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980Y1 - 건조대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건조대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980Y1
KR200493980Y1 KR2020200003223U KR20200003223U KR200493980Y1 KR 200493980 Y1 KR200493980 Y1 KR 200493980Y1 KR 2020200003223 U KR2020200003223 U KR 2020200003223U KR 20200003223 U KR20200003223 U KR 20200003223U KR 200493980 Y1 KR200493980 Y1 KR 2004939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llar
horizontal
drying rac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2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미경
Original Assignee
남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미경 filed Critical 남미경
Priority to KR20202000032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9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9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9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6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comprising vertical members connected by horizontal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리하게 선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건조대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건조대 선반(120)의 높이 조절장치(200)에 있어서, 건조대(100)의 기둥(110)에 삽입되는 관통공(240)이 형성되고, 높이방향(202)으로 이동될 수 있는 수직프레임(290); 수직프레임(290)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고, 선반(120)이 조립된 제 1 프레임(150)을 지지하는 수평프레임(210); 수직프레임(290)에 형성되고, 수직프레임(290)과 수평프레임(210)에 대해 수직이며, 내부에 기둥노출홀(275)을 갖는 제 1 수평홀(270); 및 제 1 수평홀(270)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회전각도에 따라 기둥노출홀(275)에 의해 노출된 기둥(110)과 간섭하거나 간섭하지 않는 제 1 레버(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대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조대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Height adjuster of drying rack}
본 고안은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리하게 선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건조대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빨래건조대는 다단의 건조대로 이루어져 있어 상부의 건조대에는 상의나 하의와 같은 의류를 널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하부의 건조대에는 수건이나 양말 혹은 속옷 등을 널어 건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건조대는 상부의 건조대와 하부의 건조대 사이의 간격이 좁아 상부 건조대에 걸쳐진 큰 옷이나 바지의 하단이 하부 건조대에 걸쳐진 옷가지의 상단과 겹쳐지게 된다. 따라서 겹쳐진 옷가지들에 의해 잘 마르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특히 하부 건조대에 걸쳐진 옷가지나 수건 등은 상부 건조대에 걸쳐진 옷가지에 의해 태양 빛이 일부분 가려지면서 잘 건조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건조대를 사용하는 각 가정이나 사용자 마다 건조대에 거는 의류가 제 각각인데 반해, 건조대의 각 선반사이의 간격은 일정하여 조정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작은 빨래를 널었을 때 높이가 남는 반면, 긴 빨래는 높이가 부족하여 널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958672 호(빨래건조대의 높이조절구),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450244 호(세탁물 건조대의 높이 조절구),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440265 호(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빨래건조대).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조대에서 선반 사이의 상하 높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건조대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건조대 선반(120)의 높이 조절장치(200)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장치(200)는, 건조대(100)의 기둥(110)에 삽입되는 관통공(240)이 형성되고, 높이방향(202)으로 이동될 수 있는 수직프레임(290); 수직프레임(290)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고, 선반(120)이 조립된 제 1 프레임(150)을 지지하는 수평프레임(210); 수직프레임(290)에 형성되고, 수직프레임(290)과 수평프레임(210)에 대해 수직이며, 내부에 기둥노출홀(275)을 갖는 제 1 수평홀(270); 및 제 1 수평홀(270)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회전각도에 따라 기둥노출홀(275)에 의해 노출된 기둥(110)과 간섭하거나 간섭하지 않는 제 1 레버(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대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수평프레임(210)은 수직프레임(290)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일측에 제 1 프레임(150)을 지지하고, 타측에 제 2 프레임(16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수평 프레임(210)의 단부에는 제 1 프레임(150)이 수평방향으로 걸리거나 또는 수직방향으로 접히도록 제 1 프레임후크(220)가 더 형성된다.
또한, 수직프레임(290)을 기준으로 제 1 수평홀(270)과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기둥노출홀(275)을 갖는 제 2 수평홀(280); 및 제 2 수평홀(280)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회전각도에 따라 기둥노출홀(275)에 의해 노출된 기둥(110)과 간섭하거나 간섭하지 않는 제 2 레버(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레버(250)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레버부(252); 레버부(252)와 연결되고, 제 1 수평홀(270) 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축(254); 회전축(254) 중 일측이 함몰되어 형성된 풀림곡률부(258); 및 회전축(254) 중 타측이 함몰되어 형성된 잠금곡률부(25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풀림곡률부(258)와 잠금곡률부(256)는 각각 한쌍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풀림곡률부(258)와 한쌍의 잠금곡률부(256)는 회전축(254)의 둘레 상에서 등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풀림곡률부(258)는 잠금곡률부(256) 보다 상대적으로 더 함몰되어 기둥(11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제 1 레버(250)는,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기둥(110)과 간섭하여 잠금상태가 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기둥(110)과 간섭하지 않아 풀림상태가 되거나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기둥(110)과 간섭하지 않아 풀림상태가 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기둥(110)과 간섭하여 잠금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기둥(110)은 한쌍이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선반(120)의 양단에서 제 1 프레임(150)이 각각 조립되고, 높이조절장치(200)는 한쌍의 기둥(110)에 각각 설치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건조대에서 선반 사이의 상하 높이의 간격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빨래의 특성에 맞도록 선반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여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레버의 회전을 통해 쉽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조절된 높이에 대해서는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어 선반이 빨래의 무게로 인해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버가 외부에 강조되도록 노출되어 있어서, 처음 사용자라도 별도의 설명서없이 직관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는 노약자에게 특히 편리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대에서 제 1, 2 프레임(150, 160)이 접힌 상태의 사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조대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건조대 중 높이조절장치(200)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장치(200)의 분해 사시도,
도 6a는 도 5 중 잠금 위치에 있는 제 1 레버(250)의 사시도,
도 6b는 도 5 중 풀림 위치에 있는 제 1 레버(250)의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장치(200) 중 제 1, 2 수평홀(270, 280)의 확대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대에서 제 1, 2 프레임(150, 160)이 접힌 상태의 사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조대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대(100)는 두개의 기둥(110)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부에는 접혀지는 4개의 다리(130) 및 회전 가능한 8개의 바퀴(140)가 구비된다. 그리고, 봉재로 이루어진 선반(120)은 양단에서 한쌍의 제 1 프레임(150)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3개의 제 1 프레임(150)은 높이방향으로 이격된 채 기둥(110)에 지지된다. 제 1 프레임(150)과 동일한 구성인 제 2 프레임(160)도 높이방향으로 이격된 채 기둥(110)에 지지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프레임(150,1 60)은 높이조절장치(20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펼쳐지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져서 수납될 수 있다. 높이조절장치(200)는 각 기둥마다 구비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건조대 중 높이조절장치(20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장치(20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장치(200) 중 제 1, 2 수평홀(270, 280)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280)은 수직(Z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심의 관통공(240)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둥(110)이 통과할 수 있다.
수평프레임(210)은 수직프레임(280)의 양측으로부터 수평방향(X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에는 제 1, 2 프레임후크(220, 230)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2 프레임후크(220, 230)에는 제 1, 2 프레임(150, 160)이 각각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제 1, 2 수평홀(270, 280)은 수평프레임(2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수직프레임(290)과 일체로 형성된다. 제 1, 2 수평홀(270, 280)은 수직프레임(290)과 수평프레임(210)에 각각 수직인 방향(Y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 1, 2 수평홀(270, 280)은 수직프레임(29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내부에는 기둥노출홀(27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기둥노출홀(275)은 관통공(240)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제 1, 2 수평홀(270, 280) 내부로 기둥(110)이 각각 노출된다.
제 1 레버(250)는 제 1 수평홀(27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 2 레버(260)는 제 2 수평홀(28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 1, 2 레버(250)는 수직방향과 수평방향 사이에서 90°단위로 손으로 돌릴 수 있다.
도 6a는 도 5 중 잠금 위치에 있는 제 1 레버(250)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5 중 풀림 위치에 있는 제 1 레버(250)의 사시도이다. 제 1 레버(250)에는 손으로 잡기 편하도록 레버부(252)가 노출되어 있다.
회전축(254)는 레버부(252)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제 1 수평홀(270) 내로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다. 회전축(254)의 축선방향 중간 영역은 함몰되어 곡률부를 형성한다. 한쌍의 풀림곡률부(258)와 한쌍의 잠금곡률부(256)는 회전축(254)의 둘레방향에 대해 90°간격을 유지한 채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풀림곡률부(258)는 잠금곡률부(256) 보다 상대적으로 더 함몰되어 기둥노출부(275)에서 노출된 기둥(11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높이조절장치(200)는 높이방향(202)으로 이동이 자유롭다.
반면, 잠김곡률부(258)는 풀림곡률부(258) 보다 상대적으로 덜 함몰되어 기둥노출부(275)에서 노출된 기둥(110)과 간섭을 일으킨다. 즉, 잠김곡률부(258)는 기둥노출부(275)에서 노출된 기둥(110)과 간섭을 일으키고, 기둥(110)을 강하게 압박함으로써 높이조절장치(200)는 기둥(110)에 대해 현 위치를 단단히 유지할 수 있다.
제 2 레버(260)과 제 1 레버(25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제 2 수평홀(280)에 조립된다.
실시예의 동작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1, 2 레버(250, 260)를 도 4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풀림곡률부(258)가 기둥노출부(275)를 향하게 된다. 풀림곡률부(258)와 기둥노출부(275) 사이의 간격으로 인해, 사용자는 높이조절장치(200)를 높이방향(202)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제 1, 2 레버(250, 260)를 도 6a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잠금곡률부(256)가 기둥노출부(275)를 향하게 된다. 잠금곡률부(256)가 기둥노출부(275)를 통해 노출된 기둥(110)을 압박함으로써 사용자는 높이조절장치(200)를 현재 높이에서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제 1, 2 레버(250, 260)는 90°씩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높이조절장치(200)의 잠김 또는 풀림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풀림곡률부(258)와 잠금곡률부(256)를 서로 교체함으로써 제 1, 2 레버(250, 260)는 수평방향에서 잠김, 수직방향에서 풀림 상태가 될 수도 있다.
제 1, 2 레버(250, 260)는 사용자가 손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다른 색의 플라스틱을 사출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즉, 흰색의 높이조절장치(200)에 대해 주황색의 제 1, 2 레버(250, 260)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2 수평홀(270, 280)과 제 1, 2 레버(250, 260)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제 1 수평홀(270)과 제 1 레버(250)로도 동작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고안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고안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고안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실용신안 등록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0 : 건조대,
110 : 기둥,
120 : 선반,
130 : 다리,
140 : 바퀴,
150 : 제 1 프레임,
160 : 제 2 프레임,
200 : 높이조절장치,
202 : 높이방향,
204 : 회전방향,
210 : 수평프레임,
220 : 제 1 프레임후크,
230 : 제 2 프레임후크,
240 ; 관통공,
250 : 제 1 레버,
252 : 레버부,
254 : 회전축,
256 : 잠금곡률부,
258 : 풀림곡률부,
260 : 제 2 레버,
270 : 제 1 수평홀,
275 : 기둥노출홀,
280 : 제 2 수평홀,
290 : 수직프레임.

Claims (10)

  1. 건조대 선반(120)의 높이 조절장치(200)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장치(200)는,
    건조대(100)의 기둥(110)에 삽입되는 관통공(240)이 형성되고, 높이방향(202)으로 이동될 수 있는 수직프레임(290);
    상기 수직프레임(290)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선반(120)이 조립된 제 1 프레임(150)을 지지하는 수평프레임(210);
    상기 수직프레임(290)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290)과 상기 수평프레임(210)에 대해 수직이며, 내부에 기둥노출홀(275)을 갖는 제 1 수평홀(270); 및
    상기 제 1 수평홀(270)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기둥노출홀(275)에 의해 노출된 상기 기둥(110)과 간섭하거나 간섭하지 않는 제 1 레버(25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레버(250)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레버부(252);
    상기 레버부(252)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수평홀(270) 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축(254);
    상기 회전축(254) 중 일측이 함몰되어 형성된 풀림곡률부(258); 및
    상기 회전축(254) 중 타측이 함몰되어 형성된 잠금곡률부(256);를 포함하며,
    상기 풀림곡률부(258)와 상기 잠금곡률부(256)는 각각 한쌍씩 구비되고,
    한쌍의 상기 풀림곡률부(258)와 한쌍의 상기 잠금곡률부(256)는 상기 회전축(254)의 둘레 상에서 등각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대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210)은 상기 수직프레임(290)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일측에 상기 제 1 프레임(150)을 지지하고, 타측에 제 2 프레임(160)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대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210)의 단부에는 상기 제 1 프레임(150)이 수평방향으로 걸리거나 또는 수직방향으로 접히도록 제 1 프레임후크(220)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대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290)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수평홀(270)과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기둥노출홀(275)을 갖는 제 2 수평홀(280); 및
    상기 제 2 수평홀(280)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기둥노출홀(275)에 의해 노출된 상기 기둥(110)과 간섭하거나 간섭하지 않는 제 2 레버(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대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곡률부(258)는 상기 잠금곡률부(256) 보다 상대적으로 더 함몰되어 상기 기둥(11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대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버(250)는,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기둥(110)과 간섭하여 잠금상태가 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기둥(110)과 간섭하지 않아 풀림상태가 되거나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기둥(110)과 간섭하지 않아 풀림상태가 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기둥(110)과 간섭하여 잠금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대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110)은 한쌍이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선반(120)의 양단에서 상기 제 1 프레임(150)이 각각 조립되고,
    상기 높이조절장치(200)는 한쌍의 상기 기둥(110)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대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
KR2020200003223U 2020-09-04 2020-09-04 건조대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 KR2004939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223U KR200493980Y1 (ko) 2020-09-04 2020-09-04 건조대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223U KR200493980Y1 (ko) 2020-09-04 2020-09-04 건조대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980Y1 true KR200493980Y1 (ko) 2021-07-09

Family

ID=7686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223U KR200493980Y1 (ko) 2020-09-04 2020-09-04 건조대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980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672B1 (ko) 2008-01-09 2010-05-20 (주)가우아이앤씨 빨래건조대의 높이조절구
KR200450244Y1 (ko) 2008-04-28 2010-09-14 이강섭 세탁물 건조대의 높이 조절구
KR20110008896U (ko) * 2010-03-12 2011-09-20 이재현 빨래 건조대
KR101440265B1 (ko) 2014-06-05 2014-09-17 진향순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빨래건조대
KR101761519B1 (ko) * 2016-10-10 2017-07-26 권경민 밀고 당기는 건조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672B1 (ko) 2008-01-09 2010-05-20 (주)가우아이앤씨 빨래건조대의 높이조절구
KR200450244Y1 (ko) 2008-04-28 2010-09-14 이강섭 세탁물 건조대의 높이 조절구
KR20110008896U (ko) * 2010-03-12 2011-09-20 이재현 빨래 건조대
KR101440265B1 (ko) 2014-06-05 2014-09-17 진향순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빨래건조대
KR101761519B1 (ko) * 2016-10-10 2017-07-26 권경민 밀고 당기는 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5515Y1 (ko) 빨래 건조대
CN207760624U (zh) 熨衣板组件及挂烫机
KR200464176Y1 (ko) 접이식 빨래건조대
CA2773384A1 (en) Pivotally-deployable work surface for a household appliance
KR200493980Y1 (ko) 건조대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
KR200425508Y1 (ko) 세탁물 건조대의 접이식 받침대
US20080098773A1 (en) Adjustable laundry basket
KR200381878Y1 (ko) 절첩식 빨래건조대
JP6083630B1 (ja) ハンガー
KR200473791Y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101937668B1 (ko) 옷걸이
KR20100004365U (ko) 옷걸이
KR101359703B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101737024B1 (ko) 빨래 건조대 승하강 링크의 축 고정구조
KR20120000335U (ko) 접이식 옷걸이
KR200450680Y1 (ko) 다용도 이동식 건조대
KR20210101821A (ko) 건조대 겸용 세탁물바구니
KR102411827B1 (ko) 세탁물건조대
KR200354714Y1 (ko) 세탁물 건조걸이
JP3169702U (ja) ハンガー掛け
KR970003632Y1 (ko) 세탁물건조대의 세탁물거치대 절첩구조
KR20170087595A (ko) 절첩식 세탁물 건조대
KR20100002233U (ko) 세탁물 건조대의 접이식 다리
KR20190119377A (ko) 빨래건조대용 착탈식 건조봉 조립체
KR20090010005U (ko) 행거봉 거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