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451Y1 - 도어 및 창프레임 - Google Patents

도어 및 창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451Y1
KR200493451Y1 KR2020180006021U KR20180006021U KR200493451Y1 KR 200493451 Y1 KR200493451 Y1 KR 200493451Y1 KR 2020180006021 U KR2020180006021 U KR 2020180006021U KR 20180006021 U KR20180006021 U KR 20180006021U KR 200493451 Y1 KR200493451 Y1 KR 2004934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stopper
pai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6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449U (ko
Inventor
박경진
Original Assignee
박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진 filed Critical 박경진
Priority to KR2020180006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451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4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4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4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4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및 창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도어 및 창프레임은 전체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도어의 측면과 접촉되는 전방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의 후면 양 가장자리에 각각 후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방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도어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본 고안은 PVC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습도나 오염 등에 강하여 장기간 사용가능하며, 이로 인해 지속적인 관리가 불필요해짐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 및 창프레임 {Door and window frame}
본 고안은 도어 또는 창의 외곽을 감싸도록 건축물의 벽 등에 고정설치되어, 도어 또는 창을 개폐가능하게 하는 도어 및 창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보강부를 마련하여 강도를 향상시킨 도어 및 창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프레임은 특정공간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에 제공되는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출입구를 이루는 개구 부위의 내벽면을 따라 설치된다.
상기 도어프레임은 양측벽을 이루는 한 쌍의 측벽 프레임과, 상기 두 측벽 프레임의 상측 끝단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부벽을 이루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출입구의 특성이나 장소에 따라 상기 두 측벽 프레임의 하측 끝단 사이에는 하부 프레임이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프레임은, 일반적으로 합판, PB(Particle Board),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등과 같은 목재로 이루어져, 습도나 오염에 의해 쉽게 썩거나 갈라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었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최근 목재의 수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수입에 의존하는 등의 이유로 가격이 상승하여 시장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프레임 특성상, 상기 도어프레임이 고정설치되어지는 개구부보다 크게 가공하여, 정 치수가공을 위해 절단을 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절단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04295호
따라서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습도나 오염 등에 강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리브 및 보강편과 같은 보강부가 구비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오랜 간 사용에도 비틀림이 적은 도어 및 창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어 및 창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도어 및 창 프레임은 전체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도어의 측면과 접촉되는 전방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의 후면 양 가장자리에 각각 후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방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도어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 및 상기 스토퍼는 폴리머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방프레임은 내부에 제1 공간부가 형성된 직사각형의 중공체로, 상기 제1 공간부에는 다수 개의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내부에 제2 공간부가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중공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의 상기 제2 공간부에는 보강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PVC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습도나 오염 등에 강하여 장기간 사용가능하며, 이로 인해 지속적인 관리가 불필요해짐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목재(MDF)프레임에 비해 생산원가가 20~30%정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교적 제조가 용이해지므로, 제조비용 및 단가가 감소하여 시장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재 특성상 외측면에 다양한 색상/무늬가 형성된 시트지가 쉽게 부착되어 외관적인 심미성을 향상시킨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에 리브 및 보강편과 같은 보강부가 구비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오랜기간 사용에도 비틀림이 적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프레임 특성상, 정해진 치수보다 크게 가공하여, 정 치수가공을 위해 절단을 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본 고안은 비교적 절단이 용이한 합성수지로 구성되므로, 치수가공이 쉬워 작업성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도어 및 창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도어 및 창프레임의 A-A'단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도어 및 창프레임에 충진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A-A'단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도어 및 창프레임에 도어가 결합된 상태의 사용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단면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실시례로서, 본 고안의 도어 및 창프레임에 유리창이 결합된 상태의 사용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례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례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례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례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도어 및 창프레임의 사시도이며, 도2는 도1의 A-A'단면도이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도1의 본체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스토퍼(200)가 형성된 방향을 전방이라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방으로 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도어 및 창프레임(1000)은, 전체 골격을 이루는 본체프레임(100),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전면에 형성되어 도어(1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프레임(100)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폭방향으로의 양단부가 후방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본체프레임(100)은 도어와 접촉되는 전방프레임(120)과, 상기 전방프레임(120)의 양단부에 마련되며 후방으로 절곡된 한 쌍의 측방프레임(140)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프레임(120)은 내부가 충진된 판형상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상기 전방프레임(120)의 후면 양 가장자리에는 각각 후방으로 돌출되게 측방프레임(140)이 형성된다.
상기 측방프레임(140)은 내부에 제1 공간부(142)가 형성된 직사각형의 중공체로, 상기 제1 공간부(142)에는 다수 개의 리브(144)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144)는 상기 제1 공간부(142)에 형성되되, 다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측방프레임(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리브(144)는 제1 공간부(142)에 형성되되, 측방프레임 중, 길이가 긴 변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길이가 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제1 공간부(142)를 가로로 분할되게 한다.
이 때, 상기 리브(144)는 측방프레임의 단면계수를 향상시켜, 본체프레임(100)의 전체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외력이 가해져서 발생하는 비틀림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리브(144)는 제1공간부(142)에 등간격으로 배치되게 됨으로써, 상기 측방프레임(140)의 휨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아울러,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측방프레임(140)의 양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걸림턱(146)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측방프레임(140) 사이공간에 충진부재(20)가 끼움결합되도록 한다.
즉, 상기 측방프레임(140)의 양 내측면에 걸림턱(146)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내측공간에는 충진부재(2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게 되며, 상기 삽입공간은, 사용될 충진부재(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충진부재보다 약간크거나 같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충진부재(20)는, 본 고안의 도어 및 창프레임이 설치 벽(30) 또는 판넬 등에 고정설치되어질 때, 도어 및 창프레임에 장착되어 같이 설치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충진부재는 도어 및 창프레임을 보강하는 보강재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충진부재는 나사못 등과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벽 또는 판넬에 고정되어 지므로, 상기 충전부재와 결합된 상기 도어 및 창프레임도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토퍼(200)는 도어(10)의 회동을 제한하여, 상기 도어가 설치된 출입구가 폐쇄되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200)는 전방프레임(120)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전방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즉, 도4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200)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도어가 일정각도 이상 회동되면 스토퍼(200)에 접촉되어 더이상 회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200)는 내부에 제2 공간부(220)가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중공체로, 상기 제2 공간부(220)에는 보강편(240)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편(240)은 스토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보강편(240)은 판재형상으로, 상기 제2 공간부(220) 내부에 설치되되, 전방프레임(120)과 평행으로 배치되게 형성하였다.
즉, 문이 반복적으로 여닫혀짐에 따라 상기 스토퍼(200)가 충격을 받게되더라도, 상기 보강편(240)의 지지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가 휘어지지 않게 되으므로, 문의 닫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200)의 우측면에 도어(10)가 접촉되어 회동이 제한됨으로써, 도어가 닫히게 되는 것으로, 상기 전방프레임(120)에 형성된 스토퍼(200)를 기준으로 전방프레임(120)의 우측방에 위치하는 전면의 폭(넓이)은 도어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조금 크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가 용이하게 개폐되도록 하여야 하며, 상기 스토퍼(200)는 도어의 두께를 고려하여 형성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유리창(40)을 지지하는 창 프레임으로도 활용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본체프레임(120)의 전면에는 두 개의 스토퍼(200)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스토퍼(200)는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그 사이공간에 유리창(40)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도어 및 창프레임(1000)은 합성수지로 제조되되, 합성수지(또는 플라스틱 또는 폴리머) 중, 비교적 견고한 재질인 폴리염화비닐(PVC;Polyvinyl chloride)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강도의 보강과 더불어 오랜 기간의 사용시에도 썩는 등의 변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습도나 오염 등에 강하여 장기간 사용가능하며, 이로 인해 지속적인 관리가 불필요해짐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소재 특성상 외측면에 다양한 색상/무늬가 형성된 시트지가 쉽게 부착되어 외관적인 심미성을 향상시킨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토퍼에 제2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스토퍼의 절단 가공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치수가공이 쉬워 작업성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도어
20:충진부재
30:벽
40:유리창
1000:도어 및 창프레임
100:본체프레임
120:전방프레임
140:측방프레임
142:제1 공간부
144:리브
146:걸림턱
200:스토퍼
220:제2 공간부
240:보강편

Claims (5)

  1. 전체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도어의 측면과 접촉되는 전방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의 후면 양 가장자리에 각각 후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방프레임으로 구성되되, 내부 공간부에 설치벽이 결합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도어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면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한 쌍의 스토퍼 사이공간에 유리창이 삽입 고정되며,
    상기 스토퍼는 내부에 제2 공간부가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중공체인 것으로, 상기 스토퍼의 상기 제2 공간부에는 보강편이 형성되며,
    상기 측방프레임은 내부에 제1 공간부가 형성된 직사각형의 중공체로, 상기 제1 공간부에는 다수 개의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방프레임의 양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의해 한 쌍의 측방프레임 사이공간에 충진부재가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충진부재는 상기 설치벽의 외주면 일부구간에 장착되는 보강재이며, 상기 충진부재는 상기 걸림턱에 의해 본체프레임 내부 공간부에 안정적으로 끼움결합되므로 상기 본체프레임과 설치벽의 결합이 공고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및 창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 및 상기 스토퍼는 폴리머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및 창프레임.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80006021U 2018-12-21 2018-12-21 도어 및 창프레임 KR2004934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6021U KR200493451Y1 (ko) 2018-12-21 2018-12-21 도어 및 창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6021U KR200493451Y1 (ko) 2018-12-21 2018-12-21 도어 및 창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449U KR20200001449U (ko) 2020-07-01
KR200493451Y1 true KR200493451Y1 (ko) 2021-04-01

Family

ID=7152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6021U KR200493451Y1 (ko) 2018-12-21 2018-12-21 도어 및 창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45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868B1 (ko) * 2021-12-24 2022-08-26 주식회사 대성도어몰딩 합성수지 도어의 내측 테두리용 목재 삽입형 골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937Y1 (ko) * 2003-03-28 2003-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좌우 대칭을 이루는 스토퍼 일체형 합성수지 문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945U (ko) * 2007-11-20 2009-05-25 (주)삼성하이랜드샤시 판넬 픽스용 유리 창틀
KR101104295B1 (ko) 2009-06-04 2012-01-11 강동신 단열 문틀
KR20120003162A (ko) * 2010-07-02 2012-01-10 박동섭 문틀구조 및 문틀구조 고정방법
KR200472535Y1 (ko) * 2011-08-23 2014-05-08 (주)동해공영 강화유리문용 프레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937Y1 (ko) * 2003-03-28 2003-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좌우 대칭을 이루는 스토퍼 일체형 합성수지 문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449U (ko)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7433C (en) Door jamb member, door jamb assembly incorporating same and kit therefor
US8919056B2 (en) Door frame post, and door frame assembly comprising same and kit for assembly of same
US20200240199A1 (en) Versatile Hybrid Window System
US5848505A (en) Outdoor window shutter
US6453638B2 (en) Press molded door with improved reinforcement material and stile structure
US20060162266A1 (en) Durable shutter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US7748179B2 (en) Decorative molding
US20140102035A1 (en) Brick mold assembly, connector for same and kit for assembly of same
US7392628B2 (en) Functional shutter
KR200493451Y1 (ko) 도어 및 창프레임
CA2109873C (en) Frame molding connector
JP2015209656A (ja) 片引戸枠構造
KR200491434Y1 (ko) 가구용 도어틀
US20040250486A1 (en) Injection molded thermoplastic door sill-to-jamb kit
CN205805327U (zh) 一种具有扇中挺的门窗系统
KR200491435Y1 (ko) 가구용 도어틀
KR102137685B1 (ko) 가구용 도어틀
KR102631835B1 (ko) 가구용 도어틀
US6550204B1 (en) Composite door construction
CA2940635A1 (en) Versatile hybrid window system
CN105971452B (zh) 一种门窗扇的扇料中挺
US11905756B2 (en) Polymeric wind and debris resistant garage door window frame and method of manufacture
CA2835564C (en) Door frame post, and door frame assembly comprising same and kit for assembly of same
CN105971469A (zh) 一种具有扇中挺的门窗系统
CN209959049U (zh) 门档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