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010Y1 - 서지 방지 감김형 융해 가능 저항기 퓨즈 - Google Patents

서지 방지 감김형 융해 가능 저항기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010Y1
KR200492010Y1 KR2020190001680U KR20190001680U KR200492010Y1 KR 200492010 Y1 KR200492010 Y1 KR 200492010Y1 KR 2020190001680 U KR2020190001680 U KR 2020190001680U KR 20190001680 U KR20190001680 U KR 20190001680U KR 200492010 Y1 KR200492010 Y1 KR 200492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column
coupled
fuse wir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훙-치 치우
Original Assignee
콘쿼 일렉트로닉스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쿼 일렉트로닉스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콘쿼 일렉트로닉스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190001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0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0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8Fuse re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3/00Resis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H01C13/02Structural combinations of re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지 방지 감김형 융해 가능 저항기 퓨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서지 방지 감김형 융해 가능 저항기 퓨즈는, 일단에 제1 캡이 결합되고, 제1 퓨즈선이 간격을 두고 감겨져 구비되며, 상기 제1 퓨즈선의 일단이 상기 제1 캡에 결합되는 제1 컬럼; 상기 제1 컬럼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 컬럼의 외측에 도포되는 제2 퓨즈선; 상기 제1 컬럼과 상기 제2 퓨즈선 사이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퓨즈선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1 고리; 상기 제2 퓨즈선의 타단과 결합되는 절연 단열 부재; 일단이 상기 절연 단열 부재의 타단과 결합하고, 타단에는 제2 캡이 결합되며, 제3 퓨즈선이 간격을 두고 감겨져 구비되며, 상기 제3 퓨즈선의 일단이 상기 제2 캡에 결합되는 제3 컬럼; 및 상기 제2 퓨즈선, 상기 절연 단열 부재 및 상기 제3 컬럼 사이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3 퓨즈선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2 고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지 방지 감김형 융해 가능 저항기 퓨즈{ANTI-SURGE WINDING FUSIBLE RESISTOR FUSE}
본 고안은 퓨즈 저항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열 구조 및 제2 퓨즈선을 구비한 서지 방지 감김형 융해 가능 저항기 퓨즈에 관한 것이다.
전자 회로에서는 통상적으로 보호 회로를 이용하여 고장난 회로를 기타 회로와 격리시킨다. 예를 들면, 보호 회로는 자동차 엔진 전자 제어기에서 회로 모듈의 종속 고장(cascade failure)를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보호 회로는 예컨대 전력 공급 회로 고장 시 발생하는 화재 등 더욱 심각한 문제를 방지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제2 퓨즈선은 상기 보호 회로 중의 하나이다. 제2 퓨즈선의 작용은 전형적인 유리관 퓨즈(glass fuse)와 유사하다. 즉, 정상 작동 상태에서 퓨즈의 행위는 단락(short circuit)과 같다. 고장 상태에서 상기 퓨즈의 행위는 개회로(open circuit)와 같다. 제2 퓨즈선의 온도가 특정 온도를 초과할 때, 상기 제2 퓨즈선은 이러한 두 가지 작동 모드 사이에서 전환한다. 이러한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제2 퓨즈선에는 용해 가능한 금속 와이어, 한 무리의 금속 접점 또는 이미 용접된 한 무리의 금속 접점 등과 같은 전도성 부품이 구비되어 전도 상태에서 비전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물리 상태가 온도에 따라 변하는 감지 부품을 포함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감지 부품은 녹는 점이 낮은 금속합금이나 이산 용융하는 유기 화합물일 수 있으며, 작동 온도 시에 녹을 수 있다. 감지 부품의 상태가 변할 때, 전도성 부품은 전력 전달 경로를 실질적으로 중단시키는 방식으로 전도 상태에서 상기 비전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작동 중에 전류는 퓨즈 부품에서 흐를 수 있으며, 감지 부품이 지정된 온도에 이르면 상태에 변화가 생겨 전도성 부품이 전도 상태에서 상기 비전도 상태로 전환된다.
종래의 제2 퓨즈선의 문제점은 상기 제2 퓨즈선이 감지 부품의 상태가 변경되는 온도에 이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퓨즈선의 설정 기간을 매우 조심스럽게 정해야 한다. 이외에, 열이 유실되는 것도 반드시 방지해야 하는데, 열이 집중되지 못하거나 과도하게 유실되면 제2 퓨즈선이 작동 시간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서지 방지 감김형 융해 가능 저항기 퓨즈는, 일단에 제1 캡이 결합되고, 제1 퓨즈선이 간격을 두고 감겨져 구비되며, 상기 제1 퓨즈선의 일단이 상기 제1 캡에 결합되는 제1 컬럼; 상기 제1 컬럼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2 퓨즈선; 상기 제1 컬럼과 상기 제2 퓨즈선 사이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퓨즈선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1 고리; 상기 제2 퓨즈선의 타단과 결합되는 절연 단열 부재; 일단이 상기 절연 단열 부재의 타단과 결합하고, 타단에는 제2 캡이 결합되며, 제3 퓨즈선이 간격을 두고 감겨져 구비되며, 상기 제3 퓨즈선의 일단이 상기 제2 캡에 결합되는 제3 컬럼; 및 상기 제2 퓨즈선, 상기 절연 단열 부재 및 상기 제3 컬럼 사이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3 퓨즈선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2 고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절연 단열 부재가 열을 집중시킬 수 있고 제2 퓨즈선의 감도를 높여 미리 설정된 온도 값에서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어 보호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제2 퓨즈선은 제1 컬럼 및 제3 컬럼 사이에 위치하여 디자인이 종래의 유리관 퓨즈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 외형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체 외형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로 본 고안의 내용과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서지 방지 감김형 융해 가능 저항기 퓨즈는 제1 컬럼(10), 제2 퓨즈선(20), 제1 고리(30), 절연 단열 부재(40), 제3 컬럼(50) 및 제2 고리(60)를 포함하며, 각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컬럼(10)의 일단에는 제1 캡(11)이 결합되고, 상기 제1 컬럼(10)에는 제1 퓨즈선(12)이 간격을 두고 감겨져 구비되며, 상기 제1 퓨즈선(12)의 일단은 상기 제1 캡(11)과 결합한다.
제2 퓨즈선(20)은 제2 컬럼(21) 외측에 도포되며, 상기 제2 컬럼(21)은 상기 제1 컬럼(10)의 타단과 결합한다.
제1 고리(30)는 상기 제1 컬럼(10)와 상기 제2 퓨즈선(20) 사이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퓨즈선(12)의 타단은 상기 제1 고리(30)와 결합한다.
절연 단열 부재(40)는 상기 제2 퓨즈선(20)의 제2 컬럼(21)의 타단과 결합한다.
제3 컬럼(50)의 일단은 상기 절연 단열 부재(40)의 타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3 컬럼(50)의 타단에는 제2 캡(51)이 결합되고, 상기 제3 컬럼(50) 상에는 제3 퓨즈선(52)이 간격을 두고 감겨져 구비되며, 상기 제3 퓨즈선(52)의 일단은 상기 제2 캡(51)과 결합한다.
상기 제2 퓨즈선(20)의 녹는 점은 상기 제1 퓨즈선(12)의 녹는 점보다 낮다.
상기 제1 캡(11)과 상기 제2 캡(51)의 외측에는 각각 전기 도선(A)이 구비된다.
제2 고리(60)는 상기 제2 퓨즈선(20), 상기 절연 단열 부재(40) 및 상기 제3 컬럼(50) 사이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3 퓨즈선(52)의 타단은 상기 제2 고리(60)와 결합한다.
상기 제1 컬럼(10), 제1 캡(11), 상기 제2 퓨즈선(20), 상기 제1 고리(30), 상기 절연 단열 부재(40), 상기 제3 컬럼(50), 제2 캡(51) 및 제2 고리(60)를 감싸는 클래드층(미도시)이 더 구비되며, 각 전기 도선(A)은 상기 클래드층 외측까지 연장된다.
본 고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절연 단열 부재(40)가 열을 집중 시킬 수 있고 제2 퓨즈선(20)의 감도를 높여 미리 설정된 온도 값에서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어 보호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제2 퓨즈선(20)은 제1 컬럼(10) 및 제3 컬럼(50) 사이에 위치하여 디자인이 종래의 유리관 퓨즈와 같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컬럼(10), 제1 캡(11), 상기 제2 퓨즈선(20), 상기 제1 고리(30), 상기 절연 단열 부재(40), 상기 제3 컬럼(50), 제2 캡(51) 및 제2 고리(60)는 표면 실장식으로 패키징을 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10 : 제1 컬럼 11 : 제1 캡
12 : 제1 퓨즈선 20 : 제2 퓨즈선
21 : 제2 컬럼 30 : 제1 고리
40 : 절연 단열 부재 50 : 제3 컬럼
51 : 제2 캡 52 : 제3 퓨즈선
60 : 제2 고리 A : 전기 도선

Claims (5)

  1. 서지 방지 감김형 융해 가능 저항기 퓨즈에 있어서,
    일단에는 제1 캡이 결합되고, 제1 퓨즈선이 간격을 두고 감겨져 구비되며, 상기 제1 퓨즈선의 일단이 상기 제1 캡에 결합되는 제1 컬럼;
    상기 제1 컬럼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 컬럼의 외측에 도포되는 제2 퓨즈선;
    상기 제1 컬럼과 상기 제2 퓨즈선 사이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퓨즈선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1 고리;
    상기 제2 퓨즈선의 타단과 결합되는 절연 단열 부재;
    일단이 상기 절연 단열 부재의 타단과 결합하고 타단에는 제2 캡이 결합되고, 제3 퓨즈선이 간격을 두고 감겨져 구비되며, 상기 제3 퓨즈선의 일단이 상기 제2 캡에 결합되는 제3 컬럼; 및
    상기 제2 퓨즈선, 상기 절연 단열 부재 및 상기 제3 컬럼 사이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3 퓨즈선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2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방지 감김형 융해 가능 저항기 퓨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퓨즈선의 녹는 점이 상기 제1 퓨즈선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방지 감김형 융해 가능 저항기 퓨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럼, 제1 캡, 상기 제2 퓨즈선, 상기 제1 고리, 상기 절연 단열 부재, 상기 제3 컬럼, 제2 캡 및 제2 고리를 감싸는 클래드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방지 감김형 융해 가능 저항기 퓨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의 외측에는 각각 전기 도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방지 감김형 융해 가능 저항기 퓨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럼, 제1 캡, 상기 제2 퓨즈선, 상기 제1 고리, 상기 절연 단열 부재, 상기 제3 컬럼, 제2 캡 및 제2 고리는 표면 실장식으로 패키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방지 감김형 융해 가능 저항기 퓨즈.
KR2020190001680U 2019-04-23 2019-04-23 서지 방지 감김형 융해 가능 저항기 퓨즈 KR200492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680U KR200492010Y1 (ko) 2019-04-23 2019-04-23 서지 방지 감김형 융해 가능 저항기 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680U KR200492010Y1 (ko) 2019-04-23 2019-04-23 서지 방지 감김형 융해 가능 저항기 퓨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010Y1 true KR200492010Y1 (ko) 2020-07-20

Family

ID=71832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680U KR200492010Y1 (ko) 2019-04-23 2019-04-23 서지 방지 감김형 융해 가능 저항기 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01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182A (ko) * 2014-08-19 2016-02-29 김용운 퓨즈가 일체화된 저항기
KR101918160B1 (ko) * 2018-03-06 2018-11-13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퓨즈저항 조립체 및 퓨즈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182A (ko) * 2014-08-19 2016-02-29 김용운 퓨즈가 일체화된 저항기
KR101918160B1 (ko) * 2018-03-06 2018-11-13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퓨즈저항 조립체 및 퓨즈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8295B2 (en) Protection circuit
US7529072B2 (en) Protection apparatus
KR101539641B1 (ko) 써멀 링크
US20060267722A1 (en) Electric Component with a Protected Current Feeding Terminal
US20100219929A1 (en) Thermal fuse with current fuse function
US8314677B1 (en) Overcurrent protective wire wound resistor
JP2015185843A (ja) サージ防護装置
US4275432A (en) Thermal switch short circuiting device for arrester systems
US11282666B2 (en) Circuit protection system with induction heating trigger and methods
CN104392868B (zh) 电涌保护器及其热脱扣机构
US20170222426A1 (en) Surge protection device with an independent chamber comprising a fuse for overcurrent protection
KR200492010Y1 (ko) 서지 방지 감김형 융해 가능 저항기 퓨즈
AU736734B2 (en) Overvoltage protection plug with fail-safe device
CN204257557U (zh) 电涌保护器及其热脱扣机构
US9887057B2 (en) Remote activated fuse and circuit
JP6951780B2 (ja) ヒューズ抵抗組立体及びヒューズ抵抗組立体の製造方法
KR102244234B1 (ko) 방폭 기능을 갖는 온도 퓨즈 저항기
JP3222035U (ja) 耐サージ巻線溶断ヒューズ抵抗器
JPH04345724A (ja) 非破壊ヒューズ
US20160359312A1 (en) Surge protector having both fuse and alert functions
US10553384B1 (en) Anti-surge winding fusible resistor fuse
KR101987019B1 (ko) 전력형 온도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
JP6247002B2 (ja) 接触器の中に組込可能な、交流電流が供給される電気回路を保護するための装置
WO2014013812A1 (ja) 電線ヒューズ
TWM581762U (zh) Anti-surge winding fusible resistor f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