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982Y1 - Storage Vessel - Google Patents

Storage Vess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982Y1
KR200492982Y1 KR2020160005579U KR20160005579U KR200492982Y1 KR 200492982 Y1 KR200492982 Y1 KR 200492982Y1 KR 2020160005579 U KR2020160005579 U KR 2020160005579U KR 20160005579 U KR20160005579 U KR 20160005579U KR 200492982 Y1 KR200492982 Y1 KR 2004929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ner container
outer container
stora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57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0924U (en
Inventor
임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빙그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빙그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빙그레
Priority to KR2020160005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982Y1/en
Priority to CN201720105154.6U priority patent/CN206552559U/en
Publication of KR201800009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92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98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65D81/38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eating utensils or spatul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으로 개방형성된 내부 용기 개구의 외주면에서 외부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단부를 가지며, 저장물을 수용하는 내부 용기; 상측으로 개방형성된 외부 용기 개구의 내주면이 상기 내부 용기의 상기 연장단부와 대면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 용기를 수용하는 외부 용기; 및 상기 내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는, 상기 내부 용기의 상기 연장단부를 통해,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 사이가 밀폐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container, comprising: an inner container having an extension end extending outwardly from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opening formed upwardly, and receiving a storage material; An outer container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opening formed upwardly to face the extended end of the inner container, and accommodating the inner container; And a heat insulat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wherein the heat insulating part is at least partially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through the extension end of the inner container,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being sealed between the inner containers.

Description

저장 용기{Storage Vessel}Storage Vessel {Storage Vessel}

본 고안은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또는 음용물을 저장하는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food or drink.

일반적으로 저장 용기는 액체를 담는 그릇으로,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과 저장된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캡으로 되어 있다. 재질은 유리, 합성수지, 금속 및 비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되어, 내용물을 저장하거나 보관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지만 외부 열 영향을 받아 대기 중에서 보온과 보냉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In general, a storage container is a container that holds a liquid, and has a storage space that can contain contents and a cap to prevent leakage of the stored contents. The material is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glass, synthetic resin, metal and non-metal, and is often used for storing or storing contents, but it is not well kept warm and cold in the air due to external heat.

냉, 온수 등을 담아 장시간 보관하면서 내용물의 온도를 유지하는 저장 용기로는 보온병이 알려져있다. A thermos bottle is known as a storage container that maintains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while storing cold or hot water for a long time.

보온병은 병의 외 표면을 매질 전달 양이 희박해지도록 매질을 줄인 진공 챔버를 구성한 것으로써, 보온병에 액상의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면, 매질이 희박해진 진공 챔버에 의해 온도 전달을 줄여 몸체에 보관된 내용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The thermos bottle consists of a vacuum chamber in which the medium is reduced so that the amount of medium transfer is reduc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le. It keeps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constant.

또한,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 사이에 진공 챔버를 형성한 이중 용기로 구성된 보온병도 널리 알려져있다. In addition, a thermos bottle composed of a double container in which a vacuum chamber is formed between an inner body and an outer body is widely known.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온병들은 실링제의 수축 팽창으로 인해 장기간 밀폐상태를 보장하기 어렵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소량의 음식물 즉, 예를들어 일정량의 아이스크림을 보관하기에는 판매 단가의 수익을 실현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uch thermos bottles have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nsure a long-term sealed state due to the shrinkage and expansion of the sealing agent,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very difficult to realize the profit of the company.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온 보냉의 효과가 극대화되고 제작능률이 향상되며 위생이 뛰어난 저장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orage container that maximizes the effect of thermal insulation, improves manufacturing efficiency, and has excellent hygiene.

본 고안에 따른 저장 용기는, 상측으로 개방형성된 내부 용기 개구의 외주면에서 외부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단부를 가지며, 저장물을 수용하는 내부 용기; 상측으로 개방형성된 외부 용기 개구의 내주면이 상기 내부 용기의 상기 연장단부와 대면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 용기를 수용하는 외부 용기; 및 상기 내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는, 상기 내부 용기의 상기 연장단부를 통해,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 사이가 밀폐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container having an extension end extending outwardly from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opening formed upwardly, and receiving a storage material; An outer container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opening formed upwardly to face the extended end of the inner container, and accommodating the inner container; And a heat insulat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wherein the heat insulating part is at least partially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through the extension end of the inner container,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being sealed between the inner containers.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단부는, 상기 내부 용기 개구가 상측으로 개방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xtended end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inner container opening is opened upward.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용기는, 하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xternal container may include an insert protruding upwardly on a lower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용기는, 하면에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삽입부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nner container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formed to be concave upward on a lower surface to receive at least a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용기는, 상기 내부 용기와의 이격을 고정시키기 위해, 내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내부 용기의 외면과 맞닿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outer container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protruding inwardly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in order to fix the separation from the inner container.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xing part may be formed at an inner edge of the outer container.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용기는, 상기 내부 용기 개구에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nner container may be formed such that a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narrows downward from the opening of the inner container.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용기는, 상기 내부 용기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outer container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inner container.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용기 개구와 상기 외부 용기 개구를 덮도록 형성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it may further include a cap formed to cover the inner container opening and the outer container opening.

구체적으로, 상기 캡은, 상기 내부 용기 개구 및 상기 외부 용기 개구와 맞닿는 부분에 숟가락을 수용하는 숟가락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ap may include a spoon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 spoon at a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opening and in contact with the outer container opening.

구체적으로, 상기 단열부는, 열을 차단하는 매질이 진공일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heat insulating part, a medium blocking heat may be a vacuum.

본 고안에 따른 저장 용기는, 내부용기에 형성되는 연장단부가 외부 용기 개구의 내주면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단열부를 매우 간단하게 형성시킬 수 있어 대량 생산이 용이해지고 그에 따라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extension end formed in the inner container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opening, so that the heat insulating part can be formed very simply, so mass production is facilitated and production cost is reduced accordingly. .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저장 용기는,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 사이에 에어 포켓이 형성되어 저장물에 대한 보온 보냉 효과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pocket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thereby maximizing the effect of warming and cooling the stored material.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저장 용기는,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 사이에 에어 포켓을 갖추고 있어, 별도의 단열장치 없이도 보온 보냉이 이루어질 수 있어 용기의 경량화를 이루어낼 수 있고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ir pocket betwee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so that heat insul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a separate insulation device,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lightened and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저장 용기는,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가 서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대량 생산이 용이해져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are form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mass production is facilitated,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저장 용기는,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가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사용상 세척이 용이해져 위생능력이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it is easy to clean in use, thereby having a very excellent hygiene ability.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외부 용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외부 용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내부 용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내부 용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캡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캡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캡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가 조립된 후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가 조립된 후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조립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er container of a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the outer container of 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container of a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the inner container of 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p of a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 cap of a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ottom view of a cap of a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after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are assem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after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are assem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assembly view of a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only the same elements are given the same number as possibl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외부 용기에 대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내부 용기에 대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캡에 대한 사시도, 측면도, 저면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가 조립된 후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조립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n external container of a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n inner container of a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xample, FIGS. 6 to 8 are a perspective view, a side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cap of 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and 10 are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after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are assembl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ure 11 is an assembly view of 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는, 캡(10), 외부 용기(20), 내부 용기(30) 및 단열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저장용기(1)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를 말하며, 일례로 아이스크림을 저장하는 용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to 11, the storage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p 10, an outer container 20, an inner container 30, and a heat insulating part 40. Here, the storage container 1 refers to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food, and may be a container for storing ice cream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저장용기(1)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storage container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캡(10)은, 내부 용기 개구(35)와 외부 용기 개구(25)를 덮도록 형성되며, 내부 용기(30)에 저장된 저장물이 외부로부터 밀폐되도록 한다.(도 6 내지 도 8 참조) The cap 10 is formed to cover the inner container opening 35 and the outer container opening 25, and allows the storage material stored in the inner container 30 to be sealed from the outside (see FIGS. 6 to 8).

구체적으로, 캡(10)은, 캡 몸체(11), 캡 몸체(11)에서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측면으로 연장형성되는 캡 차양(12) 및 숟가락(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는 숟가락 수용부(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용기(20)와 내부 용기(30)의 상측과 결합하여 내부 용기(30)에 수용된 저장물을 밀폐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ap 10 is a cap body 11, a cap shading 12 extending from the cap body 11 to the side obliquely downward, and a spoon accommodating portion 13 for accommodating a spoon (not shown). ) May be included,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upper side of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inner container 30 to seal the storage material contained in the inner container 30.

외부 용기(20)는, 상측으로 개방형성된 외부 용기 개구(25)의 내주면이 내부용기 연장단부(31)와 대면하도록 형성되며, 내부 용기(30)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The outer container 20 is formed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opening 25 opened upwardly faces the inner container extended end 31, and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inner container 30.

이하에서는 외부 용기(2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2 및 도 3을 집중적으로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in order to describe the outer container 20 in detail, it will be described with intensive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외부 용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외부 용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er container of a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of an outer container of 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외부 용기(20)는, 내부에 내부 용기(3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존재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 용기(30)가 탈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container 20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not shown) for accommodating the inner container 30 is present, and the inner container 30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e.

이를 통해서 본 고안에 따른 저장 용기(1)는, 외부 용기(20)와 내부 용기(30)가 서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대량 생산이 용이해져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고, 사용상 세척이 용이해져 위생능력이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Through this, the storage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inner container 3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mass production is facilitated, thereby reducing production cost, and easy cleaning in use. The hygiene ability is very good.

여기서 외부 용기(20)는, 외부용기 연장단부(21), 외부 용기 몸체(22), 외부 용기 고정부(23), 삽입부(24) 및 외부 용기 개구(25)를 가질 수 있다. Here, the external container 20 may have an external container extended end 21, an external container body 22, an external container fixing part 23, an insertion part 24, and an external container opening 25.

외부용기 연장단부(21)는, 외부 용기 개구(25)의 외주면에서 외부 용기 개구(25)가 상측으로 개방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캡(10)의 하면과 맞닿도록 조립될 수 있다. The outer container extension end 21 may be exten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container opening 25 is opened up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opening 25, an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10. Can be assembled.

외부 용기 몸체(22)는, 외부 용기(20)의 전체적인 형상을 결정지으며, 상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outer container body 22 determines the overall shape of the outer container 20, and may be configured in a hexahedral shape including an accommodation space open upward.

구체적으로, 외부 용기 몸체(22)의 상측에는 외부 용기 개구(25)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삽입부(24)가 구비되며 중앙의 내측면 모서리에는 외부용기 고정부(23)들이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outer container opening 25 is provided at the upper side of the outer container body 22, the insertion part 24 is provided at the lower side, and the outer container fixing parts 23 may be formed at the inner edge of the center. .

외부용기 고정부(23)는, 내부 용기(30)와의 이격을 고정하기 위해, 내부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내부 용기(30)의 몸체(33)와 맞닿도록 형성된다. The outer container fixing part 23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side in an inward direction to fix the distance from the inner container 30 and is formed to contact the body 33 of the inner container 30.

구체적으로, 외부 용기 고정부(23)는, 내부 모서리(부호 도시하지 않음)에서 수용공간 방향으로 돌출되며, 반달형상으로 복수 개 제작될 수 있고, 반달형상의 원호부분이 내부 용기(30)의 내부 용기 몸체(33)와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outer container fixing part 23 protrudes from the inner edge (not shown)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and may be manufactured in plural in a half-moon shape, and the half-moon-shaped arc part is inside the inner container 30 It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container body (33).

삽입부(24)는, 외부 용기(20)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4)는, 후술할 내부 용기(30)의 수용부(34)와 결합함으로써, 외부 용기(20)와 내부 용기(3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The insertion part 24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20 and formed to protrude upward. The insertion portion 24 may be coupled with the receiving portion 34 of the inner container 3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inner container 30 are fixed.

여기서 삽입부(24)와 수용부(34)는, 외부 용기 고정부(23)와 함께 단열부(40)가 항상 일정한 체적을 형성하도록 내부 용기(30)와 외부 용기(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Here, the insertion part 24 and the receiving part 34 can fix the inner container 30 and the outer container 20 so that the heat insulation part 40 together with the outer container fixing part 23 always forms a constant volume. have.

외부 용기 개구(25)는, 수용공간에서부터 상측으로 개방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용기(30)를 수용공간으로 인입하도록 할 수 있다. The outer container opening 25 may be formed to open upward from the receiving space, and may allow the inner container 30 to be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space.

내부 용기(30)는, 상측으로 개방형성된 내부 용기 개구(35)의 외주면에서 외부로 연장형성되는 내부용기 연장단부(31)를 가지며, 저장물을 수용한다. The inner container 30 has an inner container extended end 31 extending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opening 35 that is open upwardly, and accommodates a storage material.

이하에서는 내부 용기(3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4 및 도 5를 집중적으로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in order to describe the inner container 30 in detail, it will be described with intensive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외부 용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외부 용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er container of 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outer container of 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내부 용기(3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존재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부 용기(20)와 탈부착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container 30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with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outer container 20.

여기서 내부 용기(30)는, 내부용기 연장단부(31), 내부 용기 몸체(32), 내부 용기 고정부(33), 수용부(34) 및 내부 용기 개구(35)를 가질 수 있다. Here, the inner container 30 may have an inner container extension end 31, an inner container body 32, an inner container fixing part 33, a receiving part 34, and an inner container opening 35.

이를 통해서 본 고안에 따른 저장 용기(1)는, 외부 용기(20)와 내부 용기(30)가 서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대량 생산이 용이해져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고, 사용상 세척이 용이해져 위생능력이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Through this, the storage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inner container 3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mass production is facilitated, thereby reducing production cost, and easy cleaning in use. The hygiene ability is very good.

내부용기 연장단부(31)는, 내부 용기 개구(35)의 외주면에서 내부 용기 개구(35)가 상측으로 개방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캡(10)의 하면과 맞닿도록 조립될 수 있다. The inner container extension end 31 may be extende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opening 35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ner container opening 35 is opened upward, an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10. Can be assembled.

내부용기 연장단부(31)는, 외부 용기 개구(25)의 내주면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후술할 단열부(40)가 형성되도록 내부 용기(30)와 외부 용기(20) 사이의 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본 고안은, 단열부(40)를 매우 간단하게 형성시킬 수 있어 대량 생산이 용이해지고 그에 따라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The inner container extension end 31 is formed to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opening 25 to form a spaced space between the inner container 30 and the outer container 20 so that an insulating part 4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I can.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form the heat insulating part 40 very simply, thereby facilitating mass production and thus reducing manufacturing cost.

내부 용기 몸체(32)는, 내부 용기(30)의 전체적인 형상을 결정지으며, 상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내부 용기 개구(35)에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container body 32 determines the overall shape of the inner container 30, and may be configured in a hexahedral shape including an accommodation space open upward, and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inner container opening 35 downward. It can be formed to become narrower.

이를 통해서 본 고안은, 내부 용기(30)가 내부 용기 개구(35)에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단열부(40)의 면적을 용이하게 확보하고 단열부(40)의 생성을 매우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container 30 gradually narrows downward from the inner container opening 35, thereby easily securing the area of the heat insulating part 40 and generating the heat insulating part 40. It can be implemented very simply.

여기서 내부 용기 몸체(32)는, 상측에 내부 용기 개구(35)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수용부(35)가 구비되며 중앙의 내측면 모서리에는 내부용기 고정부(33)들이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inner container body 32 is provided with an inner container opening 35 on the upper side, a receiving part 35 on the lower side, and the inner container fixing parts 33 may be formed at the inner corner of the center.

내부용기 고정부(33)는, 내부 모서리(부호 도시하지 않음)에서 저장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인 내측의 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반달형상으로 복수 개 제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부 용기(30)의 생산과정에서 내부 용기(30)들 간의 적층시 내부 용기(30)들 간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The inner container fixing part 33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an inner edge (not shown) in a direction toward the inside, which is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storage, and may be manufactured in a plurality of half-moon shape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separation between the inner containers 30 when the inner containers 30 are stacked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inner containers 30.

수용부(34)는, 내부 용기(30)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측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용기(20)의 삽입부(24)의 돌출길이보다 더 적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receiving part 34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30 to protrude upward,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less tha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insertion part 24 of the outer container 20.

수용부(34)는, 외부 용기(20)의 삽입부(24)를 적어도 일부 수용할 수 있으며, 삽입부(24)와의 결합으로 외부 용기(20)가 내부 용기(3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The receiving portion 34 may accommodate at least a part of the insertion portion 24 of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outer container 20 may be fixed to the inner container 30 by coupling with the insertion portion 24. have.

여기서 삽입부(24)와 수용부(34)는, 단열부(40)가 항상 일정한 체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 용기(20)와 외부 용기(30)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외부 용기 고정부(23)에서 구현하는 고정력에 추가로 고정력을 발현할 수 있다. Here, the insertion part 24 and the receiving part 34 may fix the inner container 20 and the outer container 30 so that the heat insulation part 40 always maintains a constant volume, and the outer container fixing part 23 In addition to the fixation force implemented in ), the fixation force can be expressed.

내부 용기 개구(35)는, 수용공간에서 상측으로 개방형성될 수 있으며, 저장물을 수용공간에 인입하도록 할 수 있다. The inner container opening 35 may be formed to be open upward from the receiving space, and allow storage to be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space.

단열부(40)는, 내부 용기(30)의 내부용기 연장단부(31)를 통해 외부 용기(20)와 내부 용기(30)가 이격됨과 동시에 외부 용기(20)와 내부 용기(30) 사이가 밀폐됨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단열부(40)는, 열을 차단하는 매질로 진공일 수 있다. The heat insulating part 40 is separated from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inner container 30 through the inner container extended end 31 of the inner container 30, and at the same time,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inner container 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formed by being sealed. Here, the heat insulation part 40 may be a vacuum as a medium that blocks heat.

이를 통해 본 고안은, 외부 용기(20)와 내부 용기(30) 사이에 단열부(40; 에어 포켓)가 형성되어 저장물에 대한 보온 보냉 효과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aximizing the heat-insulating effect for the stored material by forming a heat insulating portion 40 (air pocket) between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inner container 30.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저장 용기(1)는, 단열부(40)를 통해서 별도의 단열장치 없이도 보온 보냉이 이루어질 수 있어 저장 용기(1)의 경량화를 이루어낼 수 있고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kept warm without a separate heat insulation device through the heat insulation unit 40, so that the weight reduc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1 can be achiev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have.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would be clear that the transform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design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desig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desig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1: 저장 용기 10: 캡
11: 캡 몸체 12: 캡 차양
13: 숟가락 수용부 20: 외부 용기
21: 외부 용기 연장 단부 22: 외부 용기 몸체
23: 외부 용기 고정부 24: 삽입부
25: 외부 용기 개구 30: 내부 용기
31: 내부 용기 연장 단부 32: 내부 용기 몸체
33: 내부 용기 고정부 34: 수용부
35: 내부 용기 개구 40: 단열부
1: storage container 10: cap
11: cap body 12: cap shade
13: spoon receiving part 20: outer container
21: outer container extension end 22: outer container body
23: outer container fixing portion 24: insertion portion
25: outer container opening 30: inner container
31: inner container extension end 32: inner container body
33: inner container fixing portion 34: receiving portion
35: inner container opening 40: heat insulating portion

Claims (11)

상측으로 개방형성된 내부 용기 개구의 외주면에서 외부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단부를 가지며, 저장물을 수용하는 내부 용기; 및
상측으로 개방형성된 외부 용기 개구의 내주면이 상기 내부 용기의 상기 연장단부와 대면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 용기를 수용하는 외부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용기는,
외부 용기 몸체의 외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면서 함몰되어 상기 외부 용기 몸체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외부 용기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용기는,
내부 용기 몸체의 외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면서 함몰되어 상기 내부 용기 몸체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며, 상기 다수의 외부 용기 고정부에 대응되는 다수의 내부 용기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용기 고정부와 상기 내부 용기 고정부는,
끼움 결합되되, 상기 외부 용기 고정부의 돌출 길이가 상기 내부 용기 고정부의 함몰 길이보다 길고,
상기 외부 용기 고정부와 상기 내부 용기 고정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외부 용기 또는 상기 내부 용기의 생산과정에서 상기 외부 용기 또는 상기 내부 용기들 간의 적층시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 사이를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An inner container having an extension end extending outwardly from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opening formed upwardly, and accommodating a storage material;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opening formed upwardly is formed to face the extended end of the inner container, and includes an outer container accommodating the inner container,
The outer container,
It includes a plurality of outer container fixing portions that are depressed and protrude into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body as the width decreases from the outer side of the outer container body toward the inner side,
The inner container,
The width of the inner container body decreases from the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and is recessed to protrude into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container body, and includes a plurality of inner container fixing par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outer container fixing parts,
The outer container fixing part and the inner container fixing part,
Doedoe fitted,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outer container fixing portion is longer than the depression length of the inner container fix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external container fixing part and the internal container fixing part are combine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external container and the external container,
When the outer container or the inner container is stacked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outer container or the inner container,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단부는,
상기 내부 용기 개구가 상측으로 개방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ended end portion,
A sto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container opening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opened upw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는,
하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uter container,
A storage container comprising an insert protruding upwardly on a lower surfa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는,
하면에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삽입부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ner container,
And a receiving portion formed to be concave upward on a lower surface thereof to receive at least a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는,
상기 내부 용기의 상기 연장단부를 통해,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 사이가 밀폐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eat insulat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The heat insulation part,
A sto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are at least parti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rough the extension end of the inner container, and the space betwee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is seal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 고정부 또는 상기 내부 용기 고정부는,
상기 외부 용기 또는 상기 내부 용기의 내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uter container fixing part or the inner container fixing part,
Sto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outer container or the inner edge of the inner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는,
상기 내부 용기 개구에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ner container,
A sto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s formed to gradually narrow downward from the opening of the inner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는,
상기 내부 용기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uter container,
Sto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inner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 개구와 상기 외부 용기 개구를 덮도록 형성되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age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cap formed to cover the inner container opening and the outer container opening.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내부 용기 개구 및 상기 외부 용기 개구와 맞닿는 부분에 숟가락을 수용하는 숟가락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ap,
And a spoon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 spoon at a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opening and in contact with the outer container opening.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는,
열을 차단하는 매질이 진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heat insulating portion,
A sto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edium to block heat is vacuum.
KR2020160005579U 2016-09-26 2016-09-26 Storage Vessel KR200492982Y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579U KR200492982Y1 (en) 2016-09-26 2016-09-26 Storage Vessel
CN201720105154.6U CN206552559U (en) 2016-09-26 2017-01-25 Storage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579U KR200492982Y1 (en) 2016-09-26 2016-09-26 Storage Vess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24U KR20180000924U (en) 2018-04-04
KR200492982Y1 true KR200492982Y1 (en) 2021-01-13

Family

ID=60010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579U KR200492982Y1 (en) 2016-09-26 2016-09-26 Storage Vesse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2982Y1 (en)
CN (1) CN206552559U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0130A (en) * 2011-10-21 2013-05-23 Ryo Kanazawa Multilayer drink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7021Y2 (en) * 1990-07-10 1996-11-13 日本酸素株式会社 Vacuum insulation container made of synthetic resin
JP2656433B2 (en) * 1993-02-26 1997-09-24 日プラ株式会社 Container li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0130A (en) * 2011-10-21 2013-05-23 Ryo Kanazawa Multilayer drink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24U (en) 2018-04-04
CN206552559U (en) 201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2252B2 (en) Insulating holder with elastomer foam material
US6415624B1 (en) Drinking bottle having a separate thermally regulating container
US20180362221A1 (en) Insulated Container
US20170367536A1 (en) Stainless steel food service vessels
US4287943A (en) Heat insulating box
CA2406250C (en) Food container having separable refrigerant section
US20200223603A1 (en) Food ja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JP2019038560A (en)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
KR200492982Y1 (en) Storage Vessel
US20070277546A1 (en) Temperature controlled shipping container
KR101562649B1 (en) A vessel for dual structure
KR101613908B1 (en) The lid of the container for beverages
KR101295227B1 (en) A water bottle
KR100704554B1 (en) Vinyl pack for kimchi refrigerator
JP2004138274A (en) Attached case for heating or cooling container for storing drink/food
KR101388153B1 (en) Heating lunch box
KR101156576B1 (en) Functional Lunch Box
KR200431622Y1 (en) Thermos bottle in multistage type
JP2001048244A (en) Cylindrical cold-insulating tool
WO2017173002A1 (en) Hot or cold storage container for perishables
US20170325607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self-regulating thermal control member
KR102637986B1 (en) Cup with improved cooling property
JP3050770U (en) Cooling beverage container
JP6046387B2 (en) Beverage container
US20170073144A1 (en) Container apparatus for storing and combining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