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637Y1 - 턱받이 - Google Patents

턱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637Y1
KR200493637Y1 KR2020190004362U KR20190004362U KR200493637Y1 KR 200493637 Y1 KR200493637 Y1 KR 200493637Y1 KR 2020190004362 U KR2020190004362 U KR 2020190004362U KR 20190004362 U KR20190004362 U KR 20190004362U KR 200493637 Y1 KR200493637 Y1 KR 2004936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b
fastening
fixing line
wear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화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마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마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마마
Priority to KR2020190004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6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6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6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10Bi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4Straps, belts, ties or endles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6Sanitary towels; Means for supporting or fastening th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턱받이는 착용자 신체의 앞면을 덮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 일측에서 목뒤에 걸리도록 형성되고, 타측 가슴 부위까지 연장되는 고정줄부; 및 상기 본체부 상의 타측 가슴 부위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줄부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끼움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턱받이{BIB}
본 고안은 턱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나 거동이 자유롭지 못한 노약자 및 장애인 등은 스스로의 조절능력이 부족하여 음식물의 섭취과정에서 침이나 일부 음식물이 입으로부터 흘러내려 주위를 오염시키게 되므로 턱받이를 사용하며, 지금까지의 턱받이는 보호자가 착용자에게 해주고 있다.
유아는 발달을 위해, 노약자 및 장애인은 재활을 위해 활동량을 늘려야 하며, 따라서 직접 착탈이 용이한 턱받이가 필요하다.
또한, 직접 턱받이를 착용하는 경우 유아는 오른손 또는 왼손 성향을 강요 받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오른손 잡이 및 왼손 잡이 모두 자유롭게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좌우 두뇌를 균형 있게 발달시킬 수 있는 턱받이가 필요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착용자가 직접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턱받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오른손잡이 및 왼손잡이 모두 자유롭게 착용할 수 있는 턱받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고안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하나의 관점은 턱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턱받이는 착용자 신체의 앞면을 덮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 일측에서 목뒤에 걸리도록 형성되고, 타측 가슴 부위까지 연장되는 고정줄부; 및 상기 본체부 상의 타측 가슴 부위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줄부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끼움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턱받이는 실리콘 재질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줄부는 일정 간격(d)으로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일정 간격(d)는 상기 체결부의 폭(d)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줄부가 끼움결합되도록 개방되는 개방부; 및 고정줄부가 체결된 후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개방부 보다 좁게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고정부에서 개방부 방향이 수평에서 10° 내지 45° 하향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되, 착용자의 목 공간 확보를 위해 상기 고정줄부가 걸리도록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부가 타측 방향으로 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는 착용자의 목 아래에 손수건 또는 티슈를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줄부 및 체결부는 각각 일측 및 타측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착용자가 직접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른손잡이 및 왼손잡이 모두 자유롭게 착용할 수 있는 턱받이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른 턱받이를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구쳉예에 따른 턱받이의 고정줄부의 일부를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른 체결부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턱받이의 걸림부를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른 체별부의 형성 각도를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홈을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체에에 따른 턱받이를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구체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 질 줄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 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에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에 또는 하부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에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를 나타내는 'X 내지 Y'는 'X 이상 Y 이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측'은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 '타측'은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을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가슴 부위'는 젖꼭지 부위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턱받이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른 턱받이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른 턱받이를 간단히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구쳉예에 따른 턱받이의 고정줄부의 일부를 간단히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른 체결부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턱받이는 착용자 신체의 앞면을 덮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 일측에서 목뒤에 걸리도록 형성되고, 타측 가슴 부위까지 연장되는 고정줄부(200); 및 상기 본체부(100) 상의 타측 가슴 부위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줄부(200)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끼움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 고정줄부(200) 및 체결부(300)는 실리콘 재질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본원고안 턱받이는 내열성, 항균성이 우수하고, 착용감이 좋을 뿐만 아니라, 고정줄부(200) 및 체결부(300)가 필요한 정도의 탄성을 가지므로 탈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착용자의 신체 앞면을 덮어 떨어지는 음식물로부터 옷을 포함하는 신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는 떨어지는 음식물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는 그릇 모양의 공간이 형성되어 바지 및 의자의 오염을 막을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일 수 있다.
상기 고정줄부(200)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일측에서 목뒤에 걸리도록 형성되고, 타측 가슴 부위까지 연장된다. 타측 가슴 부위에 체결부(300)가 형성되어 이와 탈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줄부(200)는 일정 간격(d)으로 볼록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일정 간격(d)는 상기 체결부(300)의 폭(d)에 대응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줄부(200)가 체결부(300)에 결합된 후 고정줄부(2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폭(d)은 5mm 내지 15mm, 구체적으로 7mm 내지 12mm일 수 있고, 상기 볼록부(210)의 직경은 볼록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1.8 내지 2.2배일 수 있다. 상기 폭(d) 및 직경 범위에서 탈착이 용이하고, 체결부(300)의 내구성도 우수하며, 착용자의 그립(grip)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본체부(100) 상의 타측 가슴 부위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줄부(200)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끼움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의 턱받이는 착용을 위한 체결부가 목 뒤에 있어, 착용자가 스스로 턱받이를 탈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특히, 도움이 필요한 유아, 노약자 및 장애인은 목 뒤에서 턱받이를 체결하는 것을 어려워하며, 스스로 턱받이를 착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또한, 본 고안의 체결부(300)는 상기 고정줄부(200)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끼움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됨으로써, 고정줄부(200)를 체결부(300)에 결합시 착용자의 목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턱받이는 상기 체결부(300)가 가슴 부위에 형성됨으로써 착용자가 스스로 고정줄부(200)를 탈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와 연결되는 고정부(310); 상기 고정줄부(200)가 끼움결합되도록 개방되는 개방부(330); 및 고정줄부(200)가 체결된 후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개방부(330) 보다 좁게 형성되는 이탈방지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00)의 고정부(310)는 다른 부분 보다 약 1.8배 내지 2.2배 더 두꺼울 수 있다. 이는 본체부(100)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찢어짐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고정줄부(200)의 체결시 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 개방부(330)는 고정줄부(200)의 볼록부(21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방부(330)는 본체부(100)와 특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특정 간격은 고정줄부(200)의 볼록부(21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 직경의 0.8배 내지 1.2배일 수 있다. 이로써, 고정줄부(200)는 체결부(300)로 부드럽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350)는 고정줄부(200)가 체결된 후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개방부(330) 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탈방지부(350)는 고정줄부(200)의 볼록부(21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 직경의 0.6배 내지 0.8배일 수 있다. 이로써, 고정줄부(200)가 상기 체결부(300)에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체결부(300)는 고정부(310)에서 개방부(330) 방향이 수평에서 10° 내지 45°, 구체적으로 25° 내지 35° 하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줄부(200)를 체결부(300)에 결합시 턱받이 자체의 무게로 인해 착용자의 목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1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다른 구체예를 설명한다.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되, 착용자의 목 공간 확보를 위해 상기 고정줄부(200)가 걸리도록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400)는 상부가 타측 방향으로 휘게 형성함으로써, 걸림부(400)로부터 고정줄부(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체예를 설명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00)는 착용자의 목 아래에 손수건 또는 티슈를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홈(500)이 형성될 수 있다. 착용자가 섭취시 떨어지는 일부 음식물은 턱받이의 본체부(100)에 일차적으로 접촉 후, 본체부(100) 하부의 그릇 모양의 공간으로 모이게 된다. 그러나, 국물 같은 액체의 경우 턱선 및 목을 타고 흘러내리는 경우가 많고, 이런 경우 착용자의 상의가 젖게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 턱받이는 홈(500)이 형성되어 있어, 국물 음식을 포함하는 액체상의 음식을 섭취하는 경우, 홈(500)에 손수건이나 티슈를 끼움 결합함으로써, 착용자의 상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체예를 설명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줄부(200) 및 체결부(300)는 각각 일측 및 타측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유아가 턱받이를 사용하는 연령인 경우 아직 오른손 또는 왼손 성향이 결정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본 고안 턱받이는 착용자(유아) 스스로 착용하는 점에서 본 고안 또 다른 구체예와 같이 고정줄부(200) 및 체결부(300)가 양측에 모두 구비되는 경우 오른손 또는 왼손 성향을 강요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하게 함으로써, 좌뇌 및 우뇌가 균형있게 발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안정적인 결합도 가능하고, 장기간 사용으로 일부 고정줄부 또는 체결부에 손상이 있는 경우라도 턱받이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턱받이는 상기 체결부를 가슴 가운데(예를 들어, 본체부 한가운데이며, 높이는 도 1, 도 5 및 도 7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 형성하되, 하나의 고정부에서 일측 및 타측으로 개방부 및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도록 하여, 착용자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줄부가 일측에서부터 형성되면 체결부의 고정부에서 일측 개방부 방향이 수평에서 10° 내지 45°, 구체적으로 25° 내지 35° 하향 형성될 수 있다. (미도시)
이상 본 고안의 구체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구체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구체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00: 본체부 200: 고정줄부
210: 볼록부 300: 체결부
310: 고정부 330: 개방부
350: 이탈방지부 400: 걸림부
500: 홈

Claims (9)

  1. 착용자 신체의 앞면을 덮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 일측에서 목뒤에 걸리도록 형성되고, 타측 가슴 부위까지 연장되는 고정줄부;
    상기 본체부 상의 타측 가슴 부위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줄부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끼움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되, 착용자의 목 공간 확보를 위해 상기 고정줄부가 걸리도록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줄부가 끼움결합되도록 개방되는 개방부; 및 고정줄부가 체결된 후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개방부 보다 좁게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고정부에서 개방부 방향이 수평에서 25° 내지 35° 하향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부가 타측 방향으로 휘게 형성되는 턱받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턱받이는 실리콘 재질 일체로 형성되는 턱받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줄부는 일정 간격(d)으로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일정 간격(d)는 상기 체결부의 폭(d)에 대응되는 턱받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착용자의 목 아래에 손수건 또는 티슈를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홈이 형성되는 턱받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줄부 및 체결부는 각각 일측 및 타측에 모두 형성되는 턱받이.

KR2020190004362U 2019-10-29 2019-10-29 턱받이 KR2004936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362U KR200493637Y1 (ko) 2019-10-29 2019-10-29 턱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362U KR200493637Y1 (ko) 2019-10-29 2019-10-29 턱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637Y1 true KR200493637Y1 (ko) 2021-05-07

Family

ID=75916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362U KR200493637Y1 (ko) 2019-10-29 2019-10-29 턱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637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3634A (en) * 1971-07-19 1972-09-26 James Craig Foster Jr Hair collecting collar for barbershop use
KR20000004973U (ko) * 1998-08-20 2000-03-15 진우성 크기조절이 가능한 턱받이
KR200192229Y1 (ko) * 2000-02-03 2000-08-16 최기영 유아용 턱받이
JP2006505702A (ja) * 2002-11-06 2006-02-16 ベビー ビヨルン アクティエボラーグ ビーズネックレス式締結具を有する子供の涎掛け
US7526815B1 (en) * 2006-06-02 2009-05-05 Chez Shea Baby, Llc Baby bib with protective neckline
KR20110097540A (ko) * 2010-02-24 2011-08-31 전상국 턱받이의 활용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3634A (en) * 1971-07-19 1972-09-26 James Craig Foster Jr Hair collecting collar for barbershop use
KR20000004973U (ko) * 1998-08-20 2000-03-15 진우성 크기조절이 가능한 턱받이
KR200192229Y1 (ko) * 2000-02-03 2000-08-16 최기영 유아용 턱받이
JP2006505702A (ja) * 2002-11-06 2006-02-16 ベビー ビヨルン アクティエボラーグ ビーズネックレス式締結具を有する子供の涎掛け
US7526815B1 (en) * 2006-06-02 2009-05-05 Chez Shea Baby, Llc Baby bib with protective neckline
KR20110097540A (ko) * 2010-02-24 2011-08-31 전상국 턱받이의 활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4916B2 (en) Multi-purpose garment for infants
US11224792B2 (en) Athletic hand grips
US7665151B1 (en) Garment with bib attachment
US20130327344A1 (en) Apparatus With Retainer For Treating Thumb Or Finger Sucking
US20090166481A1 (en) Device for simulating breast-feeding
US20160128391A1 (en) Side Opening Garment
US20180042310A1 (en) Infant garment with independent zippers
US10117475B2 (en) Apparatus to prevent removal of an article of clothing by a young child
US6799330B1 (en) Infant bib
US20100325776A1 (en) Hand-Covering Garment
US20130025018A1 (en) Weighted arm bib
US20170055593A1 (en) Onebib
KR200493637Y1 (ko) 턱받이
US7555789B2 (en) Protection system
US20060090249A1 (en) Body suit with impermeable pectoral guard
US20160324231A1 (en) Undergarment with Detachable Handwears
KR20100104588A (ko) 탈부착 가능한 쉬트를 구비하는 식탁보
KR20210051006A (ko) 유아용 조끼
KR200437659Y1 (ko) 영.유아 개방형 상의
US20150034090A1 (en) Cannula cover and adjuster
KR200496792Y1 (ko) 엄지손가락 빨기 교정기
CN103976810A (zh) 医用护手手套
JP6083590B2 (ja) スリット付きロンパース
JP6537004B1 (ja) エプロン
CN214547311U (zh) 婴幼儿服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