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839Y1 - 채반 - Google Patents

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839Y1
KR200492839Y1 KR2020180006098U KR20180006098U KR200492839Y1 KR 200492839 Y1 KR200492839 Y1 KR 200492839Y1 KR 2020180006098 U KR2020180006098 U KR 2020180006098U KR 20180006098 U KR20180006098 U KR 20180006098U KR 200492839 Y1 KR200492839 Y1 KR 2004928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tacked
rim
flange
elastic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60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492U (ko
Inventor
박천수
Original Assignee
박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천수 filed Critical 박천수
Priority to KR20201800060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839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4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4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8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2Kitchen sif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채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채반의 일 양태는, 다수개가 상하로 적층 또는 분리되는 채반에 있어서: 상기 채반은, 물품이 안착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상면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면, 및 상기 바닥면 및 테두리면에 의하여 정의되어 상기 바닥면에 안착되는 물품이 위치되는 안착 공간을 포함하는 안착부; 상기 테두리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저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1개의 탄성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방에 적층되는 상기 채반의 탄성 지지부가, 하방에 적층되는 상기 채반의 플랜지부의 상면에 탄성 지지된다.

Description

채반{WICHER TRAY}
본 고안은 채반에 관한 것이다.
채반이란, 싸리나 대나무 껍질 등을 결여서 제작되는 용기나 그릇으로, 최근에는 합성수지나 금속 재질로 주로 성형되고 있다. 이와 같은 채반은,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그 상면에 안착되는 물품에 잔존하는 수분이나 유분의 제거에 효율적이다. 또한, 공간의 활용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채반을 상하로 적층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선행기술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28724호, 명칭: 적층식 채반) 및 선행기술문헌 2(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19009호, 명칭: 적층식 채반)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채반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1 및 2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채반의 저면에 형성되는 다리(5)(5a)가 그 하방에 배치되는 다른 채반에 형성되는 홈(3)(3a)(7)에 지지됨으로써, 다수개의 채반이 적층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채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종래에는, 상하로 적층되는 채반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다리 등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구비된다. 따라서 금속 재질의 경우에는 다리 등을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거나, 별도의 다리 등을 제작하여 채반에 고정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상하로 적층된 채반을 분리하기 위해서 다리 등을 삽입된 홈 등으로부터 분리하여야 한다. 특히, 다리 등이 홈 등에 압입이나 억지끼움되는 경우에는, 다리 등을 홈 등에 삽입 또는 홈 등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과도한 외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채반은 식자재나 음식물이 안착되는 부분이 평면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채반의 크기의 증가 또는/및 안착되는 식자재나 음식물의 중량에 따라서 채반이 변형되어 손상될 우려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28724호(명칭: 적층식 채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19009호(명칭: 적층식 채반)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한 적층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다 안정적으로 적층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견고하게 구성되는 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채반의 일 양태는, 다수개가 상하로 적층 또는 분리되는 채반에 있어서: 상기 채반은, 물품이 안착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상면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면, 및 상기 바닥면 및 테두리면에 의하여 정의되어 상기 바닥면에 안착되는 물품이 위치되는 안착 공간을 포함하는 안착부; 상기 테두리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저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1개의 탄성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방에 적층되는 상기 채반의 탄성 지지부가, 하방에 적층되는 상기 채반의 플랜지부의 상면에 탄성 지지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일부에만 구비되고, 상방에 적층되는 상기 채반의 플랜지부 중 상기 탄성 지지부가 구비되는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하방에 적층되는 상기 채반의 플랜지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적어도 상기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방에 적층되는 상기 채반의 안착부의 적어도 일부가, 하방에 적층되는 상기 채반의 안착 공간의 내부에 위치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방에 적층되는 상기 채반의 바닥면 및 테두리면은, 하방에 적층되는 상기 채반의 바닥면 및 테두리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테두리면은, 상기 바닥면의 상면 테두리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바닥면은, 다각뿔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호 연결되는 다수개의 바닥판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채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채반을 그 하방에 적층되는 채반에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 지지부가 플랜지부 저면에 일측에서 밴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채반을 적층 및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탄성 지지부가 그 하방에 적층되는 채반의 플랜지부 상면에 탄성 지지된 상태에서, 안착부가 그 하방에 적층되는 채반의 안착부 내부, 실질적으로 안착부의 내부에 정의되는 안착 공간의 내부에 위치됨으로써, 상하로 적층되는 채반의 수평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안정적으로 채반을 적층 및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물품이 안착되는 안착부의 바닥면이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 또는 밴딩되는 다수개의 바닥판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채반이 보다 견고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채반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채반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채반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채반(100)은, 다수개가 상하로 적층 또는 분리되는 것으로, 안착부(110), 플랜지부(120) 및 적어도 1개의 탄성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착부(110)는, 바닥면(111), 테두리면(112) 및 안착 공간(110S)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면(111)은, 물품이 그 상면에 안착되는 곳이고, 상기 테두리면(112)은, 상기 바닥면(111)의 상면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안착 공간(110S)은, 상기 바닥면(111) 및 테두리면(112)에 의하여 정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안착부(110)는, 상면이 개방되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테두리면(112)이, 상기 바닥면(111)의 상면 테두리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안착 공간(110S)은, 그 종단면이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110)에는 다수개의 통공(113)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상기 통공(113)이 상기 바닥면(111) 및 테두리면(112)에 모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통공(113)이 상기 바닥면(111)에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면(111)이 다수개의 바닥판(111A)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111A)은,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것으로, 이에 의하여 상기 바닥면(111)이 다각뿔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바닥판(111A)이 각각 삼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4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바닥판(111A)의 3개의 변이, 인접하는 2개의 다른 바닥판(111A) 및 상기 테두리면(112)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면(111)은, 실질적으로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바닥면(111)의 보강을 위한 것으로, 상기 바닥면(111)에 안착되는 물품의 자중에 의한 이동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상기 바닥판(111A)의 크기 및 상호 연결되는 각도가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안착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채반(100)의 하방에 적층되는 다른 채반(100')의 안착 공간(110S')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바닥면(111) 및 테두리면(112)은, 상기 채반(100)의 하방에 적층되는 다른 채반(100')의 바닥면(111') 및 테두리면(112')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120)는, 상기 테두리면(11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면, 상기 플랜지부(120)는, 상기 테두리면(112)의 상단에서 상기 바닥면(111)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 지지부(130)는, 상기 플랜지부(120)의 저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채반(100)의 하방에 적층되는 다른 채반(100')의 플랜지부(120)의 상면에 탄성 지지된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 지지부(130)는, 상기 플랜지부(120)의 외측 단부에서 다수회 밴딩되어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플랜지부(120)의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 지지부(130)가, 상기 플랜지부(120)의 일부에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채반(100)의 플랜지부 중 상기 탄성 지지부(130)가 구비되는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하방에 적층되는 상기 채반(100)의 플랜지부(12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채반(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로 적층 또는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채반(100)이 상하로 적층되면, 상방에 적층되는 채반(100), 즉 제1채반(100)의 탄성 지지부(130)가 하방에 적층되는 채반(100'), 즉 제2채반(100')의 플랜지부(120')의 상면에 탄성 지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채반(100')이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제1채반(100)의 탄성 지지부(130)가 구비되는 상기 제1채반(100)의 플랜지부(120)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와 상기 제2채반(100')의 플랜지부(12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작업자의 손이나 별도의 도구를 삽입하여 상기 제1채반(100)을 상기 제2채반(1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물품이 안착되는 상기 바닥면(111)이,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호 연결되는 다수개의 바닥판(111A)에 의하여 다각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바닥면(111)의 강도가 보강됨으로써, 물품의 안착에 따른 상기 바닥면(111)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채반 110: 안착부
110S: 안착 공간 111: 바닥면
112: 테두리면 113: 통공
120: 플랜지부 130: 탄성 지지부

Claims (7)

  1. 다수개가 상하로 적층 또는 분리되는 채반(100)에 있어서:
    상기 채반(100)은,
    물품이 안착되는 바닥면(111), 상기 바닥면(111)의 상면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면(112), 및 상기 바닥면(111) 및 테두리면(112)에 의하여 정의되어 상기 바닥면(111)에 안착되는 물품이 위치되는 안착 공간(110S)을 포함하는 안착부(110);
    상기 테두리면(11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20); 및
    상기 플랜지부(120)의 저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1개의 탄성 지지부(130);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부(130)는, 상기 플랜지부(120)의 일부에만 구비되고,
    상방에 적층되는 상기 채반(100)의 플랜지부 중 상기 탄성 지지부(130)가 구비되는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하방에 적층되는 상기 채반(100)의 플랜지부(12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고,
    상기 탄성 지지부(130)가 플랜지부(120)의 외주연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31) 및 상기 연장부(131)의 하단에서 상기 테두리면(112), 플랜지부(120) 및 연장부(131)에 의하여 둘러싸여져서 정의되는 공간으로 연장되는 경사부(132)를 포함하고,
    상방에 적층되는 상기 채반(100)의 연장부(131) 및 경사부(132)의 연결 부분이 하방에 적층되는 상기 채반(100)의 플랜지부(120)의 상면에 탄성 지지되는 채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바닥면(111)에는 다수개의 통공(113)이 형성되는 채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방에 적층되는 상기 채반(100)의 안착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하방에 적층되는 상기 채반(100)의 안착 공간(110S)의 내부에 위치되는 채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방에 적층되는 상기 채반(100)의 바닥면(111) 및 테두리면(112)은, 하방에 적층되는 상기 채반(100)의 바닥면(111) 및 테두리면(112)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는 채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면(112)은, 상기 바닥면(111)의 상면 테두리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채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11)은, 다각뿔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호 연결되는 다수개의 바닥판(111A)을 포함하는 채반.

KR2020180006098U 2018-12-27 2018-12-27 채반 KR200492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6098U KR200492839Y1 (ko) 2018-12-27 2018-12-27 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6098U KR200492839Y1 (ko) 2018-12-27 2018-12-27 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492U KR20200001492U (ko) 2020-07-07
KR200492839Y1 true KR200492839Y1 (ko) 2020-12-18

Family

ID=71527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6098U KR200492839Y1 (ko) 2018-12-27 2018-12-27 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83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242Y1 (ko) * 2001-05-18 2001-10-15 이형관 멸치 건조대
KR101292176B1 (ko) * 2012-08-30 2013-08-01 주식회사 히기아 육묘판 및 육묘판 생장 프레임
KR200472705Y1 (ko) * 2009-11-23 2014-05-22 이영철 적층된 상태에서 수직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토록 되는 뚜껑이 덮여지는 플라스틱 수납박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009B1 (ko) 2001-08-01 2004-02-14 주식회사 명진티에스알 고무 성형공정의 고무시트 공급장치
KR100664884B1 (ko) 2006-03-02 2007-01-09 남주희 적층식 채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242Y1 (ko) * 2001-05-18 2001-10-15 이형관 멸치 건조대
KR200472705Y1 (ko) * 2009-11-23 2014-05-22 이영철 적층된 상태에서 수직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토록 되는 뚜껑이 덮여지는 플라스틱 수납박스
KR101292176B1 (ko) * 2012-08-30 2013-08-01 주식회사 히기아 육묘판 및 육묘판 생장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492U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546160T3 (en) Pallet with support elements formed in one piece and method related thereto
EP2010434B1 (en) Stackable boxes and covers
US9016474B2 (en) Transport container
US20080210840A1 (en) Interlocking roll support and spacing structure
EP2767482B1 (en) Pallet base and pallet provided with said base
US10538360B2 (en) Nestable pallet with runners
US9586720B2 (en) Pallet structure
KR200492839Y1 (ko) 채반
US11191365B2 (en) Arrangement with a plurality of spring elements for a cushion support
WO2005105590A1 (en) An arrangement in a loading ledge
US20090218244A1 (en) Top cap
EP1705130A1 (en) Pallet and method of securing goods onto a pallet
EP1440893A2 (en) Pallet provided with friction elements
KR20130023725A (ko) 분리형 다단 적재 랙
JP6290051B2 (ja) パレット
KR102411288B1 (ko) 내구성 및 안정적 적층구조를 겸비한 곤충사육상자
CN102040020B (zh) 设置有双层加强缺口的塑胶托盘
EP4311791A1 (en) Pallet
GB2545709A (en) Pallet arrangement
WO1997046456A1 (en) Twin sheet pallet
KR20240000996U (ko) 강선으로 제작된 급식용 바구니
WO2021240304A1 (en) Stackable container
JP6478388B2 (ja) 椅子
EP1588957A2 (en) Container storage system
JP2006076605A (ja) 運搬用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