 웨이트부재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케이스는, 베어링의 외측회전부 하단이 안착되어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케이스본체; 내부에 베어링의 외주면과 상단외측둘레부를 감싸는 베어링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본체의 개방부를 덮도록 상기 케이스본체에 삽입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본체에 상기 베어링의 외측회전부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케이스커버; 상기 케이스본체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마다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본체에서 외곽으로 소정간격 이격위치에 상기 복수의 웨이트부재가 설치되도록 하는 복수의 연장바; 상기 복수의 연장바 각각의 말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웨이트부재와 끼움결합되어 웨이트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복수의 웨이트부재를 상기 웨이트결합부에 끼움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베어링케이스와 실리콘으로 인서트사출가공하여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웨이트부재가 상기 복수의 연장바에 의해 상기 케이스본체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날개부에 매립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커버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결합돌기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본체의 측면부에는 상기 케이스커버가 상기 케이스본체에 삽입시 상기 결합돌기부가 삽입되는 돌기수용홈이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본체의 측면부 말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결합턱이 구성되어, 상기 결합돌기부가 상기 돌기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본체에 대해 상기 결합돌기부를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결합턱에 상기 결합돌기부가 걸려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커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부재와 상기 고정핀은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거나 후크체결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부재와 상기 고정핀은 나사결합 및 후크결합으로 이루어진 이중결합구조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루결합부는 하단에 상기 자루부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볼형상으로 이루어진 이탈방지구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유아용 피젯 스피너는 유아가 사용하지 못했던 기존의 피젯 스피너의 문제를 해소하여 유아가 유아가 손으로 잡기 위한 자루가 구성되어, 유아가 편하게 자루를 잡고 날개를 돌려가면서 놀이를 즐길 수 있어, 유아의 유희 및 지능발달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자루부를 인서트사출을 통한 실리콘재질로 구성하여 밀착감을 좋게하여 유아가 보다 안정적으로 쉽게 자루를 잡아 사용할 수 있게 해줄 뿐아니라, 자루부가 서포트부재에서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고장발생 없이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날개부는 실리콘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시 유아의 피부에 닿더라도 피부손상이 발생하지 않게 해주어 유아가 보다 안전하게 피젯 스피너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어 안전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핀과 서프트부재가 용이한 조립이 가능하고 견고하게 결합되어 구성간의 결합성이 우수하여 쉽게 구성이 분리되는 문제를 해소하고, 특히, 서포트부재의 자루결합부에 이탈방지구가 구성되어 자루결합부가 자루부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유아가 거칠게 가지고 놀더라도 자루부가 빠지지 않아 유아가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피젯 스피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아용 피젯 스피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도 1의 피젯 스피너를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유아용 피젯 스피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피젯 스피너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피젯 스피너의 베어링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베어링부가 날개부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피젯 스피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유아용 피젯 스피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유아용 피젯 스피너의 사용상태틀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피젯 스피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피젯 스피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피젯 스피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피젯 스피너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 예에 유아용 피젯 스피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후술되는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또한, 고안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피젯 스피너(10)에 대해 설명한다.
유아용 피젯 스피너(10)는 서포트부재(110), 자루부(120), 베어링부(130), 고정핀(140), 날개부(1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서포트부재(110)는 상단부(110a)에는 베어링부(130)의 안착이 이루어지는 베어링 안착부(112)가 구성되고, 하단부(110b)에는 자루부(120)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자루결합부(113)가 구성된다.
또한, 서포트부재(110)의 상단부(110a) 중심에는 고정핀(140)이 삽입되도록 수직하게 핀삽입홈(115)이 형성되고, 상단부 외주면에는 핀삽입홈(115)과 연결되도록 관통형성되어, 핀삽입홈(115)에 삽입된 고정핀(140)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걸림홀(116)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서프트부재(110)의 하단 즉, 자루결합부(113)의 하단에는 자루부(11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볼(구형) 형태로 이루어져 자루부(120)의 빠짐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114)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구(11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이탈방지구(114)를 구성하지 않고, 자루결합부(113)가 하광상협의 콘형태로 이루어져, 자루부(120)가 자루결합부(113)에서 하방으로 빠짐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루부(12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서포트 부재(110)에 인서트사출을 통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자루부(120)는 서포트부재(110)의 하단부 즉 자루결합부(113)를 감싸도록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된 것이며, 서포트부재(110)의 상단부(110a)는 자루부(120)의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자루부(120)는 실리콘을 인서트사출을 통해 서포트부재(110)를 감싸도록 형성된 것으로, 서포트부재(110)와 결합력이 매우 우수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고, 특히, 서포트부재(110)의 하단에 형성된 볼형태의 이탈방지구(114)에 의해 자루부(120)가 서포트부재(110)에서 빠져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자루부(12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탄성이 있고 밀착성이 좋아 유아가 쉽게 손으로 잡아 놀이할 수 있게 해준다.
베어링부(130)는 베어링(131)과, 이 베어링(131)의 외측회전부(131a)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서포트부재(110)에 대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베어링케이스(13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베어링(131)은 통상의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며, 외측회전부(131a)와, 이 외측회전부(131a)의 내측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중공부를 갖는 내측회전부(131b)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베어링케이스(132)는 케이스본체(133)와 케이스커버(13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케이스본체(133)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원판로 이루어진 디스크부(134)와, 이 디스크부(134)의 둘레에 형성되어 케이스커버(136)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커버삽입부(13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크부(134)의 중심에는 중공부(134a)가 형성되고, 커버삽입부(135)에는 외주면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돌기수용홈(135a)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커버삽입부(135)의 말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결합턱(135b)이 형성된다.
케이스커버(136)는 중앙에 중공부(136a)가 형성되고, 내부에 베어링(131)이 삽입되는 베어링삽입홈(s)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베어링(131)이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케이스본체(133)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케이스커버(136)의 내주면에는 베어링(151)의 외측회전부(151a)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고정턱(136b)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소정간격으로 돌기수용홈(135)에 삽입이 이루어지는 결합돌기부(136c)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케이스커버(136)는 내부에 베어링(131)이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돌기부(136c)가 돌기수용홈(135a)에 삽입되도록 케이스본체(133) 내부로 삽입 한 후, 소정각도 회전시켜 결합턱(135b)에 결합돌기부(136c)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케이스본체(133)와 케이스커버(136)를 결합시킬 수 있다.
케이스본체(133)와 케이스커버(136)의 결합시, 도 5와 같이, 케이스본체(133)의 저면, 즉, 디스크부(134)는 베어링(131)의 외측회전부(131a)의 하단을 지지하고, 케이스커버(136)는 고정턱(136b)이 베어링(131)의 외측회전부(131b)의 하단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고정핀(140)은 서포트부재(110)의 상단부와 결합되어 베어링 안착부(112)에 지지되게 설치된 베어링(131)의 내측회전부(131b)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고정핀(140)은 베어링부(130)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서프트부재(110)의 상단부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핀부재(142)와, 핀부재(142)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돔형상의 핀헤드(14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핀부재(142)는 반원형 바로 이루어지며,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소정간격(142a)만큼 이격되게 서로 마주하도록 구성되어, 한 쌍의 핀부재(142)가 외력에 의해 서로 오므려지고 자체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핀부재(142)의 말단 외주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서포트부재(110)에 형성된 걸림홀(116)에 걸려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턱(143)이 형성된다.
한 쌍의 핀부재(142)를 베어링부(130)의 중공부 즉 케이스커버(136)의 중공부(136a), 베어링(131)의 중공부, 케이스본체(133)의 디스크부(134)의 중공부(134a)로 삽입하면, 한 쌍의 걸림턱(143)이 서포트부재(110)의 상단에 형성된 핀삽입홈(115)으로 삽입된 후, 걸림홀(116)에 걸리는 스냅 후크결합이 이루어지면서 고정핀(140)과 서포트부재(110)가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핀부재(142)의 상단외주면에는 단턱부(146)가 구성되어, 고정핀(140)과 서포트부재(110)의 결합시, 상기 단턱부(146)가 베어링(131)의 내측회전부(131b)를 베어링안착부(112)측으로 가압하여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과 같이, 고정핀(140)을 베어링부(130)를 관통삽입하여 서포트부재(110)에 고정결합시키는 경우, 베어링(131)의 내측회전부(131b)는 고정핀(140)과 서포트부재(110)에 고정되어 있고, 베어링케이스(132)가 베어링(131)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베어링케이스(132)의 외측으로 날개부(150)가 구성됨으로써, 날개부(150)가 베어링부(130)를 통해 서포트부재(1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핀삽입홈(115)의 저부에는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의 회전규제홈(115a)이 형성되고, 한 쌍의 핀부재(142)의 각각의 말단부에는 한 쌍의 회전규제홈(115a)에 삽입되어 고정핀(140)의 회전을 방지하는 한 쌍의 회전규제돌기(145)가 구성될 수 있다.
날개부(15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베어링케이스(132)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날개(152)를 구비하여, 유아가 자루부(120)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날개부(150)를 회전시켜 가며 놀이를 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날개부(150)는 베어링케이스(132)의 외주면으로 실리콘을 인서트사출가공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베어링(131)과 베어링케이스(132)를 조립하고, 조립된 베어링부(130)의 외주면으로 실리콘을 인서트사출하여 날개부(15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은 베어링부(130)의 회전축과 동일축상으로 하방으로 연장되게 유아가 손으로 잡기 위한 자루부(120)가 구성되어, 유아가 편하게 자루부(120)를 잡고 날개부(150)를 돌려가며 놀이할 수 있어, 지능발달과 유희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자루부(120)를 인서트사출을 통한 실리콘재질로 구성하여 밀착감을 좋게하여 유아가 보다 안정적으로 쉽게 자루를 잡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날개부(150)도 실리콘으로 구성한 것으로 회전시 피부에 닿더라도 별다른 피부손상이 발생하지 않아 유아가 보다 안전하게 스피너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또한, 고정핀(140)과 서프트부재(110)가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되며, 자루부(120)가 서포트부재(110)에 인서트사출로 형성되어, 구성간의 결합성이 우수하여 쉽게 구성이 분리되는 문제를 해소하고, 특히, 서포트부재(110)의 자루결합부(113)에 이탈방지구(114)가 구성되어 자루결합부(113)가 자루부(12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유아가 거칠게 가지고 놀더라도 쉽게 자루부(120)가 서포트부재(110)에서 빠지는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피젯 스피너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피젯 스피너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 베어링케이(130')의 구성에 있어 차이가 있고, 웨이트부재(160)가 추가된 구성이라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므로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 2 실시 예의 베어링케이스(130')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 케이스본체(133)의 측면 즉, 커버삽입부(135)의 외주면에서 측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소정간격이격되게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된 복수의 연장바(137)와, 이 복수의 연장바(137) 각각의 외측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웨이트결합부(138)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웨이트부재(160)는 너트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웨이트부재(160)는 웨이트결합부(138)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웨이트부재(160)는 너트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웨이트결합부(138)에 결합되는 것이며 그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웨이트부재(160)는 날개부(150)의 인서트사출과 함께 날개부(150) 내부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웨이트부재(160)를 베어링케이스(130')의 각 웨이트결합부(138)에 끼움결합시킨 상태에서, 실리콘으로 날개부(150)를 인서트사출성형함으로써, 날개부(150) 내부에 웨이트부재(160)가 베어링케이스(130')와 함께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복수의 웨이트부재(160)를 날개부(150)에 원주상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매립설치함으로써, 날개부(150)의 회전에 대한 지속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피젯 스피너에 대해 설명한다.
제 3 실시 예에 따른 피젯 스피너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 날개부(150)에 끼움홀(154)이 원주상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등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이 끼움홀(154)에 끼움결합되어 피젯 스피너를 피부착면에 흡착방식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복수의 진공부착수단(17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진공부착수단(170)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진공흡착판(171)과, 이 진공흡착판(171)의 배면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날개부(150)의 상단으로부터 핀헤드(144)의 두께만큼 진공흡착판(171)을 이격시키는 간격바(172)와, 간격바(172)의 하방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끼움홀(154)에 삽입되어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는 결합바(173)와, 결합바(173)의 하방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끼움홀(154)에 끼움겨합된 결합바(17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결합바(173)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된 확장부(17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 3 실시 예의 피젯 스피너는 복수의 진공부착수단(170) 각각을 끼움홀(154)에 끼움결합상태에서, 진공부착수단(170)을 피부착면에 부착함으로써, 피젯 스피너를 피부착면 부착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유아는 피젯 스피너를 진공부착수단(170)을 통해 거울 등의 매끄러운 면에 붙이고 떼어내는 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날개부(150) 보다 큰 사이즈로 구성되며 복수의 진공부착수단(170)에 부착시켜 날개부(150)와 함께 회전놀이를 즐기도록 구성되는 보조 날개부(18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조 날개부(180)를 진공부착수단(170)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보조 날개부(180)를 돌려줌으로써, 날개부(150)를 회전시키는 놀이와는 별도의 회전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이때, 보조날개부(180)의 상면에는 소정각도의 부채꼴영역마다 서로 다른 색상의 잉크가 칠해진 색상표시부가 구성되어, 보조날개부(180)의 회전에 따라 색상표시부를 유아가 보면서 흥미를 느끼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피젯 스피너에 대해 설명한다.
제 4 실시 예의 유아용 피젯 스피너는 날개부(150)의 상면에 소정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며, 날개부(150)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따라 LED모듈(192)의 위치가 가변하도록 구성되는 광표시유닛(19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표시유닛(190)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소정길이를 갖는 관체형태로 구성되며, 날개부(15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고정설치되며, LED모듈(192)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이동가이드부(191)와, 이동가이드부(191)에 삽입되어 이동가이드부(191)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LED(192a)가 설치된 LED모듈(192)과, 이동가이드부(191)의 일측에 설치되며 LED모듈(192)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단추형 배터리(195a)가 구비된 배터리부(195)와, 이동가이드부(191)의 내측단과 LED모듈(192)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원심력에 의해 LED모듈(192)이 이동가이드부(191)의 외측부로 이동된 경우 신장되며, 날개부(150)의 회전이 정지되어 원심력이 상실되는 경우 LED모듈(192)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부재(196)와, LED모듈(192)의 외측단에 설치되어 날개부(150)의 원심력에 따라 스프링부재(196)를 신장시키면서 LED모듈(192)을 이동가이드부(191)의 외측부로 이동시키는 무게추부재(197)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광표시유닛(190)은 LED모듈(192)이 이동가이드부(191)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도 배터리부(195)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연결수단(193,19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연결수단(193,194)은 이동가이드부(191)의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배터리부(19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레일접촉단자(193)와, LED모듈(192)에 구비되며 복수의 LED(19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레일접촉단자(193)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이동단자(19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날개부(150)를 강하게 회전시킬수록 강한 원심력에 의해 LED모듈(192)이 이동가이드부(191)의 외측부로 위치이동된 상태에서 광이 발산되고, 날개부(150)의 회전속도가 느려질 수록 원심력이 약해지면서 LED모듈(192)이 이동가이드부(191)의 내측부로 조금식 이동되면서 광이 발산되며, 완전히 날개부(150)의 회전이 멈춘 경우, 스프링부재(196)가 완전히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LED모듈(192)도 이동가이드부(191)에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도 13 내지 도 15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피젯 스피너(20)에 대해 설명한다.
제 5 실시 예의 유아용 피젯 스피너(20)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 서포트부재(210), 베어링부(230), 고정핀(240)의 구성 및 결합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유아용 피젯 스피너(20)는 서포트부재(210), 자루부(220), 베어링부(230), 고정핀(240), 날개부(2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서포트부재(210)는 상단부에 베어링(231)의 내측회전부(231b)의 안착이 이루어지는 베어링 안착부(212)가 구성되고, 하단부에는 자루부(220)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자루결합부(213)가 구성되며, 자루결합부(213)의 말단에는 자루부(220)의 빠짐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214)가 구성된다.
또한, 서포트부재(110)는 베어링안착부(212)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베어링(231)의 내부로 삽입이 이루어지는 삽입로드부(215)가 구성되고, 이 삽입로드부(215)의 상단부에는 고정핀(240)과 나사체결이 이루어지는 수나사부(216)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이 수나사부(216)의 상단부에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마주하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말단부에 후크(217a)가 형성되어 고정핀(240)과 후크결합이 이루어지는 후크부(217)가 구성된다.
자루부(22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서포트 부재(210)에 인서트사출을 통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자루부(220)는 서포트부재(210)의 하단부 즉 자루결합부(213)를 감싸도록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된 것이며, 서포트부재(210)의 상단부는 자루부(220)의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베어링부(230)는 베어링(231)과, 이 베어링(231)의 외측회전부(231a)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서포트부재(210)에 대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베어링케이스(23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베어링(231)은 통상의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며, 외측회전부(231a)와, 이 외측회전부(231a)의 내측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중공부를 갖는 내측회전부(231b)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베어링케이스(233)는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며, 베어링(231)이 삽입되어 베어링(231)의 외측회전부(231a)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상단내주면에는 베어링(231)의 외측회전부(231a) 상단을 밀착지지하는 상단지지턱(234)이 구성되고, 하단내주면에는 내부에 삽입된 베어링(231)의 외측회전부(231a) 하단이 스냅결합방식으로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돌기(235)가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고정핀(240)은 서포트부재(210)의 상단부와 결합되어 베어링 안착부(112)에 지지되게 설치된 베어링(231)의 내측회전부(231b)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고정핀(240)은 내부에 암나사산(242a)이 형성되어 서포트부재(210)의 수나사부(216)와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며, 나사결합에 의해 베어링(231)의 내측회전부(231b) 상단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핀부재(242)와, 핀부재(242)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돔형상의 핀헤드(24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핀헤드(244)의 중심에는 암나사산(242a)의 상단과 연결되며, 후크부(217)가 삽입되어 후크(217a)가 걸려 결합되는 후크결합홈(244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핀부재(242)를 수나사부(216)에 회전시켜 나사체결하면, 후크(217a)가 후크결합홈(244a)으로 삽입되면서 스냅방식으로 걸려 후크방식으로 걸림으로써, 나사결합과 후크결합의 이중결합이 이루어져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유아의 피부에 핀헤드(244)가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하여 피부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핀헤드(244)를 감싸도록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헤드캡(249)을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삽입로드부(215)를 베어링(231)의 내부에 삽입시켜 서포트부재(210)의 베어링안착부(212)에 베어링(231)의 내측회전부(231b)가 안착지지되게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핀(240)의 핀부재(242) 내부로 수나사부(216)를 나사체결하여 핀부재(242)의 하단이 베어링(231)의 내측회전부(231b)의 상단을 가압하여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후크부(217)가 후크결합홈(244a)에 후크체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베어링(231)의 외측회전부(231a)를 감싸도록 설치된 베어링케이스(233)는 서포트(210)에 대해 회전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베어링케이스(233)의 외측으로 날개부(250)가 구성됨으로써, 날개부(250)가 베어링부(130)를 통해 서포트부재(2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날개부(25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베어링케이스(233)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날개(152)를 구비하여, 유아가 자루부(220)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날개부(150)를 회전시켜가며 놀이를 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날개부(250)는 베어링케이스(233)의 외주면으로 실리콘을 인서트사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날개부(250)를 실리콘으로 별도로 성형하되,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날개부(250) 중심에 베어링케이스(233)의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는 끼움고정홈(253)을 구성하고, 이 끼움고정홈(253)에 베어링케이스(233)를 끼움결합하여 베어링부(230)가 날개부(250)에 끼움방식으로 결합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본 고안의 유아용 피젯 스피너는 고정핀(240)이 서포트부재(210)와 나사체결과 함께 후크결합으로 이중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결합구조 없이 나사체결에 의해서만 고정핀(240)과 서포트부재(210)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서포트부재(110)에는 수나사부(216)는 형성되되, 수나사부(216)의 상부로 후크부(217)가 구성되지 않고, 고정핀(240)에도 핀부재(242)에 암나사산(242a)은 형성되되, 핀헤드(244)에 암나사산(242a)과 연결되는 후크결합홈(244a)의 구성되지 않도록 하여, 서프토부재(110)와 고정핀(240)이 나사결합으로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10...서포트부재
112...베어링안착부
113...자루결합부
114...이탈방지구
115...핀삽입홈
115a...회전규제홈
116...걸림홀
120...자루부
130...베어링부
131...베어링
132...베어링케이스
140...고정핀
142...핀부재
143...걸림턱
144...핀헤드
145...회전규제돌기
150...날개부
152...날개
160...웨이트부재
170...진공부착수단
180...보조 날개부
190...광표시유닛
210...서포트부재
212...베어링안착부
213...자루결합부
215...삽입로드부
216...수나사부
217...후크부
220...자루부
230...베어링부
231...베어링
233...베어링케이스
240...고정핀
242...핀부재
242a...암나사산
244...핀헤드
244a...후크결합홈
250...날개부

Claims (8)

  1. 상단부에는 베어링의 내측회전부가 안착되는 베어링 안착부가 구성되고, 하단부에는 자루부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자루결합부가 구성된 서포트부재;
    상기 자루결합부에 인서트사출을 통해 형성되며, 소정길이를 갖는 기둥형태로 이루어져 재질유아가 손으로 파지하도록 구성되며 실리콘 재질로 구성된 자루부;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외측회전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에 의해 상기 서포트부재에 대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베어링케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베어링부;
    상기 서포트부재의 상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 안착부에 설치된 베어링의 내측회전부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핀;
    상기 베어링케이스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케이스와 연동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유아가 회전시키면서 놀이할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복수의 날개를 구비한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베어링케이스의 외주면으로 실리콘을 인서트사출가공하여 형성된 것이며,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복수의 날개 마다 매립형성되어 회전지속성을 향상시키는 복수의 웨이트부재가 구성되며,
    상기 베어링케이스는,
    베어링의 외측회전부 하단이 안착되어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케이스본체;
    내부에 베어링의 외주면과 상단외측둘레부를 감싸는 베어링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본체의 개방부를 덮도록 상기 케이스본체에 삽입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본체에 상기 베어링의 외측회전부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케이스커버;
    상기 케이스본체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마다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본체에서 외곽으로 소정간격 이격위치에 상기 복수의 웨이트부재가 설치되도록 하는 복수의 연장바;
    상기 복수의 연장바 각각의 말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웨이트부재와 끼움결합되어 웨이트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복수의 웨이트부재를 상기 웨이트결합부에 끼움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베어링케이스와 실리콘으로 인서트사출가공하여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웨이트부재가 상기 복수의 연장바에 의해 상기 케이스본체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날개부에 매립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피젯 스피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커버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결합돌기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본체의 측면부에는 상기 케이스커버가 상기 케이스본체에 삽입시 상기 결합돌기부가 삽입되는 돌기수용홈이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본체의 측면부 말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결합턱이 구성되어,
    상기 결합돌기부가 상기 돌기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본체에 대해 상기 결합돌기부를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결합턱에 상기 결합돌기부가 걸려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커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피젯 스피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재와 상기 고정핀은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거나 후크체결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피젯 스피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재와 상기 고정핀은 나사결합 및 후크결합으로 이루어진 이중결합구조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피젯 스피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결합부는 하단에 상기 자루부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볼형상으로 이루어진 이탈방지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피젯 스피너.

KR2020210001346U 2021-04-28 2021-04-28 유아용 피젯 스피너 KR2004946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346U KR200494604Y1 (ko) 2021-04-28 2021-04-28 유아용 피젯 스피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346U KR200494604Y1 (ko) 2021-04-28 2021-04-28 유아용 피젯 스피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604Y1 true KR200494604Y1 (ko) 2021-11-11

Family

ID=78528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346U KR200494604Y1 (ko) 2021-04-28 2021-04-28 유아용 피젯 스피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6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21391A1 (en) * 2022-04-06 2023-10-12 David K. Bynum Modular Fidget Device for Heightened Mental Stimulation Via Creative Customization and Skill-Based Play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986B1 (ko) * 2007-04-27 2008-02-12 유하나 조립식 회전지지축과 회전체결구에 의한 장식용 바람개비
KR200483621Y1 (ko) 2017-03-30 2017-06-07 고재정 발광 기능을 갖는 핸드 피젯 스피너
KR200484864Y1 (ko) 2017-08-02 2017-11-01 김수환 피젯 스피너용 연결블럭
US9914063B1 (en) * 2016-05-11 2018-03-13 Md Intellectual Holdings Llc Toy designed to spin in a user's hand
US20180290483A1 (en) * 2017-04-05 2018-10-11 David A. Laemle Writing Implement With Bearing Coupled Rotary Device
US20180352829A1 (en) * 2017-06-09 2018-12-13 Imaginings 3, Inc. Amusement apparatus provided with an edible portion and methods
KR102054655B1 (ko) 2017-12-04 2019-12-11 (주)원용산업 손톱 및 발톱 연마용 피젯 스피너
KR102075087B1 (ko) 2018-05-28 2020-02-07 육심길 잔상표시기능을 갖는 피젯 스피너
CN210229122U (zh) * 2019-05-05 2020-04-03 温振鹏 一种指尖陀螺
US20200171399A1 (en) * 2018-12-04 2020-06-04 Mindful Fidgets LLC Wearable fidget spinners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986B1 (ko) * 2007-04-27 2008-02-12 유하나 조립식 회전지지축과 회전체결구에 의한 장식용 바람개비
US9914063B1 (en) * 2016-05-11 2018-03-13 Md Intellectual Holdings Llc Toy designed to spin in a user's hand
KR200483621Y1 (ko) 2017-03-30 2017-06-07 고재정 발광 기능을 갖는 핸드 피젯 스피너
US20180290483A1 (en) * 2017-04-05 2018-10-11 David A. Laemle Writing Implement With Bearing Coupled Rotary Device
US20180352829A1 (en) * 2017-06-09 2018-12-13 Imaginings 3, Inc. Amusement apparatus provided with an edible portion and methods
KR200484864Y1 (ko) 2017-08-02 2017-11-01 김수환 피젯 스피너용 연결블럭
KR102054655B1 (ko) 2017-12-04 2019-12-11 (주)원용산업 손톱 및 발톱 연마용 피젯 스피너
KR102075087B1 (ko) 2018-05-28 2020-02-07 육심길 잔상표시기능을 갖는 피젯 스피너
US20200171399A1 (en) * 2018-12-04 2020-06-04 Mindful Fidgets LLC Wearable fidget spinners
CN210229122U (zh) * 2019-05-05 2020-04-03 温振鹏 一种指尖陀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21391A1 (en) * 2022-04-06 2023-10-12 David K. Bynum Modular Fidget Device for Heightened Mental Stimulation Via Creative Customization and Skill-Based Play
US11850368B2 (en) * 2022-04-06 2023-12-26 David K. Bynum Modular fidget device for heightened mental stimulation via creative customization and skill-based pl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7814B1 (en) Child activity center, entertainment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KR200494604Y1 (ko) 유아용 피젯 스피너
US6547622B2 (en) Bubble generating assemblies
US6464594B1 (en) Releasable and securable mobile
KR970000433B1 (ko) 완구 작동 센터
US4952189A (en) Spinable doll
EP3527273B1 (en) Manipulable multi-piece toy
US3545760A (en) Combined cap and aerial projector
US20120305509A1 (en) Retaining device for child play and care items
WO2019019318A1 (zh) 一种可变形的陀螺玩具
US7038153B2 (en) Light switch extension
US3464150A (en) Rotatably supported doll's head
KR102005761B1 (ko) 팽이 및 그의 회전장치
US6905387B2 (en) Flyable ball
KR102037596B1 (ko) 유아용 노리개 젖꼭지
US3394494A (en) Doll head support mechanism
US20140302739A1 (en) Stabilized flying disc toy
WO2009050438A1 (en) Device for holding a dummy
JP3086850U (ja) コマ玩具
KR200204709Y1 (ko) 야간 레저용 배드민턴 공
JPH09322984A (ja) コマ玩具
CN215126941U (zh) 一种积木杯
CN219208178U (zh) 玩具手抓牙咬球
US20230025609A1 (en) Reconfigurable infant support structure
CN210356030U (zh) 一种组装积木人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