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474Y1 -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위험구역 표시 경고등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위험구역 표시 경고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474Y1
KR200492474Y1 KR2020190000121U KR20190000121U KR200492474Y1 KR 200492474 Y1 KR200492474 Y1 KR 200492474Y1 KR 2020190000121 U KR2020190000121 U KR 2020190000121U KR 20190000121 U KR20190000121 U KR 20190000121U KR 200492474 Y1 KR200492474 Y1 KR 2004924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ens
fresnel lens
tube
irradi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598U (ko
Inventor
박용주
Original Assignee
박용주
박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주, 박선영 filed Critical 박용주
Priority to KR2020190000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474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5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5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4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4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5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having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레인과 같이 중량물 추락의 위험이 있는 경우, 또는 지게차가 작업자와 충돌할 우려가 있는 등의 경우에 프레넬렌즈와 회절렌즈를 이용하여 동심원 형태로 위험한 구역임을 표시하는 빛을 바닥면에 조사하는 위험구역 표시 경고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명한 동심원을 얻을 수 있고 잔상을 방지하도록 하며, 경고 표시조명의 조사 각도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다.

Description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위험구역 표시 경고등{Hazardous area indicator lights with angle control structure}
본 고안은 크레인과 같이 높은 위치에서 설치되어 중량물 추락의 위험이 있는 경우, 또는 지게차와 같이 작업자와 충돌할 우려가 있는 등의 경우에 추락이나 충돌이 예상되는 위험한 구역임을 표시하는 빛을 바닥면에 조사하여 작업자의 근접 방지 및 신속 이탈을 유도하게 하는 위험구역 표시 경고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고표시 조명의 선명도 향상과 조사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공장이나 건설현장 등 각종 산업현장에서 무거운 물품을 이송할 때는 크레인이나 지게차 등을 이용하는데, 크레인의 경우 높은 곳에서 물건을 매달고 이송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다 보니 항상 추락의 위험성이 있고, 이에 따라 크레인 작업시 크레인의 하부에는 작업자의 근접이 당연히 차단되어야 한다.
또한, 지게차의 경우에는 작업자와 같은 공간 내에서 신속하게 움직이면서 운반작업을 하기 때문에 부근의 작업자들과 충돌하는 사고가 잦으므로 매우 조심스럽게 운용되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 이러한 크레인이나 지게차의 작업을 실시함에 있어서 작업의 능률과 인력의 효용성을 감안하다 보니 최대한 빠르고 신속하게 운반작업을 하려는 경향이 있고, 인력을 절감하기 위해 사람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인력의 배치가 갈수록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프레넬렌즈와 회절렌즈를 이용하여 다수의 동심원을 바닥에 비추는 형태의 표시등을 크레인이나 지게차에 설치하여 작업반경 내에 접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닥에 조명을 발산하는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 중의 하나는 아래 기재한 선행기술문헌인데, 선행기술에 의하면, 프레넬렌즈와 회절렌즈 사이를 통체가 지지하고 있는 형태인데, 이런 경우 프러넬렌즈를 통과한 빛의 일부가 통체의 내부에서 난반사 되거나 전방에 위치하지 않은 다른 위치의 회절렌즈를 통과하면서 동심원 형태가 선명하게 표시되지 않고 동원심 주변에 잔상 형태와 같이 동심원의 일부 형태가 추가로 비춰지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문헌의 구조에 의하면 프레넬렌즈와 회절렌즈 사이의 거리가 통체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정확하고 선명한 동심원 형태의 표시가 이루어지는 거리에 제한이 있었고, 표시할 장소 여건에 따라 거리를 달리하려면 길이가 다른 별도의 통체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상기 선행기술의 표시등에 의하면 필요한 방향으로 표시조명을 조사하기 위한 각도조절 구성이 구비되지 않아서 크레인이나 지게차에 설치되는 경우 필요한 정확한 방향으로 설치가 어려웠으며, 각도가 맞지 않으면 조사각도가 달라지는 별도의 브라켓을 구비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와 한 번 설치된 후에는 각도의 조절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36632호(공고: 2015.07.14)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프레넬렌즈를 통과한 빛이 누출되어 난반사로 이어지거나 다른 위치의 프레넬렌즈를 통과함에 다른 문제를 해결하여 항상 선명한 동심원이 표시되면서 잔상의 발생을 방지하고, 그러한 빛의 누출을 방지하는 구성을 간단하게 부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표시등으로부터 동심원이 출력될 바닥면의 거리가 다를 경우 신속하고 간단하게 거리를 조절하여 항상 선명한 경고 표시가 바닥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표시등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아울러 설치 여건에 따라서 표시조명의 조사각도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함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엘이디의 빛을 프레넬렌즈와 회절렌즈를 통과하도록 하여 위험을 표시할 바닥면에 여러 개의 동심원 형태로 위험표시를 하는 위험구역 표시 경고등을 구성함에 있어서, 프레넬렌즈와 회절렌즈 사이의 유도관체부는 동일한 두께와 형태를 가진 다단의 연결관체를 접속하여 구성함으로써 연결관체를 연결하는 숫자의 변화에 의해 엘이디의 빛이 프레넬렌즈에 의해 동심원형태로 정확하게 조사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유도관체부를 구성하는 연결관체의 내부 공간에는 프레넬렌즈와 회절렌즈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면서 빛의 누출을 막기 위한 가이드통로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관체를 구성시 일체화되도록 사출방식으로 가이드관을 구성하여 여러 개의 연결관체를 적층하면 가이드관이 일직선 형태로 연결되면서 가이드통로가 완성되도록 한 것도 특징이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의 하단에는 설치브라켓을 연결하되, 베이스프레임과 설치브라켓에는 각각 서로 중첩되어 회동가능한 반원형의 회동조절판과 고정조절판을 형성하였고, 조절구멍과 고정구멍을 각각 형성한 후 고정나사를 체결하여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프레넬렌즈를 통과한 빛이 회절렌즈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이드통로에 의해 밀폐된 상태가 되므로 매우 선명한 동심원 형태의 경고조명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그러한 빛의 밀폐를 위한 구성을 매우 간단하게 만들 수 있고, 연결관체의 조립에 의해 완벽한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고안은 유도관체부가 여러 개의 연결관체를 연결하여 구성하게 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조사 거리에 따라 연결관체를 추가하거나 제거함으로써 설치장소의 여건에 따라 선명하게 비추는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경고 표시조명을 조사하는 각도를 조절하는 동작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연결관체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각도조절부 상세도
도 7은 본 고안의 각도조절부 분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위험구역 표시등은 베이스 프레임(10)을 중심으로 구성되는데, 베이스 프레임(10)의 일측으로는 빛이 조사(照射)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유도관체부(20)가 구성되고 반대 측으로는 설치브라켓(40)이 연결되는 구성이다.
베이스 프레임(10)에는 조명케이스(11)가 설치되어 유도관체부(20) 방향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하는데, 조명케이스(11)의 내부에는 다수의 엘이디(12)가 원형으로 배열된 설치된 엘이디기판(13)이 설치되며, 엘이디기판(13)에 근접하여 엘이디(12) 숫자만큼 프레넬렌즈(14)가 일체화된 프레넬렌즈 프레임(15)이 설치되어 엘이디(12)가 발하는 빛을 프레넬렌즈(14)가 다수의 동심원 형태로 집광하여 평행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유도관체부(20)는 동일한 두께와 형태를 가진 다단의 연결관체(21)를 접속하여 구성되도록 하였으며, 마지막 연결관체(21)의 끝단에는 프레넬렌즈(14) 숫자와 동일한 숫자이면서 동일한 위치에 회절렌즈(24)가 구비된 회절렌즈 프레임(25)을 결합하여 회절렌즈(24)가 다수개의 프레넬렌즈(14)로부터 조사된 동심원 형태의 빛을 하나로 모아 조사 대상면에 조사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연결관체(21)는 연결하는 숫자의 변화에 의해 엘이디(12)의 빛이 프레넬렌즈(14)에 의해 동심원형태로 조사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는데, 이는 프레넬렌즈(14)와 회절렌즈(24) 간의 거리가 조절되어 동심원 형태의 빛이 선명하게 조사되는 거리가 달라지도록 한 것으로, 망원경의 원리와 같이 연결관체(21)의 숫자를 늘이면 더 먼거리에서 동심원이 선명하게 조사되는 것이다.
각각의 연결관체(21)는 4각형을 이루면서 가장자리에 연결관체(21)들 간의 연결과 고정을 위한 고정구멍(22)을 형성하여 길이가 긴 고정봉(23)을 각각의 고정구멍(22)에 관통시킨 상태로 고정봉(23)의 일측은 베이스프레임(10)에 고정시키고 고정봉(23)의 반대측 끝단에는 회절렌즈 프레임(25)을 관통시킨 후 너트 등의 수단으로 고정하여 각 연결관체(21)와 회절렌즈 프레임(25)이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하였다.
또한 유도관체부(20)를 구성하는 연결관체(21)의 내부 공간에는 프레넬렌즈(14)와 회절렌즈(24)를 일직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가이드통로(21-1)를 구비하였는데, 각각의 연결관체(21)를 구성시 일체화되도록 사출방식으로 가이드관(21-2)을 구성하여 여러 개의 연결관체(21)를 적층하면 가이드관(21-2)이 일직선 형태로 연결되면서 가이드통로가 완성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체 중에서 한 개의 연결관체를 선택하여 반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진 것을 결합하여 사용하면 작동시 내부의 빛이 외부로 투영되면서 멀리서도 위험구역 표시등이 작동하고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점멸기능을 부가하면, 사용자나 작업자의 위험인식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베이스프레임(10)의 하부에는 설치브라켓(40)을 연결하였는데, 베이스프레임(10)과 설치브라켓(40)에는 각각 서로 중첩되는 반원형의 회동조절판(41)과 고정조절판(42)을 형성하여 중심핀(4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였고, 회동조절판(41)에는 원호형으로 배열되고 일정한 간격을 가진 조절구멍(44)을 형성하였으며, 고정조절판(42)에는 고정구멍(45)을 형성한 후, 조절구멍(44)을 통하여 고정구멍(45)에 체결된 고정나사(46)를 분리한 후 베이스프레임(10)을 회전시키고 다른 조절구멍(44)과 고정구멍(45)이 일치되게 한 후 다시 고정나사(46)를 체결하여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하였다.
도면 중 미설명된 부호 30은 전원공급장치와 조작스위치 등을 내장한 컨트롤박스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위험구역 표시등에 대한 작용을 살펴본다.
본 고안의 위험구역 표시등을 천장의 크레인에 지면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하거나 지게차의 뒤에 지면을 향하도록 설치한 후 사용되며, 작동을 시작하면 엘이디 기판(11)의 엘이디(12)가 빛을 발하며, 엘이디(12)의 빛은 프레넬렌즈(14)를 통고하면서 여러 개의 동심원 형태의 빛으로 전환되면서 넓게 퍼지지 않고 평행하게 직진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프레넬렌즈(14)를 통과한 빛은 전방의 회절렌즈를 통과하여 조사대상인 지면에 동심원 형태로 비춰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현장의 지면에서 근접한 작업자들은 지면에 동심원 형태의 빛이 조사되는 것을 인식하게 되면 추락이나 충돌의 위험을 인식하여 자리를 벗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프레넬렌즈(14)를 통과한 빛은 회절렌즈(24)까지 도달하는 과정에서 가이드관(21-2)에 의해 만들어지는 가이드통로(21-1)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통과하므로 하나의 프레넬렌즈(14)를 통과한 엘이디(12) 빛은 측면의 연결관체(21) 내벽면에 부딪히거나 프레넬렌즈(14)를 통과한 일부의 빛이 전방의 회절렌즈(24)가 아닌 다른 회절렌즈(24)를 통과하여 최종 동심원 형태로 빛이 조사되는 면에서 선명하지 않게 투영되거나 잔상과 같이 희미한 동심원의 일부가 추가로 비치게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유도관체부(20)를 구성함에 있어서 동일한 형태를 갖는 여러 개의 연결관체를 연결하여 구성하게 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조사 거리에 따라 연결관체를 추가하거나 제거함으로써 조절이 가능해 지는 것으로, 제조가 간편하면서도 동심원 형태의 경고조명이 적절하고 선명하게 비추는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표시등의 경고 표시조명을 조사하는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각도를 조절할 때는 고정나사(46)를 분리하면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된 회동조절판(41)이 중심핀(43)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10)을 젖혀 필요한 각도로 만들고, 다른 위치의 조절구멍(44)이 고정구멍(45)과 일치되게 한 후 다시 고정나사(46)를 체결하여 각도를 조절하면 간단하게 조절이 완료된다.
10: 베이스 프레임
11: 조명케이스
12: 엘이디
13: 엘이디기판
14: 프레넬렌즈
15: 프레넬렌즈 프레임
20: 유도관체부
21: 연결관체
21-1: 가이드통로
21-2: 가이드관
22: 고정구멍
23: 고정봉
24: 회절렌즈
25: 회절렌즈 프레임
40: 설치브라켓
41: 회동조절판
42: 고정조절판
43: 중심핀
44: 조절구멍
45: 고정구멍
46: 고정나사

Claims (1)

  1. 베이스 프레임(10)의 일측으로는 빛이 조사(照射)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유도관체부(20)가 구성되고 반대 측으로는 설치브라켓(40)이 연결되며, 베이스 프레임(10)에는 조명케이스(11)가 설치되고, 조명케이스(11) 내부의 엘이디(12) 숫자만큼 설치된 프레넬렌즈(14)가 다수의 동심원 형태로 집광하여 평행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며, 유도관체부(20)의 마지막 연결관체(21) 끝단에는 회절렌즈(24)가 구비된 회절렌즈 프레임(25)을 결합하여 회절렌즈(24)가 프레넬렌즈(14)로부터 조사된 동심원 형태의 빛을 하나로 모아 조사 대상면에 조사되도록 하는 위험구역표시 경고등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체(21)는 연결하는 숫자의 변화에 의해 엘이디(12)의 빛이 프레넬렌즈(14)에 의해 동심원형태로 조사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하되, 각각의 연결관체(21)는 4각형을 이루면서 길이가 긴 고정봉(23)을 각각의 고정구멍(22)에 관통시키고 고정하여 각 연결관체(21)와 회절렌즈 프레임(25)이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하며,
    유도관체부(20)를 구성하는 연결관체(21)의 내부 공간에는 프레넬렌즈(14)와 회절렌즈(24)를 일직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가이드통로(21-1)를 구비하되, 각각의 연결관체(21)를 구성시 일체화되도록 사출방식으로 가이드관(21-2)을 구성하여 여러 개의 연결관체(21)를 적층하면 가이드관(21-2)이 일직선 형태로 연결되면서 가이드통로가 완성되도록 하며,
    베이스프레임(10)의 하부에는 설치브라켓(40)을 연결하되, 베이스프레임(10)과 설치브라켓(40)에는 각각 서로 중첩되는 반원형의 회동조절판(41)과 고정조절판(42)을 형성하여 중심핀(4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였고, 회동조절판(41)에는 원호형으로 배열되고 일정한 간격을 가진 조절구멍(44)을 형성하며, 고정조절판(42)에는 고정구멍(45)을 형성한 후, 조절구멍(44)을 통하여 고정구멍(45)에 체결된 고정나사(46)를 분리한 후 베이스프레임(10)을 회전시키고 다른 조절구멍(44)과 고정구멍(45)이 일치되게 한 후 다시 고정나사(46)를 체결하여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위험구역 표시 경고등
KR2020190000121U 2019-01-09 2019-01-09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위험구역 표시 경고등 KR2004924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121U KR200492474Y1 (ko) 2019-01-09 2019-01-09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위험구역 표시 경고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121U KR200492474Y1 (ko) 2019-01-09 2019-01-09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위험구역 표시 경고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598U KR20200001598U (ko) 2020-07-17
KR200492474Y1 true KR200492474Y1 (ko) 2020-10-21

Family

ID=71832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121U KR200492474Y1 (ko) 2019-01-09 2019-01-09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위험구역 표시 경고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47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325B1 (ko) * 2021-07-09 2023-07-06 배종화 횡단보도 등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080B1 (ko) * 2011-01-18 2011-06-23 (주)이에스레즈 엘이디를 이용한 무대 조명장치
KR101418563B1 (ko) * 2013-10-18 2014-07-14 이온나이스 유한회사 투광 조명등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4589A (ko) * 2008-03-31 2009-10-06 김성식 방사각 조절형 스포트램프
KR101536632B1 (ko) 2014-06-13 2015-07-14 주식회사 씨엘에프하이텍 위험지역 표시 경고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080B1 (ko) * 2011-01-18 2011-06-23 (주)이에스레즈 엘이디를 이용한 무대 조명장치
KR101418563B1 (ko) * 2013-10-18 2014-07-14 이온나이스 유한회사 투광 조명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598U (ko) 2020-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474Y1 (ko)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위험구역 표시 경고등
WO2008091528A2 (en) Motion sensor with led alignment aid
US11780365B2 (en) Optical device and direction display device
NZ552253A (en) Lantern for emitting a warning signal in a circular manner
KR200492475Y1 (ko)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위험구역 표시 경고등
KR102022204B1 (ko) 위험구역 표시 경고등
US20220265889A1 (en) Lighting device for disinfecting air in an environment
US20180363358A1 (en) Bollard Sensor and Activator for High Speed Door
KR20150091882A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방향 및 위치 유도장치
US10783773B2 (en) Forklift activated projector
KR101682518B1 (ko) 격자 표시 가능한 레이저 레벨조사장치
US8125628B1 (en) Light baffling apparatus for headlamp sensor
JP5110663B2 (ja) 旋回光線放射装置
KR101662170B1 (ko) 지향성 광원과 반사경을 이용한 주차안내 장치
WO2021182231A1 (ja) 発光装置、およびセンサユニット
KR200426316Y1 (ko) 비상 조명 장치
CL2021000619A1 (es) Luz para la minería subterránea y sistema de seguimiento de activos subterráneos
EP4130559A1 (en) Optical device and luminaire comprising said optical device
JP2007317462A (ja) 防犯用照明器具
JP7372105B2 (ja) 照明器具
KR102283679B1 (ko) 차량용 led램프 측정시스템
JP6923190B2 (ja) 補助具及び補助具の使用方法
KR20140093016A (ko) 구조물의 이상발생 위치 인식장치
KR101341803B1 (ko) 적응형 광도 측정기
KR200431680Y1 (ko) 콜리메타 장착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