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014Y1 -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 - Google Patents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014Y1
KR200492014Y1 KR2020190001789U KR20190001789U KR200492014Y1 KR 200492014 Y1 KR200492014 Y1 KR 200492014Y1 KR 2020190001789 U KR2020190001789 U KR 2020190001789U KR 20190001789 U KR20190001789 U KR 20190001789U KR 200492014 Y1 KR200492014 Y1 KR 2004920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adsorption
cover plate
kn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7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흐-피아오 우
Original Assignee
지인 하우얼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인 하우얼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지인 하우얼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1900017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0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0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24B3/54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of hand or table knives
    • B24B3/543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of hand or table knives using hand or foot driven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24B19/001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table cutl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흡착판, 메인 베이스 바디, 숫돌 세트, 덮개판, 제어 손잡이 및 상부 덮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흡착판 꼭대기에 풀 로드(pull rod)가 인장되고, 메인 베이스 바디에는 계단형이며 높이가 비교적 낮은 제1 몸체부와 높이가 비교적 높은 제2 몸체부가 있고, 상기 제1 몸체부 상에 관통홀이 설치되고, 제2 몸체부 꼭대기면에 삽입공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몸체부 전단에 수용홈이 안쪽으로 오목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용홈 하방에 위치제한 디치(ditch)가 설치되고, 덮개판은 적당한 투명도를 가지며, 꼭대기 둘레와 바닥 둘레에는 각각 상부 위치제한 시트와 하부 위치제한 시트가 인장되고, 제어 손잡이는 관통홀이 있는 고리체이고, 상기 제어 손잡이의 일측 중앙에는 결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 상에는 편심 방식으로 압출 블록이 형성되고, 상부 덮개 전단 하부 벤딩부에 차단 둘레가 있고, 꼭대기면에 관통홀이 있다.

Description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 {BASE STRUCTURE OF ABSORPTION TYPE KNIFE SHARPENING TOOL}
본 고안은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판 부착 방식으로 고정한 칼갈이 베이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칼은 일정 시간 사용하고 나면 잦은 절삭으로 인해 칼날이 무뎌지며 칼날이 무뎌진 후 원래의 예리함을 회복시키려면 통상적으로 숫돌을 이용해 칼날을 연마해야 하나, 종래의 큰 블록형 숫돌은 상당히 무겁고 보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시중에서는 숫돌을 작은 블록으로 만들고 상기 숫돌을 칼갈이 베이스 상에 결합한 칼갈이 장치가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숫돌을 칼갈이 베이스에 결합하는 방식은 사용 시 한 손은 칼을 잡아 숫돌 상에 미끄러지도록 하고 다른 한 손은 칼갈이 베이스를 붙잡아야하기 때문에 사용 측면에서 상당히 위험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칼갈이 장치의 결함을 개선하기 위해 본 고안자는 창의적인 구상과 다년간의 경험을 기반으로 설계를 진행하였으며 다양한 검토와 시험 제작 및 수차례의 개선을 통해 본 고안을 발명하였다.
본 고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문제는, 종래의 칼갈이 장치가 사용 시 한 손은 칼을 잡고 숫돌 상에 미끄러지도록 하고 다른 한 손은 칼갈이 베이스를 붙잡아야하기 때문에 사용 시 상당히 위험한 결함을 개선하는 데에 있다.
상기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이하의 기술방안을 제안한다.
본 고안은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흡착판, 메인 베이스 바디, 숫돌 세트, 덮개판, 제어 손잡이 및 상부 덮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흡착판은 흡착력이 있으며 꼭대기에 풀 로드(pull rod)가 인장되고, 메인 베이스 바디는 계단형이며 높이가 비교적 낮은 제1 몸체부와 높이가 비교적 높은 제2 몸체부가 있고, 상기 제1 몸체부 상에 관통홀이 설치되고, 상기 흡착판이 상기 메인 베이스 바디 하방에 거치되면 상기 메인 베이스 바디가 상기 흡착판의 꼭대기면에 압력을 가할 때 상기 흡착판의 풀 로드가 상기 메인 베이스 바디 내부에서 상기 관통홀을 거쳐 관통하여 나오고, 상기 제2 몸체부 꼭대기면에 삽입공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와 다른 전단 상에 위를 향해 상기 제2 몸체부 꼭대기 둘레를 관통하는 안쪽으로 오목한 수용홈이 설치되고, 상기 수용홈 하방에 위치제한 디치(ditch)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제한 디치는 상기 덮개판이 상기 수용홈 내에 들어간 후 상기 덮개판을 삽입 클램핑시켜 상기 상부 덮개에 매칭 및 결합되도록 만듦으로써 상기 수용홈의 홈 바닥면과 상기 덮개판 사이에 표시 부재를 고정시키고, 숫돌 세트는 2개의 숫돌을 서로 중첩시켜 형성하며 중첩시킨 후에는 상기 숫돌 세트 중앙에 칼갈이 공간이 형성되고, 덮개판은 적당한 투명도가 있으며 상기 수용홈 모양에 맞게 설치되는 판재이고, 상기 덮개판의 꼭대기 둘레와 바닥 둘레에는 각각 상부 위치제한 시트와 하부 위치제한 시트가 인장되고, 상기 덮개판이 하부 위치제판 시트를 통해 먼저 상기 위치제한 디치 내에 삽입되고 상기 덮개판 전체가 상기 수용홈 내에 수용되면, 다시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메인 베이스 바디의 결합을 이용해 상기 상부 덮개 전단 하부 벤딩부의 차단 둘레를 통해 상기 위치제한 시트가 앞을 향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상부 덮개를 분리 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상기 덮개판과 표시 부재를 필요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제어 손잡이는 관통홀이 있는 고리체이고, 상기 제어 손잡이의 일측 중앙에는 결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 상에는 편심 방식으로 압출 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 손잡이는 관통홀을 이용해 회피함으로써 순조롭게 상기 결합부를 축으로 상기 관통홀의 상기 풀 로드 상에서 인장되고, 상기 제어 손잡이를 돌려 상기 압출 블록이 편심 방식으로 제1 몸체부에 맞물리도록 하고 상기 흡착판을 당겨 그 내부에 진공 흡인력을 생성하고, 상부 덮개 전단 하부 벤딩부에 차단 둘레가 있고, 꼭대기면에 관통홀이 있고, 상기 관통홀 후방에는 위로 높이 들어 올려진 V형 노치의 지지 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 블록 전단은 상기 두 숫돌 간 중첩된 것에 매칭되어 계단 형태를 나타내고, 상기 숫돌 세트가 상기 메인 베이스 바디의 삽입공 내에 들어가면 다시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메인 베이스 바디의 제2 몸체부의 잠금 결합을 이용해 상기 숫돌 세트의 위치가 상기 메인 베이스 바디 상에서 제한되도록 만들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을 이용해 상기 숫돌 세트의 상부 구간을 인장시키고, 상기 숫돌 세트의 두 숫돌의 후단이 상기 지지 블록 상에 기대어 맞물리도록 만들 수 있고, 상기 기대어 맞물리는 관계를 통해 칼을 연마할 때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를 구현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본 고안의 유익한 효과는 이하와 같다.
(1)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는 사용 시 칼갈이 베이스 자체를 평편한 면에 흡착시키기 때문에 손으로 움켜쥐거나 붙잡고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칼 연마 과정에서 칼을 붙잡을 때 손에 상처를 입을 염려가 없어 보다 안전하다.
(2)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는 상기 덮개판과 표시 부재를 설치해 기업 또는 개인 이미지를 나타내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를 고객 수요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작하거나 또는 소비자의 사용습관, 칼갈이 성질에 따라 직접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창의적 설계는 상기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의 실용성과 부가적 가치를 더욱 향상시켜 준다.
도 1은 본 고안에 있어서 비교적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입체 조립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있어서 비교적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입체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서 비교적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서 비교적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평면 조립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있어서 비교적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의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있어서 비교적 바람직한 제3 실시예의 설명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있어서 비교적 바람직한 제4 실시예의 설명도이고; 및
도 8은 본 고안에 있어서 비교적 바람직한 제5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효과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과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착판(10), 메인 베이스 바디(20), 숫돌 세트(30), 덮개판(40), 제어 손잡이(50) 및 상부 덮개(60)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흡착판(10)은 흡착력이 있으며 꼭대기에 풀 로드(11)가 인장되고, 메인 베이스 바디(20)는 계단형이며 높이가 비교적 낮은 제1 몸체부(21)와 높이가 비교적 높은 제2 몸체부(22)가 있고, 상기 제1 몸체부(21) 상에 관통홀(211)이 설치되고, 상기 흡착판(10)이 상기 메인 베이스 바디(20) 하방에 거치되면 상기 메인 베이스 바디(20)가 상기 흡착판(10)의 꼭대기면에 압력을 가할 때 상기 흡착판(10)의 풀 로드(11)가 상기 메인 베이스 바디(20) 내부에서 상기 관통홀(211)을 거쳐 관통하여 나오고, 상기 제2 몸체부(22) 꼭대기면에 삽입공(221)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몸체부(22)는 상기 제1 몸체부(21)와 다른 전단 상에 위를 향해 상기 제2 몸체부(22) 꼭대기 둘레를 관통하는 안쪽으로 오목한 수용홈(222)이 설치되고, 상기 수용홈(222) 하방에 위치제한 디치(223)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제한 디치(223)는 상기 덮개판(40)이 상기 수용홈(222) 내에 들어간 후 상기 덮개판(40)을 삽입 클램핑시켜 상기 상부 덮개(60)에 매칭 및 결합되도록 만듦으로써 상기 수용홈(222)의 홈 바닥면과 상기 덮개판(40) 사이에 표시 부재(70)를 고정시키고, 숫돌 세트(30)는 2개의 숫돌(31)을 서로 중첩시켜 형성하며 중첩시킨 후에는 상기 숫돌 세트(30) 중앙에 칼갈이 공간이 형성되고, 덮개판(40)은 적당한 투명도가 있으며 상기 수용홈(222) 모양에 맞게 설치되는 판재이고, 상기 덮개판(40)의 꼭대기 둘레와 바닥 둘레에는 각각 상부 위치제한 시트(41)와 하부 위치제한 시트(42)가 인장되고, 상기 덮개판(40)이 하부 위치제판 시트(42)를 통해 먼저 상기 위치제한 디치(223) 내에 삽입되고 상기 덮개판(40) 전체가 상기 수용홈(222) 내에 수용되면, 다시 상기 상부 덮개(60)와 상기 메인 베이스 바디(20)의 결합을 이용해 상기 상부 덮개(60) 전단 하부 벤딩부의 차단 둘레(61)를 통해 상기 위치제한 시트(41)가 앞을 향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상부 덮개(60)를 분리 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상기 덮개판(40)과 표시 부재(70)를 필요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제어 손잡이(50)는 관통홀(51)이 있는 고리체이고, 상기 제어 손잡이(50)의 일측 중앙에는 결합부(52)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52) 상에는 편심 방식으로 압출 블록(53)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 손잡이(50)는 관통홀(51)을 이용해 회피함으로써 순조롭게 상기 결합부(52)를 축으로 상기 관통홀(211)의 상기 풀 로드(11) 상에서 인장되고, 상기 제어 손잡이(50)를 돌려 상기 압출 블록(53)이 편심 방식으로 제1 몸체부(21)에 맞물리도록 하고 상기 흡착판(10)을 당겨 그 내부에 진공 흡인력을 생성하고, 상부 덮개(60) 전단 하부 벤딩부에 차단 둘레(61)가 있고, 꼭대기면에 관통홀(62)이 있고, 상기 관통홀(62) 후방에는 위로 높이 들어 올려진 V형 노치의 지지 블록(63)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 블록(63) 전단은 상기 두 숫돌(31) 간 중첩된 것에 매칭되어 계단 형태를 나타내고, 상기 숫돌 세트(30)가 상기 메인 베이스 바디(20)의 삽입공(221) 내에 들어가면 다시 상기 상부 덮개(60)와 상기 메인 베이스 바디(20)의 제2 몸체부(22)의 잠금 결합을 이용해 상기 숫돌 세트(30)의 위치가 상기 메인 베이스 바디(20) 상에서 제한되도록 만들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62)을 이용해 상기 숫돌 세트(30)의 상부 구간을 인장시키고, 상기 숫돌 세트(30)의 두 숫돌(31)의 후단이 상기 지지 블록(63) 상에 기대어 맞물리도록 만들 수 있고, 상기 기대어 맞물리는 관계를 통해 칼을 연마할 때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10)과 메인 베이스 바디(20) 사이에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221), 관통홀(62)과 지지 블록(63)은 경사를 이루며, 상기 숫돌 세트(30)가 설치 후 뒤를 향해 5 내지 10도의 경사각(θ)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표시 부재(70)는 기업 또는 개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명판(71)일 수 있다(도 1 내지 4에서 도시함).
본 고안의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표시 부재(70)는 칼갈이 성질에 따라 구분하는 종이쪽지(72)일 수 있다(예를 들어 채소용 칼갈이 베이스와 육고기용 칼갈이 베이스 간의 구분일 수 있으며, 도 5 및 6에서 도시함).
본 고안의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40)의 상부 위치제한 시트(41)는 복수개의 작은 구간으로 자른다.
본 고안의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40)의 표면은 연속하여 높고 낮은 기복이 있도록 설치하거나(도 1 내지 6에서 도시함), 마름모 격자 무늬 형상을 나타내도록 설치하거나(도 7에서 도시함), 또는 완전히 평편한 모양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도 8에서 도시함), 상기 각기 다른 덮개판(40)을 선택해 설치함으로써 표시 부재(70)가 보일 때 다른 시각적 느낌을 주도록 만들 수 있다.
상기 구조를 통하여, 상기 칼갈이 베이스는 매끄럽고 평편한 표면을 임의로 선택해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 시 먼저 흡착판(10)을 적절하게 매끄러운 면 상방에 부착하는데, 이때 제어 손잡이(50)를 회전시켜 제어 손잡이(50)가 압출 블록(53)을 회전 및 전진시켜 흡착판(10)의 풀 로드(11)를 당기도록 만드는 동시에, 메인 베이스 바디(20)의 둘레가 흡착판(10) 꼭대기면을 압출하고 나아가 흡착판(10)이 긴밀하고 확실하게 부착되도록 만들고, 이를 통해 무뎌진 칼이 숫돌 세트(30)의 두 숫돌(31) 사이에서 연마되도록 만든다.
상기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조를 통해 이하의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사용 시 칼갈이 베이스 자체를 평편한 면에 흡착시키기 때문에 손으로 움켜쥐거나 붙잡고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칼 연마 과정에서 칼을 붙잡을 때 손에 상처를 입을 염려가 없어 보다 안전하다.
(2) 상기 덮개판(40)과 표시 부재(70)를 설치해 기업 또는 개인 이미지를 나타내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를 고객 수요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작하거나 또는 소비자의 사용습관, 칼갈이 성질에 따라 직접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창의적 설계는 상기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의 실용성과 부가적 가치를 더욱 향상시켜 준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면, 본 고안은 혁신적인 구조적 설계와 개선된 창작 내용은 물론 산업상 이용 가능성과 진보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본 고안은 어떠한 간행물에도 공개되지 않아 신규성도 갖추고 있으므로 특허법 관련 규정에 부합한다. 따라서 법에 의거하여 실용신안특허를 출원하니 이에 특허권을 부여해 줄 것을 심사관님께 간청하는 바이다.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실시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청구범위를 기반으로 동등한 변화와 수정을 가한 경우 이는 모두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10: 흡착판
11: 풀 로드
20: 메인 베이스 바디
21: 제1 몸체부
22: 제2 몸체부
211: 관통홀
221: 삽입공
222: 수용홈
223: 위치제한 디치
30: 숫돌 세트
31: 숫돌
40: 덮개판
41: 상부 위치제한 시트
42: 하부 위치제한 시트
50: 제어 손잡이
51: 관통홀
52: 결합부
53: 압출 블록
60: 상부 덮개
61: 차단 둘레
62: 관통홀
63: 지지 블록
70: 표시 부재
71: 명판
72: 종이쪽지
θ: 경사각

Claims (9)

  1. 흡착판, 메인 베이스 바디, 숫돌 세트, 덮개판, 제어 손잡이 및 상부 덮개를 포함하되, 여기에서,
    상기 흡착판은 흡착력이 있으며 꼭대기에 풀 로드(pull rod)가 인장되고;
    상기 메인 베이스 바디는 계단형이며, 높이가 비교적 낮은 제1 몸체부와 높이가 비교적 높은 제2 몸체부가 있고, 상기 제1 몸체부 상에 관통홀이 설치되고, 상기 흡착판이 상기 메인 베이스 바디 하방에 거치되면, 상기 메인 베이스 바디가 상기 흡착판의 꼭대기면에 압력을 가할 때 상기 흡착판의 풀 로드가 상기 메인 베이스 바디 내부에서 상기 관통홀을 거쳐 관통하여 나오고, 상기 제2 몸체부 꼭대기면에 삽입공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몸체부의 전단에는 상기 제2 몸체부 꼭대기 둘레를 관통하는 안쪽으로 오목한 수용홈이 설치되고, 상기 수용홈 하방에 위치제한 디치(ditch)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제한 디치는 상기 덮개판이 상기 수용홈 내에 들어간 후 상기 덮개판을 삽입 클램핑시켜, 상기 상부 덮개에 매칭 및 결합되도록 만듦으로써, 상기 수용홈의 홈 바닥면과 상기 덮개판 사이에 표시 부재를 고정시키고;
    상기 숫돌 세트는 2개의 숫돌을 서로 중첩시켜 형성하며, 중첩시킨 후에는 상기 숫돌 세트 중앙에 칼갈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판은 적당한 투명도가 있으며 상기 수용홈 모양에 맞게 설치되는 판재이고, 상기 덮개판의 꼭대기 둘레와 바닥 둘레에는 각각 상부 위치제한 시트와 하부 위치제한 시트가 인장되고, 상기 덮개판이 하부 위치제판 시트를 통해 먼저 상기 위치제한 디치 내에 삽입되고, 상기 덮개판 전체가 상기 수용홈 내에 수용되면, 다시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메인 베이스 바디의 결합을 이용해, 상기 상부 덮개 전단 하부 벤딩부의 차단 둘레를 통해 상기 위치제한 시트가 앞을 향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상부 덮개를 분리 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상기 덮개판과 표시 부재를 필요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어 손잡이는 관통홀이 있는 고리체이고, 상기 제어 손잡이의 일측 중앙에는 결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 상에는 편심 방식으로 압출 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 손잡이는 관통홀을 이용해 회피함으로써, 순조롭게 상기 결합부를 축으로 상기 관통홀의 상기 풀 로드 상에서 인장되고, 상기 제어 손잡이를 돌려 상기 압출 블록이 편심 방식으로 제1 몸체부에 맞물리도록 하고, 상기 흡착판을 당겨 그 내부에 진공 흡인력을 생성하고;
    상기 상부 덮개 전단 하부 벤딩부에 차단 둘레가 있고, 꼭대기면에 관통홀이 있고, 상기 관통홀 후방에는 위로 높이 들어 올려진 V형 노치의 지지 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 블록 전단은 상기 두 숫돌 간 중첩된 것에 매칭되어 계단 형태를 나타내고, 상기 숫돌 세트가 상기 메인 베이스 바디의 삽입공 내에 들어가면 다시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메인 베이스 바디의 제2 몸체부의 잠금 결합을 이용해, 상기 숫돌 세트의 위치가 상기 메인 베이스 바디 상에서 제한되도록 만들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을 이용해 상기 숫돌 세트의 상부 구간을 인장시키고, 상기 숫돌 세트의 두 숫돌의 후단이 상기 지지 블록 상에 기대어 맞물리도록 만들 수 있고, 상기 기대어 맞물리는 관계를 통해 칼을 연마할 때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과 메인 베이스 바디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 관통홀과 지지 블록은 경사를 이루며, 상기 숫돌 세트가 설치 후 뒤를 향해 5 내지 10도의 경사각(θ)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부재는 기업 또는 개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명판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부재는 칼갈이 성질에 따라 구분하는 종이쪽지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의 상부 위치제한 시트는 복수개의 작은 구간으로 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의 표면은 연속하여 높고 낮은 기복이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의 표면은 마름모 격자 무늬 형상을 나타내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의 표면은 완전히 평편한 모양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
KR2020190001789U 2019-04-30 2019-04-30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 KR200492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789U KR200492014Y1 (ko) 2019-04-30 2019-04-30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789U KR200492014Y1 (ko) 2019-04-30 2019-04-30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014Y1 true KR200492014Y1 (ko) 2020-07-20

Family

ID=71832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789U KR200492014Y1 (ko) 2019-04-30 2019-04-30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014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3960U (ko) * 2011-12-22 2013-07-02 박성훈 주방용 칼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3960U (ko) * 2011-12-22 2013-07-02 박성훈 주방용 칼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7803B2 (en) Combination of knife block and knife sharpener with guard
US20200307005A1 (en) Handheld Razor Cutter Apparatus
CA2904961A1 (en) Herb grinder system
US20100290853A1 (en) Multi-purpose beveller
KR200492014Y1 (ko) 흡착식 칼갈이 베이스 구조
US20130065494A1 (en) Knife-grinder
CN209520789U (zh) 一种磨刀器
US10618138B2 (en) Belt sharpener
US2896482A (en) Sharpeners for knives and cutting implements
US20060040598A1 (en) Precision sharpener tool
US1201515A (en) Glass-cutter.
US3996818A (en) Lawn mower and garden tool sharpener
JP3175939U (ja) 刃物研ぎ器構造
CN215659768U (zh) 一种磨刀座上可以粗细磨位同时磨刀的磨刀器
US5392569A (en) Edger sanding tool
KR200495073Y1 (ko) 조각도 연마용 지그
CN201544138U (zh) 旋转手柄多功能磨刀器
CN210280884U (zh) 一种带锯条保护装置的金属锯
AU2011100677A4 (en) Sharpening tool
CA2140044C (en) Edger sanding tool
CN204954656U (zh) 一种磨刀器
CN209551799U (zh) 一种美工刀
AU2019100581A4 (en) Adsorptive Knife Sharpening Base
TWM581520U (zh) Adsorption type sharpening seat structure
JP3176799U (ja) 刃物研ぎ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