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138Y1 - 묘목보호구 - Google Patents

묘목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138Y1
KR200492138Y1 KR2020190000948U KR20190000948U KR200492138Y1 KR 200492138 Y1 KR200492138 Y1 KR 200492138Y1 KR 2020190000948 U KR2020190000948 U KR 2020190000948U KR 20190000948 U KR20190000948 U KR 20190000948U KR 200492138 Y1 KR200492138 Y1 KR 2004921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present
protection
seedlings
ad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김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2020190000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1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1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1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43Protective shelters for young plants, e.g. tubular slee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93Anchoring means for ground cove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다수개 마련된 지면접속부와 수평방향으로 마련된 지면접속부의 일단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단에는 묘목이 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된 묘목인출부가 마련된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에는 묘목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용절개부가 마련된 묘목보호구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일체의 통상으로 형성된 수직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용절개부가 형성된 묘목보호구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부 중앙에 반원형의 절개홈이 각각 형성된 마주하는 한 쌍의 수직판과 상기 절개홈의 일측에서 상기 한 쌍의 수직판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묘목보호구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면접속부는 상기 마주하는 한 쌍의 수직판의 내측이나 외측 중 어느 한 측으로 마련되는 묘목보호구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부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보호부를 감쌀 수 있는 묘목보호낭을 포함하는 묘목보호구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묘목을 감싼 보호부가 추운 겨울 동안 바람막이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묘목의 활착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풀베기 작업시 작업자가 묘목보호구를 쉽게 발견할 수 있으므로 묘목의 훼손없이 잡초를 예초를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부와 보호낭을 자연분해되는 재질로 형성했을 경우, 풀베기 기간이 끝났을 때나 묘목의 보호가 완료된 후 자연분해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가벼워 휴대가 간편하므로 산지에서 간단히 설치될 수 있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묘목보호구{Seedling Prottection Device}
본 고안은 묘목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묘장에서 1년 내지 2년 동안 키운 묘목을 산에 옮겨 심는 경우, 이식한 묘목을 보호할 수 있는 묘목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지에 조림하는 묘목은 1년생 내지 2년생의 묘목으로, 높이가 15㎝ 내외이고 근경이 1㎝ 미만으로 작아서, 3월 내지 4월에 묘목을 식재한 후 6월 내지 8월에 주변의 잡초들을 베어주지 않으면 피압되어 자연 고사되는 확률이 높다.
따라서, 산림청 및 지자체 등의 정부기관은 산에 옮겨 심은 묘목이 잡초에 피압되지 않도록 예초기로 풀깍기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잡초와 함께 식재된 묘목이 베이는 일이 많아 별도의 묘목 보호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풀베기 작업시에 묘목이 예초기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재된 묘목의 옆에 신이대(대자무과 조릿대의 한 종류)를 꽂아 묘목의 위치를 표시하고 있으나, 묘목을 직접 보호하기에는 부족함이 많아 예초기에 의하여 상당량의 묘목이 베이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출원인은, 본원 명세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7079호에서, 개방된 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조림목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공간부, 상기 공간부의 외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일체로 형성되는 벽체(12), 상기 벽체(12)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판(13), 조림목이 관통되도록 상기 상판(13)에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조림목 관통구멍(14), 상기 벽체(12)의 저면에는 바닥면에 안정되게 밀착되도록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바닥지지 플랜지(16), 상기 바닥지지 플랜지(16)에는 고정용 파스너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고정구멍(17), 상기 조림목 관통구멍(14)에 조림목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상기 벽체(12)와 상판(13), 플랜지(16)에는 조림목 관통구멍(14)부터 일측의 플랜지(16)까지 절단된 조림목 개구부(18)가 일체로 형성된 조림목 보호캡(10), 상기 상판(13)은 상기 공간부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 형성되는 다수의 빗물유입공 (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림목 보호구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술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7079호의 조림목 보호구는, 묘목 주위의 잡초 방지에 촛점을 두고 있어서 예초시 눈에 잘 띄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고, 조림목을 보호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의 상부 보호캡이 한 여름 강렬한 태양빛에 광분해되기 쉬워 묘목이 잡초보다 크게 자라나는 3년 내지 4년 동안 유지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산지에서 묘목을 식재한 후 묘목의 활착을 개선하고 묘목이 잡초보다 더 높이 성장하는 3년에서 4년 동안 예초기로 풀베기 작업시 작업자의 눈에 잘 띄도록 함으로써 묘목의 훼손을 줄일 수 있는 묘목보호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다수개 마련된 지면접속부와 수평방향으로 마련된 지면접속부의 일단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단에는 묘목이 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된 묘목인출부가 마련된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에는 묘목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용절개부가 마련된 묘목보호구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일체의 통상으로 형성된 수직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용절개부가 형성된 묘목보호구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부 중앙에 반원형의 절개홈이 각각 형성된 마주하는 한 쌍의 수직판과 상기 절개홈의 일측에서 상기 한 쌍의 수직판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묘목보호구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면접속부는 상기 마주하는 한 쌍의 수직판의 내측이나 외측 중 어느 한 측으로 마련되는 묘목보호구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부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보호부를 감쌀 수 있는 묘목보호낭을 포함하는 묘목보호구를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묘목을 감싼 보호부가 추운 겨울 동안 바람막이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묘목의 활착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풀베기 작업시 작업자가 묘목보호구를 쉽게 발견할 수 있으므로 묘목의 훼손없이 잡초를 예초를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부와 보호낭을 자연분해되는 재질로 형성했을 경우, 풀베기 기간이 끝났을 때나 묘목의 보호가 완료된 후 자연분해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가벼워 휴대가 간편하므로 산지에서 간단히 설치될 수 있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묘목보호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묘목보호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묘목보호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묘목보호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종래 등록실용신안 제20-0487079호에 따른 조림목 보호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묘목보호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묘목보호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묘목보호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묘목보호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묘목보호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묘목보호구는, 수평방향으로 마련된 지면접속부(110, 110')와 이 지면접속부(110, 110')의 일단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된 보호부(100, 1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면접속부(110, 110')에는 관통홀(120, 120')이 다수개 마련되고, 상기 관통홀(120, 120')에는 고정부재(160, 160')가 삽입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100, 100')에는 묘목이 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된 묘목인출부(150, 150')가 상단에 마련될 수 있고, 묘목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용절개부(140, 140')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에 개구부(210)가 마련되고 상기 보호부(100, 100')를 감쌀 수 있는 묘목보호낭(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100, 100')는 종이재 또는 골판지재로 형성될 수 있고, 보호낭(200)은 생분해성부직포 내지 비닐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묘목보호구를 설명하기로 한다 .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묘목보호구는, 고정부재(160)가 삽입되는 관통홀(120)이 다수개 마련된 지면접속부(110)와 수평방향으로 마련된 지면접속부(110)의 일단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단에는 묘목이 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된 묘목인출부(150)가 마련된 보호부(1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묘목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100)는 일체의 통상으로 형성된 수직면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면부(130)에는 묘목을 삽입하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용절개부(140)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용절개부(140)는 수직면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통상의 수직면부(130)의 직경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묘목에 설치하는 경우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 따른 수직면부(13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부(100)는 묘목보호낭(200)으로 덮어 씌울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묘목보호낭(200)은 상부에 개구부(21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묘목이 성장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100)의 묘목인출부(150) 및 묘목보호낭(200)의 개구부(210)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묘목보호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묘목보호구는, 고정부재(160')가 삽입되는 관통홀(120')이 다수개 마련된 지면접속부(110')와 상기 지면접속부(110')의 일단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된 보호부(1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묘목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100')는 상부 중앙에 반원형의 절개홈(102)이 각각 형성된 마주하는 한 쌍의 수직판(130')과 상기 절개홈(102)의 일측에서 상기 한 쌍의 수직판(130')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0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반원형의 절개홈(102)에 의해 성장하는 묘목이 인출될 수 있는 묘목인출부(150')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판(130')의 상단의 일부, 즉, 절개홈(102)의 일측에서만 한 쌍의 수직판(130')이 연결부(101)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절개홈(102)의 타측에서는 한 쌍의 수직판(130')은 서로 이격되어 삽입용절개부(140')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면접속부(110')는 상기 마주하는 한 쌍의 수직판(13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직판(13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보호부(100')를 감쌀 수 있는 묘목보호낭(200)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풀베기 작업시 작업자가 잡초와 묘목의 구분을 확연하게 할 수 있어 예초기에 의해 묘목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부에 의해 묘목을 감싸게 되어 보온효과의 증대를 통해 묘목의 활착률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100, 100' : 보호부 101 : 연결부
102: 절개홈 110, 110' : 지면접속부
120, 120' : 관통홀 130 : 수직면부
130' : 한 쌍의 수직판 140, 140' : 삽입용절개부
150, 150' : 묘목인출부 160, 160' : 고정부재

Claims (5)

  1.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다수개 마련된 지면접속부;
    수평방향으로 마련된 지면접속부의 일단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단에는 묘목이 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된 묘목인출부가 마련된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에는 묘목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용절개부가 마련되되,
    상기 보호부는, 상부 중앙에 반원형의 절개홈이 각각 형성된 마주하는 한 쌍의 수직판과 상기 절개홈의 일측에서 상기 한 쌍의 수직판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홈의 타측에서 상기 한 쌍의 수직판의 상단이 서로 이격되는 상기 삽입용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면접속부는 마주하는 상기 한 쌍의 수직판의 내측이나 외측 중 어느 한 측으로 마련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보호부를 감쌀 수 있는 묘목보호낭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는 종이재 또는 골판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묘목보호낭은 생분해성부직포로 형성되는 묘목보호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90000948U 2019-03-07 2019-03-07 묘목보호구 KR2004921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948U KR200492138Y1 (ko) 2019-03-07 2019-03-07 묘목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948U KR200492138Y1 (ko) 2019-03-07 2019-03-07 묘목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138Y1 true KR200492138Y1 (ko) 2020-08-14

Family

ID=72038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948U KR200492138Y1 (ko) 2019-03-07 2019-03-07 묘목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1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555A (ko) 2020-12-02 2022-06-09 이동주 어린 농작물 보호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3472A (ja) * 2003-10-21 2005-06-09 Shibahara Seizaisho:Kk 苗木の食害防止装置
KR200487079Y1 (ko) * 2018-01-18 2018-08-01 김동수 조림목 보호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3472A (ja) * 2003-10-21 2005-06-09 Shibahara Seizaisho:Kk 苗木の食害防止装置
KR200487079Y1 (ko) * 2018-01-18 2018-08-01 김동수 조림목 보호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555A (ko) 2020-12-02 2022-06-09 이동주 어린 농작물 보호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8203A (en) Tree protector
US4829707A (en) Plant protector
EP0139748B1 (en) Root control bag
US8381440B1 (en) Pot cover and method of use
US3184890A (en) Planting pot
US5090155A (en) Seedling protector
KR102116857B1 (ko)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
NO161833B (no) Sammenhengende beholdere, saerlig egnet til bruk ved dyrkning.
KR200492138Y1 (ko) 묘목보호구
KR20140069556A (ko) 삽수 보호구와 이를 이용한 닥나무의 재배방법
JP3170682U (ja) 植物の成育管理装置
JP4231542B1 (ja) 自然薯の栽培方法および栽培装置
KR20090085388A (ko) 조림목 보호구
KR20120085705A (ko) 과수용 잡초 성장억제 덮개장치 및 잡초성장 억제방법
JP2014076039A (ja) 自然薯の生産方法
GB1580934A (en) Plant growing euipment
US20080022588A1 (en) Tree ring
EP2347646A1 (en) Growth protector for plant
KR200495312Y1 (ko) 과실수용 제초패드
KR102328310B1 (ko)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
JP2007174934A (ja) 緑化工法
JP5207160B1 (ja) 自然薯の栽培装置
JP4044695B2 (ja) 養液栽培パネル及びこのパネルを使用した養液栽培装置
WO2016040477A1 (en) Methods for guayule stand establishment by direct field seeding
JP5408463B2 (ja) 植栽マ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