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765Y1 - 화장도구 - Google Patents

화장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765Y1
KR200492765Y1 KR2020170000174U KR20170000174U KR200492765Y1 KR 200492765 Y1 KR200492765 Y1 KR 200492765Y1 KR 2020170000174 U KR2020170000174 U KR 2020170000174U KR 20170000174 U KR20170000174 U KR 20170000174U KR 200492765 Y1 KR200492765 Y1 KR 2004927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main
application unit
moving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197U (ko
Inventor
김하영
김은미
한재식
이지아
오세웅
손홍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70000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765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1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1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7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7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는, 제1 도포구를 포함하는 메인 도포부; 상기 제1 도포구와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 도포구를 포함하는 이동 도포부; 및 상기 이동 도포부가 상기 메인 도포부의 둘레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도포구와 상기 제2 도포구의 배치 방향이 전환되도록, 상기 이동 도포부를 상기 메인 도포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도구{A cosmetic device}
본 고안은 화장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시에는 상하 폭을 감소시켜 보관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사용시에는 상하 폭을 확장시켜 두께감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어,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한 화장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파운데이션(foundation) 등과 같은 고형 화장품이나 선 블록(sun block) 등과 같은 액체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화사하게 하며 주름을 개선하는 등의 효과를 위해 사용된다. 이때 사용자는 퍼프(puff) 또는 브러시(brush)에 화장품을 묻힌 후 피부에 바르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퍼프나 브러시는 화장품 용기 내에 수납된 상태로 판매되거나 또는 별도로 판매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퍼프는 다공성의 형태를 갖는 스펀지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퍼프는 피부에 닿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 밴드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밴드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로 퍼프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밴드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반면 브러시는 복수 개의 모(毛)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모는 동물의 털, 인공 섬유(일례로 합성수지 등)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브러시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사용자는 손잡이를 잡은 채 모 부분에 화장품이 고르게 묻도록 한 뒤, 모를 피부에 접촉시켜 화장품을 전달한다.
특히 브러시는 모의 끝단에 의해 형성되는 면이 퍼프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으므로, 피부에서 넓은 면에 대해 화장을 수행하기에 유리하다. 다만, 브러시는 모의 끝단을 피부에 스치게 하거나 모에 묻은 화장품을 피부에 털어내는 방식으로 화장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일정한 압력을 가해야 하는 화장은 어렵다.
반면 퍼프의 경우 손가락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퍼프에 묻어있는 화장품이 피부로 전달되는 것이어서, 화장품을 피부에 눌러서 화장하는 때에 사용하기 편리하고, 또한 코 주위나 굴곡진 부분에 대해 용이하게 화장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퍼프와 브러시는 피부 형태, 화장품 특성, 화장 목적 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데, 특히 화장용기에 보관되는 브러시의 경우 화장용기 전체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얇고, 모량이 적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화장품이 전달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자의 만족감 등이 저하되어, 경우에 따라 퍼프와 브러시를 개별로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화장용기에 보관되는 브러시는 화장용기의 전체 크기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두께가 얇게 이루어져 화장시 브러시 모의 끝단에 의해 형성되는 면적과 모의 조밀한 정도가 제한됨에 따라 사용가능한 화장품의 특성이 제한되는 등의 어려움이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장도구의 사이즈가 고정되지 않고 두께를 선택적으로 변동시킬 수 있어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할 수 있는 화장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는, 제1 도포구를 포함하는 메인 도포부; 상기 제1 도포구와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 도포구를 포함하는 이동 도포부; 및 상기 이동 도포부가 상기 메인 도포부의 둘레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도포구와 상기 제2 도포구의 배치 방향이 전환되도록, 상기 이동 도포부를 상기 메인 도포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도포부는, 상기 연결부에 의해 이동하면 상기 제1 도포구와 상기 제2 도포구의 배치 방향을 상하에서 좌우 또는 좌우에서 상하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메인 도포부와 상기 이동 도포부 각각에 끼움되도록 양단이 쌍으로 돌출되는 'H'형상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도포부에는, 상기 연결부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결합홈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도포부 또는 상기 이동 도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연결부의 중심부가 삽입되어, 상기 메인 도포부와 상기 이동 도포부와의 이격을 방지하는 슬라이딩홈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도포부에 대한 상기 이동 도포부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메인 도포부와 상기 이동 도포부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가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끼움되는 돌기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도구는, 화장도구를 사용시에는 화장도구의 두께를 증가시켜 가루 형태의 파우더뿐만 아니라 점성을 가지는 리퀴드 제형 또는 고체형의 화장품을 사용시에도 브러시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도포구와 제2 도포구의 형태가 화장품에 맞닿아도 형태가 무너지지 않고 복수의 모가 서로 뭉쳐져 이웃한 모에 의해 서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화장품의 제형에 관계없이 화장품이 화장도구에 용이하게 묻어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가 보관도구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가 보관도구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보관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가 회전되는 과정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사용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사용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I-I를 따라 절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보관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가 이동되는 과정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사용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에서 메인 도포부의 제1 도포구가 삽입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에서 메인 도포부의 제1 도포구가 돌출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가 보관도구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보관시 상태에서 사용시 상태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100)는 메인 도포부(110), 회전 도포부(120) 및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어, 메인 도포부(110)에 대해 회전 도포부(120)가 상대 회전함에 따라 화장도구(100)의 가장 두꺼운 영역의 두께가 변동되어 보관이 용이하거나 일례로 브러시와 같은 도포영역이 두툼하게 이루어져 화장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도포부(110)는 제1 손잡이(111) 및 제1 도포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손잡이(111)는 제1 도포구(11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사출되는 사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도포구(112)가 설치될 수 있도록 어느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도포구(112)는 사용자의 피부에 화장품을 직접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복수의 모(毛)로 이루어지는 브러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도포구(112)에서 화장품이 묻어나는 부분의 반대편이 제1 손잡이(111)에 설치되어 복수의 모가 서로 모인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모는 동물의 털, 인공 섬유(일례로 합성수지 등)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공지된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도포구(112)는 제1 손잡이(111)의 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제1 손잡이(111)를 잡은 상태로 제1 도포구(112)에 화장품이 고르게 묻도록 한 뒤, 제1 도포구(112)를 피부에 접촉시켜 화장품을 전달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도포구(112)가 브러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는 일례에 불과하며 제1 도포구(112)와 후술되는 제2 도포구(122)는 화장품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공지된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회전 도포부(120)는 제1 도포구(112)와 반대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 도포구(122)와 제1 손잡이(111)와 반대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 손잡이(12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회전 도포부(120)는 메인 도포부(110)에 대하여 제2 도포구(122)와 제2 손잡이(121)가 반대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고, 메인 도포부(110)와 회전 도포부(120)는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제2 도포구(122)는 제1 도포구(112)와 재질 또는 모의 직경이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서로 달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메인 도포부(110)와 회전 도포부(120) 각각은, 일단으로부터 제1 도포구(112)와 제2 도포구(122) 각각이 노출되는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경사질 수 있다. 여기서, 메인 도포부(110)와 회전 도포부(120)는 제1 도포구(112)와 제2 도포구(122)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도포부(110)와 회전 도포부(120)의 결합상태는, 제1 도포구(112)와 제2 도포구(122)의 방향이 서로 어긋나면 일단과 타단의 높이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도 2 참조), 제1 도포구(112)와 제2 도포구(122)의 방향이 동일하게 위치되면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도 7 참조).
연결부(130)는 메인 도포부(110)와 회전 도포부(12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메인 도포부(110)에 대하여 회전 도포부(120)의 전후방 방향이 변동되어 제1 도포구(112)와 제2 도포구(122)의 배치 방향이 나란한 방향으로 전환되도록, 메인 도포부(110)와 회전 도포부(1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 도포구(112)에 대한 제2 도포구(122)의 방향에 따라 보관 및 사용의 형태가 달리 이루어질 수 있도록, 메인 도포부(110)와 회전 도포부(120)의 상대 회전을 지지하면서 메인 도포부(110)와 회전 도포부(12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30)는 회전축(131) 및 회전판(13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31)은 메인 도포부(110)와 회전 도포부(120)의 사이에서 축을 이룰 수 있으며, 메인 도포부(110)에 대하여 회전 도포부(120)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131)은 예를 들어, 단면이 원형을 이룰 수 있어 회전 도포부(120) 또는 메인 도포부(110)가 회전축(131) 둘레면을 따라 회전을 이룰 수 있다.
회전판(132)은 메인 도포부(110)와 회전 도포부(1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회전축(131)의 단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져 메인 도포부(110)의 제1 손잡이(111)와 회전 도포부(120)의 제2 손잡이(121) 각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판(132)은 회전축(131)보다 단면적이 큰 원형의 형상을 이루어 제1 손잡이(111)와 제2 손잡이(121)가 회전판(132)의 둘레면을 따라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회전판(132)은 메인 도포부(110)와 회전 도포부(120) 각각이 회전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메인 도포부(110)와 회전 도포부(120) 중 어느 하나는 연결부(130)에 고정된 형태이고 다른 하나가 회전되는 경우에는 회전되는 구성이 회전판(132)에 의해 연결되고 고정되는 구성에는 회전판(132)이 생략되고, 회전축(131)이 연장되어 회전축(131)에 고정된 형태(일체로 사출 또는 억지끼움 또는 접착제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음)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한편, 화장도구(100)가 보관도구(10) 등에 보관시 특히, 화장용기와 같이 휴대성이 중요한 경우, 화장도구(100)의 두께는 화장용기의 전체 크기를 확장시키게 되어 화장용기의 컴팩트한 사이즈 구현을 어렵게 하거나, 화장용기의 컴팩트한 사이즈를 위해 브러시의 모 두께가 줄어들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화장도구(100)는 보관할 경우와 사용할 경우의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화장도구(100)의 형태 변경을 위한 작동관계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화장도구(100)가 보관될 경우의 상태일 수 있다(도 2와 동일한 형태). 즉, 화장도구(100)는 화장품이 묻은 제1 도포구(112)나 제2 도포구(122)가 바닥면 등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바닥면의 오염물이 화장도구(100)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비닐팩 또는 플라스틱 사출물 등의 보관도구(10)에 보관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면, 보관도구(10)는 컴팩트 등과 같은 화장용기(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케이스일 수 있어, 화장도구(100)가 보관도구(10)에 의해 화장용기에 수용되어, 화장시마다 브러시 등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화장용기(10)에 내장된 형태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특히, 화장용기 등에 화장도구(100)가 보관될 경우, 화장용기의 사이즈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화장도구(100)의 전체 두께가 감소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1 도포구(112)와 제2 도포구(122)가 서로 반대방향인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메인 도포부(110)와 회전 도포부(120) 각각은 양단부의 두께가 서로 달리 이어져, 제1 도포구(112)와 제2 도포구(122)의 단부의 두께가 가장 크게 이루어지고, 제1 도포구(112)와 제2 도포구(122)의 반대편인 제1 손잡이(111)와 제2 손잡이(121)의 단부의 두께가 가장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도포부(110)와 회전 도포부(120)는 제1 도포구(112)와 제2 도포구(122)로부터 반대편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줄어드는 경사진 형태를 이루므로, 메인 도포부(110)와 회전 도포부(1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가장 두꺼운 제1 도포구(112)와 제2 도포구(122)가 서로 반대편에 위치되고, 이에 대향하여 제1 도포구(112)에 제2 손잡이(121)가 대향되고, 제2 도포구(122)에 제1 손잡이(111)가 대향됨으로써, 화장도구(100)의 양단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제1 도포구(112)나 제2 도포구(122)의 두께에 대응되게 이루어짐으로써, 브러시를 이룰 수 있는 제1 도포구(112)와 제2 도포구(122)의 전체 총단면적에 대비하여 상하 두께를 얇게 이룰 수 있다.
한편, 화장도구(100)를 화장을 위해 사용시에는 화장도구(100)의 두께를 증가시켜 가루 형태의 파우더뿐만 아니라 점성을 가지는 리퀴드 제형 또는 고체형의 화장품을 사용시에도, 브러시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도포구(112)와 제2 도포구(122)가 화장품에 맞닿아도 형태가 무너지지 않고 복수의 모가 서로 뭉쳐져 이웃한 모에 의해 서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화장품의 제형에 관계없이 화장품이 화장도구(100)에 용이하게 묻어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장도구(100)는 제1 도포구(112)와 제2 도포구(122)가 서로 같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화장도구(100)는 보관 상태에서 회전을 통해 사용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었던 제1 도포구(112)와 제2 도포구(122)가 동일한 방향에 배치되도록 메인 도포부(110)를 기준으로 회전 도포부(120)가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메인 도포부(100)와 회전 도포부(120)는 동시에 회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회전 도포부(120)의 회전은, 회전 도포부(120)가 사용자에 의해 돌려져 방향이 변경될 수 있는데, 회전 도포부(120)의 하면이 메인 도포부(110)의 상면을 따라 앞뒤 방향이 변경되도록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회전 도포부(120)의 회전 반경은 180도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 도포부(120)가 회전되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1 도포구(112)와 제2 도포구(122)는 동일한 방향에 위치되고, 화장품이 묻어나는 면적은 제1 도포구(112)와 제2 도포구(122)의 합이 되어, 보관시의 두께에 대비하여 2배가 되므로, 제1 도포구(112)와 제2 도포구(122)가 브러시로 이루어지는 경우 모는 서로 이웃한 모에 의해 지지되어 모가 촘촘해질 수 있고 전체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 또는 보관에 따라 전체 두께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I-I를 따라 절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 내지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보관시 상태에서 사용시 상태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4 및 도 1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에서 메인 도포부의 제1 도포구가 삽입 또는 돌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일 실시예와 작동 관계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화장도구(100)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앞뒤 방향이 변경되도록 회전을 통해 두께의 변경이 이루어졌으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화장도구(100)는 좌우방향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작동을 통해 두께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100)는 메인 도포부(110A), 이동 도포부(120A) 및 연결부(130A)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도포부(110A)는 제1 손잡이(111A)와 제1 도포구(112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1 손잡이(111A)는 일 실시예의 제1 손잡이(111)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사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다만 일 실시예와 달리, 메인 도포부(110A)의 전체 두께는 일 실시예의 메인 도포부(110)의 폭이 점차 감소되는 것과 달리, 일정한 두께를 이룰 수 있다.
아울러, 메인 도포부(110A) 및/또는 이동 도포부(120A)에는, 구체적으로 제1 손잡이(111A) 및/또는 제2 손잡이(121A)에는, 연결부(130A)의 중심부가 삽입될 수 있게, 슬라이딩홈(1111, 1211)(도 10 참조)이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홈(1111, 1211)은 연결부(130A)의 이동 경로를 따라 메인 도포부(110A) 및/또는 이동 도포부(120A)에 홈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홈(1111, 1211)은 메인 도포부(110A)와 이동 도포부(120A)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오목하게 이루어져, 연결부(130A)에 의해 메인 도포부(110A)와 이동 도포부(120A)가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방지함으로써, 메인 도포부(110A)에 대하여 이동 도포부(120A)가 슬라이딩할 때, 메인 도포부(110A)와 이동 도포부(120A)가 서로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유지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동 도포부(120A)가 제1 손잡이(111A)의 둘레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메인 도포부(110A)에는 결합홈(11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결합홈(1112)은 슬라이딩홈(1111)의 내주면에서 연결부(130A)의 이동 경로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홈(1112)은 연결부(130A)가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연결부(130A)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연결부(130A)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홈(1111, 1211)의 앞뒤(도 10 기준)로 한 쌍을 이루어 연결부(130A)의 양단이 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홈(1112)은 설계 변경에 따라 메인 도포부(110A) 또는 이동 도포부(120A) 중 어느 하나에만 마련될 수 있고, 이와 달리, 메인 도포부(110A) 또는 이동 도포부(120A) 각각에 마련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 가능하다.
그뿐만 아니라, 제1 손잡이(111A)는 이동 도포부(120A)의 슬라이딩에 따라 이동 도포부(120A)가 제1 손잡이(111A)의 상부에 위치되거나 우측에 위치될 수 있다(도 11 기준). 여기서, 이동 도포부(120A)가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부로 미끄러져 올라갈 수 있다.
이때, 제1 손잡이(111A)의 우측 상부(이동 도포부(120A)가 마주하여 올라가는 부분)를 따라 이동 도포부(120A)가 부드럽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제1 손잡이(111A)의 우측 상부는 곡면을 이룰 수 있다. 또는 모서리 일부가 절단된 형태인 챔퍼(chamfer)가 형성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 도포구(112A) 및/또는 제2 도포구(122A)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의 제1 도포구(112)와 제2 도포구(122)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제1 도포구(112A) 와 제2 도포구(122A) 각각이 브러시일 수 있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제1 도포구(112A) 및/또는 제2 도포구(122A)는 제1 손잡이(111A) 및 제2 손잡이(121A)의 내외측으로 돌출 또는 삽입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도포구(112A)는 복수의 모뿐만 아니라, 제1 몸체(1121A)와, 스프링(1122A), 고정체(1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1121A)에는 모가 설치될 수 있고, 화장도구(100)의 보관 및 사용에 따라 브러시의 모가 돌출 또는 수용될 수 있도록, 메인 도포부(110A)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1121A)와 메인 도포부(110A) 각각에는 레일 형태의 바(도시하지 않음)가 서로 맞물리게 설치되어 이동 경로가 가이드될 수 있으나 생략될 수도 있다.
스프링(1122A)은 제1 몸체(1121A)를 탄성 지지할 수 있으며, 메인 도포부(110A)의 내측에서 일단은 메인 도포부(110A)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몸체(1121A)에 연결되어, 돌출이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화장시 제1 도포구(112A)가 메인 도포부(110A)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탄성 지지하되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으므로, 피부에 맞닿는 브러시의 압력이 강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브러시의 작용에 따른 피부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화장품이 덜어질 경우와 같이 강한 압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후술되는 고정홈(1115A)에 의해 제1 도포구(112A)의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위치가 고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체(1123A)는 제1 도포구(112A)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서, 장공(1114A)을 통해 제1 몸체(1121A)로부터 메인 도포부(110A)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게다가, 고정체(1123A)는 장공(1114A)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몸체(1121A)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장공(1114A)은 메인 도포부(110A)에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모의 돌출방향을 따라 고정체(1123A)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장공(1114A)에는 복수의 고정홈(1115A)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고정홈(1115A)의 위치에 따라 제1 도포구(112A)의 위치가 돌출 또는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장도구(100)는 메인 도포부(110A) 전체의 앞뒤 폭이 제1 도포구(112A)의 돌출 및 삽입에 따라 가감될 수 있어, 컴팩트한 사이즈 구현이 가능하다. 아울러, 메인 도포부(110A)와 이동 도포부(120A)는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동 도포부(120A) 또한 메인 도포부(110A)와 같이 제2 도포구(122A)가 돌출 또는 삽입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고정체(1123A)가 고정홈(1115A)에 끼워져 위치가 고정되는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레일이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실시예의 고정홈(1115A)은 편의상 장공(1114A)으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고정홈(1115A)의 단부가 절곡되어 절곡된 영역에 고정체(1123A)가 맞닿은 후 스프링(1122A)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임의로 고정체(1123A)의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이동 도포부(120A)는 제2 손잡이(121A)를 포함하고, 제1 도포구(112A)와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 도포구(12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도포부(120A)는, 연결부(130A)에 의해 이동하면, 제1 도포구(112A)와 제2 도포구(122A)의 배치 방향을 도 11(보관시 상태)을 기준으로 좌우에서 상하 또는 상하에서 좌우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손잡이(121A)는 제1 손잡이(111A)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를 이룰 수 있어, 제2 손잡이(121A)를 따라 연결부(130A)가 이동가능하게 슬라이딩홈(1211)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제1 손잡이(111A)에서 처럼 결합홈(1112)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2 손잡이(121A)는 제1 손잡이(111A)와 달리 연결부(130A)가 고정된 상태로 제1 손잡이(111A)의 둘레를 따라 이동할 수도 있으므로, 연결부(130A)가 이동하기 위한 결합홈(1112)이 슬라이딩홈(1211)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아닌 연결부(130A)의 단부가 끼움되는 형태로만 형성되는 것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아울러, 메인 도포부(110A)에 대하여 이동 도포부(120A)가 우측 또는 상부로 변경될 수 있도록, 이동 도포부(120A)에 대하여 연결부(130A)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게다가, 메인 도포부(110A)에 대한 이동 도포부(120A)의 위치가 임의로 고정될 수 있도록, 메인 도포부(110A)(또는 이동 도포부(120A))에는 돌기(1113A)가 마련되고, 이동 도포부(120A)(또는 메인 도포부(110A))에는 돌기(1113A)가 끼움되는 돌기홈(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될 수 있다.
이동 도포부(120A)가 메인 도포부(110A)의 둘레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1 도포구(112A)와 제2 도포구(122A)의 배치 방향이 전환되도록, 연결부(130A)는 이동 도포부(120A)를 메인 도포부(110A)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30A)는, 메인 도포부(110A)와 이동 도포부(120A) 각각에 끼움되도록 양단이 쌍으로 돌출되는 'H'형상을 이룰 수 있다. 아울러, 메인 도포부(110A)와 이동 도포부(120A) 각각이 연결부(130A)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각각의 단부는 단면이 확장되어 메인 도포부(110A)와 이동 도포부(120A) 각각이 끼워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메인 도포부(110A)에 대한 이동 도포부(120A)의 위치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좌우 방향으로부터 상하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어, 화장도구(100)의 전체 두께가 감소되거나 모의 두께가 증가될 수 있어,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보관도구 100 : 화장도구
110, 110A : 메인 도포부 111, 111A : 제1 손잡이
1111, 1211 : 슬라이딩홈 1112 : 결합홈
1113A : 돌기 1114A : 장공
1115A : 고정홈 112, 112A : 제1 도포구
1121A : 제1 몸체 1122A : 스프링
1123A : 고정체 120 : 회전 도포부
120A : 이동 도포부 121, 121A : 제2 손잡이
122, 122A : 제2 도포구 130, 130A : 연결부
131 : 회전축 132 : 회전판

Claims (6)

  1. 제1 도포구를 포함하는 메인 도포부;
    상기 제1 도포구와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 도포구를 포함하는 이동 도포부; 및
    상기 이동 도포부가 상기 메인 도포부의 둘레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도포구와 상기 제2 도포구의 배치 방향이 전환되도록, 상기 이동 도포부를 상기 메인 도포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도포부는,
    상기 연결부에 의해 이동하면 상기 제1 도포구와 상기 제2 도포구의 배치 방향을 상하에서 좌우 또는 좌우에서 상하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메인 도포부와 상기 이동 도포부 각각에 끼움되도록 양단이 쌍으로 돌출되는 'H'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포부에는,
    상기 연결부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결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포부 또는 상기 이동 도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연결부의 중심부가 삽입되어, 상기 메인 도포부와 상기 이동 도포부와의 이격을 방지하는 슬라이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포부에 대한 상기 이동 도포부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메인 도포부와 상기 이동 도포부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가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끼움되는 돌기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KR2020170000174U 2017-01-10 2017-01-10 화장도구 KR2004927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174U KR200492765Y1 (ko) 2017-01-10 2017-01-10 화장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174U KR200492765Y1 (ko) 2017-01-10 2017-01-10 화장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97U KR20180002197U (ko) 2018-07-18
KR200492765Y1 true KR200492765Y1 (ko) 2020-12-07

Family

ID=63047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174U KR200492765Y1 (ko) 2017-01-10 2017-01-10 화장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76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906Y1 (ko) 2005-06-16 2005-08-25 주식회사 태평양 볼터치 브러시
KR101248839B1 (ko) 2009-03-19 2013-04-01 아니사 인터네셔널 인코포레이티드 화장용 브러시
US20140208533A1 (en) 2013-01-28 2014-07-31 Hct Packaging, Inc. Split-tip applica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4029Y1 (ko) * 1985-10-08 1987-12-15 태평양화학공업주식회사 절첩식 화장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906Y1 (ko) 2005-06-16 2005-08-25 주식회사 태평양 볼터치 브러시
KR101248839B1 (ko) 2009-03-19 2013-04-01 아니사 인터네셔널 인코포레이티드 화장용 브러시
US20140208533A1 (en) 2013-01-28 2014-07-31 Hct Packaging, Inc. Split-tip appl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97U (ko)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786B1 (ko) 미용 제품 어플리케이터, 장치 및 관련 방법
JP3203223B2 (ja) ケラチンファイバ用のメークアップ製品をパッケージしかつ塗布するためのユニット
CN105142458B (zh) 尖端分离涂抹器
US20170112262A1 (en) Eyeliner with application guide cap
JPH10502291A (ja) マスカラのアプリケータ
US8529149B2 (en) Sponge type make-up brush
US20200367631A1 (en) Cosmetic applicator with separately formed surfaces
CN107205536A (zh) 美容涂抹器
CA2788305C (en) Package for applying a personal care product
EP1799071A2 (en) Size-adjustable cosmetic applicator
CN104981179B (zh) 用于涂抹化妆品组分的装置
KR101828761B1 (ko) 화장품, 메이크업 또는 케어 제품을 도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KR200492765Y1 (ko) 화장도구
CN110809418B (zh) 刷具以及具备其的睫毛膏容器
KR200494859Y1 (ko) 화장도구
KR102038832B1 (ko) 화장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립 메이크업 용기
US20120107035A1 (en) Cosmetic removing and correcting implement
KR20180070072A (ko) 브러시와 퍼프를 동시에 구비한 화장도구
KR102112507B1 (ko) 팁 어플리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도포장치
JP5389225B2 (ja) 化粧料塗布具
CN111246770A (zh) 化妆工具
KR200483326Y1 (ko) 받침가드를 가지는 마스카라 어셈블리
KR102294839B1 (ko)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
KR102177319B1 (ko) 화장품 용기
CN104869863A (zh) 人体工学化妆品涂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