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487Y1 - Robot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 Google Patents

Robot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487Y1
KR200494487Y1 KR2020200001462U KR20200001462U KR200494487Y1 KR 200494487 Y1 KR200494487 Y1 KR 200494487Y1 KR 2020200001462 U KR2020200001462 U KR 2020200001462U KR 20200001462 U KR20200001462 U KR 20200001462U KR 200494487 Y1 KR200494487 Y1 KR 200494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exhaust
gear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46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석
Original Assignee
박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석 filed Critical 박종석
Priority to KR20202000014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48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48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61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탑재되고, 먼지흡입부와 에어배출부가 포함된 더스트박스,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더스트박스의 먼지흡입부로 에어를 투입하는 급기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더스트박스의 에어배출부로부터 에어를 배출하는 배기부, 및 상기 배기부와 상기 급기부 사이에 배치되고, 회전을 이용하여 먼지를 집진하는 브러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로봇청소기에서 공기를 배출하면서 발생되는 냄새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대류형 방역으로 집안 구석구석 살균을 할 수 있으며, 일반인도 청소 및 살균 소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생활 방역의 쉬운 접근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vacuum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and more particularly, a body part, a dust box mounted on the body part, including a dust suction part and an air exhaust part, and formed in the body part, the dust box An air supply unit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dust suction unit, an exhaust unit formed on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air from an air discharge unit of the dust box, and disposed between the exhaust unit and the air supply unit, the dust using rotation It may include a brush unit for collecting dus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odor generated while exhausting the air from the robot vacuum cleaner, can sterilize every corner of the house with convection-type quarantine, and makes it easy for the general public to clean and sterilize, making it easy for life quarantine. accessibility can be provided.

Description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Robot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Robot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본 고안은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청소과정에서 배출되는 에어를 다시 흡입하면서 먼지를 수집함에 따라, 배출되는 에어를 소모하지 않고 로봇청소기 내부로 먼지를 흡입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vacuum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and more specifically, it can be used to suck dust into the robot cleaner without consuming the discharged air as it collects dust while sucking the air discharged during the cleaning process again. It is related to a robot vacuum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종래의 로봇청소기는 주변사물을 감지하여 효율적인 이동경로에 따라 이동하는 동작의 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그러나 로봇청소기의 경우 보통 실내에서 운영되며 좁은 공간을 이동하면서 청소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대체로 작은 크기로 설계된다. 그러나, 이러한 크기의 제한에 의하여 낮은 용량의 배터리가 탑재되고, 소형 부품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청소동작이 고성능으로 이루어 지지 않은 제품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종래의 로봇청소기는 청소기임에도 불구하고 청소라는 본연의 동작에 충실하지 못한 중대한 단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로봇청소기는 이동경로에 대한 효율적인 경로탐색 외에도 청소동작의 성능을 향상시켜야 하는 기술적 과제가 존재하였다.Conventional robot cleaners hav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motions to detect surrounding objects and move along an efficient movement path. However, in the case of robot vacuum cleaners, they are usually operated indoors and are generally designed to be small in size because they perform cleaning while moving in a narrow space. However, due to this size limitation, a low-capacity battery is mounted and most of the products do not perform a high-performance cleaning operation because they are composed of small parts. Therefore, the conventional robot vacuum cleaner has a significant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faithful to its original operation of cleaning, despite being a vacuum cleaner.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robot vacuum cleaner, there is a technical task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cleaning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efficient route search for the movement rout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초소형 부품의 신개발 없이도 청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고 청소에 가장 효율적인 구조가 고안되는 경우 청소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종래의 로봇청소기는 에어를 흡입하여 흡입되는 과정에서 먼지를 함께 흡입하는데, 먼지는 수집하고 에어는 다시 밖으로 배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하지만, 배출되는 에어는 먼지필터를 통해 먼지가 여과된 에어로서, 에너지 효율 관점에서 볼 때 다시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는 요소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로봇청소기는 한번 흡입한 에어를 밖으로 그대로 배출하였고, 외부로 배출된 에어는 주위에 불쾌함을 유발하는 요소가 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leaning efficiency can be maximized if the most efficient structure for cleaning is devised without wasting energy generated in the cleaning process without new development of new micro-parts. 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robot vacuum cleaner sucks air together and in the process of being sucked in,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ust is collected and the air is discharged out again. However, the discharged air is air filtered by dust through the dust filter, and may be a factor that can be reused from the viewpoint of energy efficiency. Nevertheless, the conventional robot vacuum cleaner discharges the air once sucked out as it is, and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becomes a factor causing discomfort to the surroundings.

따라서, 배출되는 에어를 청소 과정에서 다시 재활용하는 경우 주변에 공해를 유발시키지 않으면서도 로봇청소기 기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을 것이지만, 종래의 로봇청소기에서 배출되는 에어를 다시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이나 구조, 그 어떤 것도 암시나 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Therefore, if the discharged air is recycled again in the cleaning process,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robot cleaner device without causing pollution to the surroundings, but a method or structure for recycl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nventional robot cleaner again, Nothing is implied or disclosed.

이에, 특별한 부품의 개발없이 구조의 변경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를 활용하면서도 청소의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로봇청소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robot cleaner capable of maximizing cleaning efficiency while utilizing the air discharged through structural change without the development of special parts.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4505호(2019.09.10. 공개)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04505 (published on September 10, 2019)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청소과정에서 배출되는 에어를 다시 흡입하면서 먼지를 수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having a structure that can collect dust while re-suctioning air discharged during a cleaning process.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배출되는 에어를 소모하지 않고 로봇청소기 내부로 먼지를 흡입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that can be used to suck dust into the robot cleaner without consuming the discharged air.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순환 공기를 이용하여 먼지를 더스트박스로 수집하고 이동하면서 기화된 살균액을 배출할 수 있는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capable of collecting dust into a dust box using circulating air and discharging a vaporized sterilizing solution while moving am.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탑재되고, 먼지흡입부와 에어배출부가 포함된 더스트박스,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더스트박스의 먼지흡입부로 에어를 투입하는 급기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더스트박스의 에어배출부로부터 에어를 배출하는 배기부, 및 상기 배기부와 상기 급기부 사이에 배치되고, 회전을 이용하여 먼지를 집진하는 브러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robot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body, a dust box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a dust inlet and an air outlet, formed in the main body and an air supply unit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dust suction unit of the dust box, an exhaust unit formed on the main body portion and discharging air from the air discharge unit of the dust box, and disposed between the exhaust unit and the air supply unit, , it may include a brush unit for collecting dust using rot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기 급기부가 위치한 방향을 향하여 에어를 배출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후방을 향하여 기울여서 개방되고, 상기 급기부는, 상기 배기부에서 배출된 에어를 흡입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전방을 향하여 기울여서 개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xhaust unit is opened by tilting toward the rear of the main body to discharge ai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ir supply is locat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and the air supply unit include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unit. It may be opened by tilting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to suck i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브러쉬부와 상기 급기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브러쉬부에서 집진된 먼지와 상기 배기부에서 배출된 에어를 상기 급기부로 모아주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art disposed between the brush part and the air supply part and collecting dust collected by the brush part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art to the air supply pa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더스트박스의 에어배출부는, 상기 더스트박스의 먼지흡입부에서 흡입되는 에어를 차단하는 흡입마개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air discharge unit of the dust box may be locat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a suction stopper that blocks air sucked from the dust suction unit of the dust box.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기부와 연결되어 상기 더스트박스의 에어배출부에서 배출된 에어를 흡입하고, 흡입된 에어를 상기 배기부를 통해 배출하는 모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t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motor connected to the exhaust unit to suck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unit of the dust box and discharge the sucked air through the exhaust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부는, 에어를 흡입하는 흡입팬, 에어를 배출하는 배출팬, 상기 흡입팬을 회전시키는 흡입기어, 상기 배출팬을 회전시키는 배출기어,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흡입기어와 맞물려 상기 흡입기어를 작동시키는 제1 모터기어, 및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배출기어와 맞물려 상기 배출기어를 작동시키는 제2 모터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기어와 상기 제2 모터기어의 기어비는, 상기 흡입기어와 상기 제1 모터기어의 기어비에 비해 고속으로 회전되는 기어비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tor unit, a suction fan for sucking air, an exhaust fan for discharging air, a suction gear for rotating the suction fan, an exhaust gear for rotating the exhaust fan, is coupled to the motor and rotates, the suction A first motor gear engaged with a gear to operate the suction gear, and a second motor gear coupled to the motor to rotate and mesh with the exhaust gear to operate the exhaust gear, wherein the exhaust gear and the second motor The gear ratio of the gear may be a gear ratio that rotates at a higher speed than that of the suction gear and the first motor gear.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부는, 상기 흡입기어의 샤프트와 상기 배출기어의 샤프트가 삽입되는 제1 홀과, 상기 제1 홀에 인접하여 형성된 2 개의 제2 홀과, 2 개의 반원 형태의 공기 통로가 형성된 모터케이스에 결합되되, 상기 2 개의 제2 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2 홀에 삽입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tor unit includes a first hole into which the shaft of the intake gear and the shaft of the exhaust gear are inserted, two second holes formed adjacent to the first hole, and two semicircular air passages Doedoe coupled to the motor case is formed, it can be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second hole of the two second holes.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에 탑재되고, 살균액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살균액이 투입되고, 살균액을 기화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미스트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tank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storing the sterilizing liquid, and a mist box into which the sterilizing liquid stored in the storage tank is put, and vaporizing the sterilizing liquid and discharging to the outside.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탱크는, 살균액이 상기 미스트박스로 투입되어 내부에 기압이 낮아지면 외부로부터 공기를 인입시키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torage tank may include a pressure adjusting unit for introducing air from the outside when the sterilizing liquid is introduced into the mist box and the air pressure therein is lower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탱크 및 상기 미스트박스는, 살균액의 높이에 따라 부력에 의해 떠오르면서 살균액의 용량을 측정하는 고수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orage tank and the mist box may include a high level sensor that measures the capacity of the sterilizing solution while floating by buoyancy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terilizing solu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따른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는 공기를 순환시키며 로봇청소기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로봇청소기에서 공기를 배출하면서 발생되는 냄새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robot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irculates air and suppresses the air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obot cleaner, it is possible to reduce odors generated while discharging air from the robot cleaner.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따른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는 청소과정에서 배출되는 에어를 소모하지 않고 다시 흡입함에 따라 에어와 함께 먼지를 수집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llect dust together with the air by re-suctioning it without consuming the air discharged during the cleaning process.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따른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는 배출되는 에어를 이용하여 먼지를 수집하기 때문에 낮은 전력으로도 높은 청소 효율을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robot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dust by using the discharged air, there is an effect that high cleaning efficiency can be achieved even with low power.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따른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는 순환 공기를 이용하여 먼지를 더스트박스로 수집하고 동시에 기화된 살균액을 배출함에 따라 바닥의 먼지와 공기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청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로봇청소기가 지나가는 위치를 쾌적하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robot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clean the dust and air on the floor at the same time by collecting dust into the dust box using circulating air and discharging the vaporized sterilizing solution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osition where the robot vacuum cleaner passes can be made comfortable.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따른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는 대류형 방역으로 집안 구석구석 살균을 할 수 있으며, 일반인도 청소 및 살균 소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생활 방역의 쉬운 접근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robot vacuum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erilize every corner of the house by convection-type quarantine, and it can provide easy access to life prevention by allowing the general public to easily clean and sterilize. There are advantage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모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모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모터케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탑재된 더스트박스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탑재된 저장탱크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탑재된 미스트박스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미스트박스에 결합되는 노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op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tor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tor case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a motor case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 dust box mounted on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a storage tank mounted on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of a mist box mounted on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nozzle coupled to the mist box.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following embodiments comple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defined in particular.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또한, 본 고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a referenc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The presence or addition is not excluded.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측면 단면도이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1000)는 본체부(100), 더스트박스(200), 저장탱크(300) 및 미스트박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구성들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 뒤, 각 구성요소의 상세한 구조와 기능을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 , a robot cleaner 1000 using circulating 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100 , a dust box 200 , a storage tank 300 and a mist box 400 . can First, the components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n detailed structures and functions of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본체부(100)는 전원버튼(101), 조절 다이얼(102), 센서(103), 기판(104), 충전단자(105), 이동수단(106), 전원공급부(107), 브러쉬부(108), 브러쉬모터(109), 배기부(110), 급기부(112), 살균액펌프(113), 송풍기(114) 및 송풍필터(115)를 포함하며, 더스트박스(200), 저장탱크(300) 및 미스트박스(400)를 탑재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이동수단(106)을 이용하여 로봇청소기(1000)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브러쉬부(108)를 이용하여 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The body unit 100 includes a power button 101 , a control dial 102 , a sensor 103 , a substrate 104 , a charging terminal 105 , a moving means 106 , a power supply unit 107 , and a brush unit 108 . ), a brush motor 109, an exhaust unit 110, an air supply unit 112, a sterilizing liquid pump 113, a blower 114, and a blow filter 115, including a dust box 200, a storage tank ( 300) and the mist box 400 may be mounted. The main body 100 may move th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1000 by using the moving means 106 and collect dust using the brush 108 .

전원버튼(101)과 조절 다이얼(102)은 로봇청소기(1000)의 전방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센서(103)는 주변 사물을 감지하여 공간의 형태를 감지하고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기판(104)은 로봇청소기의 동작을 위한 부품과 전자적으로 연결되고, 충전단자(105)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충전받는 단자로서, 살균액 동작 충전단자(105)와 청소기 동작 충전단자(105)로 구분될 수 있다. 충전단자(105)는 충전시에 미스트 기능을 정지시킬 수 있다. 브러쉬부(108)는 본체에 결합된 브러쉬모터(109)에 의해 회전하면서 바닥에 있는 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 배기부(110)는 브러쉬부(108) 방향으로 에어를 배출하고, 급기부(112)는 배출된 에어와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 이때, 배기부(110)는 브러쉬부(108)의 방향 또는 급기부(112)의 방향으로 에어를 배출할 수도 있다. 살균액펌프(113)는 저장탱크(300)에 저장된 살균액을 미스트박스(400)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송풍기(114)는 미스트박스(400)에서 기화된 살균액을 송풍필터(115)를 거쳐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The power button 101 and the control dial 102 are provided in front of the robot cleaner 1000 and can be manipulated by the user. The sensor 103 may detect a surrounding object to detect a shape of a space and prevent a collision. The board 10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rts for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charging terminal 105 is a terminal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and is a sterilizing solution operation charging terminal 105 and a vacuum cleaner operation charging terminal 105 . can be distinguished. The charging terminal 105 may stop the mist function during charging. The brush unit 108 may collect dust on the floor while rotating by the brush motor 109 coupled to the body. The exhaust unit 110 discharges air in the direction of the brush unit 108 , and the air supply unit 112 may suck in the discharged air and dust. In this case, the exhaust unit 110 may discharge air in the direction of the brush unit 108 or the air supply unit 112 . The sterilizing liquid pump 113 may smoothly discharge the sterilizing liquid stored in the storage tank 300 to the mist box 400 . The blower 114 may discharge the sterilizing liquid vaporized in the mist box 400 to the outside through the blowing filter 115 .

더스트박스(200)는 에어와 함께 흡입된 먼지를 보관하고, 에어를 배출할 수 있다. 더스트박스(200)는 먼지흡입부(201)를 통해 에어와 함께 먼지를 흡입한 뒤 에어배출부(203)를 통해 에어를 배출할 수 있다. 즉, 흡입된 먼지는 더스트박스(200)에 보관되지만, 에어는 더스트박스(200)에 보관되지 않고 다시 배출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더스트박스(200)에 흡입된 에어는 배기부(110)와 급기부(112)를 통해 순환되면서 먼지의 흡입을 도울 수 있다.The dust box 200 may store the dust sucked together with the air and discharge the air. The dust box 200 may suck in dust together with air through the dust suction unit 201 and then discharge the air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203 . That is, the inhaled dust is stored in the dust box 200 , but the air may be discharged again without being stored in the dust box 200 .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air sucked into the dust box 200 is circulated through the exhaust unit 110 and the air supply unit 112 to help suction of the dust.

저장탱크(300)는 본체부(100)에 탑재되어 살균액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탱크(300)는 저장된 살균액을 미스트박스(400)로 공급할 수 있다. 저장탱크(300)는 본체부(100)의 후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살균액은 공기를 정화시키는 물질로서 살균성분을 포함하는 액체, 예를 들어 HOCL(미산성 차아염소산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orage tank 300 may be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to store the sterilizing solution. The storage tank 300 may supply the stored sterilizing solution to the mist box 400 . The storage tank 300 may be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 The sterilizing liquid is a substance that purifies the air and may be made of a liquid containing a sterilizing component, for example, HOCL (non-acidic hypochlorous acid).

미스트박스(400)는 본체부(100)에 탑재되어 저장탱크(300)에 저장된 살균액을 공급받을 수 있다. 미스트박스(400)는 저장탱크(300)로부터 살균액을 공급받기 용이하도록 저장탱크(300)에 인접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스트박스(400)는 살균액을 기화시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mist box 400 may be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to receive the sterilizing solution stored in the storage tank 300 . The mist box 400 is preferably locat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torage tank 300 so as to easily receive the sterilizing solution from the storage tank 300 . The mist box 400 may vaporize the sterilizing liquid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로봇청소기(1000)는 위치를 이동하면서 먼지를 집진하여 더스트박스(200)에 보관하고, 미스트박스(400)에서 기화된 살균액을 배출하여 외부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The robot cleaner 1000 may collect dust while moving it, store it in the dust box 200 , and discharge the sterilizing solution vaporized in the mist box 400 to purify the outside air.

도 1에서 로봇청소기(1000)의 구성은 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더스트박스(200), 저장탱크(300), 미스트박스(400) 순서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In FIG. 1 , the configur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0 may be disposed in the order of the dust box 200 , the storage tank 300 , and the mist box 400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but this is exemplary 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may be arranged in various forms.

이하, 청소를 위한 본체부(100)와 더스트박스(200)의 유기적인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rganic opera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dust box 200 for cleaning will be mainly described.

배기부(110)와 급기부(112)는 본체부(10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배기부(110)는 본체부(100)에 형성되어 더스트박스(200)에서 배출된 에어가 배기되는 통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기부(110)는 본체부(100)의 저면에 로봇청소기(1000)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통로일 수 있다.The exhaust part 110 and the air supply part 112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 The exhaust unit 110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box 200 is formed in the body unit 100 . In an embodiment, the exhaust unit 110 may be a passag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000 .

급기부(112)는 에어가 흡입되어 더스트박스(200)로 에어를 투입시키는 통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급기부(112)는 본체부(100)의 저면에 로봇청소기(1000)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통로일 수 있다.The air supply unit 112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to the dust box 200 . In one embodiment, the air supply unit 112 may be a passag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0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000 .

로봇청소기(1000)는 본체부(100)의 저면에 결합된 브러쉬부(108)가 회전하면서 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 이때, 배기부(110)는 본체의 앞쪽에 배치되고, 그 뒤에 브러쉬가 배치되고, 브러쉬의 뒤에 급기부(11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로봇청소기(1000)의 본체의 저면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배기부(110), 브러쉬부(108), 급기부(112)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1000 may collect dust while the brush unit 108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rotates. In this case, the exhaust unit 11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body, the brush may be disposed behind it, and the air supply unit 112 may be disposed behind the brush. That i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robot cleaner 1000 , the exhaust unit 110 , the brush unit 108 , and the air supply unit 112 may be disposed in the order from the front to the rear.

배기부(110)의 내부에는 더스트박스(200)의 에어배출부(203)에서 에어가 배출되도록 에어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모터부(111)가 설치될 수 있다. 배기부(110)는 모터부(111)를 통해 더스트박스(200)의 에어배출부(203)로부터 에어를 강제로 배출시키고, 배출된 에어를 로봇청소기(1000)의 저면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에어가 배출되는 형태를 모터(111)를 기준으로 달리 표현하면, 모터(111)는 더스트박스(200)로부터 배출된 에어를 흡입하여 배기부(110)를 향해 에어를 배출할 수 있다.A motor unit 111 for sucking and discharging air so that air is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unit 203 of the dust box 2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exhaust unit 110 . The exhaust unit 110 may forcibly discharge air from the air discharge unit 203 of the dust box 200 through the motor unit 111 , and discharge the discharged air to the bottom of the robot cleaner 1000 . If the form in which the air is discharged is expressed differently based on the motor 111 , the motor 111 may suck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box 200 and discharge the air toward the exhaust unit 110 .

모터부(111)는 공기를 흡입해서 배출하는 흡입모터 또는 석션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1000)는 공기를 흡입해서 배출하는 흡입모터 또는 석션모터로 이루어진 모터부(111)를 이용함에 따라, 하나의 모터만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고, 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otor unit 111 may be formed of a suction motor or a suction motor that sucks and discharges air. As the robot clean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uction motor or a motor unit 111 including a suction motor for sucking and discharging air, the robot cleaner 1000 uses only one motor to suck air containing dust. And, there is an effect of discharging the air from which the dust has been removed.

이때, 배기부(110)는 본체부(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급기부(112)가 위치한 방향을 향하여 본체부(100)의 저면 후방으로 가면서 에어를 배출하도록 기울여서 본체부(100)의 저면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haust unit 110 is inclined to discharge air while going to the rea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unit 10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supply unit 112 is locat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body unit 100 to discharge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unit 100 . can be opened toward

급기부(112)는 배기부(110)에서 배출된 에어와 브러쉬부(108)에서 집진된 먼지를 함께 흡입할 수 있다. 급기부(112)는 더스트박스(200)의 먼지흡입부(201)로 에어와 먼지를 투입시킬 수 있다. 급기부(112)는 배기부(110)에서 배출된 에어를 흡입하도록 본체부(100)의 전방을 향하여 본체부(100)의 저면 전방에서 후방으로 에어를 흡입하도록 기울여서 개방될 수 있다.The air supply unit 112 may suck together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unit 110 and the dust collected by the brush unit 108 . The air supply unit 112 may inject air and dust into the dust suction unit 201 of the dust box 200 . The air supply unit 112 may be opened by tilting to suck the air from the fron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to suck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unit 110 to the rear.

먼지흡입부(201)를 통해 투입된 먼지는 거름망(204)과 해파필터(205)에 의해 여과되고, 여과된 먼지는 더스트박스(200)에 보관될 수 있다. 먼지흡입부(201)를 통해 투입된 에어는 에어배출부(203)을 통해 배출되는데, 이때 모터(1111)의 흡입력에 의해 배기부(110)를 향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The dust introduced through the dust suction unit 201 may be filtered by the sieve 204 and the sea wave filter 205 , and the filtered dust may be stored in the dust box 200 .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dust suction unit 201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203 , and in this case, the air may be smoothly discharged toward the exhaust unit 110 by the suction force of the motor 1111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1000)는 배기부(110)를 통해 에어를 배출하여 급기부(112)로 투입함에 따라, 브러쉬부(108)에 집진된 먼지를 더스트박스(200)로 용이하게 투입시키고, 에어를 순환시키면서 배출되는 에어를 재활용할 수 있다.As the robot cleaner 1000 using circulating 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harges air through the exhaust unit 110 and puts it into the air supply unit 112 , the dust collected in the brush unit 108 is dusted. It can be easily put into the box 200, and the air discharged while circulating the air can be recycled.

또한,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1000)는 먼지를 집진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에어를 무의미하게 소모하지 않고 다시 활용함에 따라, 청소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해, 로봇청소기(1000)는 공기를 순환하여 재사용함에 따라 먼지가 일부 포함된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어 발생하는 먼지 냄새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1000 using circulating air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clean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reusing the air discharged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dust without meaninglessly consuming it. In addition, as the robot cleaner 1000 circulates and reuses air, there is an effect of suppressing a dust odor caused by air leaking to the outside, including some dust.

이하, 기화된 살균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인 저장탱크(300)와 미스트박스(4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torage tank 300 and the mist box 400, which are components for discharging the vaporized sterilizing liquid to the outside, will be described.

저장탱크(300)는 내부에 수위센서(302)가 구비되어 저장탱크(300) 내부에 저장된 살균액의 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미스트박스(400)의 내부에도 수위센서(404)가 구비되어 미스트박스(400)에 공급된 살균액의 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저장탱크(300)는 살균액을 저장하고 있다가 미스트박스(400)에서 살균액이 고갈되면 살균액을 미스트박스(400)로 공급할 수 있다. 저장탱크(300)는 살균액이 줄어들면서 내부에 공기 압력이 낮아지는 경우 뚜껑(303)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인입시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The storage tank 300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nsor 302 therein to measure the capacity of the sterilizing solution stored in the storage tank 300 . A water level sensor 404 is also provided inside the mist box 400 to measure the capacity of the sterilizing solution supplied to the mist box 400 . The storage tank 300 stores the sterilizing liquid, and when the sterilizing liquid is depleted in the mist box 400 , the sterilizing liquid may be supplied to the mist box 400 . The storage tank 300 may maintain the pressure by introducing ai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air hole formed in the lid 303 when the air pressure inside the storage tank 300 is reduced while the sterilizing solution is reduced.

체크밸브(401)는 저장탱크(300)로부터 살균액이 투입되는 입구에 설치될 수 있다. 체크밸브(401)는 개방되거나 닫히면서 저장탱크(300)에 저장된 살균액을 공급하거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체크밸브(401)는 한쪽 방향으로만 살균액이 흐르고 반대방향으로는 살균액이 흐르지 않도록 하는 일 방향의 밸브 역할을 할 수 있다. 체크밸브(401)는 미스트박스(400)의 수위센서(404)와 연동되어 수위센서(404)에서 살균액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면 체크밸브(401)는 통로를 개방하여 살균액을 투입시키고, 투입되는 살균액의 양을 측정하여 적정한 양이 투입되면 개방된 통로를 닫을 수 있다. 이때, 살균액펌프(113)는 저장탱크(300)에 저장된 살균액이 미스트박스(400)로 투입되도록 배출할 수 있다. 살균액펌프(113)는 체크밸브(401) 및 수위센서(404)와 연동되어 수위센서(404)에서 살균액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면 펌핑 동작을 하면서 살균액이 배출된다는 신호를 체크밸브(401)로 전달할 수 있다.The check valve 401 may be installed at an inlet through which the sterilizing solution is introduced from the storage tank 300 . The check valve 401 may supply or block the supply of the sterilizing solution stored in the storage tank 300 while being opened or closed. The check valve 401 may serve as a one-way valve to prevent the sterilizing liquid from flowing in only one direction and not flow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check valve 401 is interlocked with the water level sensor 404 of the mist box 400,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erilizing liquid is insufficient in the water level sensor 404, the check valve 401 opens a passage to inject the sterilizing liquid, The open passage can be clos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sterilizing solution used and adding an appropriate amount. At this time, the sterilizing liquid pump 113 may discharge the sterilizing liquid stored in the storage tank 300 to be introduced into the mist box 400 . The sterilizing liquid pump 113 is interlocked with the check valve 401 and the water level sensor 404,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erilizing liquid is insufficient in the water level sensor 404,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sterilizing liquid is discharged while pumping is performed by the check valve 401 can be passed to

초음파진동기(402)는 살균액을 초음파로 진동하여 기화시킬 수 있다. 노즐(403)은 초음파진동기(402)에 의해 기화된 살균액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기화된 살균액은 송풍구를 통하여 배출되고, 본체에 결합된 송풍기(114)에 의해 보다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다.The ultrasonic vibrator 402 may vibrate the sterilizing liquid with ultrasonic waves to vaporize it. The nozzle 403 may discharge the sterilizing liquid vaporized by the ultrasonic vibrator 402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vaporized sterilizing liquid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and can be mor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blower 114 coupled to the main body.

상술한 더스트박스(200), 저장탱크(300), 미스트박스(400)의 구조는 도 7~9에서 보충하여 후술하며, 이하 본체부(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정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structures of the dust box 200 , the storage tank 300 , and the mist box 400 will be described later by supplementing FIGS. 7 to 9 , and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ain body 100 will be summarized and described below.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따른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는 공기를 순환시키며 로봇청소기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로봇청소기에서 공기를 배출하면서 발생되는 냄새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robot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irculates air and suppresses the air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obot cleaner, it is possible to reduce odors generated while discharging air from the robot cleaner.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로봇청소기(1000)의 저면과 상면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top surface of the robot cleaner 10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1000)의 저면도이다.2 is a bottom view of the robot clean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로봇청소기(1000)는 로봇청소기(1000)의 저면에 살균 동작 충전단자(1051), 청소기 동작 충전단자(1052), 미스트 정지 센서(1053), 이동수단(106), 전원공급부(107), 브러쉬부(108), 배기부(110), 급기부(112) 및 가이드부(116)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robot cleaner 1000 includes a sterilization operation charging terminal 1051 , a vacuum cleaner operation charging terminal 1052 , a mist stop sensor 1053 , a moving means 106 , and a power sourc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obot cleaner 1000 . A supply unit 107 , a brush unit 108 , an exhaust unit 110 , an air supply unit 112 , and a guide unit 116 may be provided.

배기부(110)는 본체부(100)의 저면에 로봇청소기(1000)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통로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기부(11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통로의 폭이 본체부(100)의 저면에서 고면으로 올라가면서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xhaust unit 110 may be a passag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be elong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000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exhaust unit 11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width of the passage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becomes narrower as it ris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the high surface.

급기부(112)는 본체부(100)의 저면에 로봇청소기(1000)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통로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급기부(112)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통로의 폭이 본체부(100)의 저면에서 고면으로 올라가면서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ir supply part 112 may be a passag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00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000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air supply unit 112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width of the passage length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gradually becomes narrower as it ris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to the high surface.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1000)는 배기부(110)부와 급기부(112)가 본체부(100)의 저면에서 고면으로 올라가면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먼지를 흡입하는 구성의 면적을 최대한 넓히면서 동시에 에어를 용이하게 흡입 및 배출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obot cleaner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hape in which the exhaust unit 110 and the air supply unit 112 increas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the high surface and narrow in width, so that the dust is sucked. It is possible to easily inhale and discharge air while maximizing the area of the configuration.

미스트 정지 센서(1053)는 충전시에 살균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해 충전 동작을 감지하여 미스트 기능을 정지시킬 수 있다. 살균 동작 충전단자(1051)는 미스트박스(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청소기 동작 충전단자(1052)는 로봇청소기(1000)의 브러쉬부(108), 모터부(111)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The mist stop sensor 1053 may detect a charging operation to stop the sterilization operation during charging to stop the mist function. The sterilization operation charging terminal 1051 charges th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ist box 400 , and the vacuum cleaner operation charging terminal 1052 powers the brush unit 108 , the motor unit 111 of the robot cleaner 1000 , and the like. It can charge the battery that supplies it.

브러쉬부(108)는 솔 형태의 브러쉬가 회전하면서 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러쉬부(108)는 브러쉬프레임(1081)과 브러쉬(1082)로 구성될 수 있는데, 브러쉬프레임(1081)의 하측을 향해 브러쉬(1082)가 결합되고, 브러쉬(1082)는 회전을 통해 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The brush unit 108 may collect dust while the brush-shaped brush rotates. Specifically, the brush unit 108 may be composed of a brush frame 1081 and a brush 1082, the brush 1082 is coupl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brush frame 1081, and the brush 1082 is rotated through the dust can be collected.

가이드부(116)는 브러쉬부(108)와 급기부(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16)는 본체부(100)의 저면에서 로봇청소기(1000)의 진행방향의 좌우에 1개씩 모두 2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부(116)는 본체부(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폭이 좁아지는 차단벽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부직포, 플리스틱 등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형태와 재료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부(116)는 에어가 모아지는 입구 쪽의 폭이 급기부(112)로 에어를 집중시켜주는 출구 쪽의 폭보다 넓으며, 출구 쪽의 폭은 급기부(112)의 폭과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guide part 116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rush part 108 and the air supply part 112 . The guide part 116 may be formed of two guide parts, one on the left and right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00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00 . The guide part 116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locking wall that is narrowed in width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nonwoven fabric or plastic, but the shape and material are not limited thereto. In the guide part 116, the width of the inlet side where the air is collected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outlet side for concentrating the air into the air supply unit 112, and the width of the outlet side is the same as or almost equal to the width of the air supply unit 112. may be of the same width.

가이드부(116)는 브러쉬부(108)에 집진된 먼지가 급기부(112)로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116)는 배기부(110)에서 배출된 에어가 로봇청소기(1000)의 측면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16)는 브러쉬부(108)에서 집진된 먼지와 상기 배기부(110)에서 배출된 에어가 모두 투입되도록 급기부(112)로 가이드할 수 있다.The guide unit 116 may guide the dust collected in the brush unit 108 to easily enter the air supply unit 112 . The guide unit 116 may preven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unit 110 from leaking to the side of the robot cleaner 1000 . That is, the guide unit 116 may guide the dust collected by the brush unit 108 to the air supply unit 112 so that both the dust collected by the brush unit 108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unit 110 are introduc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1000)는 가이드부(116)에서 에어를 급기부(112)로 모아주기 때문에 에어와 먼지를 효율적으로 흡입시킬 수 있고, 배기부(110)에서 배출되는 에어를 완벽하게 재활용할 수 있다.Since the robot cleaner 1000 using circulating 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air from the guide part 116 to the air supply part 112 , air and dust can be efficiently sucked and the exhaust part 110 . ) can be completely recycled.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1000)의 상면도이다.3 is a top view of the robot clean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로봇청소기(1000)는 로봇청소기(1000)의 상면에 전원버튼(101), 센서(103), 디스플레이(116), 선택모드 다이얼(1021), 분무량 조절 다이얼(1022), 덮개(206), 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robot cleaner 1000 includes a power button 101 , a sensor 103 , a display 116 , a selection mode dial 1021 , a spray amount adjustment dial 102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bot cleaner 1000 , A cover 206 and a nozzle may be provided.

전원버튼(101)은 누름식 또는 전자식의 버튼의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센서(103)는 주변의 사물을 식별하고 공간의 구조를 감지하여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로봇청소기(1000)의 상태와 각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선택모드 다이얼(1021)은 회전 조작을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로봇청소기(1000)의 설정 및 동작에 대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분무량 조절 다이얼(1022)은 회전 조작을 통해 미스트박스(400)에서 배출되는 살균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덮개(206)는 더스트박스(200)를 덮을 수 있으며 버튼을 누르면 열리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ower button 101 may be configured as an interface of a push-type or electronic button, and the sensor 103 may identify a surrounding object and detect a structure of a space to prevent a collision. The display may output the status of the robot cleaner 1000 and various information. The selection mode dial 1021 may change information on settings and operations of the robot cleaner 1000 displayed on the display through a rotation operation. The spray amount control dial 1022 can adjust the amount of the sterilizing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mist box 400 through a rotation operation. The cover 206 may cover the dust box 200 and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opened when a button is pressed.

여기까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1000)의 전체적인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였고, 이하, 로봇청소기(100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1111)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The overall components of the robot clean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motor 1111 installed in the robot cleaner 1000 will be described below.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1000)의 모터(1111)의 측면 단면도이다.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tor 1111 of the robot clean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모터부(111)는 모터(1111), 제1 모터기어(1112), 제2 모터기어(1113), 흡입기어(1114), 배출기어(1116), 흡입팬(1115), 배출팬(1117)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motor unit 111 includes a motor 1111 , a first motor gear 1112 , a second motor gear 1113 , a suction gear 1114 , an exhaust gear 1116 , and a suction fan 1115 . , may include an exhaust fan 1117 .

모터(1111)는 회전을 통해 제1 모터기어(1112) 및 제2 모터기어(111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모터기어(1112)는 흡입기어(1114)와 맞물려 흡입기어(1114)를 작동시킬 수 있다. 흡입기어(1114)는 흡입팬(1115)과 결합되기 때문에 흡입기어(1114)가 회전하면 흡입팬(1115)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2 모터기어(1113)는 배출기어(1116)와 맞물려 배출기어(1116)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배출기어(1116)는 배출팬(1117)과 결합되기 때문에 배출기어(1116)가 회전하면 배출팬(1117)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모터(1111)는 흡입팬(1115)의 회전에 의해 에어를 흡입하고, 배출팬(1117)의 회전에 의해 에어를 배출할 수 있다.The motor 1111 may rotate the first motor gear 1112 and the second motor gear 1113 through rotation. The first motor gear 1112 may be engaged with the suction gear 1114 to operate the suction gear 1114 . Since the suction gear 1114 is coupled to the suction fan 1115 , when the suction gear 1114 rotates, the suction fan 1115 may also rotate. The second motor gear 1113 may be engaged with the exhaust gear 1116 to operate the exhaust gear 1116 . Since the exhaust gear 1116 is coupled to the exhaust fan 1117, when the exhaust gear 1116 rotates, the exhaust fan 1117 may also rotate. The motor 1111 may suck in air by the rotation of the suction fan 1115 and discharge the air by the rotation of the exhaust fan 1117 .

이때, 배출기어(1116)와 제2 모터기어(1113)의 기어비는, 흡입기어(1114)와 제1 모터기어(1112)의 기어비에 비해 고속으로 회전되는 기어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배출기어(1116)와 제2 모터기어(1113)의 기어비는 흡입기어(1114)와 제1 모터기어(1112)의 기어비와 다른 비율로 구성되어 흡입팬(1115)과 배출팬(1117)은 다른 회전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입기어(1114)와 제1 모터기어(1112)의 기어비는 1:1의 비율로 이루어지고, 배출기어(1116)와 제2 모터기어(1113)의 기어비는 1:2(또는 1:1.5, 또는 1:1.25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입기어(1114)와 제1 모터기어(1112)의 기어비가 1:1의 비율로 이루어지고, 배출기어(1116)와 제2 모터기어(1113)의 기어비가 1:2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모터기어(1112)가 1바퀴 회전할 때 흡입기어(1114)도 1바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모터기어(1112)가 1바퀴 회전하면 제2 모터기어(1113)도 1바퀴 회전하지만, 이보다 작은 크기의 기어로 이루어진 배출기어(1116)는 2바퀴를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팬(1117)은 흡입팬(1115)에 비해 더 빠르게 회전할 수 있고, 공기의 역학적 운동에 의해 배출팬(1117) 쪽과 흡입팬(1115) 쪽의 기압차가 형성되어 배출팬(1117)은 에어를 더욱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부(111)는 공기가 흡입되는 속도보다 배출되는 속도가 높으므로, 내부에 공기가 축적되지 않고 빨리 배출할 수 있으며, 모터부(111) 내에 공기가 축적되지 않고 빨리 배출됨에 따라 모터(111)를 자체적으로 냉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this case, the gear ratio between the exhaust gear 1116 and the second motor gear 1113 may be a gear ratio that rotates at a higher speed than the gear ratio between the intake gear 1114 and the first motor gear 1112 . That is, the gear ratio of the exhaust gear 1116 and the second motor gear 1113 is different from the gear ratio of the intake gear 1114 and the first motor gear 1112 so that the suction fan 1115 and the exhaust fan 1117 are configured. can rotate at different rotational speeds. In one embodiment, the gear ratio of the intake gear 1114 and the first motor gear 1112 is made in a ratio of 1:1, and the gear ratio of the exhaust gear 1116 and the second motor gear 1113 is 1:2 ( or 1:1.5, or 1:1.25, etc.). When the gear ratio between the intake gear 1114 and the first motor gear 1112 is 1:1 and the gear ratio between the exhaust gear 1116 and the second motor gear 1113 is 1:2, the first When the motor gear 1112 rotates one turn, the suction gear 1114 may also rotate one turn. At this time, when the first motor gear 1112 rotates one turn, the second motor gear 1113 also rotates one turn, but the exhaust gear 1116 formed of a gear having a smaller size may rotate two turns. Accordingly, the exhaust fan 1117 can rotate faster than the suction fan 1115, and the air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exhaust fan 1117 side and the suction fan 1115 side is formed by the mechanical motion of the air, so that the exhaust fan ( 1117) can discharge the air more quickly. In addition, since the speed at which the air is discharged is higher than the speed at which the air is sucked in, the motor unit 111 can be discharged quickly without accumulating air therein. (111) has the effect of cooling itself.

모터부(111)는 배기부(110)의 내부 통로에 설치되어 더스트박스(200)의 에어배출부(203)에서 배출된 에어를 흡입하고, 흡입된 에어를 배기부(110)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The motor unit 111 is installed in the inner passage of the exhaust unit 110 to suck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unit 203 of the dust box 200 and discharge the sucked air through the exhaust unit 110 . can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1000)의 모터(1111)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1000)의 모터케이스(1119)의 정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tor 1111 case of the robot clean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motor case 1119 of the robot clean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도 5를 참조하면, 모터케이스(1119)는 원형 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져 모터부(111)에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motor case 1119 is formed in the form of a circular column and may be coupled to the motor unit 111 .

구체적으로, 모터케이스(1119)는 원형 기둥 형태로 중앙에 제1 홀(H1)이 개방되고, 제1 홀(H1)의 양측으로 2 개의 제2 홀(H2)이 개방될 수 있다. 제1 홀(H1)은 흡입기어(1114)의 샤프트와 배출기어(1116)의 샤프트가 삽입되고, 제2 홀(H2)은 제1 홀(H1)에 인접하여 형성된 2 개의 개방된 공간일 수 있다. 공기 통로(1119_1 및 1119_2)는 2 개의 반원 형태의 개방된 공간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motor case 1119 may have a circular column shape with a first hole H1 open in the center, and two second holes H2 on both sides of the first hole H1 . The first hole (H1) may be the shaft of the intake gear 1114 and the shaft of the exhaust gear 1116 are inserted, the second hole (H2) is two open spaces formed adjacent to the first hole (H1) have. The air passages 1119_1 and 1119_2 may be two semicircular open spaces.

2 개의 제2 홀(H2) 중에서 하나의 제2 홀(H2)에만 모터부(111)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모터부(111)가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제2 홀(H2)은 공기 통로의 역할을 하며, 모터부(111)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모터케이스(1119)는 반원 모양의 공기 통로(1119_1 및 1119_2)가 형성되어 공기 통로(1119_1 및 1119_2)로 공기가 통과하면서 모터부(111)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시켜줄 수 있다.The motor unit 111 may be inserted into only one second hole H2 among the two second holes H2 . At this time, the remaining second hole H2 into which the motor unit 111 is not inserted serves as an air passage and may serve to cool the heat generated by the motor unit 111 . In addition, the motor case 1119 may have semicircular air passages 1119_1 and 1119_2 formed therein to cool the heat generated in the motor unit 111 while air passes through the air passages 1119_1 and 1119_2 .

도 6과 같이 제1 홀(H1)은 모터케이스(1119)의 중심에 개방되어 흡입기어(1114)의 샤프트와 배출기어(1116)의 샤프트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홀(H1)에 삽입된 샤프트는 모터케이스(1119)의 끝단에 맞추어 배출기어(1116)와 흡입기어(1114)가 결합될 수 있다.6 , the first hole H1 is opened at the center of the motor case 1119 so that the shaft of the intake gear 1114 and the shaft of the exhaust gear 1116 can be inserted. The shaft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H1 may be coupled to the exhaust gear 1116 and the suction gear 1114 to match the end of the motor case 1119 .

제2 홀(H2)은 모터(1111)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홀(H2)에 삽입된 모터(1111)는 모터케이스(1119)의 끝단에 맞추어 제1 모터기어(1112)와 제2 모터기어(1113)가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hole H2 may be inserted into the motor 1111 . The motor 1111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H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motor gear 1112 and the second motor gear 1113 according to the end of the motor case 1119 .

이러한 모터케이스(1119)는 모터(1111)와 샤프트를 보호할 뿐 아니라, 모터(1111)가 삽입되지 않은 제2 홀(H2)을 통해 에어가 잘 흡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motor case 1119 may not only protect the motor 1111 and the shaft, but als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may be well sucked through the second hole H2 into which the motor 1111 is not inserted.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1000)에 탑재된 더스트박스(200)의 측면도이다.7 is a side view of the dust box 200 mounted on the robot clean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더스트박스(200)는 먼지흡입부(201), 흡입마개(202), 에어배출부(203), 거름망(204), 해파필터(205) 및 덮개(20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dust box 200 may include a dust suction unit 201 , a suction stopper 202 , an air discharge unit 203 , a strainer 204 , a sea wave filter 205 and a cover 206 . can

먼지흡입부(201)는 본체부(100)의 급기부(112)와 연결되어 에어와 먼지가 흡입될 수 있다. 흡입마개(202)는 모터부(111)의 구동에 의해 에어가 흡입되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흡입마개(202)는 힌지 형태로 열릴 수 있고, 이후 모터부(111)가 정지되면 흡입마개(202)는 닫힐 수 있다. 에어는 모터(1111)에 의해 에어배출부(203)로 배출되는데 이때 먼지들 중에 입자가 큰 먼지는 에어배출부(203)에 안착된 거름망(204)을 통해 여과되고, 입자가 작은 먼지는 해파필터(205)에 여과될 수 있다.The dust suction unit 201 may be connected to the air supply unit 112 of the main body 100 to suck air and dust. The suction stopper 202 may be opened when air is suck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unit 111 . At this time, the suction stopper 202 may be opened in the form of a hinge, and then, when the motor unit 111 is stopped, the suction stopper 202 may be closed. Air is discharged to the air discharge unit 203 by the motor 1111. At this time, large particles of dust are filtered through the sieve 204 seated in the air discharge unit 203, and small particles of dust are released by sea waves. Filter 205 may be filtered.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1000)에 탑재된 저장탱크(300)의 측면도이다.8 is a side view of the storage tank 300 mounted on the robot clean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저장탱크(300)는 살균액배출부(301), 고수위센서(302), 뚜껑(303), 홀(304) 및 스프링부(30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storage tank 300 may include a sterilizing solution discharge unit 301 , a high level sensor 302 , a lid 303 , a hole 304 , and a spring unit 305 .

저장탱크(300)는 살균액을 저장하고 있다가 살균액펌프(113)의 펌핑의 동작에 의해 살균액을 살균액배출부(301)로 배출할 수 있다. 고수위센서(302)는 부력장치가 결합된 환형의 자석인 마그네틱 고수위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수위센서(302)는 부력장치가 결합된 환형의 자석이 살균액의 높이에 따라 부력에 의해 떠오르면 환형의 자석의 높이에 따라 살균액의 용량을 감지할 수 있다. 고수위센서(302)는 자성체와 부력장치가 동시에 고수위센서(302)의 상단에 닿으면 고수위로 판단하고, 자성체와 부력장치의 높이에 따라서 살균액의 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수위센서(302)는 저장탱크(300) 내부에 살균액이 있으면, 부력장치가 결합된 환형의 자석이 부력에 의해서 상승하게 되고, 고수위센서(302)는 부력장치가 결합된 환형의 자석이 상승하는 정도에 따라서 수위를 감지되고, 최대치까지 상승하면 고수위라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storage tank 300 may store the sterilizing liquid and discharge the sterilizing liquid to the sterilizing liquid discharge unit 301 by the pumping operation of the sterilizing liquid pump 113 . The high water level sensor 302 may be made of a magnetic high level sensor that is an annular magnet coupled with a buoyancy device. The high water level sensor 302 can detect the capacity of the sterilizing solu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annular magnet when the annular magnet to which the buoyancy device is coupled floats by buoyancy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terilizing solution. The high water level sensor 302 may determine the high water level when the magnetic body and the buoyancy device simultaneously touch the upper end of the high water level sensor 302 , and measure the capacity of the sterilizing solu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magnetic body and the buoyancy device. Specifically, when the high level sensor 302 has a sterilizing solution inside the storage tank 300, the annular magnet coupled with the buoyancy device rises by buoyancy, and the high level sensor 302 has an annular shape coupled with the buoyancy device. The water level is sensed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magnet rises, and when it rises to the maximum value, a high level signal can be generated.

고수위센서(302)는 살균액의 용량을 측정하여 살균액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본체부(100)의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본체부(1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high water level sensor 302 may measure the capacity of the sterilizing liquid and transmit information on the capacity of the sterilizing liquid to the main body 100 to be output on the display of the main body 100 .

뚜껑(303)은 저장탱크(300)의 입구를 덮을 수 있는데, 뚜껑(303)에는 홀(304) 및 스프링부(305)가 구비될 수 있다. 홀(304)은 외부로 개방된 공간으로서 공기가 투입될 수 있다. 이때, 홀(304)의 내부공간은 필터로 채워질 수 있다. 스프링부(305)는 살균액이 줄어들면서 저장탱크(300) 내부의 압력이 떨어지면 탄성을 이용하여 저장탱크(300)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스프링부(305)는 저장탱크(300) 내부의 압력이 적절하게 조절되면 탄성을 이용하여 원위치 되어 개방된 영역을 차단할 수 있다. 저장탱크(300)는 홀(304)과 스프링부(305)가 형성됨에 따라, 살균액에 의해 내부 압력이 변하더라도 적절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The lid 303 may cover the inlet of the storage tank 300 , and the lid 303 may include a hole 304 and a spring part 305 . The hole 304 is an open space to the outside, and air may be introduced thereinto. At this time, the inner space of the hole 304 may be filled with a filter. The spring part 305 may be opened to the outside while moving inside the storage tank 300 using elasticity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storage tank 300 is reduced while the sterilizing solution is reduced.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storage tank 300 is appropriately adjusted, the spring unit 305 may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using elasticity to block the open area. As the hole 304 and the spring part 305 are formed in the storage tank 300, even if the internal pressure is changed by the sterilizing solution, an appropriate pressure can be maintained.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1000)에 탑재된 미스트박스(400)의 측면도이다.9 is a side view of the mist box 400 mounted on the robot clean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미스트박스(400)는 체크밸브(401), 초음파진동기(402), 노즐(403), 고수위센서(404) 및 송풍구(40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mist box 400 may include a check valve 401 , an ultrasonic vibrator 402 , a nozzle 403 , a high water level sensor 404 , and an air outlet 405 .

체크밸브(401)는 본체의 살균액펌프(113)와 연결되어 미스트박스(400)에 살균액 공급이 필요할 때만 개방될 수 있다. 체크밸브(401)는 유체를 한쪽 방향으로는 흐르게 하지만, 역방향으로는 자동적으로 폐쇄되어 흐르지 않게 하는 밸브일 수 있다. 즉, 살균액펌프(113)가 능동적으로 살균액을 공급하고 살균액펌프(113)가 펌핑 동작으로 살균액을 공급하면 체크밸브(401)가 열리고, 살균액이 저장탱크(300)에서 미스트박스(400)로 흐르게 된다.The check valve 401 is connected to the sterilizing liquid pump 113 of the body and can be opened only when the mist box 400 needs to be supplied with the sterilizing liquid. The check valve 401 may be a valve that allows the fluid to flow in one direction, but automatically closes in the reverse direction to prevent flow. That is, when the sterilizing liquid pump 113 actively supplies the sterilizing liquid and the sterilizing liquid pump 113 supplies the sterilizing liquid through a pumping operation, the check valve 401 is opened, and the sterilizing liquid is transferred from the storage tank 300 to the mist box. (400) will flow.

체크밸브(401)는 살균액펌프(113)가 살균액을 공급하지 않으면 닫히게 되는데, 체크밸브(401)는 살균액을 저장탱크(300)에서 미스트박스(400)로 흐르지 않게 차단하고, 역으로 살균액이 미스트발스(400)에서 저장탱크(300)로 흐르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The check valve 401 is closed when the sterilizing liquid pump 113 does not supply the sterilizing liquid. The check valve 401 blocks the sterilizing liquid from flowing from the storage tank 300 to the mist box 400, and vice versa.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sterilizing liquid from flowing from the mist bals 400 to the storage tank 300 .

초음파진동기(402)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살균액을 기화시킬 수 있다. 노즐(403)은 살균액이 기화되어 생성된 미스트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미스트박스(400)에 설치된 고수위센서(404)는 저장탱크(300)에 설치된 고수위센서(302)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할 수 있다. 고수위센서(404)는 부력장치가 결합된 환형의 자석인 마그네틱 고수위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수위센서(404)는 부력장치가 결합된 환형의 자석이 살균액의 높이에 따라 부력에 의해 떠오르면 환형의 자석의 높이에 따라 살균액의 용량을 감지할 수 있다. 고수위센서(404)는 자성체와 부력장치가 동시에 고수위센서(404)의 상단에 닿으면 고수위로 판단하고, 자성체와 부력장치의 높이에 따라서 살균액의 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수위센서(404)는 미스트박스(400) 내부에 살균액이 있으면, 부력장치가 결합된 환형의 자석이 부력에 의해서 상승하게 되고, 고수위센서(404)는 부력장치가 결합된 환형의 자석이 상승하는 정도에 따라서 수위를 감지되고, 최대치까지 상승하면 고수위라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ultrasonic vibrator 402 may vaporize the sterilizing solution using ultrasonic waves. The nozzle 403 may discharge the generated mist by vaporizing the sterilizing liquid to the outside. The high water level sensor 404 installed in the mist box 40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as the high water level sensor 302 installed in the storage tank 300 . The high water level sensor 404 may be made of a magnetic high level sensor that is an annular magnet coupled with a buoyancy device. The high water level sensor 404 can detect the capacity of the sterilizing solu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annular magnet when the annular magnet to which the buoyancy device is coupled floats by buoyancy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terilizing solution. The high water level sensor 404 may determine the high water level when the magnetic body and the buoyancy device simultaneously touch the upper end of the high water level sensor 404 , and measure the capacity of the sterilizing solu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magnetic body and the buoyancy device. Specifically, the high water level sensor 404 has a sterilizing solution inside the mist box 400, the annular magnet coupled with the buoyancy device rises by buoyancy, and the high level sensor 404 has an annular shape coupled with the buoyancy device. The water level is sensed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magnet rises, and when it rises to the maximum value, a high level signal can be generated.

고수위센서(404)는 의해 미스트박스(400)에 살균액이 부족한 것으로 감지되어 본체부(100)에 신호를 보내고, 본체부(100)의 살균액펌프(113)는 펌핑 동작을 통해 저장탱크(300)에 저장된 살균액을 미스트박스(400)로 공급하며, 체크밸브(401)는 이 타이밍에 맞추어 개방되어 살균액을 미스트박스(400)로 공급할 수 있다.The high water level sensor 404 detects that the mist box 400 lacks sterilizing liquid and sends a signal to the main body 100, and the sterilizing liquid pump 113 of the main body 100 pumps the storage tank ( The sterilizing liquid stored in 300 is supplied to the mist box 400 , and the check valve 401 is opened according to this timing to supply the sterilizing liquid to the mist box 400 .

송풍구(405)는 기화된 살균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데, 본체에 설치된 송풍기(114)의 바람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미스트를 배출할 수 있다.The air outlet 405 can discharge the vaporized sterilizing liquid to the outside, and the mist can be discharged more smoothly by the wind of the blower 114 installed in the body.

도 10은 미스트박스(400)에 결합되는 노즐(403)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nozzle 403 coupled to the mist box (400).

도 10을 참조하면, 노즐(403)은 확산부(4031), 마개부(4032) 및 연장부(4033)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403)은 본체부(100)의 후방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확산부(4031)는 미스트가 확산되도록 깔데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마개부(4032)는 수평의 넓은 범위로 미스트가 확산되도록 수직으로 올라오는 미스트를 퍼트릴 수 있다. 연장부(4033)는 미스트가 배출되는 높이를 조절하도록 확산부(4031)와 미스트박스(400)를 연결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nozzle 403 may include a diffusion portion 4031 , a stopper portion 4032 , and an extension portion 4033 . The nozzle 403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 The diffusion unit 4031 may be formed in a funnel shape so that the mist is diffused. The stopper 4032 can spread the mist rising vertically so that the mist is spread over a wide horizontal range. The extension part 4033 may connect the diffusion part 4031 and the mist box 400 to adjust the height at which the mist is discharg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1000)는 순환 공기를 이용하여 외부로 이탈되는 먼지 없이 집진된 먼지를 대부분 더스트박스(200)로 수집하며, 이동하면서 기화된 살균액을 배출함에 따라, 바닥의 먼지와 공기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청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로봇청소기(1000)가 지나가는 위치를 쾌적하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robot clean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most of the dust collected without the dust escaping to the outside using circulating air to the dust box 200, and discharging the vaporized sterilizing solution while moving,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lean the dust and air on the floor at the same time, and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osition where the robot cleaner 1000 passes can be made comfortable.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을 언급하였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So fa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 Effec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can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0 : 로봇청소기 100 : 본체부
101 : 전원버튼 102 : 조절 다이얼
103 : 센서 104 : 기판
105 : 충전단자 106 : 이동수단
107 : 전원공급부 108 : 브러쉬부
109 : 브러쉬모터 110 : 배기부
111 : 모터부 112 : 급기부
113 : 살균액펌프 114 : 송풍기
115 : 송풍필터 200 : 더스트박스
201 : 먼지흡입부 202 : 흡입마개
203 : 에어배출부 204 : 거름망
205 : 해파필터 206 : 덮개
300 : 저장탱크 301 : 살균액배출부
302 : 고수위센서 303 : 뚜껑
304 : 홀 305 : 스프링부
400 : 미스트박스 401 : 체크밸브
402 : 초음파진동기 403 : 노즐
404 : 고수위센서 405 : 송풍구
1000: robot vacuum cleaner 100: body part
101: power button 102: control dial
103: sensor 104: substrate
105: charging terminal 106: moving means
107: power supply unit 108: brush unit
109: brush motor 110: exhaust
111: motor unit 112: air supply unit
113: sterilizing liquid pump 114: blower
115: blow filter 200: dust box
201: dust suction part 202: suction stopper
203: air outlet 204: sieve
205: sea wave filter 206: cover
300: storage tank 301: sterilizing solution discharge part
302: high water level sensor 303: lid
304: hole 305: spring part
400: mist box 401: check valve
402: ultrasonic vibrator 403: nozzle
404: high water level sensor 405: air outlet

Claims (10)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탑재되고, 먼지흡입부와 에어배출부가 포함된 더스트박스;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더스트박스의 먼지흡입부로 에어를 투입하는 급기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더스트박스의 에어배출부로부터 에어를 배출하는 배기부; 및
상기 배기부와 상기 급기부 사이에 배치되고, 회전을 이용하여 먼지를 집진하는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부에 탑재되고, 살균액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살균액이 투입되고, 살균액을 기화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미스트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탱크는,
살균액이 상기 미스트박스로 투입되어 내부에 기압이 낮아지면 외부로부터 공기를 인입시키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
body part;
a dust box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dust suction unit and an air discharge unit;
an air supply unit formed in the main body and supplying air into the dust suction unit of the dust box;
an exhaust part formed in the main body part for discharging air from the air exhaust part of the dust box; and
It is disposed between the exhaust part and the air supply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rush part for collecting dust using rotation,
a storage tank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storing a sterilizing solution; and
and a mist box to which the sterilizing liquid stored in the storage tank is put, and for vaporizing the sterilizing liquid and discharging to the outside,
The storage tank i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essure control unit for introducing air from the outside when the sterilizing liquid is introduced into the mist box and the internal pressure is lowered,
Robot vacuum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기 급기부가 위치한 방향을 향하여 에어를 배출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후방을 향하여 기울여서 개방되고,
상기 급기부는, 상기 배기부에서 배출된 에어를 흡입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전방을 향하여 기울여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exhaust portion is opened by tilting toward the rear of the main body to discharge ai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ir supply is locat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The air supply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pened by tilting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part so as to suck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art,
Robot vacuum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와 상기 급기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브러쉬부에서 집진된 먼지와 상기 배기부에서 배출된 에어를 상기 급기부로 모아주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It is disposed between the brush part and the air supply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uide part for collecting dust collected by the brush part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art to the air supply part,
Robot vacuum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박스의 에어배출부는, 상기 더스트박스의 먼지흡입부에서 흡입되는 에어를 차단하는 흡입마개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discharge unit of the dust box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stopper blocking the air sucked from the dust suction unit of the dust box,
Robot vacuum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와 연결되어 상기 더스트박스의 에어배출부에서 배출된 에어를 흡입하고, 흡입된 에어를 상기 배기부를 통해 배출하는 모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otor unit connected to the exhaust unit to suck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unit of the dust box and discharge the sucked air through the exhaust unit,
Robot vacuum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에어를 흡입하는 흡입팬;
에어를 배출하는 배출팬;
상기 흡입팬을 회전시키는 흡입기어;
상기 배출팬을 회전시키는 배출기어;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흡입기어와 맞물려 상기 흡입기어를 작동시키는 제1 모터기어; 및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배출기어와 맞물려 상기 배출기어를 작동시키는 제2 모터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기어와 상기 제2 모터기어의 기어비는,
상기 흡입기어와 상기 제1 모터기어의 기어비에 비해 고속으로 회전되는 기어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otor unit,
a suction fan for sucking air;
an exhaust fan for discharging air;
a suction gear rotating the suction fan;
an exhaust gear rotating the exhaust fan;
a first motor gear coupled to the motor to rotate and engage the suction gear to operate the suction gear; and
A second motor gear coupled to the motor to rotate, and to engage the exhaust gear to operate the exhaust gear,
A gear ratio of the exhaust gear and the second motor gea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gear ratio rotated at a high speed compared to the gear ratio of the suction gear and the first motor gear,
Robot vacuum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상기 흡입기어의 샤프트와 상기 배출기어의 샤프트가 삽입되는 제1 홀과, 상기 제1 홀에 인접하여 형성된 2 개의 제2 홀과, 2 개의 반원 형태의 공기 통로가 형성된 모터케이스에 결합되되,
상기 2 개의 제2 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2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motor unit,
Doedoe coupled to a motor case having a first hole into which the shaft of the intake gear and the shaft of the exhaust gear are inserted, two second holes formed adjacent to the first hole, and two semicircular air passag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second holes among the two second holes,
Robot vacuum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 및 상기 미스트박스는,
살균액의 높이에 따라 부력에 의해 떠오르면서 살균액의 용량을 측정하는 고수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tank and the mist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igh level sensor that measures the capacity of the sterilizing solution while floating by buoyancy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terilizing solution,
Robot vacuum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KR2020200001462U 2020-04-28 2020-04-28 Robot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KR20049448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462U KR200494487Y1 (en) 2020-04-28 2020-04-28 Robot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462U KR200494487Y1 (en) 2020-04-28 2020-04-28 Robot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487Y1 true KR200494487Y1 (en) 2021-10-21

Family

ID=7826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462U KR200494487Y1 (en) 2020-04-28 2020-04-28 Robot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487Y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1763A (en) * 2005-08-19 2007-02-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Robot vacuum cleaner with no exhaust
KR20080076181A (en) * 2007-02-15 2008-08-20 주식회사 한울로보틱스 Exhaust air feed back robot cleaner
KR20080087596A (en) * 2007-03-27 2008-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cleaner
KR20160032508A (en) * 2014-09-16 2016-03-24 주식회사 엔트리생활건강 Antifungal robot cleaner for healthcare
KR20160116169A (en) * 2015-03-26 2016-10-07 이승연 Handy type steam cleaner
KR20190104505A (en) 2019-09-03 2019-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Air Nozzle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1763A (en) * 2005-08-19 2007-02-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Robot vacuum cleaner with no exhaust
KR20080076181A (en) * 2007-02-15 2008-08-20 주식회사 한울로보틱스 Exhaust air feed back robot cleaner
KR20080087596A (en) * 2007-03-27 2008-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cleaner
KR20160032508A (en) * 2014-09-16 2016-03-24 주식회사 엔트리생활건강 Antifungal robot cleaner for healthcare
KR20160116169A (en) * 2015-03-26 2016-10-07 이승연 Handy type steam cleaner
KR20190104505A (en) 2019-09-03 2019-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Air Nozzle Vacuum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7542B2 (en) Robot cleaner with improved dust collector
KR20080087596A (en) Robot cleaner
US9039820B2 (en) Wet-separation type dust collector for vacuum
US20060085942A1 (en) Complex type cleaner
KR101270551B1 (en) Wet type air cleaner
KR101536542B1 (en) Cleaning robot
KR20140078939A (en) Evaporative Humidifier
JP2011172740A (en) Vacuum cleaner
KR200494487Y1 (en) Robot cleaner using circulating air
US20060085941A1 (en) Complex type cleaner
KR20090034493A (en) Robot cleaner
KR100335324B1 (en) Vacuum cleaner of air circulation type
JP5160676B1 (en) Cleaning robot
JP2013070953A (en) Cleaning robot
CN219083291U (en) Air cooler
JP2004028412A (en) Mist generation mechanism for minus ion generator
CN216876265U (en) Gas-liquid separation device and recycling box
CN213872996U (en) A antibacterial clean water tank structure for pure type humidifier
CN1309336C (en) Electric dust collector
RU2002108894A (en) VACUUM CLEANER
KR200192753Y1 (en) Vacuum cleaner of air circulation type
JP5357941B2 (en) Cleaning robot
JP2004028411A (en) Minus ion generator
KR101292537B1 (en) Robot cleaner
KR20210051764A (en) Smart ventil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