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237Y1 - 혼자 뜨는 연결 쑥뜸기 - Google Patents

혼자 뜨는 연결 쑥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237Y1
KR200493237Y1 KR2020190001836U KR20190001836U KR200493237Y1 KR 200493237 Y1 KR200493237 Y1 KR 200493237Y1 KR 2020190001836 U KR2020190001836 U KR 2020190001836U KR 20190001836 U KR20190001836 U KR 20190001836U KR 200493237 Y1 KR200493237 Y1 KR 2004932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xibustion
receptors
mugwort
r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8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474U (ko
Inventor
태 운 조
Original Assignee
조태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태운 filed Critical 조태운
Priority to KR20201900018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237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4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4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2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direct air flow on the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7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chemical re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개 뜸수용체에 각각 쑥봉을 꽂은 상태에서 손잡이를 이용하여 복수개 뜸수용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등과 허리에 올려 놓을 수 있기 때문에 피시술자 혼자서도 쉽고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이 어려운 신체 부위인 등과 허리에 쑥뜸을 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구입에 따른 비용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뜸수용체에 꽂아진 복수개 쑥봉에 의해 혈액순환의 개선은 물론 쑥뜸에 의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고, 복수개 뜸수용체가 각각 연결된 상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굴곡진 등과 허리의 굴곡면을 따라 복수개 뜸수용체가 각각 밀착될 수 있어 쑥뜸 치료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고 쑥뜸의 열기가 직접 피부에 닿지 않고 잔류열에 의해 피부에 닿기 때문에 피시술자의 통증유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척추전체에 대한 경혈의 쑥뜸효과가 이루어질 수 있는 혼자 뜨는 연결 쑥뜸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혼자 뜨는 연결 쑥뜸기{CONNECTED MOXIBUSTION DEVICE TO BE SELF-CAUTERIZATION}
본 고안은 혼자 뜨는 연결 쑥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신의 신체 부위 중 등과 허리에 위치한 척추주변의 경혈부위를 쉽고 용이하게 쑥뜸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복수개 뜸수용체 중 선택적으로 쑥봉을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굴곡진 신체의 등과 허리의 굴곡면에 밀착되어 쑥뜸을 할 수 있도록 한 혼자 뜨는 연결 쑥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쑥뜸은, 쑥의 뜨거운 열기와 약효성분을 피부의 경혈을 통해 체내로 흡수하게 하여 기와 혈을 활발히 소통시킴으로써 각종질병의 원인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으로, 쑥은 장과 위, 수족을 따뜻하고 튼튼하게 하는데 애용되어 왔으며 비타민A, C, 칼슘과 카로틴 등의 성분이 시력 보호와 감기 예방에 효과를 보이고 있다.
또한 쑥뜸은, 무기질이 풍부한 알카리성 식품으로 병에 걸리기 쉬운 산성체질을 개선하는가 하면 혈액을 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풍부한 섬유소의 함유로 숙변을 용이하게 하여 피부미용에도 효과가 있으며, 비료, 농약 등의 독소를 분해하여 체외로 내보내는 해독제 역할도 한다.
쑥뜸을 하기 위해서는, 쑥을 일정한 크기로 말아서 형태를 갖추게 한 다음 경혈부위에 맞추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시킨 후, 쑥에 불을 붙여 타 들어가게 하여 쑥뜸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쑥뜸을 진행하게 되면, 쑥이 연소되면서 열을 경혈에 전달하게 되는 바, 쑥으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약효성분에 의해 서서히 치료가 이루어지게 되고 신체의 혈액순환작용이 원활하도록 한다.
그러나, 쑥을 피부 위에 올려놓고 직접 뜸을 뜰 경우 직접적인 강한 열 자극에 의해 상당한 고통이 뒤 따르게 되고 피부 표면에 화상에 의한 흉터가 남게 되며, 피시술자가 긴장하게 되어 모세혈관의 수축에 의해 오히려 혈압이 올라가고 질병이 악화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피시술자의 고통과 심리적 부담을 덜어주고 흉터가 남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간접용 뜸 기구가 안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등록실용 20-0440662호인 뜸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내부에 약쑥 수용부가 형성되고, 내주면과 외주면 중 적어도 일 측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덮개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내주면과 외주면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약쑥 수용부에서 연소되는 약쑥의 열기를 피시술자의 피부에 전달하는 받침부로 구비되어 있으며, 열기의 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쑥뜸에 의한 치료 효능이 향상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피시술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신체 부위에는 시술자 없이도 혼자서 쑥뜸을 뜰 수 있는 반면, 등이나 허리와 같이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신체 부위는 피시술자 혼자서 쑥뜸을 뜰 수 없기 때문에 쑥뜸을 신체에 올려놓을 수 있는 시술자가 반드시 같이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종래 쑥뜸기가 1개씩 낱개별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등이나 허리에 피시술자 혼자서 낱개별로 구비된 쑥뜸기를 피부표면에 올려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피시술자가 누운 상태에서 척추 부분에 뜸을 뜰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안출된 바 있다.
일예로, 등록특허 10-1687680호인 쑥뜸용 뜸침대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침대 매트리스에 어깨 및 등, 허리 부분에 쑥뜸 열기를 배출하는 상부 훈증배출구와 하부 훈증배출구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 훈증배출구의 하측에 쑥뜸용기를 상하 승강하는 승강장치가 각각 구비된 훈증기를 설치하되 상부 훈증배출구의 하측에 갖는 훈증기는 전후 폭 방향으로 설치된 슬라이딩레일에 의해 이동되게 하고 하부 훈증배출구의 하측에 갖는 훈증기는 슬라이드대에 결합하여 전후 폭 방향 및 좌우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각 슬라이딩레일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시술자가 편안히 누운 상태에서 어깨, 등, 허리 부분에 뜸질을 동시에 실시하여 치료시간을 단축하고, 뜸질 시에 화상의 염려가 전혀 없이 훈증 세기 및 위치를 신속하면서 간단히 조절하여 최적의 뜸질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구입비용에 부담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침대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설치공간을 크게 차지하게 되어 실내의 공간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피시술자 혼자서 등이나 허리에 쑥뜸을 뜰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구입비용에 부담을 갖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관에 따른 공간활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40662호(2008.06.18.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10-1687680호(2016.12.13. 등록)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소비자들로 하여금 구입하는데 비용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굴곡지게 이루어진 등과 허리에 위치한 척추주변의 경혈부위를 쉽고 용이하게 쑥뜸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복수개 뜸수용체 중 선택적으로 쑥봉을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피시술자 혼자서 쉽고 용이하게 쑥뜸을 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굴곡진 신체의 등과 허리의 굴곡면에 복수개 뜸수용체가 각각 밀착되도록 하여 쑥뜸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혼자 뜨는 연결 쑥뜸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혼자 뜨는 연결 쑥뜸기는, 상단에 쑥봉이 각각 꽂아지고 외면에 각각 링형 걸이구를 갖는 복수개 뜸수용체와; 상기 복수개 뜸수용체 각각에 구비된 링형 걸이구를 연결하는 복수개 연결구와; 상기 복수개 뜸수용체 중 2개의 뜸수용체에 각각 구비된 링형 걸이구에 일측과 타측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 연결구에 의해 각각 연결된 복수개 뜸수용체를 들어주는 손잡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 뜸수용체에 각각 쑥봉을 꽂은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를 이용하여 복수개 연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된 복수개 뜸수용체를 피시술자의 등과 허리에 올려 안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개 뜸수용체가 각각 피시술자의 등과 허리에 밀착된 상태에서 쑥뜸이 진행되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복수개 뜸수용체는 각각, 복수개 수용부가 관통된 뜸지지구와; 상기 뜸지지구에 관통된 복수개 수용부 각각에 끼워지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상부에 쑥봉인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쑥봉인입부에 인입되어 끼워진 쑥봉의 하단을 받쳐지지하는 지지턱을 갖는 쑥봉끼움구와; 상기 뜸지지구가 상단 내측에 끼워지고 하단에 피부표면에 밀착되는 밀착면이 구비되며 상기 상단 내측에 끼워진 뜸지지구와 상기 밀착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쑥봉끼움구에 끼워진 쑥봉의 열기가 잔류하는 열기잔류공간부가 구비되며 상기 링형 걸이구가 외면에 구비되는 뜸받이구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복수개 연결구는, 상기 복수개 뜸수용체 각각에 구비되는 링형 걸이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고리형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복수개 뜸수용체 중 2개의 뜸수용체에 각각 구비된 링형 걸이구에 각각 연결링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복수개 뜸수용체 중 2개의 뜸수용체에 각각 구비된 링형 걸이구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걸어진 후 이탈방지구에 의해 걸어진 일측과 타측이 상기 링형 걸이구에 각각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링형 걸이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와이어형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복수개 뜸수용체에 각각 쑥봉을 꽂은 상태에서 손잡이를 이용하여 복수개 뜸수용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등과 허리에 올려 놓을 수 있기 때문에 피시술자 혼자서도 쉽고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이 어려운 신체 부위인 등과 허리에 쑥뜸을 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구입에 따른 비용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뜸수용체에 꽂아진 복수개 쑥봉에 의해 혈액순환의 개선은 물론 쑥뜸에 의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고, 복수개 뜸수용체가 각각 연결된 상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굴곡진 등과 허리의 굴곡면을 따라 복수개 뜸수용체가 각각 밀착될 수 있어 쑥뜸 치료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고 쑥뜸의 열기가 직접 피부에 닿지 않고 잔류열에 의해 피부에 닿기 때문에 피시술자의 통증유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척추전체에 대한 경혈의 쑥뜸효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혼자 뜨는 연결 쑥뜸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혼자 뜨는 연결 쑥뜸기의 구성요부 인 뜸수용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혼자 뜨는 연결 쑥뜸기의 뜸수용체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혼자 뜨는 연결 쑥뜸기의 복수개 뜸수용체가 연결된 상태의 평면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혼자 뜨는 연결 쑥뜸기의 복수개 뜸수용체가 연결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혼자 뜨는 연결 쑥뜸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단에 쑥봉(101)이 각각 꽂아지고 외면에 각각 링형 걸이구(11)를 갖는 복수개 뜸수용체(10)와, 상기 복수개 뜸수용체(10) 각각에 구비된 링형 걸이구(11)를 연결하는 복수개 연결구(20)와, 상기 복수개 뜸수용체(10) 중 2개의 뜸수용체(10)에 각각 구비된 링형 걸이구(11)에 일측과 타측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 연결구(20)에 의해 각각 연결된 복수개 뜸수용체(10)를 들어주는 손잡이(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뜸수용체(10)의 형상을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며, 본 고안의 뜸수용체(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 뜸수용체(10)는 상기 복수개 연결구(20)에 의해 각각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개 뜸수용체(10)가 각각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어 굴곡진 등과 허리의 굴곡면에 복수개 뜸수용체(10)가 각각 밀착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상기 복수개 뜸수용체(10)에 각각 쑥봉(101)을 꽂은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30)를 이용하여 복수개 연결구(20)에 의해 서로 연결된 복수개 뜸수용체(10)를 피시술자의 등과 허리에 올려 안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개 뜸수용체(10)가 각각 피시술자의 등과 허리에 밀착된 상태에서 쑥봉(101)에 의한 뜸을 뜰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은 손잡이(30)를 들어올리면 상기 손잡이(30)가 연결된 2개의 뜸수용체(1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 연결구(20)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 뜸수용체(10)를 전체적으로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등과 허리에 복수개 뜸수용체(10)를 전체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어 피시술자 혼자서도 쉽고 용이하게 등과 허리의 척추부분에 대한 경혈부에 쑥뜸을 뜰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복수개 뜸수용체(10)는 각각, 복수개 수용부(12)가 관통된 뜸지지구(13)와, 상기 뜸지지구(13)에 관통된 복수개 수용부(12) 각각에 끼워지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상부에 쑥봉인입부(14)가 구비되며 상기 쑥봉인입부(14)에 인입되어 끼워진 쑥봉(101)의 하단을 받쳐지지하는 지지턱(15)을 갖는 쑥봉끼움구(16)와, 상기 뜸지지구(13)가 상단 내측에 끼워지고 하단에 피부표면에 밀착되는 밀착면(17)이 구비되며 상기 상단 내측에 끼워진 뜸지지구(13)와 상기 밀착면(17)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쑥봉끼움구(16)에 끼워진 쑥봉(101)의 열기가 잔류하는 열기잔류공간부(18)가 구비되며 상기 링형 걸이구(11)가 외면에 구비되는 뜸받이구(19)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쑥봉끼움구(16)에 구비되는 쑥봉인입부(14)는 쑥봉(101)의 하단이 끼워져 인입되는 것으로, 쑥봉인입부(14)에 끼워져 인입된 쑥봉(101)의 하단은 상기 지지턱(15)에 의해 받쳐져 지지됨에 따라 상기 쑥봉끼움구(16)의 하부측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쑥뜸을 뜰 때 상기 쑥봉(101)의 하단이 피시술자의 피부에 닿지 않아 화상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열기잔류공간부(18)는 상기 쑥봉끼움구(16)에 끼워진 쑥봉(101)의 열기가 피부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고 상기 열기잔류공간부(18)에 잔류되기 때문에 열기잔류공간부(18)의 공간 전체적으로 쑥봉(101)의 열기가 펼쳐진 상태로 피시술자의 피부에 간접적으로 닿음에 따라 척추의 경혈부에 고르게 뜸을 뜰 수 있다.
상기 밀착면(17)이 피시술자의 등과 허리에 닿아 밀착될 때 등과 허리로부터 밀착면(17)이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뜸받이구(19)는 고무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복수개 연결구(20)는, 상기 복수개 뜸수용체(10) 각각에 구비되는 링형 걸이구(11)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고리형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개 뜸수용체(10)에 각각 구비된 링형 걸이구(11)에 복수개 연결구(20)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복수개 뜸수용체(10)를 각각 서로 연결하여 구비할 수 있어 복수개 뜸수용체(10)가 각각 개개별로 자유롭게 유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굴곡진 피시술자의 등과 허리의 굴곡면에 밀착된 상태로 쑥뜸을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복수개 뜸수용체(10) 중 2개의 뜸수용체(10)에 각각 구비된 상기 링형 걸이구(11)에는 각각 연결링(31)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손잡이(30)는, 상기 복수개 뜸수용체(10) 중 2개의 뜸수용체(10)에 각각 구비된 링형 걸이구(11)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걸어진 후 이탈방지구(32)에 의해 걸어진 일측과 타측이 상기 링형 걸이구(11)에 각각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링형 걸이구(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와이어형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와이어형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30)의 중앙에는 중앙파지부(3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파지부(33)를 손으로 잡을 경우 복수개 뜸수용체(10)들의 중앙부가 정확하게 들어올려지기 때문에 복수개 뜸수용체(10)를 들어 올려 등과 허리에 안착함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상기 손잡이(30)를 잡은 상태에서 손잡이(30)를 들어올리면 복수개 뜸수용체(10)가 전체적으로 들어올려지기 때문에 복수개 뜸수용체(10)를 등과 허리에 올려 쑥뜸을 뜨거나 등과 허리로부터 복수개 뜸수용체(10)를 이탈시킴이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뜸수용체 11 : 링형 걸이구
12 : 수용부 13 : 뜸지지구
14 : 쑥봉인입부 15 : 지지턱
16 : 쑥봉끼움구 17 : 밀착면
18 : 열기잔류공간부 19 : 뜸받이구
20 : 연결구 30 : 손잡이
31 : 연결링 32 : 이탈방지구
33 : 중앙파지부

Claims (4)

  1. 삭제
  2. 상단에 쑥봉(101)이 각각 꽂아지고 외면에 각각 링형 걸이구(11)를 갖는 복수개 뜸수용체(10)와;
    상기 복수개 뜸수용체(10) 각각에 구비된 링형 걸이구(11)를 연결하는 복수개 연결구(20)와;
    상기 복수개 뜸수용체(10) 중 2개의 뜸수용체(10)에 각각 구비된 링형 걸이구(11)에 일측과 타측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 연결구(20)에 의해 각각 연결된 복수개 뜸수용체(10)를 들어주는 손잡이(30)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 뜸수용체(10)에 각각 쑥봉(101)을 꽂은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30)를 이용하여 복수개 연결구(20)에 의해 서로 연결된 복수개 뜸수용체(10)를 피시술자의 등과 허리에 올려 안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개 뜸수용체(10)가 각각 피시술자의 등과 허리에 밀착된 상태에서 쑥뜸이 진행되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자 뜨는 연결 쑥뜸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뜸수용체(10)는 각각,
    복수개 수용부(12)가 관통된 뜸지지구(13)와;
    상기 뜸지지구(13)에 관통된 복수개 수용부(12) 각각에 끼워지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상부에 쑥봉인입부(14)가 구비되며 상기 쑥봉인입부(14)에 인입되어 끼워진 쑥봉(101)의 하단을 받쳐지지하는 지지턱(15)을 갖는 쑥봉끼움구(16)와;
    상기 뜸지지구(13)가 상단 내측에 끼워지고 하단에 피부표면에 밀착되는 밀착면(17)이 구비되며 상기 상단 내측에 끼워진 뜸지지구(13)와 상기 밀착면(17)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쑥봉끼움구(16)에 끼워진 쑥봉(101)의 열기가 잔류하는 열기잔류공간부(18)가 구비되며 상기 링형 걸이구(11)가 외면에 구비되는 뜸받이구(19)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자 뜨는 연결 쑥뜸기.
  3. 삭제
  4. 삭제
KR2020190001836U 2019-05-03 2019-05-03 혼자 뜨는 연결 쑥뜸기 KR2004932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36U KR200493237Y1 (ko) 2019-05-03 2019-05-03 혼자 뜨는 연결 쑥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36U KR200493237Y1 (ko) 2019-05-03 2019-05-03 혼자 뜨는 연결 쑥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74U KR20200002474U (ko) 2020-11-11
KR200493237Y1 true KR200493237Y1 (ko) 2021-02-24

Family

ID=73197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836U KR200493237Y1 (ko) 2019-05-03 2019-05-03 혼자 뜨는 연결 쑥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23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348Y1 (ko) 2020-12-15 2021-03-15 이경미 뜸기구
KR102306999B1 (ko) * 2021-05-26 2021-09-30 김지예 실뜸 받침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841B2 (ja) * 1992-07-06 2001-03-05 神鋼パンテツク株式会社 半導体製造装置の超純水接触機器用ステンレス鋼
JP2009195347A (ja) 2008-02-20 2009-09-03 Okyu-Keburiya Honpo Kk 温灸器セット
KR101682529B1 (ko) * 2016-06-03 2016-12-14 고운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쑥뜸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5032U (ja) * 1983-09-07 1985-03-29 株式会社山正 間接灸セツト
JPS6420844U (ko) * 1987-07-27 1989-02-01
KR200440662Y1 (ko) 2007-03-07 2008-06-24 박오홍 뜸기
JP3139841U (ja) * 2007-11-20 2008-03-06 優子 浅井 温灸器
KR101687680B1 (ko) 2015-02-23 2016-12-19 이동인 쑥뜸용 뜸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841B2 (ja) * 1992-07-06 2001-03-05 神鋼パンテツク株式会社 半導体製造装置の超純水接触機器用ステンレス鋼
JP2009195347A (ja) 2008-02-20 2009-09-03 Okyu-Keburiya Honpo Kk 温灸器セット
KR101682529B1 (ko) * 2016-06-03 2016-12-14 고운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쑥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74U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48499B (zh) 一种中药熏蒸医疗椅
KR200493237Y1 (ko) 혼자 뜨는 연결 쑥뜸기
CN201492663U (zh) 带药饼的灸疗器
CN2920232Y (zh) 中药熏蒸理疗保健装置
CN102335090A (zh) 熏蒸治疗床
US20150352005A1 (en) Indirect Bird-Pecking Moxibustion Device that is Portable and Automatically Height Adjustable
CN109077920A (zh) 养生瓮
CN205083996U (zh) 大型灸疗罐
CN201692197U (zh) 多功能治疗床
CN207693912U (zh) 一种温针灸器
CN206324996U (zh) 一种艾相伴无烟聚能扶阳艾灸器
CN204744939U (zh) 灸疗罐
CN210785387U (zh) 一种多功能艾灸操作治疗仪
CN201168047Y (zh) 钟型自动灸罩
US20180000637A1 (en) Portable moxibustion therapy device
CN106361529A (zh) 一种老年人精神病治疗康复椅
CN101669875B (zh) 艾灸器
CN202336032U (zh) 熏蒸治疗床
CN214596489U (zh) 可以自己进行艾灸的连接式艾灸器
CN207221021U (zh) 一种神经内科用熏蒸床
CN206675722U (zh) 一种艾灸装置
KR101684070B1 (ko) 온열 경락 마사지기구
CN211485633U (zh) 一种乳腺外科用护理熏蒸桶
KR20130010453A (ko) 쑥 찜질기
CN204521557U (zh) 脐火疗法用蜡筒固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