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649B1 - A vessel for dual structure - Google Patents

A vessel for dual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649B1
KR101562649B1 KR1020140043867A KR20140043867A KR101562649B1 KR 101562649 B1 KR101562649 B1 KR 101562649B1 KR 1020140043867 A KR1020140043867 A KR 1020140043867A KR 20140043867 A KR20140043867 A KR 20140043867A KR 101562649 B1 KR101562649 B1 KR 101562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up
cup container
refrigera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8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18290A (en
Inventor
서홍재
국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학에프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학에프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학에프앤비
Priority to KR1020140043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649B1/en
Publication of KR20150118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2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6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구조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용기로서 종이컵 모양으로 구성되며, 개방된 상부 주입구를 통해 냉매 역할을 하는 물이 주입되는 제1 컵 용기; 내용기로서 상기 제1 컵 용기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종이컵 모양으로 구성되며, 상기 냉매 역할을 하는 물이 주입된 제1 컵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컵 용기와 이중 구조를 형성하면서 그 이중 구조의 냉매 충진 공간으로 냉매 역할을 하는 물이 위치되도록 하는 제2 컵 용기; 및 상기 제1 컵 용기와 제2 컵 용기의 상부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컵 용기와 제2 컵 용기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이중 구조의 용기에 따르면, 분리 형태로 구성된 제1 컵 용기와 제2 컵 용기를 이용하여 체결하고, 제1 컵 용기와 제2 컵 용기 사이의 냉매 충진 공간에 냉매 역할을 하는 물이 위치되어 냉각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매장에서 즉석 제조 형태로 판매되는 아이스 제품에 대해서 아이스 제품의 성질이 보다 오래 지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컵 용기에 냉매 역할을 하는 물을 주입한 후 제2 컵 용기를 삽입 결합되어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냉매 주입구를 형성하지 않는 구조로 2개의 용기를 쉽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냉매 충진 공간에 주입된 냉매 역할의 물이 컵의 흔들림에도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 컵 용기의 내벽 면에 수직 돌출부 또는 돌기부를 구성함으로써, 제2 컵 용기의 삽입 결합 시에 냉매의 위치를 부분적으로 고정해주고, 제2 컵 용기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walled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uble-walled container having a cup-shaped outer container, a first cup container into which water serving as a refrigerant is injected through an opened upper inlet port; A first cup container having a size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cup container as an inner container and inserted into the first cup container into which the water serving as the refrigerant is injected, A second cup container for allowing the water serving as a refrigerant to be positioned in the refrigerant filling space of the dual structure; And a fastening member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n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cup container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and fixing the first cup container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together. do.
According to the double-structure contain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ups configured in the separated form are fastened together, and the refrigerant acts as a refrigerant in the space filled with the refrigera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ups. Water is positioned and cooled so that the quality of the ice product can be made longer for ice products sold in ready-to-store form at the stor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cup container is inserted and coupled after the water serving as the coolant is injected into the first cup container, the second container can be easily coupl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serving as the refrigerant injected into the refrigerant filling spac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shaking of the cup.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ertical protrusion or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cup container, the position of the coolant is partially fixed at the time of insertion of the second cup container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is stably fixed .

Description

이중 구조의 용기{A VESSEL FOR DUAL STRUCTURE}A VESSEL FOR DUAL STRUCTURE < RTI ID = 0.0 >

본 발명은 이중 구조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매장에서 즉석 제조 형태로 판매되는 아이스 제품에 대해서 특히 기온이 높은 여름철의 계절적인 요인으로 인해 아이스 제품이 빨리 녹는 문제가 최소화되고, 아이스 제품의 성질이 보다 오래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구조의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structur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ce product sold in a ready-to-store form at a store, the problem of rapid melting of the ice product is minimized due to seasonal factors, To allow longer-lasting properties of the container.

일반적으로 매장에서 즉석 제조 형태로 판매되고 있는 아이스 제품들은 합성수지재가 코팅된 종이류의 컵에 담겨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아이스 제품들은 사용자가 구매한 후 다 먹을 때까지의 시간 경과에 따라 아이스 제품이 녹게 된다. 즉, 컵에 담긴 아이스 제품을 소정 시간 내에 바로 먹지 않고 들고 있게 되면 아이스 제품이 녹아 먹기 어려운 상태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아이스 제품은 온도가 상승하는 여름철에 특히 많이 먹게 되는바, 온도가 상승하는 여름철의 계절적인 요인으로 인해 더욱 빨리 녹게 되므로 아이스 제품의 구매자는 아이스 제품의 맛을 충분히 느낄 시간도 없이 급하게 섭취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음료수의 경우, 컵에 얼음과 같이 음료를 채워 시원한 상태로 음용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음료수와 함께 투입되는 얼음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시원한 상태가 유지되기는 하나,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얼음이 녹아 음료수를 희석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9475호는 착탈식 이중 용기를 개시하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37929호는 보냉, 보온용 이중 식기를 개시하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0376호는 물을 이용한 보온 보냉 그릇을 개시하고 있다.Ice products, which are generally sold in stores for immediate use, are sold in cups of paper coated with synthetic resin. These ice products melt as the time passes until the user finishes purchasing the ice product. That is, if the iced product contained in the cup is not immediately eaten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iced product may melt and become difficult to eat. These ice products are particularly high in the summer when temperatures are rising, and because they are melted more quickly due to the seasonal effects of rising temperatures in summer, buyers of ice products have to eat quickly without having enough time to feel the taste of ice products. There was a problem.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drinking water, the cup is filled with beverage like ice, and drinks in a cool state. In this case, the cool state i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y the ice introduced with the beverag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everage is diluted as the ice melts over tim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89475 discloses a detachable double container, 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037929 discloses a double table for cold storage and warming, and Korean Patent Laid- 0070376 discloses an insulated bowl using water.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분리 형태로 구성된 제1 컵 용기와 제2 컵 용기를 이용하여 체결하고, 제1 컵 용기와 제2 컵 용기 사이의 냉매 충진 공간에 냉매 역할을 하는 물이 위치되어 냉각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매장에서 즉석 제조 형태로 판매되는 아이스 제품에 대해서 아이스 제품의 성질이 보다 오래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구조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eviously proposed method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ainer by using a first cup container and a second cup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iner having a dual structure in which water serving as a refrigerant is positioned and cooled in a refrigerant filled space of a refrigerator, It is for that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제1 컵 용기에 냉매 역할을 하는 물을 주입한 후 제2 컵 용기를 삽입 결합되어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냉매 주입구를 형성하지 않는 구조로 2개의 용기를 쉽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냉매 충진 공간에 주입된 냉매 역할의 물이 컵의 흔들림에도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구조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fter the water serving as a coolant is injected into the first cup container, the second cup container is inserted and fastened so that no separate coolant inlet port is formed, And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uble-structure container in which water serving as a refrigerant injected into a refrigerant filling space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even to the shaking of the cup.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 컵 용기의 내벽 면에 수직 돌출부 또는 돌기부를 구성함으로써, 제2 컵 용기의 삽입 결합 시에 냉매의 위치를 부분적으로 고정해주고, 제2 컵 용기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구조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ertical protrusion or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cup container, the position of the coolant is partially fixed at the time of insertion of the second cup container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is stably fixed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ntainer having a double structur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이중 구조의 용기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uble-

외용기로서 종이컵 모양으로 구성되며, 개방된 상부 주입구를 통해 냉매 역할을 하는 물이 주입되는 제1 컵 용기;A first cup container which is formed in the form of a paper cup as an outer container and through which water serving as a refrigerant is injected through an opened upper injection port;

내용기로서 상기 제1 컵 용기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종이컵 모양으로 구성되며, 상기 냉매 역할을 하는 물이 주입된 제1 컵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컵 용기와 이중 구조를 형성하면서 그 이중 구조의 냉매 충진 공간으로 냉매 역할을 하는 물이 위치되도록 하는 제2 컵 용기; 및A first cup container having a size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cup container as an inner container and inserted into the first cup container into which the water serving as the refrigerant is injected, A second cup container for allowing the water serving as a refrigerant to be positioned in the refrigerant filling space of the dual structure; And

상기 제1 컵 용기와 제2 컵 용기의 상부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컵 용기와 제2 컵 용기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And a fastening member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up contain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up container and fixing the first cup container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together .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컵 용기는,Preferably, the first cup container comprises:

상기 제2 컵 용기의 삽입 결합 시에 상기 제2 컵 용기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 및 냉매 역할을 하는 물을 얼리는 과정에서 어는 물의 위치를 부분적으로 구분하여 고정 유지될 수 있도록 제1 컵 용기의 전체 내벽 면을 3등분 하는 수직 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cups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and second cup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ups can be fixedly positioned while partially separating the position of the water in the process of freezing the second cup, And a vertical protrusion for dividing the surface into three equal parts.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컵 용기는,Preferably, the first cup container comprises:

상기 제2 컵 용기의 삽입 결합 시에 상기 제2 컵 용기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제1 컵 용기의 내벽 면 환상의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구성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basis of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up container so that the second cup container can be stably fixed in position during the insertion of the second cup container .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컵 용기 및 제2 컵 용기는,Preferably, the first cup container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are formed by a single-

플라스틱, 종이, 합성수지, 유리, 금속, 및 세라믹 재질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Plastic, paper, synthetic resin, glass, metal, and ceramics.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컵 용기는,Preferably, the second cup container comprises:

상기 제1 컵 용기에 대응하는 종이컵 모양으로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진 형태의 상광하협의 형태로 구성하되, 상기 제1 컵 용기와 제2 컵 용기 사이에 형성되는 냉매 충진 공간에 주입된 냉매 역할을 하는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컵 용기와 제2 컵 용기의 상부 구간은 빈 공간이 없이 기밀되게 접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Wherein the first cup container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are formed in the form of a paper cup having an upper portion that is wider and an upper portion that is narrower toward the lower portion than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up container,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up contain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up container may be hermetically contacted without any empty space so that water serving as a refrigerant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컵 용기 및 제2 컵 용기는,More preferably, the first cup container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are provided with a first cup-

아이스 제품을 담을 수 있는 형태의 종이컵 모양 이외에, 냉기 보존 제품의 종류 중 하나인 맥주 및 음료를 포함하는 음용수를 담을 수 있는 큰 컵 모양과, 회를 포함하는 신선 제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납작한 접시 형태의 모양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form of paper cups that can hold ice products, a large cup shape that can hold drinking water including beer and beverage, which is one of the kinds of cold preservation products, and a flat dish that can hold a fresh product including a sash And the lik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 부재는,More preferably, the fastening member is provided with:

상기 제1 컵 용기의 개방된 상부 주입구를 따라 형성된 환형 링과, 상기 환형 링에 대응하여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컵 용기의 상부에 절곡하여 형성된 환형 링 결합 홈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뚜껑 결합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And an annular ring formed along the open upper injection port of the first cup container and an annular ring engagement groove formed by bending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up container so as to be able to be engaged and disengaged corresponding to the annular ring, And a coupling structur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 부재는,More preferably, the fastening member is provided with:

상기 제1 컵 용기의 개방된 상부의 외벽에 형성된 제1 나사부와, 상기 제1 나사부에 대응하여 나사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컵 용기의 상부에 절곡하여 형성된 제2 나사부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병뚜껑 나사 결합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A first threaded portion formed on an outer upper wall of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first cup container and a second threaded portion formed by ben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up container so as to be screwed and separat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eaded portion A bottle cap screw coupling structur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 부재는,More preferably, the fastening member is provided with:

상기 제1 컵 용기의 개방된 상부의 외벽을 따라 전체 또는 특정 부분에 형성되는 홈 부와, 상기 홈 부에 대응하여 착탈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컵 용기의 상부에 절곡하여 형성되는 홈 결합 돌기부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똑딱이 체결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A groove portion formed at an entire or specific portion along the outer wall of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first cup container; and a groov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up container so as to be detachable and detachabl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portion, And a coupling protruding portion.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 부재는,More preferably, the fastening member is provided with:

상기 제1 컵 용기의 개방된 상부의 외벽을 따라 단속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잠금 홈 부와, 상기 복수의 잠금 홈 부에 대응하여 위치가 맞춰진 후 회전시켜 결합되는 복수의 잠금 홈 회전 결합부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회전 똑딱이 체결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A plurality of lock groove portions formed intermittently protruding along an outer wall of an opened upper portion of the first cup container; and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ock groove rotation engaging portions that are alig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plurality of lock groove portions, And can be constituted by a rotary knot fastening structure constituted by a rotary knot.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이중 구조의 용기에 따르면, 분리 형태로 구성된 제1 컵 용기와 제2 컵 용기를 이용하여 체결하고, 제1 컵 용기와 제2 컵 용기 사이의 냉매 충진 공간에 냉매 역할을 하는 물이 위치되어 냉각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매장에서 즉석 제조 형태로 판매되는 아이스 제품에 대해서 아이스 제품의 성질이 보다 오래 지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ouble-structure contain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ups configured in the separated form are fastened together, and the refrigerant acts as a refrigerant in the space filled with the refrigera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ups. Water is positioned and cooled so that the quality of the ice product can be made longer for ice products sold in ready-to-store form at the stor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컵 용기에 냉매 역할을 하는 물을 주입한 후 제2 컵 용기를 삽입 결합되어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냉매 주입구를 형성하지 않는 구조로 2개의 용기를 쉽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냉매 충진 공간에 주입된 냉매 역할의 물이 컵의 흔들림에도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cup container is inserted and coupled after the water serving as the coolant is injected into the first cup container, the second container can be easily coupl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serving as the refrigerant injected into the refrigerant filling spac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shaking of the cup.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 컵 용기의 내벽 면에 수직 돌출부 또는 돌기부를 구성함으로써, 제2 컵 용기의 삽입 결합 시에 냉매의 위치를 부분적으로 고정해주고, 제2 컵 용기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ertical protrusion or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cup container, the position of the coolant is partially fixed at the time of insertion of the second cup container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is stably fixed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용기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용기의 분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용기의 단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용기에 적용되는 수직 돌출부가 형성된 제1 컵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용기에 적용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제1 컵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용기에 적용되는 체결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용기에 적용되는 체결 부재의 다른 일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용기에 적용되는 체결 부재의 다른 일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용기에 적용되는 체결 부재의 다른 일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용기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al structur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having a doub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ual structure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cup container having a vertical protrusion applied to a container having a doub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cup container having protrusions applied to a dual structur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astening member applied to a double-structur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fastening member applied to a dual structur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fastening member applied to a container having a doub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fastening member applied to a dual structur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process of a container having a dua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means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용기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용기의 분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용기의 단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용기는, 제1 컵 용기(110), 제2 컵 용기(120), 및 체결 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having a doub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having a doub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ual structur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3, a dual structur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up container 110, a second cup container 120, and a fastening member 130 Lt; / RTI >

제1 컵 용기(110)는, 외용기로서 종이컵 모양으로 구성되며, 개방된 상부 주입구(111)를 통해 냉매 역할을 하는 물(101)이 주입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 컵 용기(110)는 후술하게 될 제2 컵 용기(120)의 삽입 결합 시에 제2 컵 용기(120)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 및 냉매 역할을 하는 물(101)을 얼리는 과정에서 어는 물(101)의 위치를 부분적으로 구분하여 고정 유지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컵 용기(110)의 전체 내벽 면을 3등분 하는 수직 돌출부(11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컵 용기(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컵 용기(120)의 삽입 결합 시에 제2 컵 용기(120)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만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제1 컵 용기(110)의 내벽 면 환상의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구성되는 돌기부(11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냉매 역할을 하는 물(101)을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을 두지는 않으며, 추후 복합물질을 사용하여 제품의 성질을 더욱 오래 지속시킬 수 있는 축냉 기능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The first cup container 11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aper cup as an outer container, and the water 101 serving as a refrigerant is injected through the opened upper injection port 111. [ The first cup container 110 is used to secure the position of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and to cool the water 101 serving as a coolant during the insertion of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As shown in FIG. 4, a vertical protrusion 112 for dividing the entir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cup container 110 into three equal parts is form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water 101 can be partially and fixedly held . 5, when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up container 120, only the first and second cup containers 120, The protrusion 113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reference to a specific position of an annular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110. Here, the water 101 serving as a refrigerant is preferentially used, but there is no limitation thereto, and a condensation-cooling functional material capable of further continuing the properties of the product by using a composite material may be used.

제2 컵 용기(120)는, 내용기로서 제1 컵 용기(1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종이컵 모양으로 구성되며, 냉매 역할을 하는 물(101)이 주입된 제1 컵 용기(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1 컵 용기(110)와 이중 구조를 형성하면서 그 이중 구조의 냉매 충진 공간(102)으로 냉매 역할을 하는 물(101)이 위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2 컵 용기(120)는 제1 컵 용기(110)에 대응하는 종이컵 모양으로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진 형태의 상광하협의 형태로 구성하되, 제1 컵 용기(110)와 제2 컵 용기(120) 사이에 형성되는 냉매 충진 공간(102)에 주입된 냉매 역할을 하는 물(101)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제1 컵 용기(110)와 제2 컵 용기(120)의 상부 구간은 빈 공간이 없이 기밀되게 접촉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컵 용기(120)는 상광하협의 종이컵 모양으로 구성하여 제1 컵 용기(110)와 제2 컵 용기(120)의 상단 부분에서는 거의 빈 공간이 없는 형태로서, 그 구간의 길이는 컵의 높이에서 10~15%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구성하여 결합된 컵이 흔들려도 그 냉매 충진 공간(102)에 위치하는 냉매 역할을 하는 물(101)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때, 제2 컵 용기(120)의 하단 부분은 결합된 컵의 냉매 충진 공간(102)을 위한 컵의 기울기 정도는 그 경사가 빈 공간이 없는 부분부터 완만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지점부터는 급격하게 경사가 변한 후 이후 기울기는 변화가 없도록 경사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컵 용기(110) 및 제2 컵 용기(120)는 플라스틱 또는 종이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을 두지는 않으며, 냉기 보존 제품에 따라 합성수지, 유리, 금속, 및 세라믹 재질 중 어느 하나로도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컵 용기(110) 및 제2 컵 용기(120)는 아이스 제품을 담을 수 있는 형태의 종이컵 모양 이외에, 냉기 보존 제품의 종류 중 하나인 맥주 및 음료를 포함하는 음용수를 담을 수 있는 큰 컵 모양과, 회를 포함하는 신선 제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납작한 접시 형태의 모양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aper cup having a siz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s an inner container, The second cup 1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up 110 to form a double structure with the water 101 serving as a refrigerant in the refrigerant filling space 102 having the double structure.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includes a first cup container 110 and a second cup container 110.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is formed in a shape of a paper cup corresponding to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has an upper portion wide and a narrower lower portion,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110 may be formed so that the water 101 serving as a refrigerant injected into the refrigerant filling space 102 formed between the second cup containers 120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ection of the heat exchanger 120 is hermetically contacted without any empty space. In addition,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aper cup with a vertical light-tight shape so that there is almost no empty space in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And 10 to 15% of the height of the cup, so that even if the combined cup is shaken, the water 101 serving as a refrigerant located in the refrigerant filling space 102 is prevented from flowing out. At this time,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can smooth the degree of the inclination of the cup for the refrigerant filling space 102 of the coupled cup from the portion where the inclination does not have the empty space, The inclination may be inclined such that the inclination does not change after the inclination is changed.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may be made of plastic or paper. However,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glass, metal, Any one of them can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beer and beverage, which is one kind of frozen product, in addition to the form of a paper cup that can contain ice products A large cup shape capable of holding a potable water, and a flat dish shape capable of placing a fresh product including a sash.

체결 부재(130)는, 제1 컵 용기(110)와 제2 컵 용기(120)의 상부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제1 컵 용기(110)와 제2 컵 용기(120)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체결 구성이다. 이러한 체결 부재(130)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결합 구조 방식, 병뚜껑 나사 결합 방식, 똑딱이 체결 구조 방식, 및 회전 똑딱이 체결 구조 방식 중 하나가 적용 구성될 수 있다. 체결 부재(13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The fastening member 13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so that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are coupled So as to fix it. As shown in FIGS. 6 to 9, the fastening member 130 may be one of a lid-fitting structure, a bottle cap screw-fastening, a fastening fastening structure, and a rotating fastening fastening structure.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fastening member 1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below.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용기에 적용되는 수직 돌출부가 형성된 제1 컵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용기에 적용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제1 컵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제1 컵 용기(110)의 일부 절결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4의 (b)는 제1 컵 용기(11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한 제1 컵 용기(110)는 전체 내벽 면을 3등분 하는 수직 돌출부(112)를 통해 삽입 체결되는 제2 컵 용기(120)의 결합 시에 제2 컵 용기(120)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 및 냉매 역할을 하는 물(101)을 얼리는 과정에서 어는 물(101)의 위치가 부분적으로 구분되어 고정 유지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도 5의 (a)는 제1 컵 용기(110)의 일부 절결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제1 컵 용기(11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한 제1 컵 용기(110)는 도 4에 도시된 수직 돌출부(112)의 형태와 달리 내벽 면 환상의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구성되는 돌기부(113)로 구성하여 제2 컵 용기(120)의 삽입 결합 시에 제2 컵 용기(120)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만이 유지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FIG. 4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cup container having a vertical protrusion applied to a double-structur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 Fig. 3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cup container having protrusions applied thereto. 4 (a) is a partially cut-away sectional view of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FIG. 4 (b) is a plan view of the first cup container 110. FIG. The first cup container 110 shown in FIG. 4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is inserted through the vertical protrusion 112 dividing the entire inner wall surface into three, The position of the water 101 to be frozen during the freezing of the water 101 serving as a position fixing and refrigerant functions to be partially fixed and maintained. 5 (a) is a partially cut-away sectional view of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FIG. 5 (b) is a plan view of the first cup container 110. FIG. The first cup container 110 shown in FIG. 5 is configured by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basis of a specific posi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wall of the cup, unlike the shape of the vertical protrusion 112 shown in FIG. So that only the stable position fixation of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can be maintained during the insertion of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용기에 적용되는 체결 부재의 다양한 구성 일례를 도시한다. 도 6의 (a)는 뚜껑 결합 구조 방식의 체결 부재(130)가 적용되는 이중 구조의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6의 (b)는 단면도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에 구현된 체결 부재(130)는 제1 컵 용기(110)의 개방된 상부 주입구(111)를 따라 형성된 환형 링(131)과, 환형 링(131)에 대응하여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2 컵 용기(120)의 상부에 절곡하여 형성된 환형 링 결합 홈(132)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도 7의 (a)는 병뚜껑 결합 방식의 체결 부재(130)가 적용되는 이중 구조의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구성을 나타내고, 도 7의 (b)는 단면도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에 구현된 체결 부재(130)는 제1 컵 용기(110)의 개방된 상부의 외벽에 형성된 제1 나사부(133)와, 제1 나사부(133)에 대응하여 나사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2 컵 용기(120)의 상부에 절곡하여 형성된 제2 나사부(134)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도 8의 (a)는 똑딱이 체결 구조 방식 체결 부재(130)가 적용되는 이중 구조의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8의 (b)는 단면도 구성을 나타낸다. 도 8에 구현된 체결 부재(130)는 제1 컵 용기(110)의 개방된 상부의 외벽을 따라 전체 또는 특정 부분에 형성되는 홈 부(135)와, 홈 부(135)에 대응하여 착탈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2 컵 용기(120)의 상부에 절곡하여 형성되는 홈 결합 돌기부(136)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도 9의 (a)는 회전 똑딱이 체결 구조 방식의 체결 부재(130)가 적용되는 이중 구조의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구성을 나타내고, 도 9의 (b)는 단면도 구성을 나타낸다. 도 9에 구현된 체결 부재(130)는 제1 컵 용기(110)의 개방된 상부의 외벽을 따라 단속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잠금 홈 부(137)와, 복수의 잠금 홈 부(137)에 대응하여 위치가 맞춰진 후 회전시켜 결합되는 복수의 잠금 홈 회전 결합부(138)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Figs. 6 to 9 show various examples of the fastening member applied to a dual structur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show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al structure container to which a fastening member 130 of a lid-fastening type is applied, and Fig. 6 (b) shows a sectional configuration. 6 has an annular ring 131 formed along the opened upper injection port 111 of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a second annular ring 131 formed to be able to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annular ring 131 And a combination of the annular ring engaging grooves 132 formed by ben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7 (a) show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uble-structure container to which a bottle cap coupling member 130 is applied, and FIG. 7 (b) shows a sectional view. 7 includes a first screw portion 133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a second screw portion 133 formed on the outer upper wall of the first cup container 110 so as to be screw- And a second threaded portion 134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up 120. 8 (a) show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al structure container to which a fastening fastening type fastening member 130 is applied, and FIG. 8 (b) shows a sectional configuration. The fastening member 130 shown in FIG. 8 includes a groove 135 formed entirely or at a specific portion along the outer wall of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a groove engaging protrusion 136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so as to be detachable. 9 (a) show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al structure container to which a fastening member 130 of a rotating lid fastening structure type is applied, and FIG. 9 (b) shows a sectional configuration. 9 includes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 portions 137 which are formed to be intermittently protruded along the outer wall of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 portions 137 And a plurality of lock groove rotary engaging portions 138 that are rotated and engaged after their corresponding positions are match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용기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의 용기는, 현재 일반적으로 매장에서 즉석 제조 형태로 판매되고 있는 아이스 제품에 대해서 그 아이스 제품의 성질을 더욱 오래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중 용기의 구성으로, 초기 상태에서는 제1 컵 용기(110)와 제2 컵 용기(120)가 따로 분리된 개별의 상태로 있고, 이중 구조의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 제1 컵 용기(110)의 개방된 상부 주입구를 통해 냉매 역할을 하는 물이 주입되어 채워지면, 제2 컵 용기(120)를 제1 컵 용기(110)의 개방된 상부 주입구(111)를 통해 집어넣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컵 용기(110)와 제2 컵 용기(120) 사이에는 냉매 충진 공간(102)이 형성되면서 주입된 물(101)이 냉매 충진 공간(102)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1 컵 용기(110)와 제2 컵 용기(120)는 각각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 부재(130)의 결합을 통해 기밀된 체결이 이루어진 후 냉동고나 이와 비슷한 환경에서 온도가 낮춰지거나 결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의 용기는 아이스 제품의 냉기 보존 용도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을 두지는 않으며, 맥주,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용기의 형태를 납작한 접시 형태로 구성할 경우 신선 제품(회 포함)을 올려놓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process of a dual structur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the double-structur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double container which allows the ice product to be maintain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In the initial state,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order to use the dual structure container, the open top of the first cup container 110 When the water serving as a coolant is injected and filled through the injection port,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ed upper injection port 111 of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 refrigerant filling space 102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so that the injected water 101 is located in the refrigerant filling space 102. At this time,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are tightly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member 130 formed on the top of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and then the temperature is lowered in the freezer or the like environment, . The dual structur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used for cold storage of ice produc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used as a container for containing beer and beverage, It is possible to use it for putting fresh products (including sashimi).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1: 물(냉매) 102: 냉매 충진 공간
110: 제1 컵 용기 111: 주입구
112: 수직 돌출부 113: 돌기부
120: 제2 컵 용기 130: 체결 부재
131: 환형 링 132: 환형 링 결합 홈
133: 제1 나사부 134: 제2 나사부
135: 홈 부 136: 홈 결합 돌기부
137: 잠금 홈 부 138: 잠금 홈 회전 결합부
101: water (refrigerant) 102: refrigerant filling space
110: first cup container 111: inlet
112: vertical protrusion 113:
120: second cup container 130: fastening member
131: annular ring 132: annular ring engaging groove
133: first thread portion 134: second thread portion
135: groove portion 136: groove engaging projection
137: lock groove part 138: lock groove rotation coupling part

Claims (10)

외용기로서 종이컵 모양으로 구성되며, 개방된 상부 주입구(111)를 통해 냉매 역할을 하는 물(101)이 주입되는 제1 컵 용기(110);
내용기로서 상기 제1 컵 용기(1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종이컵 모양으로 구성되며, 상기 냉매 역할을 하는 물(101)이 주입된 제1 컵 용기(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컵 용기(110)와 이중 구조를 형성하면서 그 이중 구조의 냉매 충진 공간(102)으로 냉매 역할을 하는 물(101)이 위치되도록 하는 제2 컵 용기(120); 및
상기 제1 컵 용기(110)와 제2 컵 용기(120)의 상부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컵 용기(110)와 제2 컵 용기(120)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체결 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부재(130)는,
상기 제1 컵 용기(110)의 개방된 상부의 외벽을 따라 전체 또는 특정 부분에 형성되는 홈 부(135)와, 상기 홈 부(135)에 대응하여 착탈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컵 용기(120)의 상부에 절곡하여 형성되는 홈 결합 돌기부(136)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똑딱이 체결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용기.
A first cup container 110 which is formed in the form of a paper cup as an outer container and into which water 101 serving as a refrigerant is injected through an opened upper injection port 111;
The first cup container 1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up container 110 into which water 101 serving as a refrigerant is injected. The first cup container 1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 second cup container 120 for forming a double structure with the first cup container 110 so that the water 101 serving as a refrigerant is positioned in the refrigerant filling space 102 having the dual structure; And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130)
The fastening member (130)
A groove 135 formed at an entire or a specific portion along an outer wall of the opened top of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a second cup 135 formed to be detachable and detachabl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135, And a groove coupling protrusion (136) formed to be bent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1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컵 용기(110)는,
상기 제2 컵 용기(120)의 삽입 결합 시에 상기 제2 컵 용기(120)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 및 냉매 역할을 하는 물(101)을 얼리는 과정에서 어는 물(101)의 위치를 부분적으로 구분하여 고정 유지될 수 있도록 제1 컵 용기(110)의 전체 내벽 면을 3등분 하는 수직 돌출부(11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up (110)
When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is inserted and coupled, the position of the water 101 in the process of freezing the water 101 serving as a cooler and fixing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is partially Further comprising a vertical protrusion (112) for dividing the entir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cup container (110) into three equal parts so as to be fixedly he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컵 용기(110)는,
상기 제2 컵 용기(120)의 삽입 결합 시에 상기 제2 컵 용기(120)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제1 컵 용기(110)의 내벽 면 환상의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구성되는 돌기부(11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up (110)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may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a specific posi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cup container 110 so that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can be stably fixed in position during the insertion of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Th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jecting portions (1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컵 용기(110) 및 제2 컵 용기(120)는,
플라스틱, 종이, 합성수지, 유리, 금속, 및 세라믹 재질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Wherein the container is made of one of plastic, paper, synthetic resin, glass, metal, and ceramic material.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컵 용기(120)는,
상기 제1 컵 용기(110)에 대응하는 종이컵 모양으로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진 형태의 상광하협의 형태로 구성하되, 상기 제1 컵 용기(110)와 제2 컵 용기(120) 사이에 형성되는 냉매 충진 공간(102)에 주입된 냉매 역할을 하는 물(101)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컵 용기(110)와 제2 컵 용기(120)의 상부 구간은 빈 공간이 없이 기밀되게 접촉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용기.
5. The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second cup (120)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are formed in the form of a paper cup corresponding to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having an upper portion that is wider and an upper portion that is narrower toward the lower portion.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such that the water 101 serving as a refrigerant injected into the refrigerant filling space 102 formed between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is prevented from flowing out. Is configured to be in hermetic contact with no empty sp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컵 용기(110) 및 제2 컵 용기(120)는,
아이스 제품을 담을 수 있는 형태의 종이컵 모양 이외에, 냉기 보존 제품의 종류 중 하나인 맥주 및 음료를 포함하는 음용수를 담을 수 있는 큰 컵 모양과, 회를 포함하는 신선 제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납작한 접시 형태의 모양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용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cup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up container (120)
In addition to the form of paper cups that can hold ice products, a large cup shape that can hold drinking water including beer and beverage, which is one of the kinds of cold preservation products, and a flat dish that can hold a fresh product including a sash The container having a double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130)는,
상기 홈 부(135)와 상기 홈 결합 돌기부(136)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똑딱이 체결 구조를 대신하여, 상기 제1 컵 용기(110)의 개방된 상부의 외벽을 따라 단속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잠금 홈 부(137)와, 상기 복수의 잠금 홈 부(137)에 대응하여 위치가 맞춰진 후 회전시켜 결합되는 복수의 잠금 홈 회전 결합부(138)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회전 똑딱이 체결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용기.
6.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astening member (130)
The first cup container 110 may have a plurality of locks formed intermittently protruding along the outer wall of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first cup container 110 instead of a tack fastening structur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e groove 135 and the groove- And a rotary knot fastening structur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groove portion 137 and a plurality of lock groove rotary engaging portions 138 that are alig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plurality of lock groove portions 137 and then rotated and combined Characterized by a double-structured container.
KR1020140043867A 2014-04-11 2014-04-11 A vessel for dual structure KR1015626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867A KR101562649B1 (en) 2014-04-11 2014-04-11 A vessel for dual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867A KR101562649B1 (en) 2014-04-11 2014-04-11 A vessel for dual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290A KR20150118290A (en) 2015-10-22
KR101562649B1 true KR101562649B1 (en) 2015-11-02

Family

ID=54426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867A KR101562649B1 (en) 2014-04-11 2014-04-11 A vessel for dual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64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67364T3 (en) 2016-05-04 2024-04-29 Hardy Steinman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CN106275854A (en) * 2016-08-17 2017-01-04 安徽兴源塑料包装有限公司 A kind of plastic cup
KR101863037B1 (en) * 2017-07-18 2018-05-31 정도천 Integrated Hot and/or Cold Double Contai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787Y1 (en) 2003-01-15 2003-05-27 (주)옥야 duplex receptacle made of transparent plastics
KR200326054Y1 (en) 2003-04-17 2003-09-17 김정배 ice-cup
JP2006008202A (en) 2004-06-28 2006-01-12 Fuji Seal International Inc Cylindrical heat insulation cover, foam sheet for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ylindrical heat insulation cov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787Y1 (en) 2003-01-15 2003-05-27 (주)옥야 duplex receptacle made of transparent plastics
KR200326054Y1 (en) 2003-04-17 2003-09-17 김정배 ice-cup
JP2006008202A (en) 2004-06-28 2006-01-12 Fuji Seal International Inc Cylindrical heat insulation cover, foam sheet for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ylindrical heat insulation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290A (en)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0348B2 (en) Beverage container with freeze pack
US5555746A (en) Two liter insulated cooler containers
US4782670A (en) Dual hot-cold maintenance container
US8230697B2 (en) Cooler and cooler accessory with integrated liquid dispenser
US8439221B2 (en) Beverage container with chill sleeve
US5284028A (en) Ice holder incorporated within a beverage container
KR100828147B1 (en) An insulating case for water bottle
US965129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verage container cooler with deflected compliant seal
AU2010100178A4 (en) Temperature keeping container
US20170367536A1 (en) Stainless steel food service vessels
US20110067432A1 (en) Temperature keeping container
US20070090077A1 (en) Container arrangement
KR101562649B1 (en) A vessel for dual structure
US7055706B2 (en) Drink bottle
US20200095016A1 (en) Container for receiving a beverage
US5067328A (en) Cooling vessel for beverages
US11414259B2 (en) Beverage insulating device
US6035659A (en) Sanitary beverage cooler
WO2015189069A1 (en) Iced beverage preparation kit
KR20090115349A (en) Cool drink vessel for take out
US20110088410A1 (en) Chilled Beverage Container
WO2007142673A1 (en)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ice around a bottle
KR200460978Y1 (en) Water pail
KR101541027B1 (en) A Ice Cream Cup for Freezing and Cooling
ES2805792T3 (en) Beverage coo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