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057Y1 - 싱크대 물막이 - Google Patents

싱크대 물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057Y1
KR200492057Y1 KR2020190001164U KR20190001164U KR200492057Y1 KR 200492057 Y1 KR200492057 Y1 KR 200492057Y1 KR 2020190001164 U KR2020190001164 U KR 2020190001164U KR 20190001164 U KR20190001164 U KR 20190001164U KR 200492057 Y1 KR200492057 Y1 KR 2004920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protrusion
support
plate structure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최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진 filed Critical 최영진
Priority to KR2020190001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0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0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0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1Anti-splash devices in sinks, e.g. splash gu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 물막이에 관한 것으로서, 싱크대 표면에 탈착될 수 있도록 아랫면이 흡착판 구조를 갖는 지지부, 지지부의 상단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되고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돌출부, 및 돌출부의 상단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벽을 형성하는 물막이 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돌출부의 내부 공간은 지지부의 아랫면이 형성하는 공간과 서로 연통한다. 아랫면이 전체적으로 흡착판 구조를 가지므로, 단속적으로 흡착판을 둘 때 보다 부착력이 향상되며, 아랫면에 구비된 흡착판 구조를 통해 1차 부착한 후, 돌출부를 따라 양방향으로 눌러 주는 간단한 동작으로 싱크대 물막이를 싱크대 표면에 더욱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싱크대 물막이{ Board of Preventing Water Splashing for Sink }
본 고안은 싱크대 물막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 표면에 탈착 가능하면서도 부착 시에는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부착력을 강화한 싱크대 물막이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 물막이는 싱크대를 사용하는 도중 물이 바깥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싱크대의 상부 전면과 측면 등에 설치된다.
대부분의 싱크대 물막이는 탈착식으로 제작된다. 싱크대 표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는 욕실 거울에 칫솔을 거치하거나 유리창에 가벼운 물건을 걸어두는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되는 흡착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싱크대 물막이는 물이 많은 곳에 배치되는 용품이고, 사용자가 싱크대를 사용하면서 계속 접촉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처음에 고정시켜 놓은 상태를 계속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
등록특허 10-1924960호는 저면의 전면적(全面的)이 바닥면에 흡착되는 실리콘 소재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실리콘 물막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10-1924960호의 실리콘 물막이는 저면의 전면적을 흡착 구조로 형성하여 접착 면적을 넓히기는 했지만, 흡착 면적이 길게 늘어나면서 사용자가 전면에 걸쳐 견고하게 접착시키기는 더 힘들어졌다.
또한, 흡착식 구조상 공기가 들어가는 틈새가 조금만 발생해도 부착력이 크게 손상된다. 특히,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점 부착 방식이 아니라 부착 부위가 길기 때문에 더욱 떨어지기 쉽다.
그러므로, 길이가 긴 실리콘 물막이의 아랫면을 전체적인 흡착 구조로 구성하여 부착력을 강화하고자 할 때는, 더욱 견고하게 실리콘 물막이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해 줄 필요가 크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24960호(공개일 : 2018.10.12)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아랫면이 전체적인 흡착 구조로 구성되면서도 더욱 견고하게 싱크대 표면에 부착할 수 있는 실리콘 물막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물막이는, 싱크대 표면에 탈착될 수 있도록 아랫면이 흡착판 구조를 갖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되고,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상단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벽을 형성하는 물막이 벽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내부 공간은 상기 지지부의 아랫면이 형성하는 공간과 서로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흡착판 구조는 상기 지지부의 아랫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의 아랫면은 양 측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볼록한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내부 공간은 그 단면이 '∩'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의 내부 공간이 상기 지지부의 내부 공간과 만나는 부분은 그 둘레가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양 측면을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눌러 내부 공간의 공기를 밀어낼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물막이는 그 아랫면이 전체적인 흡착판 구조를 가지므로, 단속적으로 흡착판을 둘 때 보다 전체적으로 고른 부착이 가능하다.
특히, 싱크대 물막이를 아랫면에 구비된 흡착판 구조를 통해 부착한 후, 돌출부를 따라 양방향으로 눌러 주는 간단한 동작으로 싱크대 물막이를 싱크대 표면에 더욱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싱크대 물막이의 부착력이 강화되어 부착 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으므로, 싱크대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물막이의 일 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물막이를 절단한 모습을 보인 예,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물막이의 단면도를 보인 예,
도 4는 싱크대 물막이를 싱크대 표면에 올려놓은 상태를 보인 예,
도 5는 싱크대 물막이를 싱크대 표면 방향으로 눌러 1차 부착한 상태의 예,
도 6은 돌출부의 양 측면을 눌러 더욱 견고히 부착한 상태를 보인 예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물막이(100)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이고, 도 2는 싱크대 물막이(100)를 횡 방향으로 절단한 모습을 사시도로 보인 예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물막이(100)의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서, 싱크대 물막이(100)는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지지부(110), 지지부(110)와 물막이 벽(130)의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부(120), 및 가장 상단에 위치하여 벽을 형성하는 물막이 벽(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부(110)는 싱크대 물막이(100)가 세워져 있을 수 있도록 받침대의 역할을 함과 아울러, 싱크대의 표면에 탈착될 수 있도록 그 아랫면이 전체적으로 흡착판 구조를 가진다.
즉, 지지부(110)가 싱크대의 표면에 놓인 후 그 표면을 향해 눌리면, 지지부(110)의 아랫면과 싱크대 표면 사이에 있던 공기가 빠져나가 진공 상태가 되어, 지지부(110)의 아랫면이 전체적으로 싱크대 표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부착 원리는 진공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흡착식 부착 방법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지부(11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지만, 싱크대 물막이의 주된 용도가 싱크대에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지지부(11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그 하단의 양쪽으로 흡착판을 구성하는 날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싱크대 물막이(100)를 싱크대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흡착판 구조는 점 부착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지지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110)의 아랫면 전체에 걸쳐 흡착판 구조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싱크대 표면에 부착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자면, 돌출부(120)는 지지부(110)의 상단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흡착판 구조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공간(121)이 형성되어 있다.
흡착판 구조가 지지부(110)의 아랫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돌출부(120)도 지지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120)의 내부 공간은(121) 지지부(110)의 아랫면이 형성하는 공간(흡착판 구조가 형성하는 공간)과 서로 연통한다.
돌출부(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121)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일 예로는 그 단면이 '∩'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20)의 내부 공간(121)이 지지부(110)의 아랫면이 형성하는 공간과 만나는 부분은 그 둘레가 완만한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돌출부(120)의 내부 공간(121)에 있는 공기가 더 잘 빠져나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흡착을 더 쉽게 할 수 있고, 흡착 효과도 향상될 수 있다.
돌출부(120)에 내부 공간(121)을 형성하는 이유는 그 안에 들어 있는 공기를 이용하여 지지부(110)를 2차적으로 더욱 견고하게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돌출부(120)의 양 측면은 사용자가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눌러 그 내부 공간(121)의 공기를 빼낼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20)의 양 측면은 물막이 벽(130)을 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하므로, 이러한 사정도 고려하여 적절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흡착판 구조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은 흡착식 부착을 위하여 양 측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볼록한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110)의 가로 길이(W, 흡착판 구조의 가로 길이)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지만, 흡착판 구조를 이용한 부착뿐 아니라, 돌출부(120)의 조작을 이용한 부착력 강화까지 함께 고려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20)의 상단에는 그 길이를 따라 일정 높이로 물막이 벽(130)이 구비된다. 물막이 벽(130)은 싱크대로부터 튀어나오는 물을 차단하는 벽을 형성하는 것이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물막이 벽(130)의 두께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지만, 돌출부(120)의 두께보다 작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싱크대 물막이(100)의 크기, 형태, 재질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싱크대의 크기를 고려할 때, 싱크대 물막이(100)의 전체 길이는 40cm 이상 60cm 이하, 높이(H1)는 5cm 이상 10cm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흡착판 구조의 가로 길이(W)는 3cm 이상 6cm 이하가 적당하며, 돌출부(120)의 내부 공간(121)의 높이(H2)는 1cm 이상 3cm 이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싱크대 물막이(100)의 지지부(110), 돌출부(120), 및 물막이 벽(130)은 단일 금형을 이용하여 일체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지지부(110), 돌출부(120), 및 물막이 벽(130) 중 하나 이상은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서로 조립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물막이(100)의 구체적인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싱크대 물막이(100)를 설치하려는 싱크대 표면(70)에 올려놓으면, 흡착판 구조의 내부 공간(111)은 양 측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볼록한 모양이기 때문에, 지지부(110)의 양쪽 끝만 싱크대 표면(70)에 닿아 있는 상태가 된다(도 4).
이 상태에서 지지부(110)의 길이를 따라가며 날개 부분을 위에서 아래로 눌러주면, 흡착판 구조의 내부 공간(111)에 들어있던 공기가 빠지면서 흡착판 구조의 아랫면이 싱크대 표면(70)에 부착된다(도 5).
이제 돌출부(120)를 따라가면서 양 측면을 눌러 주면, 돌출부(120)의 내부 공간(121)에 들어있던 공기가 추가로 빠져나가면서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가 더 커지고, 흡착력이 증가하여, 싱크대 물막이(100)가 싱크대 표면(70)에 더욱 견고하게 부착된다(도 6).
이에 따라, 기존 싱크대 물막이가 흡착력의 부족으로 사용중 이탈하는 문제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70: 싱크대 표면
100: 싱크대 물막이
110: 지지부
111: 흡착판 구조의 내부 공간
120: 돌출부
121: 돌출부의 내부 공간
130: 물막이 벽

Claims (6)

  1. 싱크대 표면에 탈착될 수 있도록 아랫면이 흡착판 구조를 갖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되고,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상단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벽을 형성하는 물막이 벽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내부 공간은 상기 지지부의 아랫면이 형성하는 공간과 서로 연통하며,
    상기 흡착판 구조는 상기 지지부의 아랫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아랫면은 양 측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볼록한 모양으로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내부 공간은 그 단면이 '∩' 모양으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내부 공간이 상기 지지부의 아랫면이 형성하는 공간과 만나는 부분은 그 둘레가 완만한 곡면을 이루며,
    상기 돌출부는 양 측면을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눌러 내부 공간의 공기를 밀어낼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는, 싱크대 물막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가로 길이는 3cm 이상 6cm 이하이고, 상기 돌출부의 내부 공간의 높이는 1cm 이상 3c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물막이.
KR2020190001164U 2019-03-21 2019-03-21 싱크대 물막이 KR2004920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164U KR200492057Y1 (ko) 2019-03-21 2019-03-21 싱크대 물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164U KR200492057Y1 (ko) 2019-03-21 2019-03-21 싱크대 물막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057Y1 true KR200492057Y1 (ko) 2020-07-29

Family

ID=71833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164U KR200492057Y1 (ko) 2019-03-21 2019-03-21 싱크대 물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057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793U (ko) * 2010-03-10 2011-09-16 췬 치에 루 정전 가요성 고착 시트를 갖는 흡착 디바이스
KR20140021851A (ko) * 2012-08-13 2014-02-21 이정인 싱크대의 물 튀김 방지 및 세척장치
JP2017502216A (ja) * 2013-11-13 2017-01-19 浙江大学 吸盤
JP2018062840A (ja) * 2016-10-12 2018-04-19 光子 木股 水はね防止ガード
KR20180112645A (ko) * 2017-04-04 2018-10-12 성주현 흡착부 일체형 실리콘 물막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793U (ko) * 2010-03-10 2011-09-16 췬 치에 루 정전 가요성 고착 시트를 갖는 흡착 디바이스
KR20140021851A (ko) * 2012-08-13 2014-02-21 이정인 싱크대의 물 튀김 방지 및 세척장치
JP2017502216A (ja) * 2013-11-13 2017-01-19 浙江大学 吸盤
JP2018062840A (ja) * 2016-10-12 2018-04-19 光子 木股 水はね防止ガード
KR20180112645A (ko) * 2017-04-04 2018-10-12 성주현 흡착부 일체형 실리콘 물막이
KR101924960B1 (ko) 2017-04-04 2018-12-04 성주현 흡착부 일체형 실리콘 물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20035071D0 (no) Ressursallokering for opplinken i et sambandssystem med flere inn- og utganger (MIMO)
BG104319A (en) Window assembly
KR200492057Y1 (ko) 싱크대 물막이
CN109252632A (zh) 集成墙面安装结构
SE0102351D0 (sv) Väggbeklädnad
USD912223S1 (en) Shower enclosure
ATE311806T1 (de) Stapelbarer geschirrkorb für geschirrspülmaschinen
KR20180021477A (ko) 코너몰딩조립체
CN210798140U (zh) 一种轻质复合建筑瓷砖
KR20160002240U (ko) 창호용 필링피스
CN209194910U (zh) 集成墙面安装结构
CN209941922U (zh) 底部具有吸盘的挡水条组件
CN210636633U (zh) 一种玻璃隔断结构
PL1522670T3 (pl) Łącznik kątowy dla pustych w środku profili ram do podwójnych okien
CN209941918U (zh) 具有梯形定位机构的免打胶挡水条
CN209941919U (zh) 具有棘爪定位机构的免打胶挡水条
CN214733661U (zh) 一体式电梯轿吊顶
SE0102352L (sv) Väggbeklädnad med monteringsbeslag
CN217106648U (zh) 便于安装的窗台板
KR101161986B1 (ko) 머리 장식용 비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0767A (ko) 두께가 다른 장식부재를 함께 설치할 수 있는 도어 프레임
KR200365990Y1 (ko) 욕실용 천정패널의 처짐방지 장치
KR200484882Y1 (ko) 합성수지 시트 부착형 전등커버
KR200183380Y1 (ko) 방음 및 부착성이 우수한 샤시 창호구조
KR200238246Y1 (ko) 문짝의 장식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