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358Y1 - Bottom part of a motor vehicle - Google Patents

Bottom part of a mot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358Y1
KR200491358Y1 KR2020170000510U KR20170000510U KR200491358Y1 KR 200491358 Y1 KR200491358 Y1 KR 200491358Y1 KR 2020170000510 U KR2020170000510 U KR 2020170000510U KR 20170000510 U KR20170000510 U KR 20170000510U KR 200491358 Y1 KR200491358 Y1 KR 2004913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ackrest
fixing
bottom par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51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2777U (en
Inventor
레다 벨래두니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1700027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77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35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2Attachment or adjust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내 후방 좌석의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바닥 부품(58)에 관한 것으로, 바닥 부품(58)이 후방 영역(56)을 보유하고 상기 후방 좌석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후방 영역의 수직에 위치하는 후방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 영역이 두 개의 측방 가장자리(60, 62)를 보유하며, 상기 후방 좌석이 후방 가장자리를 갖는 받침부와, 상기 후방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받침부에 대해 기울어지게 장착될 수 있는 등받이(66)를 포함한다. 고정 장치는 상기 후방 좌석의 상기 단일 등받이(66)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측방 가장자리들(60, 62) 사이에서 상기 후방 영역(56)에 기대어 놓이도록 장착되는 지지 부재(1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part (58) of a motor vehicle comprising a fastening device for a rear seat in a motor vehicle, wherein the floor part (58) holds the rear area (56) and is vertical to the rear area to accommodate the rear seat. It includes a rear space located at, the rear area has two lateral edges (60, 62), the rear sea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ortion having a rear edge, and along the rear edge It includes a backrest 66 that can be mounted. The fastening device includes a support member 10 mounted to lean against the rear area 56 between the lateral edges 60, 62 to support the single back 66 of the rear seat. .

Description

자동차의 바닥 부품{Bottom part of a motor vehicle}Bottom part of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후방 좌석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바닥 부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part of an automobile including a rear seat fixing device.

통상적인 자동차들은 전방에 운전석과 인접한 조수석 그리고 후방에 접을 수 있는 후방 좌석을 갖는 객실을 포함한다. 자동차들은 자동차 바닥이 그 위에 놓이는 섀시 골조로 형성되는 바닥을 포함한다. 후방 좌석은 바닥의 후방 영역과 직각으로 설치되며, 후방 가장자리를 갖는 받침 부분과 일반적으로 받침부의 후방 가장자리에 분절되어 장착되는 등받이를 형성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게다가, 받침 부분 자체는 후방 가장자리에 반대되는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런 식으로, 후방 좌석을 접어 넣기 위해서는, 우선 등받이를 형성하는 부분을 받침 부분 위로 접고, 이 전체를 앞을 향해 운전석과 조수석 후방에 기대도록 회전시킨다. 이렇게 해서, 부피가 큰 물건들을 실을 수 있는 실용적인 자유 공간을 얻게 된다.Typical automobiles include cabins with a driver's seat adjacent to the driver's seat in the front and a rear seat collapsible at the rear. Cars include a floor formed by a chassis frame on which the floor of the vehicle rests. The rear seat is installed at a right angle to the rear area of the floor, and includes a base portion having a rear edge and a portion forming a backrest that is generally segmented and mounted on the rear edge of the base portion. In addition, the pedestal itself is rotatably mounted along the front edge opposite the rear edge. In this way, in order to fold the rear seat, first, the part forming the backrest is folded over the support part, and the entire part is rotated forward to lean against the driver's seat and front passenger seat. In this way, you get a practical free space to carry bulky objects.

이러한 유형의 접을 수 있는 후방 좌석은 몇몇 개의 불편함을 갖고 있다. 사실상, 등받이가 그 상부에 측면으로 잠금 해제 훅(hook)들을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고정 지점들이 주로 받침부의 전방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한다. 표준 위치에서, 받침부는 바닥의 후방 영역을 누르는 반면, 잠금 해제 훅들은 받침부에 대해 뚜렷이 경사진 위치에서 등받이의 고정을 확보한다. 따라서, 후방 좌석이 실질적으로 견고하지 않은 집합체를 구성하게 된다.This type of collapsible rear seat has some discomfort. In fact, although the backrest includes lateral unlocking hooks on its top, the fixing points are mainly located in the area of the front edge of the abutment. In the standard position, the base presses the rear area of the floor, while the unlocking hooks secure the backrest in a clearly inclined position relative to the base. Thus, the rear seat constitutes an aggregate that is not substantially rigid.

또한, 제기되고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문제는 견고성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실행하기에 비용이 적게 드는 후방 좌석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r seat fixing device that not only improves robustness but also is less expensive to implement.

이러한 목적으로, 자동차 내에 후방 좌석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바닥 부품을 제안하는데, 본 바닥 부품이 후방 영역을 가지며 상기 후방 좌석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후방 영역에 위치하는 후방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 영역이 두 개의 측방 가장자리를 가지며, 상기 후방 좌석이 후방 가장자리를 갖는 받침부와 상기 후방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받침부에 대해 기울어져 장착될 수 있는 등받이를 포함한다. 고정 장치는 상기 후방 좌석의 상기 단일 등받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측방 가장자리들 사이에서 상기 후방 영역에 기대어 놓이도록 장착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For this purpose, we propose a floor part of a motor vehicle that includes a rear seat fixing device in a vehicle, the floor part having a rear area and including a rear space located in the rear area to accommodate the rear seat, the rear The area has two lateral edges, and the rear seat includes a back portion having a rear edge and a backrest which can be mounted inclined relative to the back portion along the rear edge. The fastening device includes a support member mounted to lean against the rear area between the lateral edges so as to support the single back of the rear seat.

즉, 본 발명의 특징은 단일 등받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바닥 부품의 후방 영역에 지지 부재를 적용시키는 데 있다. 이런 식으로, 등받이는 그의 다른 고정 부분들 이상으로 부품에 기대어 놓이며, 이는 후방 좌석을 견고하게 한다. 이러한 지지 부재는, 접을 수 있는 의자 사용이 필요하지 않은 통상적인 자동차의 바닥 부품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등받이가 객실 후방에 고정 위치에 장착될 수 있고, 바닥 부품과 직접 결합될 수 있어서, 더 양호한 의자의 견고함을 얻게 된다. 또한, 등받이가 고정 위치에서 객실의 수직 벽들에 측면으로 고정된다.That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a support member to the rear area of the floor part so as to support a single backrest. In this way, the backrest rests against the part beyond its other fixing parts, which stiffens the rear seat. Such a support member is suitable for use in floor parts of conventional automobiles that do not require the use of a collapsible chair. Thus, the backrest can be mounted in a fixed position at the rear of the cabin and can be directly combined with the floor parts, resulting in better chair stiffness. In addition, the backrest is fixed laterally to the vertical walls of the cabin in a fixed position.

게다가, 특히 유리한 본 발명의 적용 형태에 따르면,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측방 가장자리로부터 실질적으로 등거리에 장착된다. 이런 식으로, 바닥 부품의 후방 영역의 수직에 대해 가로로 연장되어 있는 등받이가 실질적으로 그 중앙에, 따라서, 대칭으로 고정된다.Moreover, according to a particularly advantageous form of application of the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is mounted substantially equidistant from the lateral edge. In this way, the backrest which extends transversely to the vertical of the rear area of the floor part is substantially fixed in the center, and thus symmetrically.

바람직한, 하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후방 영역과 결합되는 기부와 상기 기부에 대해 기울어진 고정부를 갖는데, 상기 등받이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다. 이런 식으로, 지지 부재는 바닥 부품에 단단하게 고정되고, 고정부는 등받이와의 연결에 사용된다. 사실상, 기부는 바닥 부품에 평평하게 기대어 놓이게 된다. 설명의 다음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부가 우선 리벳을 이용해 미리 고정되고, 그 후 완전한 고정을 위해 용접되는 방식을 설명할 것이다.According to a preferred, but non-limiting,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has a base coupled to the rear region and an inclined fixing portion relative to the base, the backrest being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In this way, the support member is securely fixed to the bottom part, and the fixing part is used for connection with the backrest. In fact, the base rests flat against the floor part.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of the description, we will explain how the base is first fixed in advance using rivets and then welded for complete fixing.

바람직하게, 상기 기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즉, 기부는 자동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에서 바닥 부품에 기대어 놓이게 되고, 고정부는 자동차에 대해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런 식으로, 고정부는 기부 폭 길이보다 훨씬 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등받이에 지지 부재를 연결하기 위해 기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고정부를 얻게 된다.Preferably, the base portion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xing portion extends along a transverse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base is leaned against the floor part from the cent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fixing portion extends transverse to the vehicle. In this way, the fixture extends over a length much longer than the base width length. Therefore, a relatively large fixing portion is obtained compared to the base to connect the support member to the backrest.

게다가, 상기 고정부는 수용면과 상기 수용면 둘레에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측 테두리를 갖는다. 즉, 고정부는 그 상부에 수용면에 비해 하부인 가장자리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자유로운 가장자리를 갖는다. 또한, 상기 등받이는 상기 수용면에 기대어 놓이고 상기 하측 테두리에 닿게 되는 고정 수단을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은 실질적으로 평평하며 등받이가 바닥 부품 위에 지탱되어서, 제1 단계에서는 수용면에 고정 수단을 바싹 닿게 하고, 그리고 나서, 고정 수단의 끝단이 고정부의 하측 테두리에 닿을 때까지 등받이가 바닥 부품으로 접근함에 따라 고정 수단이 수용면에서 미끄러지게 한다. 유리하게 고정부가 바닥 부품에 대해 기울어진 경우, 그래서, 등받이가 바닥 부품을 향해 수직으로 이끌려 올 때, 고정 수단이 수용면에 마찰되며 이끌려 오는 경우, 이 작업은 훨씬 더 용이해진다. 즉, 고정 수단은 하측 테두리에 닿을 때까지 고정부에 닿아 안내된다. 이런 식으로, 그리고 어느 정도는, 보지 않고 등받이를 조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has a receiving surface and a lower edge partially extending around the receiving surface. That is, the fixing portion has a free edg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dge that is lower than the receiving surface on its upper side. In addition, the backrest includes at least one fixing means that leans against the receiving surface and contacts the lower rim. The at least one fastening means is substantially flat and the backrest is supported on the bottom part, so that the fastening means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ceiving surface in the first step, and then, until the end of the fastening means contacts the lower edge of the fastening part. As the backrest approaches the bottom part, the securing means slides off the receiving surface. This operation is much easier if the fixing part is advantageously tilted relative to the floor part, so that when the backrest is pulled vertically towards the floor part, the fastening means is brought against the receiving surface by friction. That is, the fixing means is guided by touching the fixing portion until it touches the lower edge. In this way and to some extent, the backrest can be assembled without looking.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면이 상기 기부를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평균 평면에 대해 서로 대칭인 두 개의 부분을 갖는다. 이런 식으로, 등받이를 더 잘 고정하게 될 뿐만 아니라, 등받이를 조작할 때, 응력들을 더 잘 분산하게 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eceiving surface has two parts which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average plane perpendicular to the base. In this way, not only does the backrest hold better, but when manipulating the backrest, the stresses are better distributed.

유리하게, 상기 두 개의 부분들은 각각 구멍과 상기 구멍의 연장부에 너트를 형성하는 고리를 갖는다. 너트들은 바람직하게 수용면에 반대되는 고정부의 표면에 배치되며, 구멍들과 동축이다. 또한, 등받이는 이 경우에, 각각 구멍들의 정면에 위치하는 개구부를 갖는 두 개의 고정 수단을 갖는다. 따라서, 등받이를 지지 부재에 결합시키기 위해 개구부를 직접 관통하여 고정부 수용면 측의 너트들 내부에 나사를 조이기가 용이하다.Advantageously, the two parts each have a hole and a ring forming a nut at the extension of the hole. The nuts are preferably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opposite the receiving surface, and are coaxial with the holes. Further, the backrest has two fixing means in this case, each having an opening located in front of the holes. Therefore, it is easy to tighten the screw inside the nuts on the side of the fixing part receiving surface by directly passing through the opening in order to engage the backrest with the support member.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저지용 하측 테두리 맞은 편에 상기 수용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상부 안내 베인를 갖는다. 베인들은, 등받이 장착 시, 수용면을 향한 고정 수단의 접근을 더 잘 안내할 수 있게 한다.Preferably, the fixing portion has an upper guide vane extending from the receiving surface opposite the lower rim for stopping. The vanes make it possible to better guide the approach of the securing means towards the receiving surface when the backrest is mounted.

바람직한 일 적용 형태에 따르면, 상기 하측 테두리가 상기 기부 둘레에서 고정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이런 식으로, 기부가 기계적으로 강화된다. 고정부의 하측 테두리가 그 견고화에도 기여하고 있음을 관찰하게 될 것이다.According to a preferred form of application, the lower rim extends continuously from the fixture around the base. In this way, the base is mechanically strengthened. You will observe that the lower edge of the fixture also contributes to its solidification.

바람직하게, 지지 부재는 도금된 단일 금속 부품으로 형성된다. 본 부품은 전체적으로 큰 기계적 내구력을 부여하는 일반적인 오목한 형태를 갖는다.Preferably,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of a single plated metal component. This part has a general concave shape which gives the overall large mechanical durability.

다음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제한적이지 않고 참고로 제공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형태로 다음에서 작성된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다른 특성들과 이점들이 드러날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에 부합하는 고정 장치 부품의 3/4 우전측부의 개략 사시도이고;
-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품 측면의 개략도이고;
- 도 3은 자동차의 일부분과, 제1 단계에서 상기 자동차의 일부분과 협력하고 있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부품의 부분 개략 사시도이고;
- 도 4는 상기 자동차의 일부분과, 제2 단계에서 상기 자동차의 일부분과 협력하고 있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부품의 개략 상면도이다.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accompanying drawings,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vealed through the description made hereinafter wit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reference without limitation: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3/4 right-hand side of a fastener component consistent with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of the side of the component shown in FIG. 1;
3 is a partial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vehicle and parts shown in FIGS. 1 and 2 cooperating with a part of the vehicle in a first step;
-FIG. 4 is a schematic top view of the parts shown in FIGS. 1 and 2 cooperating with a portion of the vehicle and a portion of the vehicle in a second step.

도 1은 평균 평면 Pp를 규정하는 제1 기부(12)와 평균 평면 Pf를 규정하는 제2 고정부(14)를 갖는 지지 부재(10)를 도시한다. 제1 기부(12)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제2 고정부(14)는 반대되는 두 끝단(11, 13) 사이에서 길이 방향(L)에 대해 직각인 가로 방향(T)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10)와 특히 제2 고정부(14)는 제1 기부(12)를 세로로 가로지르며 이 부분에 그리고 그 평균 평면 Pp에 대해 직각인 평균 평면 Pm에 대해 서로 대칭인 두 개의 오른쪽(16), 왼쪽(18) 부분을 갖는다. 제2 고정부(14)는 이 두 개의 부분들(16, 18)을 대칭으로 서로 갈라놓는 만곡부(15)를 갖는다. 이 두 개의 부분들(16, 18)은 각각 두 개의 절반-수용면을 규정한다.1 shows a support member 10 having a first base 12 defining an average plane Pp and a second fixing 14 defining an average plane Pf. The first base 12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the second fixing part 14 is a transverse direction T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between two opposite ends 11 and 13 ).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10 and in particular the second fixture 14 traverse the first base 12 vertically and are symmetrical to this part an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average plane Pm perpendicular to the average plane Pp. It has the right (16) and left (18) parts. The second fixing part 14 has a curved part 15 that divides the two parts 16 and 18 symmetrically from each other. These two parts 16 and 18 each define two half-receiving surfaces.

제1 및 제2 부분(12, 14)은 주로 도금된 단일 금속 평판으로 구현된다. 금속 평판은 밀리미터 단위의 두께, 예를 들어 1.5mm이다.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12, 14 are mainly implemented with a single plated metal plate. The metal plate has a thickness in millimeters, for example 1.5 mm.

제1 기부(12)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고,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중앙 늑재(20)를 갖는다. 이 중앙 늑재(20) 덕분에, 기부(12)의 기계적 내구력을 높이게 된다. 또한, 제1 기부는 각각 중앙 늑재(20)의 각 측면에 마련되는 두 개의 구멍(22, 24)을 갖는데, 그 기능은 추후 설명할 것이다.The first base 12 is substantially rectangular and has a central rib 20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hanks to this central rib 20, the mechanical durability of the base 12 is increased. In addition, the first base has two holes 22 and 24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central rib 20, respectively, the function of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게다가, 제1 기부(12)는 상부면(27)에 반대되는 하부 누름면(25)을 갖는다. 게다가, 제1 기부(12)는 상부면(27)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장자리(26)를 갖는다. 이 가장자리(26) 덕분에, 기부(12)의 기계적 내구력이 더 증가된다.Furthermore, the first base 12 has a lower pressing surface 25 opposite the upper surface 27. Moreover, the first base 12 has an edge 26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top surface 27. Thanks to this edge 26, the mechanical durability of the base 12 is further increased.

제2 부분(14)은 각각 두 개의 부분들(16, 18)에서 반대되는 두 끝단(11, 13) 가까이에 마련되고, 평균 평면 Pm에 대해 서로 대칭인 두 개의 고정용 구멍(30, 32)를 갖는다. 두 개의 부분들(16, 18)은 각각 안내 베인(38, 40)에 의해 연장되는 상부 가장자리(34, 36)를 더 포함한다. 두 개의 안내 베인(38, 40)는 기부(12) 맞은 편에 고정부(14)의 평균 평면 Pf 밖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The second part 14 is provided near two opposite ends 11 and 13 at the two parts 16 and 18, respectively, and two fixing holes 30 and 32 which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average plane Pm Have The two parts 16, 18 further include upper edges 34, 36 extending by guide vanes 38, 40, respectively. The two guide vanes 38, 40 extend parallel to the average plane Pf of the fixture 14 opposite the base 12.

게다가, 제1 기부(12)의 가를 이루는 가장자리(26)는 제2 고정부(14)로 대칭을 이루며 그리고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두 개의 부분들(42, 44)이 활 모양으로 평행하게 그리고 각각 두 개의 고정용 구멍(30, 32) 둘레로 연장된다. 가장자리의 두 개의 부분들(42, 44)은 각각 끝단(46, 48)을 가지며, 그 두 끝단(46, 48)을 연결하는 선(l)이 실질적으로 두 개의 고정용 구멍(30, 32)의 축들을 가로지르게 된다.In addition, the edging edges 26 of the first base 12 are symmetrically extended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14 and continuously extended, and the two parts 42, 44 ar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shape of a bow and respectively It extends around the two fixing holes (30, 32). The two parts 42, 44 of the edge have ends 46, 48, respectively, and the line l connecting the two ends 46, 48 is substantially two fixing holes 30, 32. Across the axes of

가장자리의 두 개의 부분들(42, 44)은 고정부(14)를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할 뿐만 아니라, 추후 설명될 바와 같이 저지부를 형성한다.The two portions 42, 44 of the edge not only make the fixing portion 14 mechanically robust, but also form a stop por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투명하게 도시된 고정부(14)는 두 개의 고정용 구멍(30, 32) 각각의 연장부에 두 구멍과 동축이며 후방을 향하는 너트를 형성하는 두 개의 고리(50, 52)를 보여준다. 측면에서 본 지지 부재(10)를 보여주고, 후방에 서로에 의해 가려지는 너트를 형성하는 고리들(52, 50)이 나타나 있는 도 2를 참조할 것이다.Here, the fixing part 14 which is shown transparently shows two rings 50 and 52 that are coaxial with the two holes and form a nut toward the rear of each of the two fixing holes 30 and 32. Reference will be made to FIG. 2, which shows the support member 10 seen from the side, and shows the rings 52, 50 forming nuts that are obscured by each other at the rear.

도 2에서 제1 기부(12)와 제1 기부를 연장하는 제2 고정부(14)를 다시 확인한다. 여기서, 각각 상부 가장자리(34, 36)를 고정부(14) 후방을 향해 연장하는 두 개의 안내 베인(38, 40) 또한 확인한다. 각각 기부(12)와 고정부(14)에 의해 규정되는 평균 평면 Pp와 Pf가 서로에 대해 90°이상의 알파 각으로, 예를 들어 115°로 기울어지는 것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게다가, 안내 베인(38, 40)는 그 자체가 고정부(14)의 평균 평면 Pf에 대해 약 40°각도로 기울어진다.2, the first base 12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14 extending the first base are again confirmed. Here, also check the two guide vanes 38, 40 extending the upper edges 34, 36 towards the rear of the fixture 14, respectively. It will be confirmed that the average planes Pp and Pf defined by the base 12 and the fixing portion 14, respectively, are inclined at an angle of 90 ° or more relative to each other, for example, 115 °. In addition, the guide vanes 38 and 40 are themselves inclined at an angle of about 40 ° relative to the average plane Pf of the fixing part 14.

너트를 형성하는 두 개의 고리(50, 52)를 제외하고, 지지 부재(10)는 도금된 하나의 금속 평판으로 구현된다. 이로 인해 지지 부재에 견고함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너트를 형성하는 두 개의 고리(50, 52)는 용접으로 덧붙여진다.With the exception of the two rings 50 and 52 forming the nut, the support member 10 is embodied as one plated metal plate. This gives the support member robustness. Thus, the two rings 50 and 52 forming the nut are added by welding.

이제는 자동차 내부(54)에 지지 부재(10) 적용을 도시하는 도 3을 참조할 것이다. 이 도 3은 자동차 바닥 부품(58)의 후방 영역(56)을 부분적으로 도시한다. 바닥 부품(58)이 화살표 AV를 따라 자동차 전방을 향해, 그리고 화살표 AR을 따라 후방을 향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게다가, 바닥 부품은 왼쪽 측방 가장자리(62)에 반대되는 오른쪽 측방 가장자리(60)를 갖는다. 두 개의 측방 가장자리(60, 62) 사이에서, 바닥 부품(58)은 후방 영역(56)에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분(64)을 갖는데, 여기에 고정부(14)가 후방(AR)을 향하도록 지지 부재(10)의 기부(12)를 평평하게 길이 방향으로 부착시킨다.Reference will now be made to FIG. 3 showing the application of the support member 10 to the interior 54 of the vehicle. This FIG. 3 partially shows the rear region 56 of the car floor part 58. The bottom part 58 extends longitudinally along the arrow AV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long the arrow AR toward the rear. In addition, the bottom part has a right lateral edge 60 opposite the left lateral edge 62. Between the two lateral edges 60, 62, the bottom part 58 has a portion 64 that is substantially horizontal to the rear region 56, with the fixture 14 facing the rear AR. The base 12 of the support member 10 is attached fla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지지 부재(10)는 두 개의 팝-리벳을 이용해 두 개의 구멍(22, 24)을 통해서 바닥 부품(58)에 미리 고정된다. 그리고 나서, 기부(12)와 바닥 부품의 후방 영역(56) 사이 접합부에 용접 비드를 이용해 고정이 완료된다. 지지 부재(10)가 이처럼 바닥 부품(58)에 결합될 때, 고정부(14)는 바닥 부품(58)의 측방 가장자리(60, 62)로부터 실질적으로 등거리에서 자동차의 후방(AR)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The support member 10 is pre-fixed to the bottom part 58 through two holes 22, 24 using two pop-rivets. Then, fixing is completed using a welding bead at the joint between the base 12 and the rear region 56 of the bottom part. When the support member 10 is thus coupled to the bottom part 58, the fastener 14 is inclined toward the rear AR of the vehicle at substantially equidistant distances from the lateral edges 60, 62 of the bottom part 58. Is extended.

도 3은 또한 두 개의 고정 수단(70, 72)이 평행하게 돌출되는 하측 테두리(68)를 포함하는 등받이(66)를 부분적으로 도시한다. 이 고정 수단들(70, 72)은 등받이(66)에 의해 규정되는 평균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 고정 수단들은 폐쇄 가장자리(74)를 규정하는 구부러진 가장자리를 보유하는 도금된 편평부로 구현된다. 이 폐쇄 가장자리는 특히 고정 수단들을 견고하게 하며, 또한 고정 수단들이 두께에 있어 입체감을 갖게 한다.3 also partially shows a backrest 66 comprising a lower rim 68 where two fastening means 70 and 72 project in parallel. These fixing means 70, 72 exte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verage plane defined by the backrest 66. These fastening means are embodied as a plated flat with a bent edge defining a closed edge 74. This closed edge makes the fixing means particularly strong, and also makes the fixing means three-dimensional in thickness.

고정 수단(70, 72) 각각은 길쭉한 개구부(76)를 갖는다. 그리고, 두 고정 수단(70, 72)의 길쭉한 개구부들(76)은 너트를 형성하는 두 고리(50, 52)의 중심 거리와 동일한 거리만큼 서로 떨어져 있는 중심들을 갖는다.Each of the fixing means 70 and 72 has an elongated opening 76. Then, the elongated openings 76 of the two fixing means 70, 72 have centers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equal to the center distance of the two rings 50, 52 forming the nut.

즉, 고정부(14)와 마찬가지로, 고정 수단들(70, 72)이 수직에 대해 뚜렷하게 기울어진, 등받이(66), 이 고정 수단들(70, 72), 그리고 지지 부재(10)의 고정부(14)의 상대적 위치에서는, 바닥 부품(58)을 향한 등받이(66)의 수직 움직임이 고정 수단(70, 72)이 각각 제2 부분(14)의 두 개의 부분들(16, 18)에 해당하는 두 개의 절반-수용면에 바싹 닿도록 한다. 만일 두 고정 수단(70, 72)이 안내 베인(38, 40)에서 범위 안으로 들어오면, 이 안내 베인들이 고정 수단들(70, 72)을 각각 수용면을 향해 안내하기 때문에, 접근이 어느 정도는 보지 않고 수행될 수 있음을 관찰하게 된다.That is, like the fixing part 14, the fixing parts 70 and 72 are clearly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the backrest 66, the fixing means 70 and 72, and the fixing part of the supporting member 10 In the relative position of (14),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ackrest (66) toward the bottom part (58) corresponds to the two parts (16, 18) of the second part (14), respectively, with the fixing means (70, 72). The two half-receiving surfaces. If the two fastening means 70, 72 are brought into range from the guide vanes 38, 40, the access is to some extent because these guide vanes guide the fastening means 70, 72, respectively, towards the receiving surface. You will observe that it can be done without looking.

그 움직임을 따라, 두 고정 수단(70, 72)은, 그 끝단이 각각 가장자리의 두 개의 부분들(42, 44)에 닿을 때까지 두 개의 부분들(16, 18)에 상응하는 두 개의 절반-수용면 내에서 마찰되며 인도된다. 이 위치에서 두 고정 수단(70, 72)의 바닥 부품(58)을 향한 이동이 차단될 뿐만 아니라, 이에 더해 측면으로, 길쭉한 개구부(76)가 각각 고정용 구멍(30, 32)의 정면을 차지하게 된다.Following its movement, the two fastening means 70, 72 are two half-corresponding to the two parts 16, 18 until their ends touch the two parts 42, 44 of the edge, respectively. It is rubbed and guided within the receiving surface. In this position, the movement of the two fixing means 70 and 72 toward the bottom part 58 is not only blocked, but in addition, the elongated opening 76 occupies the front of the fixing holes 30 and 32, respectively. Is done.

이 위치에서, 나사들이 각각 길쭉한 개구부(76)와 고정용 구멍(30, 32)을 관통해 끼워져서 너트를 형성하는 두 개의 고리(50, 52)의 내부에 나사 고정된다. 이러한 상황을 도 4에서 볼 수 있는데, 여기서는 두 개의 나사(78, 80)가 두 고정 수단(70, 72)을 지지 부재(10)의 고정부(14)에 결합시킨다.In this position, the screws are screwed into the interior of the two rings 50, 52, which are fitted through the elongated opening 76 and the fixing holes 30, 32, respectively, to form a nut. This situation can be seen in FIG. 4, where two screws 78 and 80 couple the two fastening means 70 and 72 to the fastening 14 of the support member 10.

이런 식으로, 등받이(66)가 바닥 부품(58)에 완전히 결합된다.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받침부가 등받이(66)의 전방에서 바닥 부품에 기대어 놓이게 되어 후방 좌석을 형성한다.In this way, the backrest 66 is fully engaged with the bottom part 58. Therefore, the not-shown support portion is leaned against the floor part in front of the backrest 66 to form a rear seat.

Claims (10)

자동차 내의 후방 좌석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바닥 부품(58)으로서,
바닥 부품(58)은 후방 영역(56)을 가지며, 상기 후방 좌석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후방 영역의 수직에 위치하는 후방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 영역은 두 개의 측방 가장자리(60, 62)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 좌석은, 후방 가장자리를 갖는 받침부와, 상기 후방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받침부에 대해 기울어지게 장착될 수 있는 등받이(66)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좌석의 단일의 등받이(66)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측방 가장자리들(60, 62) 사이에서 상기 후방 영역(56)에 기대어 놓이도록 장착되는 지지 부재(1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10)는 상기 후방 영역(56)에 결합되는 기부(base portion; 12)와 상기 기부(12)에 비해 경사진 고정부(14)를 구비하며, 상기 등받이(66)는 상기 고정부(1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부품(58).
A floor part (58) of an automobile including a rear seat fixing device in an automobile,
The bottom part 58 has a rear area 56, and includes a rear space located perpendicular to the rear area to accommodate the rear seat, the rear area having two lateral edges 60, 62 and,
The rear seat includes a base portion having a rear edge and a backrest 66 that can be mount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along the rear edge,
A support member (10) mounted to lean against the rear area (56) between the lateral edges (60, 62) to support a single backrest (66) of the rear seat,
The support member 10 has a base portion 12 coupled to the rear region 56 and a fixed portion 14 inclined compared to the base 12, and the backrest 66 is the high Floor part (58)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top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10)가 상기 측방 가장자리들(60, 62)로부터 실질적으로 등거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부품.
According to claim 1,
A bottom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member (10) is mounted substantially equidistant from the lateral edges (60, 62).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12)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고정부(14)는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부품.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12 is exten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xing part 14 is a floor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along a transverse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4)는 수용면과 상기 수용면 주위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측 테두리(42, 4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부품.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art 14 has a receiving part and a bottom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ower edge (42, 44) partially extending around the receiving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66)는, 상기 수용면에 기대어 놓이고 상기 하측 테두리(42, 44)에 닿게 되는 고정 수단(70, 72)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부품.
The method of claim 5,
The backrest (66) comprises at least one fixing means (70, 72) that rests against the receiving surface and contacts the lower rim (42, 4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면은 상기 기부(12)를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평균 평면에 대해 서로 대칭인 두 개의 부분들(16, 1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부품.
The method of claim 5,
The receiving surface has two parts (16, 18)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average plane perpendicular to the base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부분들(16, 18)이 각각 구멍(30, 32)과 상기 구멍의 연장부에 너트를 형성하는 고리(50, 5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부품.
The method of claim 6,
The bottom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parts (16, 18) have holes (30, 32) and rings (50, 52) forming a nut in the extension of the hole, respectivel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4)가 상기 저지용 하측 테두리(42, 44)의 맞은 편에 상기 수용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상부 안내 베인들(38, 4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부품.
The method of claim 5,
A bottom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art (14) has upper guide vanes (38, 40) extending from the receiving surface opposite the lower rims (42, 44) for block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테두리(42, 44)가 상기 기부(12) 둘레에서 고정부(14)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부품.
The method of claim 5,
The bottom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rims (42, 44) are continuously extended from the fixing part (14) around the base (12).
KR2020170000510U 2016-01-26 2017-01-26 Bottom part of a motor vehicle KR200491358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0588 2016-01-26
FR1650588A FR3046965B1 (en) 2016-01-26 2016-01-26 UNDERBODY ELEMENT OF A MOT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777U KR20170002777U (en) 2017-08-03
KR200491358Y1 true KR200491358Y1 (en) 2020-03-25

Family

ID=55486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510U KR200491358Y1 (en) 2016-01-26 2017-01-26 Bottom part of a motor vehic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1358Y1 (en)
FR (1) FR304696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2606A (en) * 2011-04-28 2012-11-29 Suzuki Motor Corp Vehicle rear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4947U (en) * 1990-03-30 1991-12-18
FR2732280B1 (en) * 1995-04-03 1997-06-06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REINFORCEMENT DEVICE FOR REAR SEAT OF MOTOR VEHICLE, AND SEAT COMPRISING SUCH A DEVICE
FR2974336B1 (en) * 2011-04-21 2013-08-0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FIXING DEVICE WITH ANTI-ROTATION BLOCKING MEANS FOR FIXING THE VEHICLE FLOOR TO A SEAT BACK FITTED TO THE ATTACHMENT OF A REMOVABLE DEVICE
KR20130068976A (en) * 2011-12-16 2013-06-26 (주)브이이엔에스 Automobile
DE102012021286A1 (en) * 2012-10-29 2013-12-12 Audi Ag Retainer bearing for folding backrest of rear seat of vehicle, has side portions that are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at upper front end and are welded with free edges of metal sheet tab to form lower front end portion
FR3018763B1 (en) * 2014-03-18 2017-12-01 Renault Sas REAR STRUCTURE OF MOTOR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2606A (en) * 2011-04-28 2012-11-29 Suzuki Motor Corp Vehicle rea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777U (en) 2017-08-03
FR3046965A1 (en) 2017-07-28
FR3046965B1 (en) 202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5675B2 (en) Lock unit for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US20130020822A1 (en) Vehicle body structure
CN104512296A (en) Seat frame of conveyance seat
US20180361940A1 (en) Device for suspending objects from a motor vehicle seat
US10493892B2 (en) Utility vehicle
CN204149855U (en) A kind of cap assembly of fuel filler and automobile
JP6187495B2 (en) Upper back panel structure for vehicles
KR200491358Y1 (en) Bottom part of a motor vehicle
US20170253111A1 (en) Door structure of vehicle
FR3056504A1 (en) SUPPORT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1798239A (en) Luggage carrier
JP5878321B2 (en) Leg cover and vehicle seat provided with the leg cover
US20130241252A1 (en) Motor vehicle rear seat
EP3131783B1 (en) Automotive vehicle fitted with a rear light weight seat bench
JP6450975B2 (en) Vehicle seat
US11124124B2 (en) Cargo area partition system for a vehicle
JP5713177B2 (en) Car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FR2898563A1 (en) ARRANGEMENT FOR THE MOUNTING OF AN INTERIOR CLADDING ELEMENT ON A BODY STRUCTURE ELEMENT
US11865879B2 (en) Vehicle body structure
JP5710884B2 (en) Hook device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instrument panel
FR3082799A1 (en) OBJECT RECEPTION SYSTEM BEHIND A MOTOR VEHICLE SEAT BACK
JP2019026130A (en) Vehicle cargo holding structure
FR2990403A1 (en) REINFORCED FIXING DEVICE FOR A FENDER ON A CASH WALL
EP2058211B1 (en) Front bonnet of an automobile
JP6507720B2 (en) Jack fixing bracke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