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749Y1 - 통기성이 강화된 건조판 - Google Patents

통기성이 강화된 건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749Y1
KR200492749Y1 KR2020190002500U KR20190002500U KR200492749Y1 KR 200492749 Y1 KR200492749 Y1 KR 200492749Y1 KR 2020190002500 U KR2020190002500 U KR 2020190002500U KR 20190002500 U KR20190002500 U KR 20190002500U KR 200492749 Y1 KR200492749 Y1 KR 200492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rying
ventilation
dried
hollow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덕노
장범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엔디코리아
안덕노
장범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엔디코리아, 안덕노, 장범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엔디코리아
Priority to KR2020190002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7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7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2Racks for dry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6Grains, e.g. cereals, wheat, rice, cor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6Sea weed; Marine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통기성이 강화된 건조판에 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통기성이 강화된 건조판은, 버블판재와 망체의 결합으로 형성된 피 건조물의 재치부(載置部)에는 외부로 개방시킨 통기로의 제공으로 항시 고 품질을 유지하도록 건조할 수 있게 하면서, 버블판재와 망체(網體)의 접합을 접착제가 아닌 열 접합에 의한 결합으로 피 건조물 건조 과정에서 접착제 노출에 의한 유해성을 없게 하고, 햇빛에 의한 산화방지로 내구성을 갖게 하면서도 햇빛 흡수능력으로 피 건조물을 빠른 시간에 건조할 수 있게 한 것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통기성이 강화된 건조판{Dry Plate With Enhanced Air Permeability }
본 고안은 농수산물 및 임산물 건조에 사용하는 건조판에 관 한 것이다. 특히, 피 건조물들(각종 농수산물이나 임산물)을 부패 혹은 변질 없이 건조할 수 있게 하고, 여기에 더하여 햇빛에 의한 산화방지로 인한 내구성을 갖게 함과 아울러 접착제에 의한 유해성도 없게 한 통기성을 강화시킨 건조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지에서 수확한 각종 농산물 또는 강이나 바다에서 잡게되는 수산물 또는 산에서 채취하거나 재배한 각종 임산물 중에는, 보관이나 혹은 운송 도중에 부패나 쉽게 변질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자 반드시 건조가 선행되어야 하는 것들이 있다.
예컨데 산지에서 수확한 벼 혹은 고추 등의 농산물의 경우 통상적으로 고함수율이기 때문에 쉽게 변질되거나 부패되는 등의 경제적 손실의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피 건조물은 수확 직후 안전한 저장과 운반 및 식미의 보존을 위해서 적정의 수분을 유지하도록 건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농촌에서는 도로와 같은 바닥에 합성수지 매트나 혹은 멍석을 깐후 그 위에 피 건조물을 펼쳐 놓고 태양광으로 건조하고 있는데, 근자에는 대형 건조기도 이용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건조 방법중 전자(前者)의 방법은 매트나 멍석 위에 올려지는 피 건조물이 통풍이 제대로 안되는 관계로 인하여 작업자들이 피 건조물을 수시로 뒤 집어주거나 하면서 골고루 펼쳐 주지 않게 되면 바닥으로부터 발생되는 습기로 인하여 부패나 변질을 생기게 할 우려가 있다.
한편 후자의 곡물 건조기는 안전한 저장 및 빠른 건조가 가능하나 건조기를 구입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하여 제시된 것이 실용 공고번호 제1997-0003856호에 공표된 '농산물 건조판'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건조판의 바닥면을 굴곡 성형하여 파형이 형성되게 하므로써 농산물과 건조판의 접합단면에 간격이 형성되어 건조판에 올려지는 농산물이 통공을 막지 않게되므로 적층된 최상단의 건조판까지 가열온기가 상승되도록 하여 건조효과의 극대화를 도모한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건조판의 굴곡부에 설치한 오직 통기공들을 통해 유입되는 온기에만 의존하여 건조를 실행되게 하는 구조이다.
이 때문에 피 건조물이 통기공들을 막는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온기 유입의 장해를 초래하여 피 건조물의 건조를 상태를 악화시키어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문제를 그대로 내포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피 건조물들(각종 농수산물이나 임산물 등)을 항시 균일 품질로 건조할 수 있도록 사방으로 개방된 통기공들과 동기로들을 제공하는 건조판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KR 실용 공고번호 제1997-0003856호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들을 제공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버블판재와 망체의 열 접합에 의해 형성되는 피 건조물의 재치부(載置部)에 외기 유입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한 통기로들의 제공으로, 재치부(載置部)에 올려지는 피 건조물을 고 품질로 건조할 수 있게 한 통기성이 강화된 건조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또한 버블판재와 망체(網體)의 접합을 접착제가 아닌 열 접합에 의한 결합으로 피 건조물 건조 과정에서 접착제 노출에 의한 유해성을 없게 하고, 햇빛에 의한 산화방지로 내구성을 갖게 하면서도 햇빛 흡수능력으로 피 건조물을 빠른 시간에 건조할 수 있게 한 통기성이 강화된 건조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통기성이 강화된 건조판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통기성이 강화된 건조판은, 다수개의 중공형 돌출캡들이 일측 혹은 양측으로 돌출 설치된 버블판재와 상기 버블판재에 상응하는 넓이를 이루어 상기 중공형 돌출캡들을 덮는 상태로 위치하면서 상기 중공형 돌출캡들의 상면에 열 접합되어 피 건조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피 건조물 재치부를 제공하는 수개의 통기공들이 형성된 망체(網體)로 이루어진 건조판 본체 ; 상기 버블판재와 상기 망체의 사이에서 상기 통기공들과 연락되는 상태를 이루며 상기 돌출캡들의 사이를 따라서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피 건조물 재치부(載置部)에 올려지는 피 건조물의 건조를 위한 외기가 지속적으로 부여될 수 있게 하는 다수의 통기로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공형 돌출캡은 원추형, 삼각기둥형, 사각기둥형, 및 육각기둥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이며, 또한 상기 중공형 돌출캡의 높이는 통풍성을 위해 5~25mm의 높이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블판재와 망체는 폴리스치렌(PS), 폴리프로필렌(PP), 고밀도 에칠렌(HDPE), 저밀도 폴리에칠렌(LDPE), 폴리에칠렌(PE), 폴리에스터(PET)중 하나 혹은 둘이상에 열 안정제, UV 안정제와 검은색 안료를 혼합하여 롤 혹은 판 형태로 성형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피 건조물의 건조에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공기의 흐름을 배가시킨 통기성을 발휘할 수 있게 한 효과를 부여한다.
또한 본 고안은 버블판재와 망체(網體)의 결합을 접착제 결합이 아닌 열 접합 방식을 채용하여 피 건조물의 건조 과정에서 열, 햇빛에 장시간 노출되는 접착제로부터 발생되는 유해물질이 피 건조물에 묻게되는 유해성 피해를 없게하는 효과를 부여하고, 여기에 더하여 햇빛에 의한 산화방지로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는 경제적 효과를 부여하면서도 햇빛 흡수능력으로 피 건조물을 빠른 시간에 건조할 수 있게 한 효과도 부여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성이 강화된 건조판을 일부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통기성이 강화된 건조판을 일부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통기성이 강화된 건조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성이 강화된 건조판을 일부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II-II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통기성이 강화된 건조판(100)은 다수개의 중공형 돌출캡들(122)이 돌출 설치된 버블판재(1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버블판재(120)는 성형 가공성과 아울러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로 성형되는데, 상기 버블판재(120)의 성형시 상기 중공형 돌출캡들(122)이 상기 버블판재(120)에 같이 성형된다. 상기 중공형 돌출캡들(122)의 내부로는 도면에서 보아 하측으로 만 개방된 중공(中空)부(124)를 이루고 있다.
상기 버블판재(120)에는 무수한 통기공들(142)을 제공하면서 피 건조물을 올려 놓을수 있게 하는 넓은 피 건조물 재치부(144)를 제공하는 망체(網體)(140)를 결합하여 본체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망체(網體)(140)는 통기공들(142)을 갖는 합성 수지재질의 원단 혹은 판재 형태이며, 상기 버블판재(120)에 상응하는 넓이를 갖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망체(140)는 상기 버블판재(120)의 상기 중공형 돌출캡들(122)이 있는 쪽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망체(140)는 상기 버블판재(120)의 상기 중공형 돌출캡들(122)을 덮는 상태로 위치 시킨 후, 상기 중공형 돌출캡들(122)의 상단부분과 맞닿는 부분만을 소정온도의 열을 가하여 열 접합함에 의해 상기 망체(140)를 상기 버블판재(120)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일이 없게끔 상기 중공형 돌출캡들(122)과 일체로 접합되게 하였다. 상기 망체(網體)(140)와 상기 버블판재(120)는 동일의 합성수지 재질이어서 열 접합 방법을 이용하여 쉽게 열 접합할 수 있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버블판재(120)와 상기 망체(140)의 사이에는, 상기 돌출캡들(122)에 의하여 상기 돌출캡들(122)의 사이를 따라서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된 무수한 통기로(160)가 상기 망체(140)에 형성된 통기공들(142)과 연락되는 상태로 존재되게 하여, 상기 망체(140)의 상기 재치부(載置部)(144)에 올려지게 되는 피 건조물 측으로 외부공기가 상기 통기로(160)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가해지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중공형 돌출캡들(122)의 돌출 높이는 상기 피 건조물 재치부(144)에 놓여지는 피 건조물 측으로의 상기 통기로(160)를 통한 원활한 통풍성 확보를 위해 5~25mm 높이의 범위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형 돌출캡들(122)의 돌출 높이의 범위를 5~25mm로 정한 이유는, 돌출 높이를 5mm 미만으로하면 외부로부터 통풍성이 약화될 우려가 있고, 이와는 반대로 25mm를 초과하면 피 건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강도가 약화될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공형 돌출캡들(122)을 재두(裁頭)원추형(원뿔형)으로 형성한 것을 일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상기 중공형 돌출캡들(122)의 형상은 원기둥형, 삼각기둥형, 사각기둥형, 오각 혹은 육각 기둥형 등의 다각 형태로 얼마든지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블판재(120)와 망체(140)는 폴리스치렌(PS), 폴리프로필렌(PP), 고밀도 에칠렌(HDPE), 저밀도 폴리에칠렌(LDPE), 폴리에칠렌(PE), 폴리에스터(PET)중 하나 혹은 둘이상과, 열 안정제, UV 안정제와 검은색 안료를 혼합하여, 일반적인 압출방법에 의한 롤 형태 혹은 프레스에 의한 판상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건조판(100)의 상기 버블판재(120)와 망체(140)의 성형시 열 안정제, UV 안정제와 검은색 안료를 투입하여 만든 이유는 자외선 차단능력이 있어 열, 햇빛 노출에 따른 산화방지 능력으로 다른 색상에 비해서 높은 내구성을 갖도록 하기 위함인데, 특히 검은색은 높은 햇빛 흡수 능력으로 주위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를 유지 함으로써 피 건조물의 건조를 신속하게 실행되게 하는 유리한 점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건조판(100)은 평탄한 선반 혹은 테이블 등에 올려 놓고 사용할 수 있으나, 바닥부에 놓고 사용할 수 도 있다.
이렇게 사용되는 상기 건조판(100)으로는 상기 버블판재(120)와 상기 망체(140)사이에 외방으로 개방되는 상태를 이루며 존재하는 상기 통기로들(160)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가 상기 망체(140)의 통기공들(142)을 통해 상기 피 건조물 재치부(144)측으로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되는 활발한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망체(140)의 상기 피 건조물 재치부(載置部)(144)측으로 올려지게 되는 피 건조물들을 부패나 변질 없이 쉽게 건조할 수 있게 하는 유리한 점이 있다.
상기 건조판(100)을 바닥에 놓고 사용하는 경우, 상기 중공부(124)는 바닥부와의 사이에 공기주머니(Air Sac)와 같은 완충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건조판(100)의 위쪽으로 재치되는 피 건조물에 대하여 바닥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미치게 되는 습기로부터 피해를 덜 입게하는 유리한 점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통기성이 강화된 건조판을 일부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일 실시예와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로서 표시하였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건조판(100a)은 망체(140)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면을 제공하는 버블판재(120)의 중공형 돌출캡들(122)을 상기 버블판재(120)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한 것만이 다를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은 양측으로 설치한 상기 중공형 돌출캡들(122)의 높이만큼 상기 중공형 돌출캡들(122)의 상부로 설치되는 상기 망체(140)에 의하여 제공되는 피 건조물 재치부(144)의 위치를 더 높아지게 하여, 상기 건조판(100a)을 바닥에 직접적으로 놓고 사용하는 경우 바닥부로부터 상기 피 건조물의 재치부(144)가 더 높게 하여 바닥으로부터 가해지게되는 습기 등의 영향을 상기 실시예에 따른 건조판(100)에 비하여 더 최소화하는 유리한 점이 있다. 그 밖의 작용들은 상기 일실시 예와 동일하여 별도의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실시 예에서는 피 건조물을 농수산물 및 임산물과 관련하여 설명하였으나, 건조를 요할 필요가 있는 제품이라면 위 제품들 외에 산업용 제품이라도 적용할 수 있는 것임을 상기 실시예로부터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건조판은 농수산물 및 임산물 등을 누구라도 쉽게 고 품질로 건조하는 이익을 부여 한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 형태는 예시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범위가 아니라,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 개시되며, 실용 신안등록 청구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100,100a: 건조판
120 : 버블판재
122 : 중공형 돌출캡
124 : 중공부
140 : 망체(網體)
142 : 통기공
144 : 재치부
160 : 통기로

Claims (3)

  1. 다수개의 중공형 돌출캡들이 일측 혹은 양측으로 돌출 설치된 버블판재와 상기 버블판재에 상응하는 넓이를 이루어 상기 중공형 돌출캡들을 덮는 상태로 위치하여 상기 중공형 돌출캡들의 상면과 열 접합되면서 피 건조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피 건조물 재치부를 제공하는 수개의 통기공들이 형성된 망체(網體)로 이루어진 건조판 본체 ; 및
    상기 버블판재와 상기 망체의 사이에서 상기 통기공들과 연락되는 상태를 이루며 상기 돌출캡들의 사이를 따라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피 건조물 재치부(載置部)에 올려지는 피 건조물의 건조를 위한 외기가 지속적으로 부여될 수 있게 하는 다수의 통기로들;을 포함하는 통기성을 강화한 건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돌출캡은 원추형, 삼각기둥형, 사각기둥형, 및 육각기둥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이며, 또한 상기 중공형 돌출캡의 높이는 통풍성을 위해 5~25mm의 높이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강화한 건조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판재와 망체는 폴리스치렌(PS), 폴리프로필렌(PP), 고밀도 에칠렌(HDPE), 저밀도 폴리에칠렌(LDPE), 폴리에칠렌(PE), 폴리에스터(PET)중 하나 혹은 둘이상과, 열 안정제, UV 안정제와 검은색 안료를 혼합하여 롤 혹은 판 형태로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강화한 건조판.

















KR2020190002500U 2019-06-18 2019-06-18 통기성이 강화된 건조판 KR2004927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500U KR200492749Y1 (ko) 2019-06-18 2019-06-18 통기성이 강화된 건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500U KR200492749Y1 (ko) 2019-06-18 2019-06-18 통기성이 강화된 건조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749Y1 true KR200492749Y1 (ko) 2020-12-04

Family

ID=73787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500U KR200492749Y1 (ko) 2019-06-18 2019-06-18 통기성이 강화된 건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74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856A (ko) 1995-06-30 1997-01-29 김주용 반도체 소자 제조시 콘택홀 형성 방법
KR20080002281A (ko) * 2006-06-30 2008-01-04 박영상 발열보드 및 이를 이용한 건조기
KR20140085397A (ko) * 2014-05-22 2014-07-07 황철현 다단계 신축형 김 건조용 발장
KR20140113227A (ko) * 2013-03-14 2014-09-24 정정진 멸치 삶기 및 건조용 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856A (ko) 1995-06-30 1997-01-29 김주용 반도체 소자 제조시 콘택홀 형성 방법
KR20080002281A (ko) * 2006-06-30 2008-01-04 박영상 발열보드 및 이를 이용한 건조기
KR20140113227A (ko) * 2013-03-14 2014-09-24 정정진 멸치 삶기 및 건조용 발
KR20140085397A (ko) * 2014-05-22 2014-07-07 황철현 다단계 신축형 김 건조용 발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89734T3 (es) Recipiente fibroso sellado
JP2019527779A (ja) 繊維系食品用容器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3123279A (en) Plastic bag
US20090283578A1 (en) "green" temperature- controlled mailer
AU2006201180A1 (en) Product support assembly adapted to absorb liquids extruded from a product
WO2007008523A3 (en) Produce packaging system having produce containers with arched bottom and raised feet to enable under container ventilation
US20100062216A1 (en) Packaging sheet for absorbing biofluid and product manufactured therefrom
KR200492749Y1 (ko) 통기성이 강화된 건조판
US6607089B2 (en) Flat collapsible cover for a produce container
CN103512306A (zh) 冰箱
EP3107829B1 (en) Fresh produce storage device
KR20140011631A (ko) 통기성이 개선된 비닐 및 그 이용방법
KR100757222B1 (ko) 숨쉬는 다용도 봉투
KR200333234Y1 (ko) 과일상자용 포장재
US20090133325A1 (en) Cover for deflecting light and minimizing heat absorption by a body
CN204822575U (zh) 瓦楞纸箱
JPH0433242Y2 (ko)
JP6041089B2 (ja) 畳の調湿敷設構造
CN212474330U (zh) 一种能够保鲜的纸箱
CN214778044U (zh) 一种透气型瓦楞纸箱
KR200247459Y1 (ko) 과일보호용 봉지
KR200174510Y1 (ko)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골판지박스
JP2008012867A (ja) 吸収マット
KR200404458Y1 (ko) 생육 및 보호를 위한 열매 포장 봉지
CN200939996Y (zh) 一种具有保鲜功能的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