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248Y1 -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 - Google Patents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248Y1
KR200493248Y1 KR2020200003750U KR20200003750U KR200493248Y1 KR 200493248 Y1 KR200493248 Y1 KR 200493248Y1 KR 2020200003750 U KR2020200003750 U KR 2020200003750U KR 20200003750 U KR20200003750 U KR 20200003750U KR 200493248 Y1 KR200493248 Y1 KR 2004932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dy
knock
cutting
knockout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7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헌
Original Assignee
이동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헌 filed Critical 이동헌
Priority to KR20202000037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2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2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2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02G3/085Inlets including knock-out or tear-out s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배선을 위해 사용되는 전기 배선 박스에 있어서 전선을 외부 구성과 연결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제거하여 연결 구멍을 형성할 수 있는 녹아웃부를 구비하는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는, 녹아웃부가 주변 구성에 걸리지 않는 구조를 가지므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작업자가 녹아웃부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는 제조 과정에서 버어(bur)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사용중에 내부에 수용되는 전선의 피복을 손상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Electrical Wiring Box for Wire Connection}
본 고안은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배선을 위해 사용되는 전기 배선 박스에 있어서 전선을 외부 구성과 연결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제거하여 연결 구멍을 형성할 수 있는 녹아웃부를 구비하는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전기 배선을 위해서 분전반, 배전반, 레이스웨이(Racewary)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전기 배선 박스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선 박스는 접지를 위해 일반적으로 도전성 금속 판재를 판금 공정에 의해 절곡하고 타공하여 형성된다.
또한, 이와 같은 배선 박스는 일반적으로 필요에 따라 내부 배선을 분기하여 외부 전기 장치와 연결하거나 별도의 전송 선로와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 구멍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이와 같은 연결 구멍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녹아웃부(11, 12)로 막혀 있고,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힘을 가하여 녹아웃부(11, 12)를 제거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녹아웃부(11, 12)는 배선 박스(10) 제조 공정에 있어서 타공 칼날을 구비하는 금형을 사용하여 프레스 공정에 의해 녹아웃부(11, 12)의 외부 일부분을 절개하여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에 따라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배선 박스(10)(10)와 연결되는 일부분을 제외하고 녹아웃부(11, 12)의 나머지 부분은 예리한 금형 칼날에 의해 절단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녹아웃부(11, 12)를 구비하는 배선 박스(1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작업자가 녹아웃부(11, 12)를 제거하는 것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녹아웃부(11, 12)를 형성하는 공정의 특성상 녹아웃부(11, 12)의 절개된 부분은 인접하는 배선 박스(10)의 부분에 가압되어 있거나 걸려 있는 경우가 많다. 녹아웃부(11, 12)의 절개된 부분이 배선 박스(10)에 강하게 걸려 있거나 압박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작업자가 녹아웃부(11, 12)를 제거하기 위해서 매우 강한 힘을 가하여야만 녹아웃부(11, 12)가 꺾이면서 제거 가능한 상태가 된다. 특히, 대형 건물의 주차장이나 공장 내부 와 같은 옥내에 전기 배선을 하고 등기구와 같은 전기 구성을 설치하기 위해 건물 내부 노출 천정에 설치되는 레이스웨이(Raceway) 형태의 배선 박스(10)의 경우, 작업자가 팔을 들고 머리 위를 바라보며 작업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경우 더더욱 작업자가 힘을 가하여 녹아웃부(11, 12)를 제거하는 것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둘째, 녹아웃부(11, 12)를 형성하기 위해 녹아웃부(11, 12)의 외주를 절개하는 과정에서 녹아웃부(11, 12)의 경계 또는 배선 박스(10)에 날카로운 버어(bur)가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녹아웃부(11, 12) 또는 녹아웃부(11, 12)와 접하는 배선 박스(10)의 부분에 형성되는 버어는 매우 날카롭기 때문에 배선 박스(10)에 수용되는 전선을 손상시킬 수 있다. 특히, 레이스웨이와 같은 형태의 배선 박스(10)의 경우 배선을 배선 박스(10)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전선을 잡아 당기거나 밀어서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데, 이 경우 전선이 움직이면서 버어에 걸려서 피복이 손상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와 같이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면 여러 가지 안전상의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배선 박스(10)의 버어로 인해 작업자가 다칠 수 있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의 배선 박스에 비해 녹아웃부를 제거하기 용이한 구조를 가지며, 제조 과정에서 버어가 발생하지 않는 형태의 배선 박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녹아웃부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면서 전선 피복을 손상시키지 않는 구조의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는, 전기 배선을 수용하는 도전성 금속 재질의 박스 본체; 상기 전기 배선 연결을 위해 상기 박스 본체를 관통하는 연결 구멍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구멍의 내주 경로 일부분을 따라 상기 배선 박스 본체를 절단하여 형성되는 타공 절단부; 상기 박스 본체와 비접촉 이격되어 상기 박스 본체와의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상기 타공 절단부에 의해 둘러 싸여 형성되며 상기 연결 구멍을 막고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녹아웃부; 및 절단되면 상기 녹아웃부가 제거되어 상기 연결 구멍이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녹아웃부와 상기 박스 본체를 연결하는 절단용 연결부;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는, 녹아웃부가 주변 구성에 걸리지 않는 구조를 가지므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작업자가 녹아웃부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는 제조 과정에서 버어(bur)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사용중에 내부에 수용되는 전선의 피복을 손상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는 박스 본체(100)와 타공 절단부(110)와 녹아웃부(120)와 절단용 연결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박스 본체(100)는 전기 배선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도전성 금속 재질의 박스이다. 박스 본체(100)는 전기 배선을 수용하여 다른 전기적 구성과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스웨이 본체 형태로 형성된 박스 본체(1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레이스웨이(raceway)는 공장 내부, 지하 주차장 내부와 같은 옥내 공간의 천장에 등기구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전기 배선을 수용하고 지지하며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레이스웨이 본체 또는 박스 본체(100)는 도전성 금속 박판을 판금 공정에 의해 절단 및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타공 절단부(110)는 박스 본체(100)의 일부분을 타공 절단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박스 본체(100)를 관통하는 연결 구멍을 형성하기 위하여 타공 절단부(110)가 형성된다. 연결 구멍은 박스 본체(100) 내부의 배선에서 분기된 배선을 외부의 등기구와 같은 다른 전기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배선 경로를 위한 구멍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타공 절단부(110)는 연결 구멍의 내주 경로 일부분(뒤에서 설명하는 절단용 연결부(13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선형으로 절단하여 형성된다. 타공 절단부(110)는 금속 판재를 프레스 타공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타공 절단부(110)를 형성함으로써, 타공 절단부(110)에 의해 둘러싸이는 녹아웃(knockout)부(120)가 형성된다. 녹아웃부(120)는 연결 구멍을 막고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작업 중에 불필요한 녹아웃부(120)를 제거하면 연결 구멍이 개방되어 그 연결 구멍을 통해 전기 배선을 다른 전기 구성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녹아웃부(120)는 절단용 연결부(130)를 통해 박스 본체(100)와 연결된다. 녹아웃부(120)에 힘을 가하여 절단용 연결부(130)를 여러 차례 휘어지게 하면 절단용 연결부(130)가 끊어지면서 연결 구멍이 개방되고 녹아웃부(120)는 제거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녹아웃부(120)는 박스 본체(100)의 외측으로는 오목하고 박스 본체(100)의 내측으로는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녹아웃부(120)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먼저, 프레스 타공 금형에 의해 박스 본체(100)를 연결 구멍의 내경 일부분을 따라 선형으로 절단하면, 타공 절단부(110)가 형성된다. 이때 타공 절단부(110)는 앞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의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와 마찬가지로 선형으로 형성되고 상대면과 접촉하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녹아웃부(120)의 중앙부를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는 금형으로 프레스 가압한다. 이와 같은 프레스 공정에 의해 녹아웃부(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바깥쪽으로 오목하고 안쪽으로 볼록한 형태로 변형된다. 이와 같이 녹아웃부(120)가 프레스 가압되어 소성 변형되면서, 녹아웃부(120)의 외경은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녹아웃부(120)의 외경이 감소하면서 박스 본체(100)와 녹아웃부(120) 사이의 간격 즉, 타공 절단부(110)의 폭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녹아웃부(120)의 중앙부를 가압하여 변형시킴으로써 녹아웃부(120)의 외경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녹아웃부(120)의 외주 절단면의 각도도 기울어지게 할 수 있다. 즉, 녹아웃부(120)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변형되고 녹아웃부(120)의 외경이 감소하면서 녹아웃부(120)의 외주 절단면도 두께 방향으로 수직한 상태가 아니라 기울어진 상태가 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녹아웃부(120)의 외주 절단면을 날카롭지 않게 라운드 처리된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녹아웃부(120)를 프레스 변형시킨 후에 녹아웃부(120)의 외주 절단면을 추가로 가압할 수 있다. 즉, 녹아웃부(120)의 외주 모서리를 날카롭지 않은 라운드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형태의 금형으로 녹아웃부(120)를 가압하는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녹아웃부(120)의 외주 절단면을 라운드 처리하는 공정은 하나의 금형을 이용하여 녹아웃부(120)의 중앙부 프레스 가압 공정과 동시에 처리할 수도 있고, 각각 별도의 금형을 이용하여 별도의 공정에 의해 처리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태의 박스 본체(100)에 전기 배선을 설치하는 중에, 등기구와 같은 별도의 전기 구성과 연결하기 위해서는 녹아웃부(120)를 제거하여야 한다.
녹아웃부(120)에 힘을 가하여 절단용 연결부(130)가 휘어지도록 힘을 주면, 절단용 연결부(130)가 끊어지면서 녹아웃부(120)가 제거 된다. 이때, 녹아웃부(120)는 타공 절단부(110)에 의해 박스 본체(100)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녹아웃부(120)에 힘을 가하면 녹아웃부(120)는 주변 구성에 걸리지 않고 쉽게 제거된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녹아웃부(120)가 박스 본체(100)의 바깥쪽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바깥쪽에서 녹아웃부(120)에 힘을 가하는 것이 용이하다. 드라이버의 손잡이 부분과 같은 도구의 끝부분이 녹아웃부(120)의 오목한 부분에 걸리게 한 상태에서 힘을 가하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쉽게 절단용 연결부(130)를 절단하여 녹아웃부(120)를 제거할 수 있다.
특히, 레이스웨이와 같이 천정에 행거를 사용하여 거치해 둔 상태로 작업하는 박스 본체(100)의 경우, 사용자가 손을 들어 위쪽을 바라보면서 작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자세가 불편한 상태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도 본 고안의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는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쉽게 녹아웃부(120)에 힘을 가하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박스 본체(100)에 전선을 배치한 상태에서 잡아 당기거나 밀어서 전선의 위치를 잡는 경우에도 본 고안의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는 녹아웃부(120) 주변 구성에 의해 전선의 피복에 상처를 내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박스 본체(100)의 내부를 향해 녹아웃부(120)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선의 피복이 녹아웃부(120) 주위의 타공 절단부(110), 절단용 연결부(130)와 같은 구성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녹아웃부(120)의 외주는 라운드 처리되어 있으므로, 전선의 피복이 녹아웃부(120)의 외주에 걸린다 하더라도 전선의 피복에 상처를 내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박스 본체(100)와 녹아웃부(120) 사이의 타공 절단부(110)의 폭은 0.1mm 내지 7mm인 것이 좋다. 박스 본체(100)와 녹아웃부(120) 사이의 타공 절단부(110)의 폭이 0.1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녹아웃부(120)의 제거 과정에서 녹아웃부(120)가 박스 본체(100)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박스 본체(100)와 녹아웃부(120) 사이의 타공 절단부(110)의 폭이 7mm 보다 큰 경우에는 박스 본체(100)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갈 가능성이 증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박스 본체(100)와 녹아웃부(120) 사이의 타공 절단부(110)의 폭은 녹아웃부(120)의 두께를 기준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경우 박스 본체(100)와 녹아웃부(120) 사이의 타공 절단부(110)의 폭은 녹아웃부(120)의 두께의 0.5배 내지 10배인 것이 좋다. 박스 본체(100)와 녹아웃부(120) 사이의 타공 절단부(110)의 폭이 녹아웃부(120)의 두께의 0.5배보다 작은 경우에는 녹아웃부(120)의 제거 과정에서 녹아웃부(120)가 박스 본체(100)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박스 본체(100)와 녹아웃부(120) 사이의 타공 절단부(110)의 폭이 녹아웃부(120)의 두께의 10배보다 큰 경우에는 타공 절단부(110)를 통해 박스 본체(100)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갈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 녹아웃부(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바깥쪽으로 오목하고 안쪽으로 볼록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녹아웃부의 굴곡 방향이 앞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본 고안의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볼록하거나 오목하지 않고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녹아웃부(220)를 구비하는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평판 형태의 녹아웃부(22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박스 본체(200)의 일부분을 2열로 절단하여 타공 절단부(210)를 형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스 공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소정의 폭을 가진 타공 절단부(210)를 형성하기 위하여 연결 구멍의 내경 일부분과 녹아웃부(220)의 외경을 따라 박스 본체(200)의 일부분을 2열로 절단하여 타공 절단부(210)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해 녹아웃부(220)가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박스 본체(200)와 접촉하지 않는 구조가 되고, 절단용 연결부(230)를 절단하여 녹아웃부(230)를 제거하기 용이한 구조가 된다.
또한, 앞에서 녹아웃부(120)의 외주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외주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되지 않는 형태의 녹아웃부를 구비하는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앞에서 타공 절단부(110)의 폭의 바람직한 수치 범위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 앞에서 설명한 수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앞에서 설명한 수치 범위 이외에 다른 다양한 치수와 구조로 형성된 타공 절단부를 구비하는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앞에서 레이스웨이 형태로 형성된 박스 본체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레이스웨이 이외에 다른 다양한 형태의 박스 본체를 사용하는 구성이 본 고안의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인트 박스(joint box)나 풀 박스(pull box)와 같은 형태의 박스 본체를 구비하는 전기 배선 박스에도 본 고안의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의 적용이 가능하다.
100, 200: 박스 본체 110, 210: 타공 절단부
120, 220: 녹아웃부 130, 230: 절단용 연결부

Claims (8)

  1. 삭제
  2. 전기 배선을 수용하는 도전성 금속 재질의 박스 본체;
    상기 전기 배선 연결을 위해 상기 박스 본체를 관통하는 연결 구멍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구멍의 내주 경로 일부분을 따라 상기 배선 박스 본체를 절단하여 형성되는 타공 절단부;
    상기 박스 본체와 비접촉 이격되어 상기 박스 본체와의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상기 타공 절단부에 의해 둘러 싸여 형성되며 상기 연결 구멍을 막고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녹아웃부; 및
    절단되면 상기 녹아웃부가 제거되어 상기 연결 구멍이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녹아웃부와 상기 박스 본체를 연결하는 절단용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공 절단부는, 상기 연결 구멍의 내경 일부분과 상기 녹아웃부의 외경을 따라 상기 박스 본체의 일부분을 2열로 절단하여 형성되는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
  3. 전기 배선을 수용하는 도전성 금속 재질의 박스 본체;
    상기 전기 배선 연결을 위해 상기 박스 본체를 관통하는 연결 구멍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구멍의 내주 경로 일부분을 따라 상기 배선 박스 본체를 절단하여 형성되는 타공 절단부;
    상기 박스 본체와 비접촉 이격되어 상기 박스 본체와의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상기 타공 절단부에 의해 둘러 싸여 형성되며 상기 연결 구멍을 막고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녹아웃부; 및
    절단되면 상기 녹아웃부가 제거되어 상기 연결 구멍이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녹아웃부와 상기 박스 본체를 연결하는 절단용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공 절단부는, 상기 박스 본체를 상기 연결 구멍의 내경 일부분을 따라 선형으로 절단하고, 상기 녹아웃부의 외경이 감소하도록 상기 녹아웃부를 소성 변형시켜 형성되는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 절단부는,
    상기 박스 본체의 일부분을 상기 연결 구멍의 내경 일부분을 따라 선형으로 절단한 후에, 상기 녹아웃부의 외경이 감소하도록 평판 형태의 상기 녹아웃부의 중앙부를 한쪽면은 오목하고 다른쪽 면은 볼록하게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되는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녹아웃부는, 상기 박스 본체에 대해 바깥쪽 면은 오목하고 안쪽 면은 볼록하게 형성되는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녹아웃부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그 외주를 따라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처리된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와 녹아웃부 사이의 타공 절단부의 폭은 0.1 내지 7mm인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
  8.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와 녹아웃부 사이의 타공 절단부의 폭은 상기 녹아웃부의 두께의 0.5배 내지 10배인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
KR2020200003750U 2020-10-21 2020-10-21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 KR2004932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750U KR200493248Y1 (ko) 2020-10-21 2020-10-21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750U KR200493248Y1 (ko) 2020-10-21 2020-10-21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248Y1 true KR200493248Y1 (ko) 2021-02-25

Family

ID=7471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750U KR200493248Y1 (ko) 2020-10-21 2020-10-21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2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3429A1 (de) * 2021-04-22 2022-10-27 OBO Bettermann Produktion Deutschland GmbH & Co. KG Aus metall hergestellte kabelrinnenkomponente, insbesondere kabelrinne oder kabelrinnendecke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849Y1 (ko) * 1997-10-08 2000-02-01 이경자 레이스 웨이
KR200345657Y1 (ko) * 2003-12-17 2004-03-24 평화전기산업(주) 케이블 트레이의 그라운드 본딩 점퍼 결합 구조
KR200405963Y1 (ko) * 2005-10-19 2006-01-11 정철호 전기 선로
KR101067491B1 (ko) * 2008-11-24 2011-09-27 박인철 케이블트레이 또는 레이스웨이의 코인접지구조
KR101393061B1 (ko) * 2013-09-17 2014-05-12 주식회사 서영산업 레이스 웨이용 조이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849Y1 (ko) * 1997-10-08 2000-02-01 이경자 레이스 웨이
KR200345657Y1 (ko) * 2003-12-17 2004-03-24 평화전기산업(주) 케이블 트레이의 그라운드 본딩 점퍼 결합 구조
KR200405963Y1 (ko) * 2005-10-19 2006-01-11 정철호 전기 선로
KR101067491B1 (ko) * 2008-11-24 2011-09-27 박인철 케이블트레이 또는 레이스웨이의 코인접지구조
KR101393061B1 (ko) * 2013-09-17 2014-05-12 주식회사 서영산업 레이스 웨이용 조이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3429A1 (de) * 2021-04-22 2022-10-27 OBO Bettermann Produktion Deutschland GmbH & Co. KG Aus metall hergestellte kabelrinnenkomponente, insbesondere kabelrinne oder kabelrinnendeck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51171C (en) Cable connector and electrical box
US8901441B2 (en) Conduit connector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7395598B2 (en) Face plate securement method
US7220923B1 (en) Clip-on electrical conduit connector
EP2096728A2 (en) Conduit connector
US6064009A (en) Universal cable clamp having oval apertures
KR200493248Y1 (ko) 전선 연결용 전기 배선 박스
US4529261A (en) Clamping connector for electrical conductors
US3783176A (en) Connection between electrical conduit and enclosure, and method
US4167056A (en) Knockout extracting tool
EP3118936A1 (de) Steckverbinder und verformungswerkzeug hierzu
US4845312A (en) Electrical outlet box and outlet therefor
US2175251A (en) Electrical connection
KR101068521B1 (ko) 케이블러그 탈피용 커팅다이스
US7351123B1 (en) Electrical terminal splice
US20220250221A1 (en) Electrical box knock-out tool
US3599172A (en) Cable terminal connector, quick-connect
US20230006371A1 (en) Fastening Device
US6234849B1 (en) Battery terminal connector
US11011899B2 (en) Position-adjustable receptacle and fasteners therefor
US20230007908A1 (en) Electrical terminal with crimped connection to a flat flexible cable
KR20180115023A (ko) 무탈피 전선이음 커넥터
US6194660B1 (en) Wedge-tite cable clamp
JPWO2022050240A5 (ko)
JPS5915499Y2 (ja) 樹脂封止形半導体装置の薄板連結片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