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523Y1 - 캐리어 커버 - Google Patents

캐리어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523Y1
KR200493523Y1 KR2020200004001U KR20200004001U KR200493523Y1 KR 200493523 Y1 KR200493523 Y1 KR 200493523Y1 KR 2020200004001 U KR2020200004001 U KR 2020200004001U KR 20200004001 U KR20200004001 U KR 20200004001U KR 200493523 Y1 KR200493523 Y1 KR 2004935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buckle
strap
female buckle
male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0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조
Original Assignee
김미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조 filed Critical 김미조
Priority to KR2020200004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5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5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5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A45C7/0086Flexible luggage; Hand bag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ble elements which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45C13/103Arrangement of zip-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38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 A45C13/1046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of string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4Stays or supports for holding lids or covers ope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2013/1015Arrangement of fasteners of hook and loop ty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05Means for indicating features of the content from outsid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0Transparent wall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면, 후면, 제1 측면 및 제2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제1 암버클과 제1 수버클을 포함하는 제1 잠금부; 및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 각각에서 상방을 향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제2 수버클 및 제2 암버클을 포함하는 제2 잠금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캐리어 커버{CARRIER COVER}
본 고안은 캐리어 커버에 관한 것이다.
여행은 빡빡한 일상에서 벗어나 쉼을 주고 지친 마음을 재정비하는 시간이다. 사람들의 여행필수품 중 하나로 캐리어를 꼽을 수 있는데, 캐리어는 여행 내내 필요한 짐들을 모두 수용하는 여행용 가방으로써 천으로 만들어진 천 캐리어, 딱딱한 하드 케이스 캐리어, 탄성을 가지는 소프트 캐리어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천으로 만들어진 천 캐리어는 가볍고 수용공간이 넓은 반면에 천이라는 재질의 특성상 방수가 전혀 불가능하며 오염이 묻을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하드 케이스 캐리어는 가방을 감싸는 딱딱한 재질이 내용물을 보호해주고, 여행 후에도 보관이나 청소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캐리어 운반 중에 캐리어 외부면에 흠집이 나거나 파손되기 쉽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소프트 캐리어 역시 하드 케이스 캐리어와 마찬가지로 캐리어 운반 중에 캐리어 외부면에 흠집이 나거나 파손되기 쉽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예전에는 캐리어를 단지 운반 수단으로 이용했지만 요즘에는 자신의 개성과 멋을 살리기 위한 여행 아이템으로 자리 잡게 되어서 고가의 캐리어를 사는 여행객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공항에서 수화물을 운반하는 중에 캐리어 외부면에 흠집이 나거나 파손되어 캐리어가 망가지고, 미관상 보기 좋지 않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37453호(2018.12.27.)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캐리어 운반 중의 파손이나 오염을 방지하여 캐리어를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캐리어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캐리어 커버에 방수소재의 적용으로 비 또는 눈으로부터 캐리어의 내용물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호하는 캐리어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캐리어 크기에 맞춰 캐리어 커버 상부를 돌돌 말아서 잠금장치로 고정하기 때문에, 캐리어 커버가 캐리어에 더욱 밀착되어, 미관상 보기에도 좋고 캐리어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캐리어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후면, 제1 측면 및 제2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제1 암버클과 제1 수버클을 포함하는 제1 잠금부; 및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 각각에서 상방을 향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제2 수버클 및 제2 암버클을 포함하는 제2 잠금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잠금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부 둘레를 따라 고정되는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의 양 측 단부 각각에 상기 제1 암버클과 상기 제1 수버클이 고정되며, 상기 바디부의 상부는 상기 스트랩의 두께를 따라 하방으로 감길 수 있는 캐리어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 내측에 캐리어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의 상부는 캐리어의 상측까지 상기 스트랩을 따라 하방으로 감기고, 상기 바디부의 상부가 감겨있는 상태에서, 양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제1 암버클과 상기 제1 수버클이 서로 체결 가능한 캐리어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 내측에 캐리어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의 상부는 캐리어의 상측까지 상기 스트랩을 따라 하방으로 감기고, 상기 바디부의 상부가 감겨있는 상태에서, 양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제1 암버클 및 상기 제1 수버클 각각은 상기 제2 수버클 및 상기 제2 암버클 각각에 체결되는 캐리어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에는, 상부 일정 높이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캐리어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손잡이오픈지퍼; 및 상기 제1 측면 또는 상기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과 상기 후면 사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면 또는 상기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과 상기 후면 사이를 개방하는 개방지퍼;가 형성되는 캐리어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에는, 일 영역에 형성되는 투명시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에는, 상기 손잡이오픈지퍼 하측에 형성되어,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포켓부;가 형성되는 캐리어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캐리어 운반 중의 파손이나 오염을 방지하여 캐리어를 오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커버에 방수소재의 적용으로 비 또는 눈으로부터 캐리어의 내용물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크기에 맞춰 캐리어 커버 상부를 돌돌 말아서 잠금장치로 고정하기 때문에, 캐리어 커버가 캐리어에 더욱 밀착되어, 미관상 보기에도 좋고 캐리어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커버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커버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커버의 평면도와 저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커버를 캐리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커버에 지지부, 완충돌기 및 체결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에 따른 지지부 및 체결부를 통해 두개의 캐리어 커버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커버에 걸이부, 범퍼돌기 및 수납박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1에 따른 수납박스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커버(1)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커버(1)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커버(1)의 평면도와 저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캐리어 커버(1)는 바디부(10), 제1 잠금부(20) 및 제2 잠금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는 내부에 수용되는 캐리어를 외면을 감싸 캐리어를 보호할 수 있다. 바디부(10)는 전면부(110), 후면부(120), 제1 측면부(130), 제2 측면부(140), 바닥부(150), 상측개방부(160) 및 하측개방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0)는 전면부(110), 후면부(120), 제1 측면부(130) 및 제2 측면부(140)로 이루어져 상면이 개방된 상측개방부(160)와 하면이 개방된 하측개방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110), 후면부(120), 제1 측면부(130), 제2 측면부(140) 및 바닥부(150)는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방수 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부(110)에는 투명시트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시트부(111)는 전면부(110)의 일 영역에서 바디부(10) 내부가 외부로 보여질 수 있도록 방수 기능의 투명 또는 반투명의 비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시트부(111)를 통해 바디부(10) 내부의 캐리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후면부(120)에는 포켓부(121), 손잡이오픈지퍼(122) 및 개방지퍼(123)가 형성될 수 있다.
포켓부(121)는 후면부(120)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캐리어에 보관하지 않는 추가 물품을 수용할 수 있다. 포켓부(121)의 일 측에는 포켓지퍼(1211)가 형성되어, 포켓부(121)를 개폐할 수 있다.
손잡이오픈지퍼(122)는 후면부(120)의 상부 일정 높이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지퍼일 수 있다. 손잡이오픈지퍼(122)를 개방하여 바디부(10) 내부에 수용된 캐리어의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개방지퍼(123)는 제1 측면에서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과 후면부(120) 사이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바디부(10)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길게 형성되는 지퍼일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개방지퍼(123)가 제2 측면과 후면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개방지퍼(123)는 제2 측면과 후면사이에서, 바디부(10)의 상부에서 하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개방지퍼(123)를 개방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면과 후면부(120)의 하측에서부터 일정 길이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다만, 후면부(120)에 형성되는 포켓지퍼, 손잡이오픈지퍼(122) 및 개방지퍼(123)는 지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벨크로, 단추 등 다양한 체결 구조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150)는 일 단은 전면부(110)의 하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 단이 후면부(120)의 하부에 탈부착될 수 있다. 바디부(10) 내부에 캐리어가 수용된 상태에서, 바닥부(150)의 단 부를 후면부(120)에 부착함으로써, 캐리어의 하부를 감싸며 고정할 수 있다.
바디부(10)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의 바닥부(150)의 타 단에는 제1 벨크로(15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바닥부(150)의 타 단과 접촉될 수 있는 후면부(120)의 하부 외측면에는 제2 벨크로(152)가 설치될 수 있다. 바닥부(150)의 제1 벨크로(151)와 후면부(120)의 제2 벨크로(152)가 서로 접촉됨에 따라, 바닥부(150)의 타 단이 후면부(120)의 하부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측개방부(160)와 하측개방부(170)를 통해 캐리어가 바디부(10) 내부로 끼워지거나, 바디부(10) 외부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잠금부(20)는 바디부(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잠금부(20)는 스트랩(210), 제1 암버클(220) 및 제1 수버클(23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210)은 바디부(10)의 상부 둘레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0)의 상측개방부(160)를 형성하는 바디부(10)의 상단 둘레를 따라 스트랩(21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스트랩(210)의 양 측 단부 각각에는 제1 암버클(220)과 제1 수버클(230) 각각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제1 암버클(220)과 제1 수버클(230)은 제1 측면부(130) 및 제2 측면부(140)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도록 스트랩(210)의 양 측 단부 각각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암버클(220)은 제1 측면부(130) 방향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1 수버클(230)은 제2 측면부(140) 방향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암버클(220)과 제1 수버클(230)은 서로 체결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암버클(220)과 제1 수버클(230)은 투터치 버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잠금부(30)는 제1 측면부(130) 및 제2 측면부(140)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잠금부(30)는 고정끈(310), 제2 수버클(320), 제2 암버클(330) 및 고리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끈(310)은 제1 측면부(130) 및 제2 측면부(140) 각각에서 일정 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고정끈(310)은 제2 수버클(320)과 제2 암버클(330)을 고정할 수 있다.
제2 수버클(320)과 제2 암버클(330) 각각은 제1 측면부(130) 및 제2 측면부(140)에 고정된 고정끈(310)에 고정되되, 각각에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버클(320)은 제1 측면부(130)에서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2 암버클(330)은 제2 측면부(140)에서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리부(340)는 고정끈(310)의 하부에 형성되며, 끈 형태로 형성되며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고리부(340)를 통해 배낭 등 추가적인 짐을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커버(1)를 캐리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캐리어 커버(1)가 캐리어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하측개방부(170)를 통해 바디부(10) 내부에 캐리어가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하측개방부(170)를 통해 캐리어에 바디부(10)를 씌울 때, 제1 측면부(130)과 후면 사이의 개방지퍼(123)를 개방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캐리어를 바디부(10) 내부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바디부(10)가 캐리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바닥부(150)의 제1 벨크로(151)를 후면부(120)의 제2 벨크로(152)에 부착하여, 캐리어 하측을 고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잠금부(20)의 스트랩(210)을 기준으로 바디부(10)의 상부를 하방으로 감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0) 내측에 캐리어가 수용된 상태에서 바디부(10)의 상부가 스트랩(210)의 두께를 따라 하방으로 감길 수 있다. 이때, 캐리어의 높이에 맞춰 캐리어의 상측까지 바디부(10)가 상부가 감겨서, 바디부(10)가 캐리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바디부(10)의 상부가 스트랩(210)을 따라 하방으로 감기더라도, 제1 암버클(220)과 제1 수버클(230) 각각은 제1 측면부(130)과 제2 측면부(140)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 바디부(10)의 상부가 캐리어의 상측까지 감겨있는 상태에서, 양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암버클(220)과 제1 수버클(230)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제1 암버클(220)과 제1 수버클(230)이 체결됨으로써, 상측개방부(160)가 차폐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면, 바디부(10)의 상부가 캐리어의 상측까지 감겨있는 상태에서, 양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암버클(220)과 제1 수버클(230) 각각은 제2 수버클(320) 및 제2 암버클(330)과 각각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암버클(220)은 제1 측면부(130)에 설치된 제2 수버클(320)과 체결되고, 제1 수버클(230)은 제2 측면부(140)에 설치된 제2 암버클(330)과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부(10) 상부가 감겨 있는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캐리어의 높이에 따라 바디부(10)의 상부를 감으면 되기 때문에, 캐리어의 크기에 제약 받지 않고 캐리어 커버(1)를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커버(1)에 지지부(40), 완충돌기(50) 및 체결부(6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른 지지부(40) 및 체결부(60)를 통해 두개의 캐리어 커버(1)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캐리어 커버(1)는 지지부(40), 완충돌기(50) 및 체결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커버(1)는 지지부(40), 완충돌기(50) 및 체결부(60)를 포함하여 두 개의 캐리어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캐리어에 캐리어 커버(1)가 장착된 상태에서, 캐리어 커버(1)에 다른 하나의 캐리어가 함께 지지되도록 연결하여, 한 사람이 두 개의 캐리어를 동시에 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40)는 바닥부(150)의 외측면에 탈부착될 수 있다. 지지부(40)는 고정바(41), 연장바(42) 및 탄성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바(41)는 바닥부(150)의 외측면에 탈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바(41)의 상면에는 바닥부(150)의 외측면과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시트, 돌기부 등의 체결 구조 중 하나가 설치되어 바닥부(150)의 외측면과 탈부착될 수 있다.
바닥부(150)의 타 단부가 후면부(120)에 부착된 상태에서, 고정바(41)가 바닥부(150)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고정바(41)는 전면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고정바(41)의 높이는 캐리어의 바퀴 높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바(42)는 고정바(41)의 전방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연장바(42)는 탄성부(43)에 의해 고정바(41)와 연결될 수 있다. 연장바(42)의 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턱(421)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43)는 고정바(41)의 내측과 연장바(42)의 내측에 연결되어 고정바(41)와 연장바(42)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43)의 일 단은 고정바(41)의 내측에 고정되고, 탄성부(43)의 타 단은 연장바(42)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43)가 외력에 의해 인장됨에 따라 연장바(42)가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바(41)와 연장바(42) 상면에는 캐리어 커버(1)의 바디부(10) 내부에 있는 하나의 캐리어가 아닌 다른 하나의 캐리어가 놓여질 수 있다. 이때, 다른 하나의 캐리어의 폭에 따라 연장부가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하나의 캐리어는 캐리어 커버(1)가 장착된 상태일 수도 있고, 캐리어 커버(1)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일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다른 하나의 캐리어에도 캐리어 커버(1)가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완충돌기(50)는 전면부(110)에서 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완충돌기(50)는 전면부(110)와 다른 하나의 캐리어 후면부(120)을 소정 거리 이격시켜 전면부(1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하나의 캐리어 후면부(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체결부(60)는 제2 잠금부(30)의 고정끈(310) 또는 고리부(340)에 걸릴 수 있다. 체결부(60)는 밴드(61), 제3 암버클(62) 및 제3 수버클(63)을 포함할 수 있다. 밴드(61)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밴드(61)의 일 단부에 제3 암버클(62)이 고정되고 밴드(61)의 타 단부에 제3 수버클(63)이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60)는 제2 잠금부(30)의 고정끈(310) 또는 고리부(340)를 관통하여 제3 암버클(62)과 제3 수버클(63)이 체결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을 참조하면, 두 개의 캐리어 각각에 캐리어 커버(1)가 장착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캐리어 커버(1)의 지지부(40)에 다른 하나의 캐리어가 안착될 수 있다.
연장바(42)가 탄성부(43)에 의해 다른 하나의 캐리어 폭에 대응되도록 고정바(41)에서 돌출되고, 어느 하나의 캐리어 커버(1)의 고정바(41)와 연장바(42)의 상면에 다른 하나의 캐리어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캐리어 커버(1)의 체결부(60)와 다른 하나의 캐리어 커버(1)의 체결부(60')가 서로 체결되어 두 개의 캐리어가 밀착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체결부(60)의 제3 암버클(62)은 다른 하나의 체결부(60')의 제4 수버클(62')과 체결되고, 어느 하나의 체결부(60)의 제3 수버클(63)은 다른 하나의 체결부(60')의 제4 암버클(63')과 체결될 수 있다. 이처럼, 두 개의 체결부(60, 60')가 서로 체결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캐리어 커버(1)의 고정끈(310) 또는 고리부(340)와 다른 하나의 캐리어 커버(1)의 고정끈(310) 또는 고리부(340)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캐리어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캐리어 손잡이를 잡고 캐리어를 끌고 이동함으로써, 두 개의 캐리어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커버(1)에 걸이부(70), 범퍼돌기 및 수납박스(9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수납박스(9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캐리어 커버(1)는 걸이부(70), 범퍼돌기편(80) 및 수납박스(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수납박스(90)를 전면부(110)에 설치하여 공항내에서 이동 시에 보관이 필요한 물품을 잠시 수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폰, 커피, 티켓 등 공항 내에서 이동 또는 휴식 시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걸이부(70)는 전면부(110)의 투명시트부(111) 양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걸이부(70)에는 수납박스(90)의 배면(911)에 설치된 갈고리 형태의 고리를 걸어, 수납박스(90)를 고정할 수 있다.
범퍼돌기편(80)은 전면부(110)에서 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범퍼돌기편(80)은 투명시트부(111)에 설치되어, 투명시트부(111)와 수납박스(90)를 소정 거리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납박스(90)에 의해 투명시트부(11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납박스(90)의 배면(9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수납박스(90)는 걸이부(70)에 걸리고 범퍼돌기편(80)에 밀착되어 전면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수납박스(90)는 몸체(91), 프레임(92) 및 칸막이바(9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91)는 배면(911), 앞면(912) 및 측면(9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면(911)과 전면일 기준으로 측면(913)은 양 측과 하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몸체(91)는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91)는 원단 재질로 형성되어 폴딩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납박스(9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폴딩하여 수납함으로써, 보관이 용이하다. 몸체(91)가 폴딩된 상태일 때는 복수의 측면(913)이 폴딩되어 부피가 감소될 수 있다.
프레임(92)은 앞면(912)에서 배면(911) 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92)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단이 앞면(912)의 양측 하부 모서리에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92)은 앞면(912)과 수평하게 밀착된 상태에서 앞면(912)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면(911)측으로 회동할 수 있다.
프레임(92)이 배면(911) 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프레임(92)의 길이만큼 앞면(912)과 배면(911)이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처럼, 프레임(92)에 의해 앞면(912)과 배면(911)이 이격되도록 몸체(91)가 펼쳐질 수 있다. 몸체(91)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칸막이바(93)는 배면(911)의 상단에 설치되어 몸체(91) 내부의 수납공간을 복수개로 분리할 수 있다. 칸막이바(93)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배면(911)과 수평하게 밀착되거나 배면(911)과 수직하게 회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피나 음료를 수납할 때는 음료 병이 옆으로 쓰러지지 않고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칸막이바(93)를 배면(911)과 수직하게 회동시켜 수납공간을 분리할 수 있다. 음료 수납 후 남은 수납공간에는 핸드폰 등을 보관할 수 있다. 이처럼, 수납박스(90)를 이용하여 공항 내에서 이동시 간편하게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캐리어 커버 10: 바디부
110: 전면부 111: 투명시트부
120: 후면부 121: 포켓부
122: 손잡이오픈지퍼 123: 개방지퍼
130: 제1 측면부 140: 제2 측면부
150: 바닥부 151: 제1 벨크로
152: 제2 벨크로 160: 상측개방부
170: 하측개방부
20: 제1 잠금부 210: 스트랩
220: 제1 암버클 230: 제1 수버클
30: 제2 잠금부 310: 고정끈
320: 제2 수버클 330: 제2 암버클
340: 고리부
40: 지지부 41: 고정바
42: 연장바 421: 돌출턱
43: 탄성부 50: 완충돌기
60: 체결부 61: 밴드
62: 제3 암버클 63: 제3 수버클
60': 체결부 61': 밴드
62': 제4 수버클 63': 제4 암버클
70: 걸이부 80: 범퍼돌기편
90: 수납박스 91: 몸체
911: 배면 912: 앞면
913: 측면 92: 프레임
93: 칸막이바

Claims (6)

  1. 전면부, 후면부,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로 이루어져, 상면이 개방된 상측개방부와 하면이 개방된 하측개방부가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제1 암버클과 제1 수버클을 포함하는 제1 잠금부; 및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 각각에서 상방을 향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제2 수버클 및 제2 암버클을 포함하는 제2 잠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측면부 또는 상기 제2 측면부 중 어느 하나의 측면부와 상기 후면부 사이의 연결부분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면부 또는 상기 제2 측면부 중 어느 하나의 측면부와 상기 후면부 사이를 개방하는 개방지퍼;가 형성되는 캐리어 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부 둘레를 따라 고정되는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의 양 측 단부 각각에 상기 제1 암버클과 상기 제1 수버클이 고정되며,
    상기 바디부의 상부는 상기 스트랩의 두께를 따라 하방으로 감길 수 있는 캐리어 커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내측에 캐리어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의 상부는 캐리어의 상측까지 상기 스트랩을 따라 하방으로 감기고,
    상기 바디부의 상부가 감겨있는 상태에서, 양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제1 암버클과 상기 제1 수버클이 서로 체결 가능한 캐리어 커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내측에 캐리어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의 상부는 캐리어의 상측까지 상기 스트랩을 따라 하방으로 감기고,
    상기 바디부의 상부가 감겨있는 상태에서, 양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제1 암버클 및 상기 제1 수버클 각각은 상기 제2 수버클 및 상기 제2 암버클 각각에 체결되는 캐리어 커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에는,
    상부 일정 높이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캐리어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손잡이오픈지퍼;가 형성되는 캐리어 커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에는,
    일 영역에 형성되는 투명시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에는,
    상기 손잡이오픈지퍼 하측에 형성되어,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포켓부;가 형성되는 캐리어 커버.
KR2020200004001U 2020-11-05 2020-11-05 캐리어 커버 KR2004935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001U KR200493523Y1 (ko) 2020-11-05 2020-11-05 캐리어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001U KR200493523Y1 (ko) 2020-11-05 2020-11-05 캐리어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523Y1 true KR200493523Y1 (ko) 2021-04-16

Family

ID=7573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001U KR200493523Y1 (ko) 2020-11-05 2020-11-05 캐리어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523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214522U (zh) * 2015-12-16 2016-05-11 黄渊钟 行李箱保护套
KR20170003162U (ko) * 2016-03-01 2017-09-11 포-치 라이
KR20180137453A (ko) 2018-12-07 2018-12-27 이창중 여행용 캐리어
KR20200033357A (ko) * 2018-09-04 2020-03-30 강미현 보조수납부가 구비된 배낭
KR102173061B1 (ko) * 2019-07-11 2020-11-02 정채현 보조 가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여행 가방 커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214522U (zh) * 2015-12-16 2016-05-11 黄渊钟 行李箱保护套
KR20170003162U (ko) * 2016-03-01 2017-09-11 포-치 라이
KR20200033357A (ko) * 2018-09-04 2020-03-30 강미현 보조수납부가 구비된 배낭
KR20180137453A (ko) 2018-12-07 2018-12-27 이창중 여행용 캐리어
KR102173061B1 (ko) * 2019-07-11 2020-11-02 정채현 보조 가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여행 가방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3352B2 (en) Luggage container with concealed carrying means
US7565974B2 (en) Bottled beverage holding luggage
US7886884B2 (en) Carry-on luggage case
US6742684B2 (en) Wheeled backpack
WO2001049145A1 (en) Storage device
US10118083B2 (en) Portable snow sports equipment locker
US11583048B2 (en) Bag with transparent compartment
CA2537167A1 (en) A storage device foldable between carrying and hanging conditions
US20090173646A1 (en) Carrier - for Bottles and Such
US20100059322A1 (en) Luggage assembly
US20190133277A1 (en) Multifunction baby travel bag
US20160037884A1 (en) Suitcase Convertible Into A Cot
US20140246346A1 (en) Pouch storage compartment for a vehicle
KR200493523Y1 (ko) 캐리어 커버
KR101760809B1 (ko) 다양한 휴대성을 갖는 가방
KR200482104Y1 (ko) 다기능 가방
JP3235829U (ja) デリバリーボックス
KR102336167B1 (ko) 펼침 기능이 구비된 캐리어
KR20040106204A (ko) 배낭
KR102173061B1 (ko) 보조 가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여행 가방 커버
KR200458984Y1 (ko) 캐리어 커버
KR101495703B1 (ko) 여행용 가방
KR101869079B1 (ko) 보조수납실을 갖는 여행용 가방
KR200481599Y1 (ko) 보조 개폐부가 구비되는 여행용 가방
KR20200002864U (ko) 여행용 캐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