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179Y1 - 캠핑 장비용 폴대 - Google Patents

캠핑 장비용 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179Y1
KR200493179Y1 KR2020190001816U KR20190001816U KR200493179Y1 KR 200493179 Y1 KR200493179 Y1 KR 200493179Y1 KR 2020190001816 U KR2020190001816 U KR 2020190001816U KR 20190001816 U KR20190001816 U KR 20190001816U KR 200493179 Y1 KR200493179 Y1 KR 2004931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male screw
screw portion
poles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467U (ko
Inventor
이종대
Original Assignee
(주)에르젠아웃도어
이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르젠아웃도어, 이종대 filed Critical (주)에르젠아웃도어
Priority to KR2020190001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179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4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4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1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8Closures; Awnings; Sunsh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캠핑 장비용 폴대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폴이 종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져서 일정 길이의 봉 형태를 이루되, 최 상부의 폴 상단에는 폴 보다 직경이 작은 고정 봉이 형성된 폴대; 상기 폴대를 이루는 복수의 폴 중, 고정 봉이 형성된 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연결 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캠핑 장비용 폴대{Pole shaft for camping gear}
본 고안은 캠핑 장비용 폴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단에 고정 봉이 형성된 폴대에서, 고정 봉의 하부 쪽에 별도의 별도의 연결 링을 설치함으로써, 스크린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랜턴 등의 기타 장비들을 걸도록 하여 그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킨 캠핑 장비용 폴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현대인들이 정신적 피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레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레저 활동 중에서 자연과 더불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등산, 여행, 낚시 등을 즐기는 사람들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가족단위로 함께 자연 속에서 식사와 취침을 함께 함으로써, 가족 간의 유대감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캠핑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대부분의 가정에서 자동차를 구비하고 있고, 이에 자동차에 다양한 편의장비들을 싣고 이동하기가 용이해짐에 따라 캠퍼(Camper)들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캠핑 장비들이 제공되고 있다.
즉, 종래에는 캠핑 장비로서, 주로 소형 텐트와 코펠 정도가 주를 이루었던 반면, 최근에는 대형 텐트를 비롯하여 가족 전체가 활동하기 용이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타프 및 타프스크린 등과 같이 다양한 캠핑 장비들이 제공되고 있다.
타프는, 테프런(Tarpaulin)의 약어로서, 방수천을 의미하는 것이며, 주 기능은 비와 습기 등을 차단하는 방수기능과, 햇빛을 차단하여 열기의 전달을 막는 차광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타프(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직립 설치되는 복수의 폴대(20)와 결합되어 지면에서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이러한 타프(50)의 하부 쪽에 전후좌우 사방 및 상부를 막아 외부로부터 독립된 공간을 제공하는 스크린(60)이 설치된다.
참고로,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은 타프(50)와 스크린(60)이 결합된 타프 스크린을 나타낸 것이다.
즉, 캠퍼의 니즈에 따라 타프(50)만 설치할 수도 있고, 타프(50)의 하부에 스크린(60)을 설치하여 외부와 독립된 공간을 확보함은 물론 습기, 바람 및 햇빛의 유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도 있다.
타프(50)와 스크린(60)을 활용하는 캠퍼들은, 캠핑 장비를 풀 때, 제일 먼저 타프(50)와 스크린(60)을 설치하고, 캠핑 장비를 정리할 때는 제일 나중에 타프(50)와 스크린(60)을 정리하게 된다.
타프(50)와 스크린(6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먼저 설치하고자 하는 타프(50)와 스크린(60)의 크기에 맞추어 지면에 팩(30)을 박고, 복수의 폴대(20)들을 각각 조립한 후, 조립된 폴대(20)들의 상단 고정 봉(22)들과 팩(30)들을 스트링(40)으로 연결한 다음, 각 폴대(20)들의 각 고정 봉(22)들에 타프(50)의 모서리에 형성된 결합공을 삽입하여 타프(50)가 지면에 대하여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시킨다.
그리고, 스트링(40)을 팽팽하게 당겨서 폴대(20)들이 직집된 상태가 되도록 고정시키게 되면, 타프(50)가 지면에 대하여 상부로 이격된 상태에서 팽팽하게 펼쳐진 채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외 같이 타프(50)를 설치한 이후에, 스크린(60)을 추가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크린(60)의 상부 모서리 측에 설치된 고정 끈(64)들을 각 폴대(20)들의 고정 봉(22)들에 걸어서 연결하게 되면, 타프(50)의 아래 쪽에 스크린(60)의 측면부(62)가 전후좌우면에 배치됨에 따라 외부와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스크린(60)의 고정 끈(64)들을 각 폴대(20)들의 고정 봉(22)들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폴대(20)의 높이가 높음에 따라 스크린(60)의 고정 끈(64)을 폴대(20)의 고정 봉(22)에 연결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키가 상대적으로 작은 캠퍼의 경우, 스크린(60)의 고정 끈(64)을 폴대(20)의 고정 봉(22)에 연결하기가 어려웠으며, 이 경우 스트링(40)을 살짝 풀어주어 폴대(20)를 기울인 상태에서 고정 끈(64)을 고정 봉(22)에 연결하고, 다시 폴대(20)를 세운 상태에서 스트링(40)을 팽팽하게 잡아당겨야 하는 등, 그 설치에 따른 작업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실용등록 제20-0487649호(2018.10.11.) 한국실용등록 제20-0482166호(2016.12.19.)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폴대의 상부 측에 별도의 연결 링을 설치함으로써, 스크린의 고정 끈을 폴대의 고정 봉이 아닌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타프 및 스크린의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캠핑 장비용 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캠핑 장비용 폴대는, 복수의 폴이 종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져서 일정 길이의 봉 형태를 이루되, 최 상부의 폴 상단에는 폴 보다 직경이 작은 고정 봉이 형성된 폴대; 상기 폴대를 이루는 복수의 폴 중, 고정 봉이 형성된 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연결 링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폴대에는 양 측면에 한 쌍을 이루는 삽입 공이 일정 높이 간격마다 복수 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단의 삽입 공 중, 선택된 삽입 공에 상기 연결 링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링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마주보게 배치되되, 나사 체결 또는 나사 풀림에 의해 서로 간격이 벌어지거나 서로 간격이 좁혀지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일단 및 상기 제2 부재의 일단과 각각 나사 체결 또는 풀림됨에 따라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부재는 제1 수나사부와, 제1 삽입부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수나사부와 제1 삽입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가 제1 수나사부 및 제1 삽입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부재는 제2 수나사부와, 제2 삽입부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수나사부와 제2 삽입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가 제2 수나사부 및 제2 삽입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는 그 내부에 상기 제1 수나사부와 나사체결되는 제1 암나사공과, 상기 제2 수나사부와 나사체결되는 제2 암나사공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부재의 제1 수나사부는 왼나사 또는 오른나사이고, 상기 제2 부재의 제2 수나사부는 상기 제1 수나사부와 반대를 이루는 오른나사 또는 왼나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캠핑 장비용 폴대에 의하면, 폴대의 상부 측에 별도의 연결 링이 설치됨으로써, 스크린의 고정 끈을 폴대의 고정 봉이 아닌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연결할 수 있게 되는바, 타프 및 스크린의 설치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타프 및 스크린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폴대에 스크린의 고정 끈이 연결된 상태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폴대를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연결 링의 확대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폴대에 연결 링이 착탈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캠핑 장비용 폴대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캠핑 장비용 폴대(20)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폴대에 스크린의 고정 끈이 연결된 상태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20)의 상부에는 서로 대향되는 양쪽 방향에 삽입공(24)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24)에 대하여 대략 D 형상의 연결 링(10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폴대(20)는 복수의 폴들이 종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져서 일정 길이의 봉 형태를 이루게 되는데, 최 상부에 위치하는 폴의 상단에는 폴에 비하여 직경이 작은 고정 봉(22)이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삽입공(24)은 고정 봉이 설치된 폴의 상단 측 양 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폴대(20)의 고정 봉(22)에 타프(50)의 결합공을 삽입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스크린(60)의 고정 끈(200)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링(100)에 연결하여 고정시키게 되면, 스크린(60)의 고정 끈(200)을 종래에서와 같이 폴대(20)의 고정 봉(22)에 연결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연결 링(100)에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스크린(60) 설치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종래에서와 같이 스크린(60)의 고정 끈(200)을 폴대(20)의 고정 봉(22)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고정 끈(200)의 중간 단을 연결 링(100)에 연결시키게 되면, 고정 끈(200)의 장력이 커지게 되는바, 스크린(60)을 더욱 팽팽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 링(100)에 랜턴이나 건조망 등과 같은 다양한 캠핑 장비 등을 거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게 됨으로써, 캠핑을 보다 효과적으로 즐길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폴대를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연결 링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폴대에 연결 링이 착탈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캠핑 장비용 폴대(20)는, 그 상부 쪽에 서로 대향되는 양쪽 방향에 한 쌍의 삽입공(24 : 24a,24b,24c)이 복수 단으로 형성되고, 이 복수 단을 이루는 한 쌍의 삽입공(24) 중, 어느 하나의 한 쌍의 삽입공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 링(3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폴대(20)는 복수의 폴이 종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져서 일정 길이의 봉 형태를 이루게 되는데, 최 상부에 위치하는 폴의 상단에는 폴에 비하여 직경이 작은 고정 봉(22)이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복수 단을 이루는 한 쌍의 삽입공(24)은 고정 봉(22)이 설치된 폴의 상단 측 양 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뒷받침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복수 단을 이루는 한 쌍의 삽입공(24)들이 고정 봉(22)이 위치하는 상부로부터 제1 삽입공(24a)과, 제2 삽입공(24b) 및 제3 삽입공(24c) 등, 모두 3단에 걸쳐 형성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단 또는 4단 이상의 다 단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한 쌍의 삽입공(24)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 링(30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ㄷ자로 형성되는 제1 부재(310)와, 역시 대략 ㄷ자로 형성되는 제2 부재(320)와, 제1 부재(310) 및 제2 부재(320)와 스크류 체결 또는 해제됨에 따라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부재(310)와 제2 부재(320)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아지도록 하는 조절부(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재(310)는 제1 수나사부(312)와, 제1 삽입부(316)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수나사부(312)와 제1 삽입부(316)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314)가 제1 수나사부(312) 및 제1 삽입부(316)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재(320)도 제2 수나사부(322)와, 제2 삽입부(326)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수나사부(322)와 제2 삽입부(326)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324)가 제2 수나사부(322) 및 제2 삽입부(326)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조절부(40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제1 암나사공(410) 및 제2 암나사공(420)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암나사공(410)과 제2 암나사공(420)의 사이인 중간 부위에는 차폐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재(310)의 제1 수나사부(312)는 왼나사 또는 오른나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부재(320)의 제2 수나사부(322)는 오른나사 또는 왼나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부재(310)의 제1 수나사부(312)가 왼나사로 형성되는 경우, 제2 부재(320)의 제2 수나사부(322)는 오른나사로 형성되고, 반대로 제1 부재(310)의 제1 수나사부(312)가 오른나사로 형성되는 경우, 제2 부재(320)의 제2 수나사부(322)는 왼나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절부(400)에 형성되는 제1 암나사공(410)은 제1 부재(310)의 제1 수나사부(312)와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고, 제2 암나사공(420)은 제2 부재(320)의 제2 수나사부(322)와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400)의 제1 암나사공(410)에 제1 부재(310)의 제1 수나사부(312)를 체결시키고, 조절부(400)의 제2 암나사공(420)에 제2 부재(320)의 제2 수나사부(422)를 체결시킨 상태에서, 조절부(400)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제1 부재(310) 및 제2 부재(32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벌려주거나 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그 간격을 좁힐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캠핑 장비용 폴대를 이용하여 연결 링(300)을 착탈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삽입공(24)이 복수 단으로 형성된 폴대(20)에서, 최 상단에 위치하는 제1 삽입공(24a)에 연결 링이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이 때 연결 링(300)을 제1 삽입공(24a)으로부터 분리하여, 제2 삽입공(24b) 또는 제3 삽입공(24c)에 고정되게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400)를 한 쪽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조절부(400)를 한 쪽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조절부(400)의 제1 암나사공(410)에 나사체결된 제1 부재(310)의 제1 수나사부(312)가 풀림됨에 따라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조절부(400)의 제2 암나사공(420)에 나사체결된 제2 부재(320)의 제2 수나사부(322)도 풀림됨에 따라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1 부재(310) 및 제2 부재(320)는 조절부(400)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서로 간격이 벌어지게 됨으로써, 폴대(20)의 제1 삽입공(24a)에 각각 삽입되어 있던 제1 부재(310)의 제1 삽입부(316) 및 제2 부재(320)의 제2 삽입부(326)는 한 쌍의 제1 삽입공(24a)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됨으로써,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폴대(20)의 제1 삽입공(24a)으로부터 분리된 연결 링(300)을 제2 삽입공(24b) 또는 제3 삽입공(24c)에 고정되게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 선택된 삽입공(24b,24c)에 제1 부재(310)의 제1 삽입부(316)와 제2 부재(320)의 제2 삽입부(326)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절부(400)를 다른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조절부(400)의 제1 암나사공(310)에 제1 부재(310)의 제1 수나사부(312)가 나사체결됨에 따라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조절부(400)의 제2 암나사공(420)에 제2 부재(320)의 제2 수나사부(322)가 나사체결됨에 따라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1 부재(310) 및 제2 부재(320)는 조절부(400)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서로 간격이 좁혀지게 됨으로써, 폴대(20)의 선택된 한 쌍의 삽입공(24)에 제1 부재(310)의 제1 삽입부(316) 및 제2 부재(320)의 제2 삽입부(326)가 삽입됨으로써,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캠핑 장비용 폴대(20)는, 고정 봉(22)이 형성된 폴대(20)의 선택된 위치에 연결 링(300)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캠퍼가 원하는 폴대(20)의 선택된 위치에 연결 링(300)을 설치한 후, 이 연결 링(300)에 스크린(60)의 고정 끈(200)을 연결하거나 또는 랜턴이나 건조망 등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그 사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 : 폴대 22 : 고정 봉
24 : 한 쌍의 삽입공 24a : 제1 삽입공
24b : 제2 삽입공 24c : 제3 삽입공
50 : 타프 60 : 스크린
100 : 연결 링 200 : 조임 끈
300 : 연결 링 310 : 제1 부재
312 : 제1 수나사부 314 : 제1 연결부
316 : 제1 삽입부 320 : 제2 부재
322 : 제2 수나사부 324 : 제2 연결부
326 : 제2 삽입부 400 : 조절부
410 : 제1 암나사공 420 : 제2 암나사공

Claims (5)

  1. 복수의 폴이 종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져서 일정 길이의 봉 형태를 이루되, 최 상부의 폴 상단에는 폴 보다 직경이 작은 고정 봉이 형성되고, 그 양 측면에 한 쌍을 이루는 삽입 공이 일정 높이 간격으로 복수 단으로 형성되는 폴대와; 상기 폴대를 이루는 복수의 폴 중, 상기 복수 단의 삽입 공 중, 선택된 삽입 공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연결 링을 포함하는 캠핑 장비용 폴대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링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마주보게 배치되되, 나사 체결 또는 나사 풀림에 의해 서로 간격이 벌어지거나 서로 간격이 좁혀지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일단 및 상기 제2 부재의 일단과 각각 나사 체결 또는 풀림됨에 따라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부재는 제1 수나사부와 제1 삽입부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수나사부와 제1 삽입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가 제1 수나사부 및 제1 삽입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제2 수나사부와 제2 삽입부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수나사부와 제2 삽입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가 제2 수나사부 및 제2 삽입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는 그 내부에 상기 제1 수나사부와 나사체결되는 제1 암나사공과, 상기 제2 수나사부와 나사체결되는 제2 암나사공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 장비용 폴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제1 수나사부는 왼나사 또는 오른나사이고, 상기 제2 부재의 제2 수나사부는 상기 제1 수나사부와 반대를 이루는 오른나사 또는 왼나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 장비용 폴대.
KR2020190001816U 2019-05-02 2019-05-02 캠핑 장비용 폴대 KR2004931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16U KR200493179Y1 (ko) 2019-05-02 2019-05-02 캠핑 장비용 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16U KR200493179Y1 (ko) 2019-05-02 2019-05-02 캠핑 장비용 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67U KR20200002467U (ko) 2020-11-11
KR200493179Y1 true KR200493179Y1 (ko) 2021-02-10

Family

ID=73197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816U KR200493179Y1 (ko) 2019-05-02 2019-05-02 캠핑 장비용 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179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211Y1 (ko) * 2010-06-01 2012-12-18 박명식 야외용 그늘막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166Y1 (ko) 2015-05-06 2016-12-23 김광철 타프 폴대 체결구
KR20180091563A (ko) * 2017-02-07 2018-08-16 주식회사 라티스글로벌 라티스 타입의 골조 제작을 위한 라티스 형성 유닛
KR200487649Y1 (ko) 2018-03-19 2018-10-17 이명수 텐트 및 타프 폴대 연결용 접이식 허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211Y1 (ko) * 2010-06-01 2012-12-18 박명식 야외용 그늘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67U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6543A (en) Portable tent
US8851956B2 (en) Playhouse
KR101490163B1 (ko) 차량용 텐트
CN203113900U (zh) 一种帐篷顶部挑杆
KR200487649Y1 (ko) 텐트 및 타프 폴대 연결용 접이식 허브
KR200493179Y1 (ko) 캠핑 장비용 폴대
US7987864B1 (en) Deployable structures and methods for assembling same
KR101114464B1 (ko) 타프
KR101618302B1 (ko) 텐트용 차광막 받침대
US20200224447A1 (en) Portable Sun-Shade Assembly
US20130145719A1 (en) Gazebo
KR100836123B1 (ko) 대나무 골재형 그늘막 구조
KR101440243B1 (ko) 자립형 타프
KR200364639Y1 (ko) 군용 야전텐트 지주대
KR20100111450A (ko) 휴대용 조립식 그늘막
KR200359060Y1 (ko) 착탈식 쉐이드 텐트
KR100838783B1 (ko) 절첩식 대형 텐트
KR200420115Y1 (ko) 텐트
CN219645403U (zh) 双轴快速拆装式蚊帐
KR102662403B1 (ko) 대형 천막
KR200493431Y1 (ko) 다기능 캠핑용 타프
KR200215043Y1 (ko) 그늘망
KR101641436B1 (ko) 문턱 개방형 낚시 텐트
KR200467934Y1 (ko) 캠핑용 타프
KR200491674Y1 (ko) 타프 처짐 방지용 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