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308Y1 - 통신작업용 공구 - Google Patents

통신작업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308Y1
KR200493308Y1 KR2020200002930U KR20200002930U KR200493308Y1 KR 200493308 Y1 KR200493308 Y1 KR 200493308Y1 KR 2020200002930 U KR2020200002930 U KR 2020200002930U KR 20200002930 U KR20200002930 U KR 20200002930U KR 200493308 Y1 KR200493308 Y1 KR 2004933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s
wires
wire
tool
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구
Original Assignee
김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구 filed Critical 김성구
Priority to KR2020200002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3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3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3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22Pliers provided with auxiliary tool elements, e.g. cutting edges, nail extra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랜선과 같은 근거리네트워크용 통신선을 절단하고 단자를 설치하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통신작업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힌지부(30)를 중심으로 선단에는 한쌍의 핑거(12,13)가 있고 후단에는 손잡이(20)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힌지부(30)에서 시작하여 상기 핑거(12,13)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작업부위가 마련되어 있으되; 상기 작업부위는, 랜선을 포함한 각종의 전선과 철사를 절단하는 절단부(40); 상기 랜선의 외피를 탈피하기 위한 탈피부(50); 및 상기 랜선을 구성하고 있는 꼬여있는 2가닥의 소선의 꼬임을 풀기 위한 꼬임해체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작업용 공구{Tool For Internet Network working}
본 고안은 통신작업용 공구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랜선과 같은 근거리 네트워크용 통신선을 절단하고 단자 등을 설치하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통신작업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인터넷을 설치하거나 컴퓨터 간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할 경우에, 기기 간에 랜선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이 보통이다. 랜선은 보통 8가닥의 소선과 소선을 감싸는 외피로 구성되어 있다. 랜선의 말단에는 기기와의 편리한 접속을 위하여 단자(예를 들어, RJ45)가 연결된다.
작업자는 필요한 길이로 랜선을 절단하고, 단부에서 피복을 벗긴 다음 단자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되는데, 연결시 소선의 피복을 모두 벗기는 작업을 하여야 한다. 외피와 소선의 피복을 동시에 벗길 수는 없는 것이므로 차례대로 탈피를 한다. 이 과정에서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는 집게와 같은 형태의 탈피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랜선의 소선은 외피 안에서 2선씩 꼬인 상태로 있게 된다. 그래서 작업자는 외피를 제거한 다음 꼬인 소선을 일일이 손으로 정리하여야 한다. 꼬여있던 소선을 손으로 곧게 펴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정리의 마지막에는 소선의 끝을 커터로써 절단하여 균일하게 맞추는 작업까지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꼬여 있는 소선을 펼치고 정리하는 작업을 포함하여 랜선의 연결에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5-0124902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5-0039188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랜선에 단자를 설치하는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작업용 공구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케이블의 외피를 쉽게 탈피할 수 있고 꼬여 있는 소선을 쉽게 펼쳐서 나란히 정리하기 위한 통신작업용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힌지부(30)를 중심으로 선단에는 한쌍의 핑거(12,13)가 있고 후단에는 손잡이(20)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힌지부(30)에서 시작하여 상기 핑거(12,13)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작업부위가 마련되어 있으되; 상기 작업부위는,
랜선을 포함한 각종의 전선과 철사를 절단하는 절단부(40); 상기 랜선의 외피를 탈피하기 위한 탈피부(50); 및 상기 랜선을 구성하고 있는 꼬여있는 2가닥의 소선의 꼬임을 풀기 위한 꼬임해체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작업용 공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탈피부는, 상기 핑거(12,13)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소구경부(52)와 대구경부(51)로 구성되며, 상기 소구경부(52)에 탈피를 위한 탈피날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꼬임해체부(70)는 상기 핑거(12,13)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점차적으로 구멍의 넓이가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로 되어 있으며, 소선출구(72)는 장방형으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8가닥의 소선을 나란히 정리하기 위한 소선정리부(60)를 더 포함하되; 8가닥의 소선을 나란히 밀착 정렬한 상태의 넓이와 대응되는 넓이의 정리공을 포함하며; 상기 정리공은 역시 핑거(12,13)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점차적으로 구멍의 넓이가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핑거(12,13)의 선단에는 통신단자를 끼워 안착시킨 상태에서 앞으로 밀어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자삽입부(80)가 더 마련되되; 상기 단자삽입부(80)는 상기 핑거(12,13)의 일측면에 일정한 깊이로 패여있는 것으로서, "
Figure 112020084060374-utm00001
" 형태로 되어 있는 삽입홈(81)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랜선에 단자를 설치하는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작업용 공구가 제공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특히 랜선의 외피를 쉽게 탈피할 수 있고, 랜선을 구성하고 있는 꼬여 있는 2가닥의 소선을 쉽게 훑으면서 펼침으로써 편리하게 8개의 소선을 나란히 정리할 수 있게 하는 통신작업용 공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기타 효과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서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작업용 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작업용 공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작업용 공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작업용 공구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통신작업용 공구의 평면도와 측단면도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통신작업용 공구의 평면도와 측단면도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통신작업용 공구의 정면도, 일부 측면도 및 일부 사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고, 이후에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통신작업용 공구는 케이블, 특히 근거리 통신선으로 널리 사용되는 랜선의 설치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통신작업용 공구(이하, '통신작업용 공구'라 한다)는 각 산업분야에서 널리 보급되어 있는 집게 형태의 공구로서, 힌지부(30)를 중심으로 선단에는 집게부(10)가 있고 후단에는 손잡이(20)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집게부(10)와 손잡이(20)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X"자 형태로 연결되어 공지의 레버 방식으로 거동한다. 집게부(10)는 실제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부분인 한쌍의 핑거(12,13)로 구성된다. 집게부(10)의 단부(11)는 뭉뚝할 수도 있고 길쭉하게 되어 있을 수도 있다.
통신작업용 공구는 힌지부(30)에서 시작하여 핑거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작업부위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인 작업에 따라서 작업부위의 형태가 조금씩 다를 수 있다. 본 고안은 핑거(12,13)를 따라서 복수 개의 작업부위가 마련되는 점에 중요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작업부위에는 꼬인 소선을 펴기 위한 꼬임해체부를 포함하는 것에 다른 특징이 있다. 기타 특징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구체화된다.
작업부위는 절단부(40), 탈피부(50), 꼬임해체부(7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선택에 따라서 소선정리부(60) 및/또는 단자삽입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차례도 각 작업부위를 설명한다.
절단부(40)는 일반적인 집게형 공구(예를 들어, 펜치, 롱노즈, 닙퍼 등)에 부착되어 있는 것같이 큰 전단력으로써 전선, 철사 등을 끊기 위한 부분이다. 따라서 절단부(40)는 공지의 집게형 공구와 유사하다. 절단부(40)는 힌지부(30)에 가장 가까운 부분에 설치된다. 절단부(40)로 하여금 날카로운 날을 형성하도록 핑거(12,13)에는 절단날형성홈(41)이 마련되어 있다.
탈피부(50)는 랜선의 외피를 탈피하기 위한 것이다. 랜선을 핑거(12,13)로 집은 다음 통신작업용 공구를 1회 이상 회전시키고 잡아 빼게 되면 랜선의 외피만 벗겨지고 8가닥의 소선이 남게 된다.
종래에 여러 종류의 전선의 탈피기구가 제공된 바 있다. 어떤 것은 전선의 굵기별로 다양한 직경위 탈피작업구멍이 마련되어 있기도 하다.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이러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탈피부(50)는 랜선이 끼워지는 탈피공(53)을 포함한다. 탈피공(53)의 넓이는 랜선의 단면적 보다 작기는 하지만 소선까지 잘리지는 않을 정도로 설정된다. 핑거(12,13)를 완전히 오므린 상태에서도 서로 벌어져 있게 함으로써 랜선이 완전히 절단되지 않게 하는 탈피날을 가지고 있다. 핑거(12,13)는 자신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소구경부(52)와 대구경부(51)로 구성되며, 탈피날은 소구경부(52)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꼬임해체부(70)는 랜선을 구성하고 있는 꼬여있는 2가닥의 소선의 꼬임을 풀기 위한 것으로서 소선 2가닥만이 끼워질 수 있는 넓이의 해체공을 포함하고 있다.
적어도 해체공의 소선출구(72)는 장방형으로 마련되어 있다. 소선이 유입되는 소선입구(72, 도 2 참조)는 소선출구보다 넓게 되어 있을 수 있다. 즉, 꼬임해체부는 자신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점차적으로 구멍의 넓이가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소선출구(71, 도 1 참조)는 2가닥의 소선을 가로방향으로 펼쳤을 때의 단면 형태와 유사한 장방형이나 또는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통신작업용 공구의 작업부위는 선택에 따라서 소선정리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선정리부(60)는 꼬인 상태를 모두 펼친 다음 단자에 끼우기 전에 8가닥의 소선을 순서에 맞게 나란히 정리하는데 필요하다. 그리고 각 소선은 꼬여 있던 것이어서 완전히 직선 상태가 아니다. 이러한 상태의 소선을 소선정리부(60)의 정리공에 끼운 다음 훑음으로써 8가닥의 소선을 정리하기 위한 것이 소선정리부이다.
소선정리부(60)는 8가닥의 소선을 나란히 밀착 정렬한 상태의 넓이와 대응되는 넓이의 정리공을 포함한다. 정리공은 역시 핑거(12,13)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점차적으로 구멍의 넓이가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선이 인입되는 소선입구(62, 도 2 참조)는 넓고, 소선이 배출되는 소선출구(61, 도 1 참조)는 좁게끔 되어 있다.
소선정리부(60)의 정리공의 단면 형태는 도 5(a)와 같이 양측면이 모두 테이퍼 형태로 되어 있을 수도 있고, 도 5(b)와 같이 일측면만 테이퍼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테이퍼의 각도(K)는 5 ~ 20°면 무난하다. 그리고 이러한 정리공의 형태는 꼬임해체부(70)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의 통신작업용 공구의 작업부위는 선택에 따라서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자삽입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단자삽입부(80)는 통신단자를 끼워 안착시킨 상태에서 터미널 등을 향해 밀어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으로 잡고 밀어넣기 쉽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단자삽입부(80)는 핑거(12,13)의 일측면에 일정한 깊이로 패여있는 삽입홈(81)을 포함하고 있다. 삽입홈(81)의 형태는 "
Figure 112020084060374-utm00002
" 형태로 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손잡이의 형태가 이전 실시예와 다르게 비대칭 형태로 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핑거(12,13)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두께가 점차적으로 달라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핑거(12,13)의 한쪽 측면이 경사면(14)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핑거(12,13)의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끔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집게부(10)를 구성하는 핑거(12,13)와 손으로 잡는 손잡이(2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에 의해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통신작업용 공구의 정면도, 일부 측면도 및 일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자삽입부(80)는 핑거(12,13)의 어느 일측에 직각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단자삽입부(80)에는 삽입홈(81)이 일정한 깊이로 패여 형성된다. 이처럼 단자삽입부(80)는 다양한 방식으로 핑거(12,13)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집게부 11 : 단부
12,13 : 핑거(finger) 20 : 손잡이
30 : 힌지부 40 : 절단부
41 : 절단날형성홈 50 : 탈피부
51 : 대구경부 52 : 소구경부
60 : 소선정리부 61,71 : 소선출구
62,72 : 소선입구 70 : 꼬임해체부
80 : 단자삽입부 81 : 단자삽입홈

Claims (5)

  1. 힌지부(30)를 중심으로 선단에는 한쌍의 핑거(12,13)가 있고 후단에는 손잡이(20)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힌지부(30)에서 시작하여 상기 핑거(12,13)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작업부위가 마련되고,
    상기 핑거(12,13)의 한쪽 측면이 경사면으로 되어 상기 핑거(12,13)의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작업부위는,
    랜선을 포함한 각종의 전선과 철사를 절단하는 절단부(40);
    상기 랜선의 외피를 탈피하기 위한 탈피부(50);
    8가닥의 소선을 나란히 정리하기 위한 소선정리부(60); 및
    상기 랜선을 구성하고 있는 꼬여있는 2가닥의 소선의 꼬임을 풀기 위한 꼬임해체부(70);를 포함하되,
    상기 소선정리부(60)는 상기 8가닥의 소선을 나란히 밀착 정렬한 상태의 넓이와 대응되는 넓이의 정리공을 포함하며,
    상기 정리공은 상기 핑거(12,13)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점차적으로 구멍의 넓이가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로 되어 있되,
    상기 8가닥의 소선이 인입되는 소선입구는 넓고, 상기 8가닥의 소선이 배출되는 소선출구는 좁게 형성되며,
    상기 정리공의 단면 형태는 양측면이 모두 5°~20°의 각도로 테이퍼하게 형성되고,
    상기 꼬임해체부(70)는 자신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구멍의 넓이가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이고, 상기 2가닥의 소선만이 끼워질 수 있는 넓이의 해체공을 포함하며,
    상기 해체공의 소선입구는 소선출구보다 넓게 되어 있고,
    상기 소선출구는 상기 2가닥의 소선을 가로방향으로 펼쳤을 때의 단면 형태인 장방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작업용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피부는
    상기 핑거(12,13)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소구경부(52)와 대구경부(51)로 구성되며, 상기 소구경부(52)에 탈피를 위한 탈피날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작업용 공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꼬임해체부(70)는 상기 핑거(12,13)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점차적으로 구멍의 넓이가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로 되어 있으며, 소선출구(72)는 장방형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작업용 공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12,13)의 선단에는 통신단자를 끼워 안착시킨 상태에서 앞으로 밀어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자삽입부(80)가 더 마련되되;
    상기 단자삽입부(80)는 상기 핑거(12,13)의 일측면에 일정한 깊이로 패여있는 것으로서, "
    Figure 112020084060374-utm00003
    " 형태로 되어 있는 삽입홈(8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작업용 공구.
KR2020200002930U 2020-08-11 2020-08-11 통신작업용 공구 KR2004933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930U KR200493308Y1 (ko) 2020-08-11 2020-08-11 통신작업용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930U KR200493308Y1 (ko) 2020-08-11 2020-08-11 통신작업용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308Y1 true KR200493308Y1 (ko) 2021-03-10

Family

ID=74871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930U KR200493308Y1 (ko) 2020-08-11 2020-08-11 통신작업용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3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37654A (zh) * 2021-09-29 2022-01-14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全张力预绞丝钢芯铝绞线补修条安装工具套装及其工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514U (ko) * 1998-07-08 2000-02-07 김수상 전선피복기
KR200343027Y1 (ko) * 2003-12-11 2004-02-25 이영만 스트리퍼 기능을 구비한 펜치
KR20150039188A (ko) 2015-03-18 2015-04-09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수련화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514U (ko) * 1998-07-08 2000-02-07 김수상 전선피복기
KR200343027Y1 (ko) * 2003-12-11 2004-02-25 이영만 스트리퍼 기능을 구비한 펜치
KR20150039188A (ko) 2015-03-18 2015-04-09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수련화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37654A (zh) * 2021-09-29 2022-01-14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全张力预绞丝钢芯铝绞线补修条安装工具套装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7991B2 (en) Method for removing an outer sheath of an electrical cable
US5269206A (en) Cable stripping apparatus
US4074732A (en) Wire cutting, stripping and twisting tool
MXPA04010933A (es) Pinzas multifuncionales.
US5732471A (en) Wire stripper with integral cable sheath cutter
KR200493308Y1 (ko) 통신작업용 공구
US6618885B1 (en) Wire-stripping tool
US6934991B2 (en) Electrician's tool
US9472927B2 (en) Wire stripping and cutting tool
US7089619B2 (en) Multipurpose tool
US5893185A (en) Multipurpose electricians hand tool
US6550137B1 (en) Tool and method for sheathing of cables
US20150188272A1 (en) Hand tool for stripping wire and crimping wire connectors
IE86070B1 (en) Hand tool
CN111556978A (zh) 多用途剥纤钳
CN209929663U (zh) 一种快速高效的剥线钳
AU2022221535A1 (en) Pliers with angled crimping opening
US4244067A (en) Hand tool for working with wire and cable
DE102011015362B4 (de) Multifunktionswerkzeug
EP1507324B1 (de) Abisolierwerkzeug Uniplus
CN212181076U (zh) 一种剥线钳
KR200343027Y1 (ko) 스트리퍼 기능을 구비한 펜치
CN212887132U (zh) 一种钳子
CN215545355U (zh) 一种新型断线钳
CN219067440U (zh) 一种电气工程用接线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