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959Y1 - A bathroom cabinet - Google Patents

A bathroom cabi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959Y1
KR200493959Y1 KR2020190005110U KR20190005110U KR200493959Y1 KR 200493959 Y1 KR200493959 Y1 KR 200493959Y1 KR 2020190005110 U KR2020190005110 U KR 2020190005110U KR 20190005110 U KR20190005110 U KR 20190005110U KR 200493959 Y1 KR200493959 Y1 KR 2004939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led
bathroom cabinet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511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1423U (en
Inventor
황응연
Original Assignee
황응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응연 filed Critical 황응연
Priority to KR20201900051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959Y1/en
Publication of KR202100014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42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9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95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05Mirror cabinets; Dressing-t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9/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operating incandescent light sources
    • H05B39/02Switching on, e.g. with predetermined rate of increase of lighting current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실용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욕실용 수납장의 상측에 한 쌍의 LED 조명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수납장의 거울 이용시 더욱 밝은 환경에서 거울을 사용할 수 있는 욕실용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hroom cabin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hroom cabinet that is provided with a pair of LED lights on the upper side of the bathroom cabinet so that a user can use the mirror in a brighter environment when using the mirror in the cabinet.

Description

욕실용 수납장 {A BATHROOM CABINET}Closet for bathroom {A BATHROOM CABINET}

본 고안은 욕실용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욕실용 수납장의 상측에 한 쌍의 LED 조명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수납장의 거울 이용시 더욱 밝은 환경에서 거울을 사용할 수 있는 욕실용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hroom cabin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hroom cabinet that is provided with a pair of LED lights on the upper side of the bathroom cabinet so that a user can use the mirror in a brighter environment when using the mirror in the cabinet.

일반적으로 욕실 내부에 설치된 수납장은, 평판형상의 프레임을 소정 치수로 절단하고 내부 공간에 칸막이를 설치하여 세면도구나 수건, 휴지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수납장은 전면부에 내부를 은폐하기 위한 도어가 다양한 열림구조로 설치된다. 이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도어의 전면부에는 거울이 설치되기도 한다. In general, a storage cabinet installed in a bathroom is configured to store toiletries, towels, toilet paper, etc. by cutting a flat-panel frame to a predetermined size and installing a partition in the interior space. This cabinet is installed in a variety of opening structures with doors for concealing the inside in the front part. In this case, a mirror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part of the door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그러나, 사용자의 거울 이용시 욕실에 구비되는 조명만으로는 밝기가 충분하지 않아 음영이 발생하여 얼굴을 환하게 볼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거울에 램프를 구비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램프만으로는 밝기가 충분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a user uses a mirror, the light provided in the bathroom alone is not sufficient,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ace cannot be seen brightly due to the occurrence of shadow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providing a lamp in a mirror has been propos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rightness is not sufficient by the lamp alon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9792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49792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욕실용 수납장의 상측에 한 쌍의 LED 조명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수납장의 거울 이용시 더욱 밝은 환경에서 거울을 사용할 수 있는 욕실용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ir of LED lights on the upper side of the bathroom cabinet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mirror in a brighter environment when using the mirror in the cabinet. is to provide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일면이 개구되며 내부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부; 전면에 거울이 구비되고, 슬라이딩되며 상기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 및 한 쌍으로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LED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is opened and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a door unit having a mirror on the front side, sliding and opening and closing the inner space; And it relates to a bathroom cabin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nd a pair of different heights from each other provided in the main body portion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LED portion.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LED부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user to determine whether the LED unit operates.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본체부의 어느 일부를 개폐하는 제1 도어; 상기 제1 도어를 슬라이딩시켜 이동시키는 제1 슬라이드 구조; 상기 본체부의 다른 일부를 개폐하는 제2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를 슬라이딩시켜 이동시키는 제2 슬라이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unit may include: a first door which opens and closes any part of the body unit; a first slide structure for sliding and moving the first door; a second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nother part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slide structure for sliding and moving the second door.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의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레일 및 제2 가이드 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A first guide rail and a second guide rail formed along a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may b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제1 슬라이드 구조는, 상기 제1 도어의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연장 플레이트; 상기 제1 연장 플레이트로부터 절곡형성되는 제1 절곡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절곡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 구조는, 상기 제2 도어의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연장 플레이트; 상기 제2 연장 플레이트로부터 절곡형성되는 제2 절곡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절곡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 롤러;를 포함하할 수 있다.The first slide structure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lat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door; a first bent plate bent from the first extension plate; and a first roller provided on the first bending plate and moving along the first guide rail, wherein the second slide structure includes: a second extension plat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second door; a second bent plate bent from the second extension plate; and a second roller provided on the second bending plate and moving along the second guide rail.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한 쌍의 LED부가 구비되기 위한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상기 도어부를 향해 돌출되어 어느 하나의 상기 LED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상기 LED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A support part for providing the pair of LED parts is formed on the body part, and the support part is a cover plate for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and protrudes from an end of the cover plate toward the door part to form any one of the LED parts. a first accommodation unit for accommodating;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bent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to accommodate the other LED part.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에는, 상기 LED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하기 위한 제1 반사 플레이트 및 제2 반사 플레이트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A first reflective plate and a second reflective plate for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unit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respectively.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의 양단부를 커버하기 위한 마감 구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감 구조는,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구; 및 상기 삽입구로부터 삽입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수용부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삽입구를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closing structure for covering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the closing structure, The first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insertion hole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and a pair of fasteners protruding from the insertion hole in the insertion direction to press both sides of the first receiving part to fix the insertion hole.

이에 의해, 본 고안은 욕실용 수납장의 상측에 한 쌍의 LED 조명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수납장의 거울 이용시 더욱 밝은 환경에서 거울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ir of LED lights on the upper side of the bathroom cabinet,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mirror in a brighter environment when using the mirror in the cabinet.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욕실용 수납장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욕실용 수납장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욕실용 수납장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욕실용 수납장의 구성 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욕실용 수납장의 슬라이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욕실용 수납장의 마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storage closet for a bath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bathroom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bathroom cabinet.
4 and 5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the components of the bathroom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the slide structure of the bathroom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the closing structure of the bathroom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for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the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ed forms, and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s the second component,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element in the middle.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for example,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specifi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 or step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 operation,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욕실용 수납장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bathroom cabin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욕실용 수납장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욕실용 수납장의 정면도이며, 도 3은 욕실용 수납장의 측면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view of a storage cabinet for a bath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storage cabinet for a bath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storage cabinet for the bathroom.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욕실용 수납장은 본체부(100), 도어부 및 LED부(231, 251)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3 , the bathroom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part 100 , a door part, and LED parts 231 and 251 .

본체부(100)는 일면이 개구되며 내부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은 수건, 휴지 등의 욕실용 물품을 저장하는 공간으로서, 내부 공간에 선반(151) 및 지지대(153)를 구비할 수 있다(도 4 참고).The main body 100 may have an open surface and an internal space. The main body 10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inner space is a space for storing bathroom items such as towels and toilet paper, and a shelf 151 and a support 153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 see Fig. 4).

도어부는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을 개폐한다. 구체적으로 도어부는 좌우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내부 공간을 개폐하며, 전면부에는 거울이 구비될 수 있다.The door part opens and closes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100 . Specifically, the door part opens and closes the inner space by sliding left and right, and a mirror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part.

도어부는 한 쌍의 도어(11, 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 도어(110) 및 제2 도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110) 및 제2 도어(130)는 슬라이딩됨에 따라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며, 전면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 거울이 구비될 수 있다.The door unit may include a pair of doors 11 and 130 , and specifically, may include a first door 110 and a second door 130 . The first door 110 and the second door 130 open and close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00 as they slide, and a mirror may be provided on a part or all of the front part.

제1 도어(110) 및 제2 도어(130)의 슬라이딩 메카니즘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sliding mechanism of the first door 110 and the second door 130 will be described later.

LED부(231, 251)은 도어부를 향해 빛을 조사한다. LED부(231, 251)은 한 쌍으로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되며, 본체부(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도어부를 향해 빛을 조사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부에 구비된 거울 이용시 음영없이 더욱 밝은 환경에서 거울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LED units 231 and 251 irradiate light toward the door unit. The LED units 231 and 251 are formed as a pair with different heights from each other, and ar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irradiate light toward the door, so that when the user uses the mirror provided in the door, the light is brighter without shadow. Make use of mirrors in the environment.

이때 LED부(231, 251)의 작동은 센싱부(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미도시)는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여 LED부(231, 251)의 동작 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센싱부(미도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LED부(231, 251)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도어부의 이동을 감지하여 LED부(231, 251)을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LED units 231 and 251 may be performed by a sensing unit (not shown). Specifically, the sensing unit (not shown) detects the presence of a user and determines whether the LED units 231 and 251 operate. 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not shown) may operate the LED units 231 and 251 by sensing the user's movement, and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the LED units 231 and 251 by sensing the movement of the door unit.

한편, LED부(231, 251)은 LED 플레이트(237, 257) 및 LED(239, 259)를 포함할 수 있다. LED(Light Emitting Diode, 239, 259)는 LED 플레이트(237, 257)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LED부(231, 251)은 후술할 지지부(200)의 제1 수용부(230) 및 제2 수용부(25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도 5 참고).Meanwhile, the LED units 231 and 251 may include LED plates 237 and 257 and LEDs 239 and 259 . A plurality of LEDs (Light Emitting Diodes, 239 and 259 ) may be provided on the LED plates 237 and 257 , and the LED units 231 and 251 include a first receiving unit 230 and a first receiving unit 230 of the support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two receiving units 250 (refer to FIG. 5).

구체적으로, 본체부(100)에는 한 쌍의 LED부(231, 251)이 구비되기 위한 지지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pport unit 200 for providing a pair of LED units 231 and 251 may be formed in the body unit 100 .

도 3을 참고하면, 지지부(200)는 커버 플레이트(210), 제1 수용부(230) 및 제2 수용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support part 200 may include a cover plate 210 , a first accommodating part 230 ,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250 .

커버 플레이트(210)는 본체부(100)의 상부를 커버하며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plate 210 may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제1 수용부(230)는 커버 플레이트(210)의 단부로부터 도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LED부(231)을 수용할 수 있다. 제1 수용부(230)는 요홈부가 형성되며 요홈부에 LED 플레이트(237)이 장착됨으로써 LED부(231)이 수용되는 것이다.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30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door part from the end of the cover plate 210 and may accommodate the LED part 231 .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30 has a recess formed therein, and the LED plate 237 is mounted on the recessed part to accommodate the LED part 231 .

제2 수용부(250)는 제1 수용부로(230)부터 절곡 형성되어 LED부(251)을 수용할 수 있다. 제2 수용부(250)는 제1 수용부(230)로부터 단차지도록 절곡 형성되며, 단차부에 LED 플레이트(257)이 장착됨으로써 LED부(251)이 수용될 수 있다.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50 may be bent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30 to accommodate the LED part 251 .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50 is bent so as to have a step difference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30 , and the LED plate 257 is mounted on the step part so that the LED part 251 can be accommodated.

이와 같이 LED부(231, 251)가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전/후로 연속하여 구비됨에 따라, 조사되는 빛의 양을 늘릴 수 있을 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안쪽에 배치되는 제1 도어(110)에도 빛을 안정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In this way, as the LED units 231 and 251 are continuously provided in front and back at different heights from each other, not only can the amount of irradiated light be increased, but also the light is applied to the first door 110 relatively disposed inside. can be reliably investigated.

이때, 제1 수용부(230) 및 제2 수용부(250)에는 제1 반사 플레이트(235) 및 제2 반사 플레이트(255)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수용부(230)의 요홈부의 일면(거울의 반대측)에 제1 반사 플레이트(235)가 형성되며, 제2 수용부(250)의 단차부에서 절곡되는 절곡면에 제2 반사 플레이트(255)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first reflective plate 235 and a second reflective plate 255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3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50 ,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first reflective plate 235 is formed on one surface (opposite side of the mirror)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30 , and the second reflection is reflected on the bent surface bent at the step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50 . A plate 255 may be formed.

제1 반사 플레이트(235) 및 제2 반사 플레이트(255)는 LED(239, 259)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하여 거울로 향하도록 경로를 변경시킴으로써, 빛이 거울로 향하지 않고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first reflective plate 235 and the second reflective plate 255 reflec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s 239 and 259 and change the path so as to be directed to the mirror, thereby preventing the light from leaking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directed to the mirror. do.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한 쌍의 LED부(231, 251)이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제1 반사 플레이트(235) 및 제2 반사 플레이트(255)를 구비함으로써 빛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더욱더 밝은 환경에서 욕실 거울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With such a structure, a pair of LED units 231 and 251 may be provided with different heights, and by providing the first reflecting plate 235 and the second reflecting plate 255 , light is leaked to the outside. By preventing this from happening, you can help the user to use the bathroom mirror in a brighter environment.

이때, 제1 반사 플레이트(235) 및 제2 반사 플레이트(255)는 반사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reflective plate 235 and the second reflective plate 255 may be formed of an aluminum material to improve reflectivity.

한편, 도어부는 제1 도어(110), 제1 슬라이드 구조, 제2 도어(130), 제2 슬라이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oor unit may include a first door 110 , a first slide structure, a second door 130 , and a second slide structure.

제1 도어(110)는 본체부(100)의 어느 일부를 개폐하며, 제2 도어(130)는 본체부(100)의 다른 일부를 계폐한다. 이때, 제1 도어(110) 및 제2 도어(130)는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하며, 제1 도어(110)는 제1 슬라이드 구조에 의해 제2 도어(130)는 제2 슬라이드 구조에 의해 본체부(100) 상에서 좌/우로 각각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door 110 opens and closes any part of the main body 100 , and the second door 130 closes another part of the main body 100 . At this time, the first door 110 and the second door 130 move while sliding, and the first door 110 has a first slide structure and the second door 130 has a body part ( 100), you can mov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제1 슬라이드 구조는, 제1 도어(110)의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연장 플레이트(111), 제1 연장 플레이트(111)로부터 절곡형성되는 제1 절곡 플레이트(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 플레이트(111)는 제1 도어(110)의 상부로부터 본체부(100)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고, 제1 절곡 플레이트(113)는 제1 연장 플레이트(111)의 단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제1 절곡 플레이트(113)의 일측에는 제1 롤러(115)가 구비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6 and 7 , the first slide structure includes a first extension plate 111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door 110 , and a first extension plate 111 bent from the first extension plate 111 . 1 may include a bent plate 113 . The first extension plate 111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top of the first door 110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 and the first bent plate 113 is downwardly from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111 . It is formed to extend, and a first roller 115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bent plate 113 .

이때, 본체부(100)의 상면에는 제1 도어(11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 레일(17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롤러(115)가 제1 가이드 레일(171)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1 도어(110)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본체부(100)를 개폐하는 것이다.At this time, a first guide rail 171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door 110 , and the first roller 115 may move along the first guide rail 171 . As it moves, the first door 110 opens and closes the main body 100 while sliding.

제2 슬라이드 구조는, 제2 도어(130)의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연장 플레이트(131), 제2 연장 플레이트(131)로부터 절곡형성되는 제2 절곡 플레이트(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장 플레이트(131)는 제2 도어(130)의 상부로부터 본체부(100)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고, 제2 절곡 플레이트(133)는 제1 연장 플레이트(111)의 단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제2 절곡 플레이트(133)의 일측에는 제2 롤러(135)가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slide structure may include a second extension plate 131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second door 130 and a second bending plate 133 bent from the second extension plate 131 . The second extension plate 131 extends from the top of the second door 130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 and the second bent plate 133 moves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111 . It is formed to extend, and a second roller 135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ent plate 133 .

이때, 본체부(100)의 상면에는 제1 가이드 레일(171)과 평행하게 제2 가이드 레일(17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롤러(135)가 제2 가이드 레일(173)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2 도어(130)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본체부(100)를 개폐하는 것이다.In this case, a second guide rail 173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n parallel to the first guide rail 171 , and the second roller 135 moves along the second guide rail 173 . Accordingly, the second door 130 opens and closes the main body 100 while sliding.

이와 같은 슬라이딩 메카니즘에 의해 제1 도어(110) 및 제2 도어(130)가 슬라이딩하면서 본체부(100)를 개폐하는 것이다.The first door 110 and the second door 130 slide by such a sliding mechanism to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100 .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욕실용 수납장의 마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 구조는 제1 수용부(230) 및 제2 수용부(250)의 양단부를 커버하며, 마감 구조는 삽입구(290), 고정구(291, 293)를 포함할 수 있다.8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the closing structure of the bathroom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 the clo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first accommodating part 230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250 . covers both ends of the , and the finishing structure may include an insertion hole 290 and fixtures 291 and 293 .

삽입구(290)는 제1 수용부(230) 및 제2 수용부(250)의 양단부에 삽입되어 양단부를 커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 수용부(230) 및 제2 수용부(25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1 수용부(230) 및 제2 수용부(25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hole 290 is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3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50 to cover both ends, and is a cross sec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3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50 . I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 and an insertion groove (not shown) for inserting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3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50 may be formed therein.

삽입구(290)는 제1 수용부(230) 및 제2 수용부(250)의 양단부를 커버하여 미감을 좋게 할 뿐 아니라, 제1 수용부(230) 및 제2 수용부(250)의 날카로운 에지(edge) 부분에 의해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삽입구(290)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LED부(231, 251) 전원 공급을 위한 전류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insertion hole 290 covers both end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3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50 to improve aesthetics and sharp edge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3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50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injured by the (edge) part. In addition, the insertion hole 290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current for supplying power to the LED units 231 and 251 from leaking to the outside.

고정구(291, 293)는 삽입구(290)로부터 삽입구(290)가 제1 수용부(230) 및 제2 수용부(250)를 향해 삽입되는 삽입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고정구(291, 293)는 한 쌍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이격 간격은 제1 수용부(230)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고정구(291, 293)는 삽입구(290)의 삽입 후 제1 수용부(230)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삽입구(290)가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삽입구(290)의 이탈을 방지한다.The fasteners 291 and 293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sertion hole 290 in the insertion direction in which the insertion hole 290 is inserted toward the first receiving part 230 and the second receiving part 250 . In this case, the fixtures 291 and 293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a pair, and the spacing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first receiving part 230 . A pair of fixtures 291 and 293 presses both sides of the first receiving part 230 after the insertion of the insertion hole 290 so that the insertion hole 290 is firmly fixed, thereby preventing the insertion hole 290 from being separated. .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욕실용 수납장의 상측에 한 쌍의 LED부(231, 251)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수납장의 거울 이용시 더욱 밝은 환경에서 거울을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LED units 231 and 251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throom cabinet,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mirror in a brighter environment when using the mirror in the cabinet.

또한, 사용자의 사용에 따라 자동으로 LED부(231, 251)이 동작되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LED units 231 and 251 are automatic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user's use,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또한, LED부(231, 251)을 한 쌍으로 구비하고, LED부(231, 251)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230) 및 제2 수용부(250)에 제1 반사 플레이트(235) 및 제2 반사 플레이트(255)를 각각 구비하여, LED부(231, 251)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거울로 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더욱더 밝은 환경에서 욕실 거울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D units 231 and 251 are provided as a pair, and the first reflecting plate 235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3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50 for accommodating the LED parts 231 and 251 are provided. By providing each of the second reflective plates 255,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units 231 and 251 is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nd directed to the mirror,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bathroom mirror in a brighter environment. have.

이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욕실용 수납장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다.As described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athroom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s well as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본체부
110: 제1 도어
111: 제1 연장 플레이트
113: 제1 절곡 플레이트
115: 제1 롤러
130: 제2 도어
131: 제2 연장 플레이트
133: 제2 절곡 플레이트
135: 제2 롤러
151: 선반
153: 지지대
171: 제1 가이드 레일
173: 제2 가이드 레일
200: 지지부
210: 커버 플레이트
230: 제1 수용부
250: 제2 수용부
231, 251: LED부
235: 제1 반사 플레이트
255: 제2 반사 플레이트
237, 257: LED 플레이트
239, 259: LED
290: 삽입구
291, 293: 고정구
100: body part
110: first door
111: first extension plate
113: first bending plate
115: first roller
130: second door
131: second extension plate
133: second bending plate
135: second roller
151: shelf
153: support
171: first guide rail
173: second guide rail
200: support
210: cover plate
230: first receiving unit
250: second accommodation unit
231, 251: LED part
235: first reflective plate
255: second reflective plate
237, 257: LED plate
239, 259: LED
290: insert
291, 293: fixture

Claims (8)

일면이 개구되며 내부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부;
전면에 거울이 구비되고, 슬라이딩되며 상기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 및
한 쌍으로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LED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한 쌍의 LED부가 구비되기 위한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상기 도어부를 향해 돌출되어 어느 하나의 상기 LED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상기 LED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수납장.
a body portion having an open surface and having an internal space;
a door unit having a mirror on the front side, sliding and opening and closing the inner space; and
A pair of LED units having different heights from each other and provided in the body unit to irradiate light toward the door unit;
A support portion for providing the pair of LED portions is formed on the main body portion,
The support part,
a cover plate for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 first accommodating part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cover plate toward the door part and accommodating any one of the LED parts; and
A bathroom cabinet comprising a; a second accommodating part bent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accommodating the other LED part.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LED부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수납장.
According to claim 1,
The bathroom cabine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ns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LED unit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본체부의 어느 일부를 개폐하는 제1 도어;
상기 제1 도어를 슬라이딩시켜 이동시키는 제1 슬라이드 구조;
상기 본체부의 다른 일부를 개폐하는 제2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를 슬라이딩시켜 이동시키는 제2 슬라이드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수납장.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part,
a first door which opens and closes any part of the main body;
a first slide structure for sliding and moving the first door;
a second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nother part of the main body; and
A bathroom cabinet comprising a; a second slide structure for sliding and moving the second do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의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레일 및 제2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수납장.
4. The method of claim 3,
A bathroom cabi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guide rail and the second guide rail formed alo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 구조는,
상기 제1 도어의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연장 플레이트;
상기 제1 연장 플레이트로부터 절곡형성되는 제1 절곡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절곡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 구조는,
상기 제2 도어의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연장 플레이트;
상기 제2 연장 플레이트로부터 절곡형성되는 제2 절곡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절곡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수납장.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slide structure,
a first extension plat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door;
a first bent plate bent from the first extension plate; and
a first roller provided on the first bending plate and moving along the first guide rail; and
The second slide structure,
a second extension plat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second door;
a second bent plate bent from the second extension plate; and
A bathroom cabinet comprising a; a second roller that is provided on the second bent plate and moves along the second guide rai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에는, 상기 LED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하기 위한 제1 반사 플레이트 및 제2 반사 플레이트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수납장.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reflective plate and a second reflective plate for reflecting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part are provided, respectively, a bathroom cabi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의 양단부를 커버하기 위한 마감 구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감 구조는,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구; 및
상기 삽입구로부터 삽입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수용부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삽입구를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수납장.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nishing structure for covering both ends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The finished structure is
an insertion hole inserted into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units; and
A pair of fixtures protruding from the insertion hole in the insertion direction to press both sides of the first accommodation part to fix the insertion ho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throom cabinet.
KR2020190005110U 2019-12-17 2019-12-17 A bathroom cabinet KR20049395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110U KR200493959Y1 (en) 2019-12-17 2019-12-17 A bathroom cabi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110U KR200493959Y1 (en) 2019-12-17 2019-12-17 A bathroom cabin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423U KR20210001423U (en) 2021-06-25
KR200493959Y1 true KR200493959Y1 (en) 2021-07-06

Family

ID=76603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5110U KR200493959Y1 (en) 2019-12-17 2019-12-17 A bathroom cabi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959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578Y1 (en) * 2014-09-05 2016-02-18 황응연 Bathroom cabinet
KR101678477B1 (en) * 2016-03-14 2016-11-23 정재식 Cabinets with decorative lighting featur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8424B2 (en) * 1993-04-02 1996-11-27 アァルピィ東プラ株式会社 Mirror cabinet
JPH1189646A (en) * 1997-09-16 1999-04-06 Toto Ltd Lighting system of wash stand and dressing table
KR200349792Y1 (en) 2004-02-12 2004-05-12 정재홍 Multifunction receipt cabinet for using in a bathroom
KR101744336B1 (en) * 2015-09-10 2017-06-07 김진태 Sliding device for cabinets, Locking bracket for sliding device and Cabinets
KR200491563Y1 (en) * 2019-08-28 2020-04-27 주식회사 골드밀러 Structure of sliding door for bathroom clos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578Y1 (en) * 2014-09-05 2016-02-18 황응연 Bathroom cabinet
KR101678477B1 (en) * 2016-03-14 2016-11-23 정재식 Cabinets with decorative lighting fea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423U (en)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5327B2 (en) Lighting equipment for mirror cabinet
KR101632300B1 (en) furniture door
JP5495815B2 (en) Mirror cabinet
KR102014148B1 (en) Refrigerator
CN110831463B (en) Box type furniture
US6932488B1 (en) Vanity lighting system
JP6849875B2 (en) Bathroom unit
KR200493959Y1 (en) A bathroom cabinet
JP5877375B2 (en) Mirror cabinet
JP6484899B2 (en) Illuminated mirror and vanity
JP4550596B2 (en) Lighting equipment
JP5324888B2 (en) Bathroom vanity
KR20170056355A (en) Bathroom cabinet
JP2017176515A (en) cabinet
JP6666580B2 (en) Mirror cabinets and vanities
JP5330891B2 (en) Mirror cabinet manufacturing method
JP2015027544A (en) Mirror cabinet
JP5385671B2 (en) Lighted furniture
JP2017080289A (en) Mirror cabinet
TWI564510B (en) Cabinet
KR20190090529A (en) Lightening device for prefabricated toilet
JP5771784B2 (en) Lighted furniture and lighted interior building materials
JP2019063258A (en) cabinet
CN219913582U (en)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KR200481274Y1 (en) Indirectness Lighting Apparatus Of Furni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