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476Y1 - Ring holder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Ring holder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476Y1
KR200493476Y1 KR2020190003640U KR20190003640U KR200493476Y1 KR 200493476 Y1 KR200493476 Y1 KR 200493476Y1 KR 2020190003640 U KR2020190003640 U KR 2020190003640U KR 20190003640 U KR20190003640 U KR 20190003640U KR 200493476 Y1 KR200493476 Y1 KR 2004934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c
unit
ring
butt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64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0580U (en
Inventor
이동혁
Original Assignee
이동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혁 filed Critical 이동혁
Priority to KR20201900036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476Y1/en
Publication of KR202100005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58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47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8Hand articles fastened to the wrist or to the arm or to the le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NFC 기능이 탑재된 링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NFC 기술을 NFC 단말 장치의 액세서리에 접목시켜 NFC 단말 장치의 주변 기구를 통해 보다 손 쉽게 특정 어플리케이션이나 모바일 웹을 즉시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휴대통신단말의 케이스에 부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휴대통신단말을 거치시키기 위한 링 거치부; 휴대통신단말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모바일 웹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명령정보와 URL정보가 저장되며, 회로 연결에 의한 활성화 시 상기 실행명령정보와 URL정보를 포함하는 NFC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NFC 회로부; 및 상기 NFC 회로부의 회로 연결에 대한 온/오프 스위칭을 통해 상기 NFC 회로부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NFC 활성화 제어 버튼부를 포함하는 NFC 기능이 탑재된 링 거치대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ng cradle equipped with an NFC function,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is to execute a specific application or mobile web more easily through the peripheral mechanism of the NFC terminal device by incorporating NFC technology to the accessory of the NFC terminal device. It is to be able to make i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ttached to a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ring mounting portion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mount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 NFC circuit unit for storing execution command information and URL information for executing at least one of a mobile application and a mobile web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an NFC signal including the execution command information and URL information when activated by a circuit connection ; And an NFC activation control button unit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the NFC circuit unit through on/off switching for the circuit connection of the NFC circuit unit.

Description

NFC 기능이 탑재된 링 거치대{RING HOLDER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Ring holder equipped with NFC function {RING HOLDER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본 고안의 실시예는 NFC 기능이 탑재된 링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ng cradle equipped with an NFC function.

본 고안은, 최근 무선 통신 기술의 일종인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NFC 기술을 활용하는 모바일 장치가 널리 배포되고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echnology, which is a kind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s recently developed, mobile devices using NFC technology are widely distributed.

NFC 기술은 스마트 폰과 같은 NFC 단말 장치와 NFC 태그 간이 연결되어 NFC 태그에 저장된 데이터나 정보를 NFC 단말 장치의 리더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와 정보의 읽기와 쓰기가 가능하다. NFC technology is connected between an NFC terminal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nd an NFC tag to receive data or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tag through the reader of the NFC terminal device, and read and write the received data and information.

특허등록공보 제10-1946505호(등록일자: 2019년01월31일)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1946505 (Registration date: January 31, 2019)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0842호(공개일자: 2014년04월30일)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50842 (Publication date: April 30, 2014)

본 고안의 실시예는, NFC 기술을 NFC 단말 장치의 액세서리에 접목시켜 NFC 단말 장치의 주변 기구를 통해 보다 손 쉽게 특정 어플리케이션이나 모바일 웹을 즉시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NFC 기능이 탑재된 링 거치대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ing cradle equipped with an NFC function that allows an NFC technology to be grafted to an accessory of an NFC terminal device so that a specific application or mobile web can be immediately executed more easily through the peripheral mechanism of the NFC terminal device. do.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NFC 기능이 탑재된 링 거치대는, 휴대통신단말의 케이스에 부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휴대통신단말을 거치시키기 위한 링 거치부; 휴대통신단말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모바일 웹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명령정보와 URL정보가 저장되며, 회로 연결에 의한 활성화 시 상기 실행명령정보와 URL정보를 포함하는 NFC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NFC 회로부; 및 상기 NFC 회로부의 회로 연결에 대한 온/오프 스위칭을 통해 상기 NFC 회로부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NFC 활성화 제어 버튼부를 포함한다.A ring cradle equipped with an NFC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ttached to a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ring mounting portion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mount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 NFC circuit unit for storing execution command information and URL information for executing at least one of a mobile application and a mobile web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an NFC signal including the execution command information and URL information when activated by circuit connection ; And an NFC activation control button part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the NFC circuit part through on/off switching for the circuit connection of the NFC circuit part.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링 거치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링 거치부는, 링 부재; 상기 링 부재의 일측이 전후방으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링 부재의 일측을 중심으로 상기 링 부재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체가 푸시됨에 따라 상기 회전체와 상기 링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인입 또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시키기 위한 푸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ring mounting portion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the ring mounting portion includes a ring member; A rotating body in which one side of the ring member is connected to be tiltable forward and backward, and connects the ring member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one side of the ring member; And a push button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for inserting the rotating body and the ring member into or withdrawing from the housing as the rotating body is pushed.

또한, 상기 NFC 회로부는, 상기 휴대통신단말과의 유도성 결합을 형성하여 자기장 변화를 통해 상기 NFC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NFC 안테나부; 상기 NFC 안테나부로 상기 실행명령정보와 URL정보를 제공하는 NFC IC부; 및 상기 NFC 안테나부와 상기 NFC IC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NFC 활성화 제어 버튼부를 통해 상기 NFC 안테나부 및 상기 NFC IC부 간의 회로 연결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FC circuit unit may include an NFC antenna unit for transmitting the NFC signal through a magnetic field change by forming an inductive coupl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FC IC unit for providing the execution command information and URL information to the NFC antenna unit; And a switch unit connected between the NFC antenna unit and the NFC IC unit, and turning on/off a circuit connection between the NFC antenna unit and the NFC IC unit through the NFC activation control button unit.

또한, 상기 NFC 활성화 버튼부는,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위치 이동하면 상기 스위치부를 턴 온시키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위치 이동하면 상기 스위치부를 턴 오프시키는 슬라이딩 버튼부; 및 상기 슬라이딩 버튼부의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 버튼부의 슬라이딩 위치에 따른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FC activation button unit is a sliding button unit that turns on the switch unit when the position is moved by sli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turns off the switch unit when the position is moved by sliding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 And a button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button portion to display an on/off state according to a sliding position of the sliding button portion.

본 고안에 따르면, NFC 기술을 NFC 단말 장치의 액세서리에 접목시켜 NFC 단말 장치의 주변 기구를 통해 보다 손 쉽게 특정 어플리케이션이나 모바일 웹을 즉시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NFC 기능이 탑재된 링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ing cradle equipped with an NFC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immediately execute a specific application or mobile web more easily through the peripheral mechanism of the NFC terminal device by grafting the NFC technology to the accessory of the NFC terminal device. hav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NFC 기능이 탑재된 링 거치대의 전면과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링 거치부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NFC 기능이 탑재된 링 거치대의 NFC 기능 활성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front and rear of a ring holder equipped with an NFC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and ar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ring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ctivating the NFC function of a ring holder equipped with an NFC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고안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design have selected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functions in the present design, but thi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technician working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of the term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desig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desig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s of the present design, not the name of a simpl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NFC 기능이 탑재된 링 거치대의 전면과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4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링 거치부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NFC 기능이 탑재된 링 거치대의 NFC 기능 활성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front and rear of a ring holder equipped with an NFC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II′ of FIG. It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ring holder according to an example, and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ctivating an NFC function of a ring holder equipped with an NFC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NFC 기능이 탑재된 링 거치대(1000)는 하우징(100), 링 거치부(200), NFC 회로부(300) 및 NFC 활성화 제어 버튼부(400)를 포함한다.1 to 5, a ring holder 1000 equipped with an NFC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ring holder 200, an NFC circuit portion 300, and an NFC activation control button portion. Includes 400.

상기 하우징(100)은 휴대통신단말의 케이스에 부착되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링 거치대(1000)의 구성품들을 수용 및 장착될 수 있다.The housing 100 is attached to a case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y accommodate and mount components of the ring hold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하우징(100)은 대략 슬림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면 즉 후면에 접착물질이 부착 또는 도포된 접착면(110)이 구비되어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통신단말의 백 케이스 상에 부착될 수 있다.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slim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may be attached to a back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by providing an adhesive surface 110 on which an adhesive material is attached or coated on one surface, that is, a rear surface. have.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링 거치부(200)를 수용 및 설치하기 위한 수용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홈(120)은 링 거치부(200)가 수용 및 설치되도록 하우징(100)의 상면에서 그 내부 방향으로 이루어진 홈을 의미하며, 링 거치부(200)의 구조에 맞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n accommodation groove 120 for accommodating and installing the ring mounting portion 200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The receiving groove 120 refers to a groove made in the inner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so that the ring mounting part 200 is received and installed,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suitable for the structure of the ring mounting part 200. .

상기 링 거치부(200)는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휴대통신단말을 거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링 거치부(200)는 링 부재(210), 회전체(220) 및 푸시 버튼(2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ring mounting part 20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mount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is end, the ring mounting portion 200 may include a ring member 210, a rotating body 220, and a push button 230.

상기 링 부재(21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링 부재(210)의 일부분은 원호가 아닌 일직선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일직선의 원통형 부분은 회전체(22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해당 삽입 부분을 일 축으로 링 부재(210)가 전후방으로 회동되어 틸팅될 수 있다. The ring member 210 may be made of a metal or plastic material, and may be formed to have a ring shape. A portion of the ring member 2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made of a straight line instead of an arc. Such a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220, and the ring member 210 may be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with the insertion portion as one axis to be tilted.

상기 회전체(220)는, 링 부재(210)의 일측이 전후방으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며, 링 부재(210)의 일측을 중심으로 링 부재(210)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The rotating body 220 may be connected such that one side of the ring member 210 is tiltable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ring member 210 is rotatably connected around one side of the ring member 210.

좀 더 구체적으로, 회전체(220)는 링 부재(210)의 일측(일직선의 원통형 부분)이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며, 링 부재(210)의 일측을 중심으로 링 부재(210)를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링 부재(210)의 회전축은 회전체(220)의 길이 방향이며 회전체(220)의 길이 방향은 하우징(100)의 일면과 수직한 방향으로의 축이 된다. 이에 따라, 회전체(220)는 링 부재(210)가 일정 각도로 틸팅된 상태에서 상기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360도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otating body 220 is connected to one side (a straight cylindrical part) of the ring member 210 to be tilted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ring member 210 around one side of the ring member 210 Make it rotatable. Here, the axis of rotation of the ring member 210 is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220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220 is an axi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f the housing 100. Accordingly, the rotating body 220 may freely rotate 360 degrees around the above-described rotation axis while the ring member 210 is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푸시 버튼(230)은, 회전체(220)의 하부에 연결되고, 회전체(220)가 푸시됨에 따라 회전체(220)와 링 부재(210)를 하우징(100)의 수용홈(120)에 인입 또는 수용홈(120)으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다.The push button 23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220, and as the rotating body 220 is pushed, the rotating body 220 and the ring member 210 ar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20 of the housing 100. It can be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receiving groove 120.

좀 더 구체적으로, 푸시 버튼(230)은, 회전체(220)의 하부에 연결되고, 회전체(220)가 사용자에 의해 푸시됨에 따라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된 회전체(220)와 링 부재(210)를 하우징(100)의 내부에 인입하여 하우징(100) 내부에 안착된 상태로 유지시키거나, 그 상태에서 다시 푸시되면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인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회전체(220)를 최초 한번 누르게 되면, 하우징(100) 내부에 인입되어 있던 회전체(220)와 링 부재(210)가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며 그 돌출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다시 회전체(220)를 푸시하게 되면, 회전체(220)와 링 부재(210)가 하우징(100)의 내부로 인입되며 그 인입된 상태가 한 번 더 푸시하기 전까지 유지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ush button 23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220, and the rotating body 22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as the rotating body 220 is pushed by the user and The ring member 210 may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and maintained in a state seated in the housing 100, or when pushed again in that state, the ring member 210 may be pulled out so as to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to the outside. . Accordingly, when the user first presses the rotating body 220 once, the rotating body 220 and the ring member 210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and the protruding state May be maintained, and when the rotating body 220 is pushed again, the rotating body 220 and the ring member 210 are drawn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and the retracted state is maintained until pushed once more. Can be.

상기 NFC 회로부(300)는, 휴대통신단말에 설치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모바일 웹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명령정보와 URL정보가 저장되며, NFC 회로부(300)의 회로 연결에 의한 활성화 시 실행명령정보와 URL정보를 포함하는 NFC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NFC 회로부(300)는 NFC 안테나부(310), NFC IC부(320) 및 스위치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NFC circuit unit 300 stores execution command information and URL information for executing at least one of a mobile application install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web, and execution command information when activated by a circuit connection of the NFC circuit unit 300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 NFC signal including the and URL information. To this end, the NFC circuit unit 300 may include an NFC antenna unit 310, an NFC IC unit 320, and a switch unit 330.

상기 NFC 안테나부(310)는 휴대통신단말과의 유도성 결합을 형성하여 자기장 변화를 통해 NFC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NFC 안테나부(310)는 하우징(100)의 하면 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NFC 안테나부(310)의 형태를 나선형으로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구조와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The NFC antenna unit 310 may transmit an NFC signal through a magnetic field change by forming an inductive coupl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NFC antenna unit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as shown in FIG. 5, but the NFC antenna unit 310 has only a spiral shape. It is not limited, but can be changed into various structures and forms.

상기 NFC IC부(320)는 NFC 안테나부(310)를 통한 휴대통신단말과의 유도성 결합 시 NFC 안테나부(310)로 휴대통신단말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 웹을 즉시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명령정보와 URL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명령정보와 URL정보는 NFC 안테나부(310)를 통해 NFC 신호로 휴대통신단말에 무선 전송(태깅)될 수 있다. The NFC IC unit 320 includes execution command information for immediately executing a mobile application or a mobile web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he NFC antenna unit 310 when inductively coupl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NFC antenna unit 310 UR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and such execution command information and URL information may be wirelessly transmitted (tagg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NFC signal through the NFC antenna unit 310.

상기 스위치부(330)는 NFC 안테나부(310)와 NFC IC부(320) 사이에 연결되고, NFC 활성화 제어 버튼부(400)의 버튼 조작에 따라 NFC 안테나부(310) 및 NFC IC부(320) 간의 회로 연결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부(330)는 기계적 또는 물리적 스위치를 적용할 수 있으며, NFC 활성화 제어 버튼부(400)의 온 버튼 조작에 따라 NFC 안테나부(310)와 NFC IC부(32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NFC 활성화 제어 버튼부(400)의 오프 버튼 조작에 따라 NFC 안테나부(310)와 NFC IC부(320) 사이를 전기적으로 끊어버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witch unit 330 is connected between the NFC antenna unit 310 and the NFC IC unit 320, and the NFC antenna unit 310 and the NFC IC unit 320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of the NFC activation control button unit 400 The circuit connection between) can be turned on/off. The switch unit 330 may apply a mechanical or physical switch, and electrically connect the NFC antenna unit 310 and the NFC IC unit 320 according to the on-button operation of the NFC activation control button unit 400, and , It may play a role of electrically disconnecting between the NFC antenna unit 310 and the NFC IC unit 32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ff button of the NFC activation control button unit 400.

한편, 스위치부(330)는 반도체 소자와 같은 전자적인 스위치로도 구현 가능하나, 이러한 경우 반도체 스위치 소자를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배터리가 필요하며, 이러한 배터리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경우 본 실시예의 링 거치대(100)의 부피 및 단가를 불가피하게 증가시킬 수 밖에 없다. 또한, 해당 배터리가 이차전지인 경우 충전을 위한 각종 부품을 탑재해야 함에 따라 비용 및 부피 증가가 불가피하며, 일회용 배터리의 경우에도 주기적 교체에 의한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Meanwhile, the switch unit 330 can be implemented as an electronic switch such as a semiconductor device, but in this case, a separate battery is required to provide power to turn on/off the semiconductor switch device, and such a battery is additionally installed. If it is necessary, the volume and unit cost of the ring holder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inevitably increased. In addition, when the battery is a secondary battery, cost and volume increase is inevitable as various parts for charging must be mounted, and even in the case of a disposable battery, inconvenience in use due to periodic replacement occurs.

상기 NFC 활성화 제어 버튼부(400)는, NFC 회로부(300)의 회로 연결에 대한 온/오프 스위칭을 통해 NFC 회로부(300)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NFC 활성화 제어 버튼부(400)는 슬라이딩 버튼부(410)와 버튼 돌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NFC activation control button unit 400 may control activation of the NFC circuit unit 300 through on/off switching for the circuit connection of the NFC circuit unit 300. To this end, the NFC activation control button part 400 may include a sliding button part 410 and a button protrusion part 420.

상기 슬라이딩 버튼부(4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예를 들어 왼쪽 또는 위쪽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위치 이동하면 스위치부(330)를 턴 온시키고,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예를 들어 오른쪽 또는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위치 이동하면 스위치부(330)를 턴 오프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sliding button unit 410 is slid in a first direction (for example, left or upward direction) and moves to a position, the switch unit 330 is turned on, and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s performed. When the position is moved by sliding in the second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right or downward direction), the switch unit 330 may be turned off.

상기 버튼 돌출부(42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버튼부(410)의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버튼부(410)의 슬라이딩 위치에 따른 온/오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The button protrusion 420 protrude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button part 410 as shown in FIGS. 2 to 3 to be turned on/off according to the sliding position of the sliding button part 410 as shown in FIG. 1. You can display the status.

예를 들어, 버튼 돌출부(420)는 슬라이딩 버튼부(410)의 상부 중앙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버튼 돌출부(420)를 제1 방향으로 밀면 슬라이딩 버튼부(410)도 왼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스위치부(330)를 턴온 시키게 된다. 이러한 경우 NFC 안테나부(310)와 NFC IC부(320)가 연결되어 회로를 형성함에 따라 NFC 회로부(300)가 NFC 신호 송출이 가능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NFC IC부(320)에서 실행명령정보와 URL정보가 NFC 안테나부(310)을 통해 NFC 신호로서 휴대통신단말에 무선 전송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utton protrusion 420 may be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from the upper center of the sliding button part 410, and when the user pushes the button protrusion 420 in the first direction, the sliding button part 410 is also left The switch unit 330 is turned on while sliding in the direction. In this case, as the NFC antenna unit 310 and the NFC IC unit 320 are connected to form a circuit, the NFC circuit unit 300 may be switched to an activated state capable of transmitting an NFC signal. In this case, execution command information and URL information from the NFC IC unit 320 may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NFC signal through the NFC antenna unit 310.

또한, 사용자가 버튼 돌출부(420)를 제2 방향으로 밀면 슬라이딩 버튼부(410)도 오른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스위치부(330)를 턴오프 시키게 된다. 이러한 경우 NFC 안테나부(310)와 NFC IC부(320)로 이루어진 회로 연결이 끊김으로써 NFC 회로부(300)가 NFC 신호 송출이 불가능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pushes the button protrusion 420 in the second direction, the sliding button 410 also slides to the right and turns off the switch 330. In this case, the circuit connection consisting of the NFC antenna unit 310 and the NFC IC unit 320 is disconnected, so that the NFC circuit unit 300 may be switched to a deactivated state in which NFC signal transmission is impossible.

휴대통신단말의 NFC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본 실시예의 링 거치대(1000)에 대한 NFC 기능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스위치부(330)와 NFC 활성화 제어 버튼부(400)를 이용하여 링 거치대(1000)의 NFC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NFC 회로부(300)로부터 휴대통신단말에 NFC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In order to use the NFC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NFC function for the ring holder 1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ust be activated first. To this end, the NFC function of the ring holder 1000 is activated using the switch unit 330 and the NFC activation control button unit 400, and an NFC signal can be transmitted from the activated NFC circuit unit 30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이때, 휴대통신단말의 잠금해제를 한 상태에서 NFC 신호가 수신되어 해당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으며, 휴대통신단말의 잠금해제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잠금해제 이후 특정 모바일 앱이나 웹을 자동 실행시켜 사용자가 즉시, 보다 빠르게 해당 앱이나 웹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nlocked, an NFC signal is received to process the corresponding process,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unlocked automatically. In addition, after unlocking, a specific mobile app or web can be automatically launched so that the user can activate the app or web in a state where they can use the app or web immediately.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의한 NFC 기능이 탑재된 링 거치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a ring cradle equipped with an NFC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subject design belongs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esign to the extent that various changes can be implemented.

1000: NFC 기능이 탑재된 링 거치대
100: 하우징
110: 접착면
120: 수용홈
200: 링 거치부
210: 링 부재
220: 회전체
230: 푸시 버튼
300: NFC 회로부
310: NFC 안테나부
320: NFC IC부
330: 스위치부
400: NFC 활성화 제어 버튼부
410: 슬라이딩 버튼부
420: 버튼 돌출부
1000: Ring holder with NFC function
100: housing
110: adhesive side
120: receiving groove
200: ring mount
210: ring member
220: rotating body
230: push button
300: NFC circuit unit
310: NFC antenna unit
320: NFC IC unit
330: switch unit
400: NFC activation control button unit
410: sliding button part
420: button protrusion

Claims (4)

휴대통신단말의 케이스에 부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휴대통신단말을 거치시키기 위한 링 거치부;
휴대통신단말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모바일 웹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명령정보와 URL정보가 저장되며, 회로 연결에 의한 활성화 시 상기 실행명령정보와 URL정보를 포함하는 NFC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NFC 회로부; 및
상기 NFC 회로부의 회로 연결에 대한 온/오프 스위칭을 통해 상기 NFC 회로부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NFC 활성화 제어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NFC 회로부는,
상기 휴대통신단말과의 유도성 결합을 형성하여 자기장 변화를 통해 상기 NFC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NFC 안테나부;
상기 NFC 안테나부로 상기 실행명령정보와 URL정보를 제공하는 NFC IC부; 및
상기 NFC 안테나부와 상기 NFC IC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NFC 활성화 제어 버튼부를 통해 상기 NFC 안테나부 및 상기 NFC IC부 간의 회로 연결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NFC 활성화 버튼부는,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위치 이동하면 상기 스위치부를 턴 온시키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위치 이동하면 상기 스위치부를 턴 오프시키는 슬라이딩 버튼부; 및
상기 슬라이딩 버튼부의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 버튼부의 슬라이딩 위치에 따른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기계적 스위치 또는 물리적 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NFC 활성화 제어 버튼부의 슬라이딩 위치 이동에 따른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NFC 안테나부와 상기 NFC IC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상기 NFC 안테나부와 상기 NFC IC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기능이 탑재된 링 거치대.
A housing attached to the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ring mounting portion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mount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 NFC circuit unit for storing execution command information and URL information for executing at least one of a mobile application and a mobile web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an NFC signal including the execution command information and URL information when activated by a circuit connection ; And
An NFC activation control button unit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the NFC circuit unit through on/off switching for the circuit connection of the NFC circuit unit,
The NFC circuit unit,
An NFC antenna unit for transmitting the NFC signal through a magnetic field change by forming an inductive coupl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FC IC unit for providing the execution command information and URL information to the NFC antenna unit; And
A switch unit connected between the NFC antenna unit and the NFC IC unit and configured to turn on/off a circuit connection between the NFC antenna unit and the NFC IC unit through the NFC activation control button unit,
The NFC activation button part,
A sliding button unit for turning on the switch unit when sli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moving the position, and turning off the switch unit when sliding and moving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butt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button part to display an on/off state according to a sliding position of the sliding button part,
The switch unit,
Electrically connecting between the NFC antenna unit and the NFC IC unit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sliding position movement of the NFC activation control button unit including a mechanical switch or a physical switch, or electrical between the NFC antenna unit and the NFC IC unit Ring cradle equipped with an NFC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disconnec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링 거치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링 거치부는,
링 부재;
상기 링 부재의 일측이 전후방으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링 부재의 일측을 중심으로 상기 링 부재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체가 푸시됨에 따라 상기 회전체와 상기 링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인입 또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시키기 위한 푸시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기능이 탑재된 링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ring moun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he ring mounting portion,
Ring member;
A rotating body in which one side of the ring member is tiltably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and rotatably connects the ring member around one side of the ring member; And
A ring with an NFC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ush button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for inserting the rotating body and the ring member into or withdrawing from the housing as the rotating body is pushed. holde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90003640U 2019-09-02 2019-09-02 Ring holder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KR20049347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640U KR200493476Y1 (en) 2019-09-02 2019-09-02 Ring holder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640U KR200493476Y1 (en) 2019-09-02 2019-09-02 Ring holder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580U KR20210000580U (en) 2021-03-10
KR200493476Y1 true KR200493476Y1 (en) 2021-04-06

Family

ID=74871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640U KR200493476Y1 (en) 2019-09-02 2019-09-02 Ring holder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476Y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64358A1 (en) * 2010-01-07 2011-07-07 Shenzhen Futaihong Precision Industry Co., Ltd. Support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208U (en) * 1993-08-17 1995-03-21 Switch operation structure of small cassette
KR20140050842A (en) 2012-10-22 2014-04-30 나기권 Jewelry and accessory applied nfc tag
KR101946505B1 (en) * 2017-05-15 2019-04-29 쓰리에이로직스(주) Accessory having near-field communication modu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64358A1 (en) * 2010-01-07 2011-07-07 Shenzhen Futaihong Precision Industry Co., Ltd. Support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580U (en)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00563B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225002B2 (en) Inclined-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204549B2 (en) Portable terminal
KR20110125700A (en) Mobile terminal
KR20100088184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projecting function
US20100214757A1 (en) Electronic device
US7616972B2 (en) Hands-free installation for mobile telephones and control unit therefor
KR101956536B1 (en) Wireless charging support accessory attached and separated from user terminal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based the same
KR101701054B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KR200493476Y1 (en) Ring holder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US11175699B2 (en) Case for mobile device
KR20090037647A (en)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7437185B2 (en) Folder type mobile terminal
JP2015215423A (en) Imaging device
KR101604820B1 (en) Portable terminal
CN107004998B (en) The interface system of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90069022A (en) Slide-type portable terminal
KR20090027514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ntenna module and antenna setting method therefor
KR20210007921A (en)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KR101686347B1 (en) Keyboard for terminal stand
KR100976377B1 (en) Portable terminal
CN112152324B (en) Wireless charging device
JP6070347B2 (en) Terminal support device, reception system, and terminal support method
KR102475995B1 (en) Mobile Phone Case Having NFC Mount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62903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