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182Y1 - 충격 완충장치가 구비된 핸드카트 - Google Patents

충격 완충장치가 구비된 핸드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182Y1
KR200494182Y1 KR2020200001779U KR20200001779U KR200494182Y1 KR 200494182 Y1 KR200494182 Y1 KR 200494182Y1 KR 2020200001779 U KR2020200001779 U KR 2020200001779U KR 20200001779 U KR20200001779 U KR 20200001779U KR 200494182 Y1 KR200494182 Y1 KR 2004941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ratchet gear
hand cart
shock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상훈
Original Assignee
송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상훈 filed Critical 송상훈
Priority to KR2020200001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1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1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1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20Resilient wheel suspension using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충격 완충장치가 구비되는 핸드카트는 노면이 불량한 바닥을 이동할 때, 바퀴축의 진동을 완화시킴으로써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내부에 물건이 파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운반을 할 수 있으며, 회동부에 의해 노면상에 턱과 같은 장애물에 의해 진행방향에 저항을 받는 경우, 핸드카트 및 사용자의 손에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충격 완충장치가 구비되는 핸드카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충격 완충장치가 구비되는 핸드카트는, 양단이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손잡이부;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동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부;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부에 짐이 안치되도록 바구니를 포함하는 받침프레임부;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타단에 끼움 결합되고, 양측면에 장방형 형상의 가이드홀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한 쌍의 브라켓; 일단이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하며, 상기 가이드홀 형상내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이동하고, 타단에 바퀴가 착탈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결합구가 구비되는 바퀴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격 완충장치가 구비된 핸드카트{Handcart with shock absorber}
본 고안은 충격 완충장치가 구비되는 핸드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면이 불량한 바닥을 이동할 때, 바퀴축의 진동을 완화시킴으로써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내부에 물건이 파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운반을 할 수 있으며, 회동부에 의해 노면상에 턱과 같은 장애물에 의해 진행방향에 저항을 받는 경우, 핸드카트 및 사용자의 손에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충격 완충장치가 구비되는 핸드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카(handcar)는 물건을 실어 나를 수 있도록 고안된 작은 손수레의 일종으로서 사용목적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분된다. 이러한 핸드카트는 전통시장, 마트, 포구 등지에서 비교적 가까운 거리나 혼잡하고 비좁은 길에서 물건을 운반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 핸드카트는 상면에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바 형태의 구조체로서 받침판을 지지하며 상단에 손잡이가 구비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측 하단부에 위치하여 지면과 접촉되게 결합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판에 물건을 올려놓은 후 상기 손잡이를 잡고 지지프레임을 뒤쪽으로 기울이면, 수직의 지지프레임을 통해 물건을 지지한 상태로 핸드카를 움직일 수 있게 되며, 핸드카를 밀거나 당기는 등 운전을 통해 핸드카를 움직임으로써 물건을 운반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핸드카트는 내부에 들어가 있는 물건들이 울퉁불퉁한 길이나 커브길에서 쉽게 튀어나오거나 제품에 충격이 핸드카트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충격이 가하져 손상을 입힐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4290호 (2003.05.12.)
본 고안의 목적은 바퀴의 회전축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브라켓이 장착되어 노면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핸드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손잡이부와 수직프레임부 사이에는 회동부가 마련되어 돌부리와 같은 단턱이 있는 도로를 이동할 경우 갑작스런 충격에 핸드카트 및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장비 및 인체에 가해지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핸드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충격 완충장치가 구비되는 핸드카트는, 양단이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손잡이부;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동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부;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부에 짐이 안치되도록 바구니를 포함하는 받침프레임부;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타단에 끼움 결합되고, 양측면에 장방형 형상의 가이드홀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한 쌍의 브라켓; 일단이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하며, 상기 가이드홀 형상내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이동하고, 타단에 바퀴가 착탈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결합구가 구비되는 바퀴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고정키며, 상기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브라켓의 내부 상단에 형성되는 제1걸림구; 상기 제 1걸림구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의 내부 하단에 형성되는 제 2걸림구; 일단이 상기 제 1, 2걸림구에 각각 안착되고,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바퀴축을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래칫기어와; 상기 수직프레임부와 결합되어 상기 래칫기어에 치합되되, 일측에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래칫기어와 결합시 상기 손잡이부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구속시키며, 결합 해제시 상기 래칫기어로부터 자유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대응래칫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는, 평상시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수직프레임부가 초기각도(a°)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다 상기 핸드카트가 장애물에 걸려서 진행방향에 저항이 생기는 경우, 상기 수직프레임부가 회동되어 변형각도(b°로 내부에 각도 변화가 생겨 상기 핸드카트의 충격을 저감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응래칫기어는,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기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기어부는 상기 고정부와 일측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기어부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상기 대응래칫기어로부터 거리가 이격되어 결합이 해제 되면, 상기 래칫기어는 상기 대응래칫기어로부터 자유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수직프레임부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30°내지 45°의 경사각(Φ)을 이루며, 상기 핸드카트가 사용자에 의해 견인되어 전방으로 기울어질 경우, 상기 가이드홀이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충격 완충장치가 구비되는 핸드카트는 바퀴의 회전축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브라켓이 장착되어 노면의 충격을 완화시켜 내부에 보관되는 짐 또는 물건이 노면 요철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부와 수직프레임부 사이에는 회동부가 마련되어 돌부리와 같은 단턱이 있는 장애물을 지나칠 경우, 갑작스런 충격에 핸드카트 및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핸드카트 및 인체에 가해지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충격 완충장치가 구비되는 핸드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퀴축에 결합된 바퀴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동부에 구비된 래칫기어와 대응래칫기어가 치합된 모습을 나타낸 확대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래칫기어와 대응래칫기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의 구성 및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동부 및 탄성부재가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충격 완충장치가 구비되는 핸드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퀴축에 결합된 바퀴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완충장치가 구비되는 핸드카트(1)는 양단이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손잡이부(10)와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1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동부(30)가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부(20)와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하단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부에 짐이 안치되도록 구비되는 바구니(42)를 포함하는 받침프레임부(40)와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타단에 끼움 결합되고, 양측면에 장방형 형상의 가이드홀(54)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부에 탄성부재(53)가 구비되는 한 쌍의 브라켓(50)과 일단이 상기 가이드홀(54)을 관통하며, 상기 가이드홀(54) 형상내에서 상기 탄성부재(53)에 의해 탄력적으로 이동하고, 타단에 바퀴(64)가 착탈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결합구(62)가 구비되는 바퀴축(60)을 포함하여 마련된다.
우선, 상기 핸드카트(1)는 이동성이 용이하도록 알루미늄 소재의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가 용이하며,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재질의 소재로 감싸지며,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타단에 끼움 결합되고, 양측면에 장방형 형상의 가이드홀(54)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부에 탄성부재(53)가 구비되는 한 쌍의 브라켓(50)이 마련된다.
상기 브라켓(50)은 고무소재 또는 플라스틱의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수직프레임부(20)와 후술할 바퀴축(60)을 연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바퀴축(60)은 상기 브라켓(50)을 관통하며, 상기 가이드홀(54) 형상 내에서 상기 탄성부재(53)에 의해 탄력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타단에 상기 바퀴(64)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구(62)가 구비된다.
상기 바퀴축(60)은 상기 브라켓(50)을 관통하는 하나의 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50)에 별도의 상기 바퀴축(60)이 각각 마련되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바퀴축(60)의 양단에는 상기 바퀴(64)가 결합되는데, 상기 바퀴(64)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상기 결합구(6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62)는 내측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절개 형성된 탄성홈부(62a)가 형성되어 상기 바퀴(64)가 상기 결합구(62)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절개 형성된 상기 탄성홈부(62a)에 의해서 상기 결합구(62)는 상기 바퀴(64)와 결합시 입구 사이가 좁아진 상태로 진입하여 유연하게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바퀴(64)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결합구(62)는 다시 확장 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구를 통과한 상기 바퀴(64)는 상기 바퀴축(60)의 일측에 마련된 상기 걸림돌기(미도시)에 의해 더 이상 상기 바퀴축(60)의 내측으로 진입하지 않고 위치 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핸드카트(1)는 보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받침프레임부(40)가 상기 수직프레임부(20)로 접혀져 보관시 공간확보를 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핸드카트의 접힘 구조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동부에 구비된 래칫기어와 대응래칫기어가 치합된 모습을 나타낸 확대 모식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래칫기어와 대응래칫기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30)는, 상기 손잡이부(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래칫기어(32)와 상기 수직프레임부(20)와 결합되어 상기 래칫기어(32)를 권치하며 치합되되, 일측에 스프링(36)이 구비되고 상기 래칫기어(32)와 결합시 상기 손잡이부(10)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구속시키며, 결합 해제시 상기 래칫기어(32)로부터 자유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대응래칫기어(34)를 포함한다.
일예로, 상기 손잡이부(20)는 상기 수직프레임부(20)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부(20)가 일정한 각도로 회동될 수가 있으며, 이때, 상기 손잡이부(20)와 일체로 결합된 상기 래칫기어(32)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래칫기어(32)를 권취하며 상기 래칫기어(32)에 치합되는 대응래칫기어(34)는 상기 래칫기어(32)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속시키게 된다.
즉, 사용자에 의해 견인되는 상기 핸드카트(1)의 상기 수직프레임부(20)가 돌부리 또는 노면상에 턱과 같은 장애물(70)에 의해 진행방향에 저항을 받는 경우 상기 수직프레임부(20)는 반시계방향으로 원하는 위치까지 회동되며,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래칫기어(32)와 상기 대응래칫기어(34) 결합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작업자에 의해 견인되는 상기 핸드카트(1)의 상기 손잡이부(10)의 각도는 고정이 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30)에 결합되는 상기 수직프레임부(20)에 저항이 가해질 경우 상기 수직프레임부(20)가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손잡이부(10)는 다양한 각도로 회동 되며, 노면 요철에 의한 충격에 의해 상기 핸드카트(1) 및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상기 회동부(30)에서 완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래칫기어(32)와 상기 대응래칫기어(34)가 반복적인 회전에 의한 마찰로 쉽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역방향으로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대응래칫기어(34)를 상기 래칫기어(32)로부터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대응래칫기어(34)는 상기 수직프레임부(20)에 고정되는 고정부(34b)와 상기 고정부(34b)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기어부(34a)가 구비되며, 상기 기어부(34a)는 상기 고정부(34b)와 일측에 구비된 스프링(36)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36)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력에 의해 평상시에는 상기 기어부(34a)가 상기 고정부(34b)와 체결되어 치합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대응래칫기어(34)의 상기 기어부(34a)에만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34a)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상기 대응래칫기어(34)로부터 거리가 이격되어 결합이 해제 되면, 상기 래칫기어(32)는 상기 대응래칫기어(34)로부터 자유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기 고정부(34b)의 일단에는 걸림턱(38)이 구비되어 상기 기어부(34a)가 전방으로 인출시 상기 고정부(34b)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10)를 사용자의 높이에 맞춰 일정한 각도로 각도로 회동시킨 후, 상기 핸드카트(1)를 견인 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회동부(30)는 충격 완충장치의 효과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핸드카트(1)를 손쉽게 견인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 또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의 구성 및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50)은, 상기 탄성부재(53)의 일측을 고정키며, 상기 탄성부재(5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브라켓(50)의 내부 상단에 형성되는 제1걸림구(51)와 상기 제 1걸림구(51)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50)의 내부 하단에 형성되는 제 2걸림구(52)와 일단이 상기 제 1, 2걸림구(51),(52)에 각각 안착되고,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바퀴축(60)을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탄성부재(53)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50)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타단에 끼움 결합되고, 양측면에 장방형 형상의 가이드홀(54)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54)은, 상기 수직프레임부(20)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30°내지 45°의 경사각(Φ)을 이루며, 상기 핸드카트(1)가 사용자에 의해 견인되어 전방으로 기울어질 경우, 상기 가이드홀(54)이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특징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가이드홀(54)은 상기 수직프레임부(20)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30°내지 45°의 경사각(Φ)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핸드카트(1)가 사용자에 의해 견인되어 전방으로 기울어질 경우, 상기 가이드홀(54)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가이드홀(54)내에 구비되는 상기 탄성부재(53)에 의해 바닥 노면으로부터 요철에 의한 충격을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동부 및 탄성부재가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드카트(1)가 정지되어 있을 때, 상기 손잡이부(10)와 상기 수직프레임부(20)가 이루는 각도 (a°)를 나타낸 것이며, 이때, 상기 가이드홀(54)은 상기 수직프레임부(20)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30°내지 45°의 경사각(Φ)을 이루며 배치된다.
도 6의 (b)는 상기 핸드카트(1)가 노면상에 턱과 같은 상기 장애물(70)을 넘을 때 상기 핸드카트(1)는 전방으로 30°내지 45°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지며 견인되며, 이때, 상기 가이드홀(54)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게 되고, 상기 핸드카트(1)가 상기 장애물(70)을 넘는 과정에서, 상기 수직프레임부(20)는 상기 손잡이부(10)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손잡이부(10)와 이루는 각도(b°)로 변형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회동부(30)는, 평상시 상기 손잡이부(10)와 상기 수직프레임부(20)와 초기각도(a°)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다 상기 핸드카트(1)가 상기 장애물(70)에 걸려서 진행방향에 저항이 생기는 경우 변형각도(b°)로 각도 변화하면서 상기 핸드카트(1)의 충격을 저감시켜 주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핸드카트(1)가 상기 장애물(70)을 넘는 과정에서 상기 바퀴축(60)은 상기 바퀴(64) 및 상기 바퀴축(60)의 자중에 의해 상기 가이드홀(54) 내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며, 하부의 상기 탄성부재(53)가 압축되는 모습으로, 노면의 요철 또는 상기 장애물(70)을 지나갈 때 상기 핸드카트(1)의 상기 바퀴(64)가 유연하게 작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일예로, 상기 초기각도(a°)는 90°를 초과하는 각도로 설정할 수 있으며, 변형각도(b°)는 최대 180°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손잡이부(10)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부(30)에 별도의 제한수단(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예로는, 상기 초기각도(a°)에서 상기 수직프레임부(20)의 기울기가 10°단위로 증가하면서 최대 9단계의 범위를 갖는 회동부(30)가 마련될 수 있도록 상기 래칫기어(32)와 상기 대응래칫기어(34)가 결합되어 형성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6의 (c)의 경우, 상기 장애물(70)을 완전히 넘은 상기 핸드카트(1)는 지면과의 충돌과정에서 상기 가이드홀(54) 내측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탄성부재(53)가 상기 바퀴축(60)의 충격을 흡수하며 압축되면서, 노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바퀴축(60)은 상기 가이드홀(54)을 관통하며, 상기 가이드홀(54) 형상 내에서 상하부에 각각 마련된 상기 탄성부재(53)에 의해 탄력적으로 이동하며, 노면상에 턱과 같은 상기 장애물(70)을 지나갈 때, 요철부에 의해 받는 충격을 능동적으로 흡수하여 상기 핸드카트(1) 내부에 보관되는 물건들이 노면 요철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쉽게 파손이 되지 않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이로써, 노면 요철에 의한 충격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충격 완충장치가 구비되는 핸드카드(1)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핸드카트
10: 손잡이부
20: 수직프레임부
30: 회동부
32: 래칫기어
34: 대응래칫기어
34a: 기어부
34b: 고정부
36: 스프링
38: 걸림턱
40: 받침프레임부
42: 바구니
50: 브라켓
51: 제1걸림구
52: 제2걸림구
53: 탄성부재
54: 가이드홀
60: 바퀴축
62: 결합구
62a: 탄성홈부
64: 바퀴
66: 안착판
70: 장애물

Claims (6)

  1. 양단이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손잡이부;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동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부;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부에 짐이 안치되도록 바구니를 포함하는 받침프레임부;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타단에 끼움 결합되고, 양측면에 장방형 형상의 가이드홀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한 쌍의 브라켓;
    일단이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하며, 상기 가이드홀 형상 내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이동하고, 타단에 바퀴가 착탈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결합구가 구비되는 바퀴축;을 포함하되
    상기 바퀴축의 양단에는 상기 바퀴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는 내측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절개 형성된 탄성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고정키며, 상기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브라켓의 내부 상단에 형성되는 제1걸림구와 상기 제 1걸림구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의 내부 하단에 형성되는 제 2걸림구 및 일단이 상기 제 1, 2걸림구에 각각 안착되고,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바퀴축을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래칫기어와 상기 수직프레임부와 결합되어 상기 래칫기어에 치합되되, 일측에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래칫기어와 결합시 상기 손잡이부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구속시키며, 결합 해제시 상기 래칫기어로부터 자유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대응래칫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대응래칫기어는,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기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기어부는 상기 고정부와 일측에 구비된 상기 스프링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기어부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상기 대응래칫기어로부터 거리가 이격되어 결합이 해제 되면, 상기 래칫기어는 상기 대응래칫기어로부터 자유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충장치가 구비되는 핸드카트.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평상시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수직프레임부가 초기각도(a°)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다 상기 핸드카트가 장애물에 걸려서 진행방향에 저항이 생기는 경우, 상기 수직프레임부가 회동되어 변형각도(b°)로 각도 변화하면서 상기 핸드카트의 충격을 저감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충장치가 구비되는 핸드카트.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수직프레임부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30°내지 45°의 경사각(Φ)을 이루며, 상기 핸드카트가 사용자에 의해 견인되어 전방으로 기울어질 경우, 상기 가이드홀이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충장치가 구비되는 핸드카트.
KR2020200001779U 2020-05-27 2020-05-27 충격 완충장치가 구비된 핸드카트 KR2004941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779U KR200494182Y1 (ko) 2020-05-27 2020-05-27 충격 완충장치가 구비된 핸드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779U KR200494182Y1 (ko) 2020-05-27 2020-05-27 충격 완충장치가 구비된 핸드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182Y1 true KR200494182Y1 (ko) 2021-08-20

Family

ID=77492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779U KR200494182Y1 (ko) 2020-05-27 2020-05-27 충격 완충장치가 구비된 핸드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182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453Y1 (ko) * 2001-12-14 2002-05-22 양동훈 완충 손수레
KR200314290Y1 (ko) 2003-03-05 2003-05-23 유광선 바퀴 폭의 조절이 가능한 짐 운반용 카트
JP2004314879A (ja) * 2003-04-18 2004-11-11 Mitsuo Sawada 階段昇降台車
KR100671414B1 (ko) * 2006-02-15 2007-01-30 주식회사 킹대일 골프가방용 캐리어
US20100140891A1 (en) * 2008-12-04 2010-06-10 Macauto Industrial Co., Ltd Golf bag cart
KR20130105185A (ko) * 2012-03-16 2013-09-25 석준엽 충격흡수를 하는 바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453Y1 (ko) * 2001-12-14 2002-05-22 양동훈 완충 손수레
KR200314290Y1 (ko) 2003-03-05 2003-05-23 유광선 바퀴 폭의 조절이 가능한 짐 운반용 카트
JP2004314879A (ja) * 2003-04-18 2004-11-11 Mitsuo Sawada 階段昇降台車
JP3822183B2 (ja) * 2003-04-18 2006-09-13 光生 澤田 階段昇降台車
KR100671414B1 (ko) * 2006-02-15 2007-01-30 주식회사 킹대일 골프가방용 캐리어
US20100140891A1 (en) * 2008-12-04 2010-06-10 Macauto Industrial Co., Ltd Golf bag cart
KR20130105185A (ko) * 2012-03-16 2013-09-25 석준엽 충격흡수를 하는 바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57035A1 (en) Infant wagon hav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CN205034194U (zh) 多功能乘客承载器
US5713585A (en) Safety brake stroller
US5702114A (en) Shopping cart having an integrated dual child seat
US20020041083A1 (en) Stroller
US8910951B2 (en) Caster wheel arrangements
KR102285917B1 (ko) 유모차 부속물, 및 유모차와 그러한 부속물을 포함하는 운송 어셈블리
US10052981B2 (en) Convertible car seat to stroller device
US20090152826A1 (en) Cargo cart with hitch for wheeled mobility device
US3964762A (en) Folding luggage carrier
WO2002071886A1 (fr) Sac de voyage pliant comportant une carte
US5299825A (en) Collapsible stroller
US20180072338A1 (en) Full folding tricycle
US4852894A (en) Apparatus for converting a car seat to a stroller
EP1534574B1 (de) Trolley mit einem motorisch antreibbaren laufwerk
US20180273074A1 (en) Shopping cart attachment
KR200494182Y1 (ko) 충격 완충장치가 구비된 핸드카트
US11447167B2 (en) Shopping trolley
US4953886A (en) Mobile stretcher support
US10343705B1 (en) Stroller having wheels with integral skis
TWM384570U (en) Castor wheel with shock-proof functions
KR101899806B1 (ko) 화물 운반용 손수레
DE202005013951U1 (de) Rollbare Auto-Babyschale
DE102009001696B4 (de) Golftrolley für einen Golfbag
CN215244944U (zh) 一种物流用可折叠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