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533Y1 - 괄약근 운동 방석 - Google Patents

괄약근 운동 방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533Y1
KR200493533Y1 KR2020180004166U KR20180004166U KR200493533Y1 KR 200493533 Y1 KR200493533 Y1 KR 200493533Y1 KR 2020180004166 U KR2020180004166 U KR 2020180004166U KR 20180004166 U KR20180004166 U KR 20180004166U KR 200493533 Y1 KR200493533 Y1 KR 200493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shape
rail
pocket
sphin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587U (ko
Inventor
조길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슈타인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슈타인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슈타인바이오
Priority to KR2020180004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533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5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5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5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괄약근 운동 및 강화를 위한 방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괄약근 운동 방석은, 쿠션을 갖으며, 소정의 형상을 갖는 쿠션부와; 상기 쿠션부의 내측 둘레에 연결된 주머니부와; 상기 주머니부에 내장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상에서 상기 받침부의 모양을 따라서 위치되는 레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괄약근 운동 방석{SITTING MAT FOR TRAINING SPHINCTER}
본 고안은 방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괄약근 운동 및 강화를 위한 방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석은 내부에 솜이나 스펀지와 같은 천연 또는 인공의 쿠션재를 삽입하고, 외측으로 면이나 기타 재질의 커버를 형성한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이러한 방석의 경우 사람이 장시간 앉자 있는 경우나 신체의 하중이 집중되는 엉덩이 부분에는,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땀이 발생하고, 피부가 짓눌러지는 현상으로 인해 피부병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치질과 같은 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는 일반적인 방석을 사용하는 데 적잖은 애로 사항이 많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93712에는 치질 돌출 방지용 방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63427에는 치질 예방용 방석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21358에는 에어셀과 에어박스로 구성된 욕창 치질 방지용 방석 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63427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21358는 단지 치질이나 욕창의 방지를 위한 용도로 기술을 개시하고 있을 뿐이고 개선이나 치료의 효과는 전혀 없다는 것이 문제가 되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93712에 개시된 기술은 치질 예방이나 치료가 아닌 치질 환자가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 방석을 제공하고 있다는 데 그 한계가 있다.
1. 특허문헌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93712 2. 특허문헌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63427 3. 특허문헌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21358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괄약근 운동 및 치질 개선이 가능한 방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괄약근 강화와 치질 개선에 앞서 환자가 중장시간 지속적으로 앉아 있어도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일반 방석의 쿠션을 드대로 제공하도록 하는 데 그 부가적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괄약근 운동 방석은, 쿠션을 갖으며, 소정의 형상을 갖는 쿠션부와; 상기 쿠션부의 내측 둘레에 연결된 주머니부와; 상기 주머니부에 내장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상에서 상기 받침부의 모양을 따라서 위치되는 레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는 하면 지지력을 갖도록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일부를 내장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부는 탄성력이 있는 긴 주머니 형상이며, 상기 긴 주머니 내부에는 원적외선 방출 및 향균 기능을 갖는 내장재가 알갱이 형태로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부에 내장되는 내장재의 내장량에 따라, 상기 레일부의 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쿠션부의 내측 둘레 및 상기 레일부는 땅콩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쿠션부의 외측 둘레 형상은 땅콩 모양, 다각형, 원 또는 타원의 형태를 갖으며, 상기 받침부는 땅콩 모양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주머니부는 상기 레일부와 받침부를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면에 지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괄약근 운동 및 강화, 나아가 치질 개선이 가능한 방석을 제공하는 한편, 환자가 중장시간 지속적으로 앉아 있어도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쿠션의 방석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괄약근 운동 방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괄약근 운동 방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괄약근 운동 방석의 다른 형태의 예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괄약근 운동 방석의 또 따른 형태의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괄약근 운동 방석에 대하여 살펴본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수반하는 도면들과 연관하여 읽히게 되며, 도면은 전체 고안의 설명에 대한 일부로 간주된다. 방향이나 지향성에 대한 언급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의도를 갖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아래, 위, 수평, 수직, 상측, 하측, 상향, 하향, 상부, 하부"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나, 이들의 파생어(예를 들어, "수평으로, 아래쪽으로, 위쪽으로" 등)는, 설명되고 있는 도면과 관련 설명을 모두 참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상대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고안의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해야 함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또한, "장착된, 부착된, 연결된, 이어진, 상호 연결된" 등의 구성 간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개별 구성들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부착 혹은 연결되거나 고정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이동 가능하게 부착, 연결, 고정된 상태뿐만 아니라, 이동 불가능한 상태까지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괄약근 운동 방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괄약근 운동 방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의 (A)는 상측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B)는 하측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괄약근 운동 방석(10)은 쿠션부(12), 주머니부(14), 레일부(16) 및 받침부(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부(12)는 쿠션을 갖으며 사용자의 엉덩이 주변부가 맞닿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쿠션부(12) 내에는 쿠션 재질의 내장재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볼록한 띠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쿠션부(12)의 형상은 땅콩 모양을 바람직한 예시로 설명하지만, 사각형이나 원형 또는 타원형 기타 다각형의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주머니부(14)는 쿠션부(12)의 내측 둘레면에 형성되며, 쿠션부(12)에 연결될 수 있고, 일체로도 형성될 수 있다.
주머니부(14)는 평면 형상을 갖으며, 내부에 물체를 내장할 수 있도록 주머니 형태의 내겹(14a)과 외겹(14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겹(14a)은 상측에 위치하는 면이고, 외겹(14b)은 하측에 위치하는 면일 수 있다.
주머니부(14)의 하면에는 물체를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도록 지퍼(14c)가 형성될 수 있다.
주머니부(14)는 쿠션부(12)의 내측 둘레면의 상하 중심라인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주머니부(14)의 내측에는 레일부(16)와 받침부(18)가 내장될 수 있다.
레일부(16)는 탄성이 있는 긴 주머니(16a)와 그 주머니 내부에 내장재(16b)가 내장된 형태를 갖을 수 있다.
내장재는 원적외선 방출 및 향균 기능을 갖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내장재는 알갱이 형태이며, 내장재의 내장량에 따라 탄성을 갖는 주머니의 강도는 변화될 수 있다.
레일부(16)는 땅콩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본 고안의 과제를 구현하는 데 있어 가장 바람직하나, 반드시 땅콩 모양일 필요는 없다.
레일부(16)의 형상은 받침부(18)의 형상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레일부(16)는 쿠션부(12)의 안쪽에 위치하므로 사람의 항문 부위를 압박하는 위치에 있으며, 레일부(16)의 강도에 따라 항문 부위를 압박하는 정도도 가변될 수 있다.
받침부(18)는 비교적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져 레일부(16)를 하면으로부터 지지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엉덩이의 항문 부위를 압박할 때 최소한의 압박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받침부(18)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삽입홈(18a)을 갖을 수 있다.
받침부(18)는 땅콩 모양일 수 있으며, 다르게는 하나 이상의 비정형형의 홀을 갖는 형태를 갖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땅콩 모양의 홀, 원형 또는 타원형의 홀, 다수개의 원형이나 타원형의 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받침부(18)의 바닥면(18b)은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하방향으로부터의 지지력을 더 확보할 수 있다.
방석(10)에서 레일부(16)를 땅콩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은, 사람의 항문을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 엉덩이에 대응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방석(10)은 외측에 쿠션부(12)를 두고, 내측에 레일부(16) 및 받침부(18)를 두어, 사람이 앉았을 때 쿠션부(12)에 의해 엉덩이 주변부는 편안함을 느끼게 하고, 항문 주변은 레일부(16)에 위치하여 항문에 압박감을 주도록 하여 일정 시간 앉아 있게 되면 자연스럽게 괄약근 운동이 되고, 괄약근이 강화되면서, 필요에 따라서는 치질 개선의 효과를 가져오도록 한다.
내장재는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향균 기능을 갖는 원적외선 방사체이고, 알갱이 형태로 제작된 물질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알곡 또는 맥섬석(맥반석) 알갱이, 세라믹 원석 알갱이, 숯 알갱이, 황토 알갱이, 압착된 약초 알갱이가 포함될 수 있고 이들을 혼합하여 제작된 알갱이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괄약근 운동 방석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쿠션부의 형태를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도 3은 타원형 또는 원형의 쿠션부에 중공부의 형상이 땅콩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인다.
괄약근 운동 방석(20)은 쿠션부(22), 주머니부(24), 레일부(26) 및 받침부(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직사각형의 쿠션부에 중공부의 형상이 땅콩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인다.
괄약근 운동 방석(30)은 쿠션부(32), 주머니부(34), 레일부(36) 및 받침부(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항문 부위를 압박하여 괄약근 운동과 치질 개선 또는 치료용으로 땅콩 모양의 레일부를 내측에 삽입하고 그 외부에는 쿠션이 있는 쿠션부를 두어 장시간 앉아 있어도 피로도가 쌓이지 않도록 보조하는 방석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기초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와 같은 단순한 수정 및 변형은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벗어날 수 없음이 명백하다.
10, 20, 30 : 방석 12, 22, 32 : 쿠션부
14, 24, 34 : 주머니부 16, 26, 36 : 레일부
18, 28, 38 : 받침부 14a : 내겹
14b : 외겹 14c : 지퍼
16a : 긴 주머니 16b : 내장재
18a : 삽입홈 18b : 바닥면

Claims (7)

  1. 쿠션을 갖으며, 소정의 형상을 갖는 쿠션부와;
    상기 쿠션부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주머니부와;
    상기 주머니부에 내장되고, 하면 지지력을 갖도록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레일부를 내장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쿠션부의 내측면에 맞닿아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 상에서 상기 받침부의 모양을 따라서 위치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탄성이 있는 긴 주머니 꼴이고,
    상기 레일부의 내부에는 알갱이 형태의 내장재가 내장되고, 내장되는 내장재의 내장량에 따라, 상기 레일부의 강도가 조절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레일부를 하면으로부터 지지하여 압박력을 가할 수 있도록 바닥면은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홈의 형상에 따라 상기 레일부의 형상을 가변시키고,
    상기 주머니부는 상기 레일부와 받침부를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면에 지퍼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의 내장재는 원적외선 방출 및 향균 기능을 갖는, 괄약근 운동 방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의 내측 둘레 및 상기 레일부는 땅콩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쿠션부의 외측 둘레 형상은 땅콩 모양, 다각형, 원 또는 타원의 형태를 갖으며,
    상기 받침부는 땅콩 모양의 형태를 갖는, 괄약근 운동 방석.
  6. 삭제
  7. 삭제
KR2020180004166U 2018-09-06 2018-09-06 괄약근 운동 방석 KR200493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166U KR200493533Y1 (ko) 2018-09-06 2018-09-06 괄약근 운동 방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166U KR200493533Y1 (ko) 2018-09-06 2018-09-06 괄약근 운동 방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587U KR20200000587U (ko) 2020-03-16
KR200493533Y1 true KR200493533Y1 (ko) 2021-04-30

Family

ID=69948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166U KR200493533Y1 (ko) 2018-09-06 2018-09-06 괄약근 운동 방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5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455B1 (ko) * 2020-12-31 2021-08-04 주식회사 본위 온열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치질 치료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9979A (ja) * 2001-12-27 2003-07-08 Nippon Sogyo:Kk 座布団
CN201691479U (zh) * 2010-06-24 2011-01-05 张毅 保健坐垫
KR200466605Y1 (ko) * 2011-11-17 2013-04-25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복회음 수술 환자용 방석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44121Y2 (ko) * 1984-09-19 1989-12-20
KR200263427Y1 (ko) 2001-10-25 2002-02-04 신문식 치질 예방용 방석
KR200393712Y1 (ko) 2005-06-10 2005-08-30 이영길 치질 돌출 방지용 방석
KR200421358Y1 (ko) 2006-04-12 2006-08-01 광 지 진 에어 셀과 에어 박스로 구성된 욕창 치질 방지용 방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9979A (ja) * 2001-12-27 2003-07-08 Nippon Sogyo:Kk 座布団
CN201691479U (zh) * 2010-06-24 2011-01-05 张毅 保健坐垫
KR200466605Y1 (ko) * 2011-11-17 2013-04-25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복회음 수술 환자용 방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587U (ko)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26526A (en) Mattresses
KR101883182B1 (ko) 기능성 베개
US20030182725A1 (en) Pillow for health
JPS61272052A (ja) ボデイ−支持パツド
US10455944B2 (en) Seat cushion
KR102067637B1 (ko) 매트리스 구조 및 그 기술특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그 사용에 대하여 이해하는 것과 사용자의 적응 가부를 결정하는 것에 도움을 주는 방법
US6966088B1 (en) Cushion to support patient with bed sores
KR101577903B1 (ko)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WO2018033114A1 (zh) 按摩床垫
KR200321358Y1 (ko) 건강베개
KR200493533Y1 (ko) 괄약근 운동 방석
KR101996500B1 (ko) 괄약근 운동 또는 치질 치료용 방석
KR200482062Y1 (ko) 스트레칭 기구 패키지
KR102081369B1 (ko) 매트
KR20180000175A (ko) 욕창 방지용 방석
CN210493448U (zh) 一种乳胶床垫
KR102545022B1 (ko) 베개
CN207444677U (zh) 一种充气式打坐垫
CN206044087U (zh) 一种理疗座垫
KR100584040B1 (ko) 건강베개
KR101237557B1 (ko) 한지를 이용한 방석
CN213405618U (zh) 一种分区调节护颈的枕芯
KR102516338B1 (ko) 자기 발생 보료를 갖는 기능성 침대
KR102237187B1 (ko) 의료기기용 마그네틱조립체가 내장된 건강베개
CN208807951U (zh) 一种竹炭负离子床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