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258Y1 - 무인 방제장치용 노즐 - Google Patents

무인 방제장치용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258Y1
KR200492258Y1 KR2020200001042U KR20200001042U KR200492258Y1 KR 200492258 Y1 KR200492258 Y1 KR 200492258Y1 KR 2020200001042 U KR2020200001042 U KR 2020200001042U KR 20200001042 U KR20200001042 U KR 20200001042U KR 200492258 Y1 KR200492258 Y1 KR 2004922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onnector
branch
pipe
branch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0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258Y9 (ko
Inventor
이홍근
Original Assignee
이홍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근 filed Critical 이홍근
Priority to KR20202000010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2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2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258Y1/ko
Publication of KR200492258Y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258Y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실이나 축사에서 자동으로 방제용 약액을 분사하도록 된 무인 방제장치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무인 방제장치용 노즐은 약액 공급관(A)의 하단에 연통되게 결합된 상단유입부(110)와 상기 상단유입부의 하단에 상기 상단유입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복수의 분기배출부(120)를 가진 분기관(100)과, 상기 분기관의 상단유입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약액 공급관의 외측으로 끼움결합되는 탄성클립부(200)와, 상기 탄성클립부(200)의 양측단(210)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탄성클립부의 양측단을 결속시키는 고정클립(300)과, 상기 분기관의 각 분기배출부에 결합된 분사노즐(4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인 방제장치용 노즐{Nozzle for unmanned pest control device}
본 고안은 온실이나 축사에서 자동으로 방제용 약액을 분사하도록 된 무인 방제장치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실이나 축사에는 사람의 힘을 빌리지 않고 자동으로 방제용 약액을 분사할 수 있는 무인 방제장치가 설치된다.
종래의 무인 방제장치는 온실이나 축사의 상부에 설치되며 약액탱크와 연결된 펌프를 통해 약액을 공급받는 약액 공급관과, 상기 약액 공급관에 일정간격을 두고 구비된 분사기구로 구성된다.
상기 분사기구는 상기 약액 공급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의 단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분사노즐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무인 방제장치는 사용자가 지정한 압력과 시간에 맞추어 상기 펌프가 동작되면서 분사기구를 통해 약액이 자동으로 분사되므로 인력난을 해소하고 유해한 방제용 약액의 중독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무인 방제장치는 분사노즐이 하부관체를 통해 약액 공급관과 연결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설치상의 불편함이 뒤따른다.
아울러, 종래의 무인 방제장치는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약액의 분사각도가 좁아 넓은 범위로 약액을 분사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무인 방제장치는 분사가 완료되어 약액공급관으로부터 분사노즐로 더 이상의 약액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분사노즐 내에 잔여하는 약액이 분사노즐로부터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다.
KR 20-0481961 Y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분사노즐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넓은 범위로 약액이 분사되며, 분사노즐로 더 이상의 약액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분사노즐 내에 잔여하는 약액이 분사노즐로부터 흘러내리는 현상이 방지되는 무인 방제장치용 노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무인 방제장치용 노즐은 약액 공급관의 하단에 연통되게 결합된 상단유입부와 상기 상단유입부의 하단에 상기 상단유입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복수의 분기배출부를 가진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의 상단유입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약액 공급관의 외측으로 끼움결합되는 탄성클립부와, 상기 탄성클립부의 양측단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탄성클립부의 양측단을 결속시키는 고정클립과, 상기 분기관의 각 분기배출부에 결합된 분사노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분기관의 각 분기배출부에 체결된 제1연결관과, 상기 제1연결관 내부에 삽입된 필터체와, 상기 제1연결관의 단부에 체결된 제2연결관과, 상기 제2연결관의 단부에 체결되며 중앙에는 상기 제2연결관과 연통되는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팁과, 상기 제2연결관 내측에 위치되는 헤드부와 상기 노즐팁의 노즐공으로 삽입된 핀부를 구비하며 상기 핀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노즐공과 연통되는 나선홈이 형성된 노즐핀과, 상기 제2연결관에 작용하는 약액의 압력 유무에 따라 제2연결관의 입구를 개폐하는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클립의 상단에는 상기 약액 공급관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노즐 지지용 와이어에 끼워지는 고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무인 방제장치용 노즐은 분기관에 탄성클립부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클립부에는 고정클립이 착탈가능하게 결속되므로 상기 분기관을 약액 공급관에 매우 용이하게 결합시키고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분사노즐의 내부에 노즐공과 연통되는 나선홈이 형성된 노즐핀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약액이 상기 나선홈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노즐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회전하면서 미세한 입자상태로 분사되므로 보다 넓은 부위에 고르게 약액을 살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분사노즐 내부에 설치된 밸브가 약액의 압력에 의해 동작되므로 약액 분사 완료시 분사노즐 내에 잔여하는 약액이 분사노즐로부터 흘러내리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클립의 상단에 고리부가 더 형성되는 경우, 상기 노즐 지지용 와이어에 분기관을 매우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인 방제장치용 노즐의 사용상태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인 방제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인 방제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인 방제장치의 요부단면도로서,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무인 방제장치의 요부단면도로서, 알림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분기관(100)과 탄성클립부(200)와 고정클립(300)과 분사노즐(4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분기관(100)은 온실이나 축사의 상부에 설치되며 약액탱크와 연결된 펌프를 통해 약액을 공급받는 약액 공급관(A)의 하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된다. 상기 약액 공급관(A)의 하단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공(A')이 형성된다.
상기 분기관(100)은 약액 공급관(A)의 관통공(A')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상단유입부(110)와 상기 상단유입부(110)와 연통되게 형성된 복수의 분기배출부(120)를 가진다. 상기 상단유입부(110)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관통공(A')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단(11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약액 공급관(A)으로부터 상기 분기관(100)의 상단유입부(110)로 유입된 약액은 분기배출부(120)를 통해 동시에 배출된다. 상기 분기관(100)의 상단에는 탄성클립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클립부(200)는 분기관(100)의 상단유입부(110)로부터 약액 공급관(A)의 외주면을 따라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양측단(210)을 가진다. 상기 양측단(210)은 자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금속재질이나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상기 탄성클립부(200)는 상기 양측단(210)을 이용하여 상기 약액 공급관(A)의 외측으로 끼움결합된다.
즉, 상기 탄성클립부(200)를 약액 공급관(A)의 하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부로 밀어 올리면, 상기 탄성클립부(200)가 외측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약액 공급관(A)이 탄성클립부(200)의 양측단(210)의 사이로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상단유입부(110)의 삽입단(111)이 약액 공급관(A)의 관통공(A')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약액 공급관(A)이 탄성클립부(200)에 끼워져 결합되면 외측으로 탄성변형되었던 탄성클립부(200)의 양측단(210)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탄성클립부(200)의 양측단(210)에는 상기 분기관(100)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탄성클립부(200)의 양측단(210)이 벌어지면서 상기 탄성클립부(200) 및 분기관(100)이 약액 공급관(A)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성클립부(200)의 양측단(210)을 결속시키는 고정클립(30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클립(300)의 하단에는 탄성클립부(200)의 양측단(21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한 쌍의 레일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310)가 형성되면,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도 상기 고정클립(300)을 탄성클립부(200)에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매우 단순한 동작만으로 탄성클립부(200)의 양측단(210)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분기관(100)에 탄성클립부(200)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클립부(200)에 고정클립(300)이 착탈가능하게 결속되므로 상기 분기관(100)을 약액 공급관(A)에 매우 용이하게 결합시키고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분기관(100)의 설치 뿐만 아니라 분기관(100)의 정비나 교체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고정클립(300)의 상단에는 고리부(3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리부(320)를 이용하면 상기 약액 공급관(A)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약액 공급관(A)과 나란하게 노즐 지지용 와이어(B)가 설치된 경우, 상기 노즐 지지용 와이어(B)에 분기관(100)을 매우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분기관(100)의 각 분기배출부(120)에는 분사노즐(400)이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분사노즐(400)은 상기 분기관(100)의 각 분기배출부(120)에 체결된 제1연결관(410)과, 상기 제1연결관(410) 내부에 삽입된 필터체(420)와, 상기 제1연결관(410)의 단부에 체결된 제2연결관(430)과, 상기 제2연결관(430)의 단부에 체결되며 중앙에 상기 제2연결관(430)과 연통되는 노즐공(441)이 형성된 노즐팁(44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관(430) 내측에는 노즐핀(450)이 구비된다. 상기 노즐핀(450)은 상기 제2연결관(430) 내측에 위치되는 헤드부(451)와, 상기 노즐팁(440)의 노즐공(441)으로 삽입된 핀부(452)를 구비한다. 상기 핀부(452)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홈(453)이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관(430)의 내부에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제2연결관(430)에 작용하는 약액의 압력 유무에 따라 제2연결관(430)의 입구를 개폐하는 밸브(460)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밸브(460)는 밸브 몸체(461)와, 일단이 상기 노즐핀(450)의 헤드부(451)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밸브 몸체(461)에 고정된 탄성부재(46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62)는 상기 밸브 몸체(461)를 제1연결관(410)의 출구(411)에 밀착시켜 제1연결관(410)의 출구(411)를 폐쇄시킨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기 탄성부재(462)에 의하여 밸브 몸체(461)가 제1연결관(410)의 출구(411)를 폐쇄하게 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몸체(461)에 약액의 압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밸브 몸체(461)가 탄성부재(462)를 압축시키면서 제2연결관(430)의 출구측으로 밀려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상기 제1연결관(410)의 출구(411)는 개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무인 방제장치용 노즐은 펌프가 동작되면 약액 공급관(A)으로부터 분기관(100)으로 약액이 유입되며, 분기관(100)으로 유입된 약액은 제1연결관(410)으로 진입한다. 그리고, 약액의 압력에 의해 밸브(460)가 제1연결관(410)의 출구(411)를 개방하면 제1연결관(410) 내의 약액이 제2연결관(430)으로 진입하게 되며, 제2연결관(430)으로 진입한 약액은 노즐핀(450)의 나선홈(453)을 따라 노즐팁(440)으로 이동한 후, 노즐공(441)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이때, 외부로 분사되는 약액은 나선홈(453)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노즐공(44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회전하면서 미세한 입자상태로 분사되므로 보다 넓은 부위에 고르게 약액을 살포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연결관(430) 내의 탄성부재(462)가 약액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제2연결관(430)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주므로 노즐공(441)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약액은 항상 일정하게 압력으로 분사가 이루어지게 되며, 펌프의 동작이 정지되면 밸브(460) 본체에 작용하던 약액의 압력이 제거되면서 자동으로 밸브 몸체(461)가 제1연결관(410)의 출구(411)를 폐쇄하므로 분사노즐(400) 내에 잔여하는 약액이 분사노즐(400)로부터 흘러내리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400)에는 정상적으로 약액이 분사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알림장치(5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알림장치(500)는 분사노즐(400)의 제2연결관(430)에 설치된 스위치센서(510)와 상기 스위치센서(510)의 동작에 따라 점멸하는 램프(520)와 상기 스위치센서(510)와 램프(5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관(430)에는 스위치센서(510)가 삽입되는 삽입공(431)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센서(510)는 삽입공(431)에 끼워져 설치가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치센서(510)는 스위치 레버(511)가 제2연결관(43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제2연결관(430)을 흐르는 약액의 압력에 의해 노즐팁(440)측으로 회전하면서 스위칭이 이루어지게 되며,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한하여 램프(520)가 점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램프(520)의 점등 상태를 통해 각 분사노즐(400)마다 정상적인 압력으로 약액이 분사되고 있는지를 육안으로 매우 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약액 분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힘든 원거리나 야간과 같이 어두운 환경에서도 매우 쉽게 약액 분사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편리하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100...분기관 110...상단유입부
120...분기배출부 200...탄성클립부
210...양측단 300...고정클립
320...고리부 400...분사노즐
410...제1연결관 420...필터체
430...제2연결관 441...노즐공
440...노즐팁 451...헤드부
452...핀부 453...나선홈
450...노즐핀 460...밸브
A...약액 공급관 B...노즐 지지용 와이어

Claims (3)

  1. 약액 공급관의 하단에 연통되게 결합된 상단유입부와 상기 상단유입부의 하단에 상기 상단유입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복수의 분기배출부를 가진 분기관;
    상기 분기관의 상단유입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약액 공급관의 외측으로 끼움결합되는 탄성클립부;
    상기 탄성클립부의 양측단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탄성클립부의 양측단을 결속시키는 고정클립; 및
    상기 분기관의 각 분기배출부에 결합된 분사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분기관의 각 분기배출부에 체결된 제1연결관;
    상기 제1연결관의 내부에 삽입된 필터체;
    상기 제1연결관의 단부에 체결된 제2연결관;
    상기 제2연결관의 단부에 체결되며, 중앙에는 상기 제2연결관과 연통되는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팁;
    상기 제2연결관의 내측에 위치되는 헤드부와 상기 노즐팁의 노즐공으로 삽입된 핀부를 구비하며, 상기 핀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노즐공과 연통되는 나선홈이 형성된 노즐핀; 및
    상기 제2연결관에 작용하는 약액의 압력 유무에 따라 제2연결관의 입구를 개폐하는 밸브;를 구비한 무인 방제장치용 노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의 상단에는 상기 약액 공급관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노즐 지지용 와이어에 끼워지는 고리부가 형성된 무인 방제장치용 노즐.
KR2020200001042U 2020-03-26 2020-03-26 무인 방제장치용 노즐 KR2004922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042U KR200492258Y1 (ko) 2020-03-26 2020-03-26 무인 방제장치용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042U KR200492258Y1 (ko) 2020-03-26 2020-03-26 무인 방제장치용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258Y1 true KR200492258Y1 (ko) 2020-09-07
KR200492258Y9 KR200492258Y9 (ko) 2021-08-19

Family

ID=72470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042U KR200492258Y1 (ko) 2020-03-26 2020-03-26 무인 방제장치용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25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266B1 (ko) * 2021-06-07 2022-02-14 이홍근 급수용 노즐 연결장치
KR20220153918A (ko) 2021-05-12 2022-11-21 주식회사 아세아텍 방제장치용 노즐어셈블리
KR20220153915A (ko) 2021-05-12 2022-11-21 주식회사 아세아텍 방제장치용 노즐어셈블리
KR20230114089A (ko) 2022-01-24 2023-08-01 주식회사 호산나 방제장치용 노즐어셈블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1830Y1 (en) * 1994-12-02 1997-12-23 Park Joong Choon Nozzle
KR200478646Y1 (ko) * 2015-05-14 2015-11-02 채갑연 약액 분사 장치
KR20160130670A (ko) * 2015-05-04 2016-11-14 주식회사 동부그린테크 인삼포 무인방제 시스템
KR200481961Y1 (ko) 2016-04-04 2016-12-01 채갑연 무인 방제장치
KR101816864B1 (ko) * 2016-06-10 2018-01-08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정수기 배관용 살균모듈
KR20190020236A (ko) * 2017-08-18 2019-02-28 형정문 하우스용 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1830Y1 (en) * 1994-12-02 1997-12-23 Park Joong Choon Nozzle
KR20160130670A (ko) * 2015-05-04 2016-11-14 주식회사 동부그린테크 인삼포 무인방제 시스템
KR200478646Y1 (ko) * 2015-05-14 2015-11-02 채갑연 약액 분사 장치
KR200481961Y1 (ko) 2016-04-04 2016-12-01 채갑연 무인 방제장치
KR101816864B1 (ko) * 2016-06-10 2018-01-08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정수기 배관용 살균모듈
KR20190020236A (ko) * 2017-08-18 2019-02-28 형정문 하우스용 분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918A (ko) 2021-05-12 2022-11-21 주식회사 아세아텍 방제장치용 노즐어셈블리
KR20220153915A (ko) 2021-05-12 2022-11-21 주식회사 아세아텍 방제장치용 노즐어셈블리
KR102362266B1 (ko) * 2021-06-07 2022-02-14 이홍근 급수용 노즐 연결장치
KR20230114089A (ko) 2022-01-24 2023-08-01 주식회사 호산나 방제장치용 노즐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258Y9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258Y1 (ko) 무인 방제장치용 노즐
CN204796992U (zh) 用于手持器具的附件
RU2017108447A (ru) Пульверизатор
CN104188599B (zh) 一种智能清洁机器人的自动充水控制方法及其装置
US4671311A (en) Admixer for delivering soluble additives
CN101354173A (zh) 一种用于加湿器上的防倾倒漏水控制机构
CN204429537U (zh) 一种液体混合喷洒装置
CN202951592U (zh) 涂料喷涂器和涂料容器适配器
DE2619354A1 (de) Luft-fluessigkeits-zerstaeubersystem mit einheitlichem aufbau
JP5986626B2 (ja) 安全な携帯式噴霧器
CN110199832A (zh) 一种智能喷灌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7107079B (zh) 喷头组件及喷头装置
CN205474449U (zh) 洗涤剂自动投放装置和洗衣机
KR101008102B1 (ko) 물공급장치의 밸브 노즐장치
KR101829280B1 (ko) 관개용 여과장치
KR20110098424A (ko) 안개분무용 스프링클러
CN113226560B (zh) 具有多个止回阀紧凑设计的安装有杆的喷嘴组件
US3973279A (en) Sink shampoo unit
CN209611849U (zh) 一次性脉冲冲洗器的喷头卡装结构
CN208183291U (zh) 棉花喷注改性系统
CN209333995U (zh) 一种止水顶喷花洒
CN110293030A (zh) 一种便于汽车配件保存的快速上油装置
CN205436095U (zh) 一种专用的防水涂料喷涂机
KR19980041174U (ko) 액상물분사기
KR200450921Y1 (ko) 분사용 안전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