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353Y1 - Fuse - Google Patents

F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353Y1
KR200491353Y1 KR2020150005618U KR20150005618U KR200491353Y1 KR 200491353 Y1 KR200491353 Y1 KR 200491353Y1 KR 2020150005618 U KR2020150005618 U KR 2020150005618U KR 20150005618 U KR20150005618 U KR 20150005618U KR 200491353 Y1 KR200491353 Y1 KR 2004913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xternal
external terminal
external connection
f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61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0786U (en
Inventor
이기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5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353Y1/en
Publication of KR201700007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78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3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35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퓨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퓨즈는 소형화와 외부단자(32)의 체결작업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퓨즈의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하는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버스바(12)가 일체로 설치된다. 상기 버스바(12)는 제1외부연결부(18), 제2외부연결부(22) 그리고 과부하시에 녹아서 끊어지는 용단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1외부연결부(18)와 제2외부연결부(22)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어 각각 배터리측 및 부하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외부연결부(22)에는 체결볼트(24)가 돌출되어 있는데, 이에는 외부단자(32)가 설치되어 체결너트(50)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체결너트(50)가 전동공구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외부단자(32)가 상기 체결볼트(24)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외부단자(32)의 결합부(36)에는 걸이편(40)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에는 걸이단(25)과 밀착단(26)이 형성된다. 또한, 퓨즈와 외부단자(32)를 포함하는 구성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에서 상기 제2외부연결부(22)의 일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부분에 만입부(28)를 형성한다. 상기 만입부(28)의 중앙에는 걸이홈(30)이 형성되어 외부단자(32)의 오목비드(42)가 걸어지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se. The f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to be easy and accurate in miniaturization and fastening of the external terminal (32). A housing 10 forms the skeleton of the fuse, and a bus bar 12 is integrall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 The bus bar 12 is composed of a first external connecting portion 18, a second external connecting portion 22 and a melting end portion that melts and breaks during overload. The first external connection portion 18 and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portion 22 are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nd are respective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side and the load side. A fastening bolt 24 protrudes from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portion 22, and an external terminal 32 is installed to be fastened and fastened by a fastening nut 50. When the fastening nut 50 is rotated by a power tool, a hook piece is attached to the engaging portion 36 of the outer terminal 32 so that the outer terminal 32 does not rotate around the fastening bolt 24. 40 is formed, the housing 10 is formed with a hook end 25 and a close contact end 26. In addi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space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fuse and the external terminal 32, the indentation 28 is provided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one edge of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portion 22 in the housing 10. To form. A hook groove 3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dentation 28 so that the concave bead 42 of the external terminal 32 is hung.

Description

퓨즈{Fuse}Fuse {Fuse}

본 고안은 퓨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퓨즈의 출력부에 결합되는 단자가 체결너트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퓨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se that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terminal coupled to the output of the fuse from rotating with the rotation of the fastening nut.

퓨즈는 과전류가 흐를 때 용단부가 녹아 끊어지면서 과전류가 전장품쪽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전장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배터리에서 전장품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 상에 퓨즈가 설치된다.The fuse is to prevent damage to the electrical components by blocking the flow of the overcurrent to the electrical components as the fuse melts and breaks when the overcurrent flows. In general, a fuse is installed on a path where power is supplied from an automobile battery to an electrical appliance.

상기 퓨즈는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하우징 내에 연결부들과 용단부가 형성된 버스바가 구비되어 만들어진다. 상기 버스바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The fuse is made of a housing made of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and is provided with a bus bar formed with connecting parts and a fusing part. The bus bar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최근에 자동차의 연비 향상 때문에 자동차를 소형 경량화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모든 부품의 소형 경량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퓨즈에도 소형화 및 경량화가 필요하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of automobiles has been demanded due to improved fuel efficiency of automobiles. For this,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of all parts used in automobil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of the fuse.

그리고, 상기 퓨즈에는 연결부 중 하나에 체결볼트가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체결볼트가 외부단자를 관통하고 상기 체결볼트에 체결너트가 체결되어 상기 외부단자가 상기 연결부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은 작업을 위해 상기 외부단자를 상기 연결부에 안착시키고 상기 체결너트를 상기 체결볼트에 체결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서 전동공구를 사용하는데, 상기 전동공구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체결너트 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단자도 함께 회전하면서 심한 경우 상기 하우징을 손상시키는 경우도 발생한다.In addition, a fastening bolt is installed through one of the connecting portions in the fuse, the fastening bolt penetrates the external terminal, and a fastening nut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bolt, so that the external terminal is fixed to the connection portion and fixed. For this operation, the external terminal is seated on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operation of fastening the fastening nut to the fastening bolt is performed. To this end, an electric tool is used. In some cases, the housing is damag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lectric tool, and the outer terminal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fastening nut.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 20-2013-0003867 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2013-0003867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퓨즈에서 외부단자와의 연결을 위한 제2연결부의 영역을 최소화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minimize the area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on to the external terminal in the fus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부단자와의 연결을 위한 제2연결부의 영역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외부단자가 체결너트의 회전을 위한 전동공구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area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terminal and to prevent the external terminal from being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ower tool for rotation of the fastening nu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외부연결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외부연결부와 상기 제1외부연결부와 제2외부연결부를 연결하고 과부하가 흐를 때 녹아서 끊어지는 용단부를 포함하는 버스바와, 상기 제2외부연결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의 다른 외면부분보다 내부로 후퇴되어 상기 제2외부연결부에 결합되는 외부단자가 위치되는 만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단자의 결합부에 있는 걸이편이 걸어지는 걸이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만입부의 반대쪽의 제2외부연결부 가장자리에 대응되게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외부단자의 결합부가 밀착되어 회전을 방지하는 밀착단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단과 상기 밀착단의 사이에 걸이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단자의 결합부에 있는 걸이편이 안착된다.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a first external connection unit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the A bus bar including a second external connection part which is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a first external connection part and a second external connection part, and a melting end that melts and breaks when an overload flows, and the second external part. I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one edge of the connection part, and includes an indentation part in which an external terminal is retracted inwardly than the other outer surface part of the housing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part. A hook end on which a hook piece is hung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has a second outer connection par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dentation part. In correspondence with the edge, the housing is formed with a contact end that prevents rotation due to close contact with the coupling por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and a hanger space is formed between the hook end and the contact end to secure the hanger piece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do.

삭제delete

상기 만입부의 중간부에는 오목하고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걸이홈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단자에 형성된 오목비드가 안착된다.In the middle of the indentation, a concave and a hook groove penetrating the housing is formed to seat the concave bead formed on the external terminal.

상기 제2외부연결부를 관통하여서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체결볼트가 돌출되고 상기 체결볼트가 상기 외부단자의 결합부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에 체결너트가 체결된다.A fastening bolt fixed to the housing protrudes through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part, and a fastening nut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bolt in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bolt penetrates through a hole formed in a coupling por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본 고안에 의한 퓨즈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e f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먼저, 본 고안에서는 퓨즈의 골격을 구성하는 하우징에서 제2외부연결부가 구비되는 영역에 터미널의 걸이편이 걸어지는 걸이단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단과 협력하여 걸이공간을 형성하도록 밀착단이 있으며, 상기 제2외부연결부에서 상기 밀착단의 반대쪽 가장자리에는 걸이홈이 형성되어 외부단자가 체결너트의 체결을 위한 전동공구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ousing constituting the skeleton of the fuse, a hook end on which the hook side of the terminal is hung is formed in an area provided with a second external connection part, and there is a close contact end to form a hook space in cooperation with the hook end, 2 In the external connection portion, a hook groove is formed at the opposite edge of the contact end, so that the external terminal is prevented from being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ower tool for fastening the fastening nut.

그리고, 본 고안에서 상기 걸이홈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부분이 하우징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만입되어 있어 그 구분에 외부단자가 위치되어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퓨즈와 외부단자가 필요로 하는 공간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 of the housing in which the hook groove is formed is relatively indented compared to other parts of the housing, so that an external terminal is positioned and extended in the division to minimize the space required by the fuse and the external terminal as a whole. There i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퓨즈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퓨즈와 이에 결합되는 외부단자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례의 퓨즈에 외부단자가 체결너트에 의해 체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use shown in Figure 1 and the external terminal coupled thereto.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ternal terminal is fastened by a fastening nut to the fuse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interfere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퓨즈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2)에 일체로 버스바(12)가 설치된다. 상기 버스바(12)는 인서트사출에 의해 상기 하우징(12)에 일체로 설치된다.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housing 10 forms the exterior and skeleton of the fuse. The housing 10 is made of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A bus bar 12 is integrally installed in the housing 12. The bus bar 12 is integrally installed in the housing 12 by insert injection.

상기 버스바(12)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제1외부연결부(18)와 제2외부연결부(22) 그리고 제1외부연결부(18)와 제2외부연결부(22)를 연결하고 과전류가 흐를 때 녹아서 끊어지는 용단부(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된다.The bus bar 12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and includes a first outer connecting portion 18 and a second outer connecting portion 22 and a first outer connecting portion 18 and a second outer connecting portion 22 to be described below. It consists of a melting end (not shown) that connects and melts and breaks when overcurrent flows.

상기 하우징(10)에서 상기 용단부가 위치되는 부분은 용단공간(14)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용단공간(14)은 용단부커버(16)에 의해 외부와 차폐되나, 상기 용단부커버(16)는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이어서 외부에서 상기 용단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In the housing 10, a portion in which the fusion part is located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housing 10 as a fusion space 14. The fusing space 14 is shielded from the outside by the fusing part cover 16, but the fusing part cover 16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o check the state of the fusing part from the outside.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상기 버스바(12)의 일측인 제1외부연결부(18)가 일부 노출된다. 상기 제1외부연결부(18)에는 체결공(20)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20)에는 배터리단자(도시되지 않음)가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단자에 체결되는 배터리너트에 의해 체결된다.A portion of the first external connection portion 18, which is one side of the bus bar 12, is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 fastening hole 20 is formed through the first external connection portion 18. A battery terminal (not shown) is install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20 and is fastened by a battery nut fastened to the battery terminal.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상기 버스바(12)의 타측인 제2외부연결부(22)가 일부 노출된다. 상기 제2외부연결부(22)를 관통하여서 상기 하우징(10)에는 체결볼트(24)가 설치된다. 상기 체결볼트(24)는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버스바(12)의 제2외부연결부(22)를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다. 상기 체결볼트(2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너트(50)가 체결되어 외부단자(32)를 제2외부연결부(22)에 체결하게 된다.A portion of the second outer connection portion 22, which is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12, is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 fastening bolt 24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0 by penetrating through the second external connecting portion 22. The fastening bolt 24 is fixedly installed in the housing 10 and protrudes through the second outer connection portion 22 of the bus bar 12. A fastening nut 50 to be described below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bolt 24 to fasten the external terminal 32 to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part 22.

상기 제2외부연결부(22)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걸이단(25)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단(25)은 상기 제2외부연결부(22)가 노출된 부분의 가장자리에 돌출되어 있다. 상기 걸이단(25)의 가상의 연장선과 직교하게 밀착단(26)이 상기 제2외부연결부(22)가 노출된 부분의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상기 밀착단(2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외부단자(32)의 결합부(36)의 일측 가장자리가 안착된다. 상기 걸이단(25)과 상기 밀착단(26)이 협력하여 걸이공간(27)을 형성한다. 상기 걸이공간(2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외부단자(32)의 걸이편(40)이 안착되어 상기 걸이단(25)에 걸어져 전동공구의 회전력을 버티게 된다.A hook end 2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 in a portion where the second external connecting portion 2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The hook end 25 protrudes from the edge of the exposed portion of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portion 22. The orthogonal end 26 orthogonally to the virtual extension line of the hook end 25 forms an edge of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22 is exposed. One edge of the coupling portion 36 of the external terminal 32 to be described below is seated on the close contact end 26. The hook end 25 and the close contact end 26 cooperate to form a hanger space 27. In the hanger space 27, a hanger piece 40 of the external terminal 32,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s seated and hooked to the hanger end 25 to withst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ower tool.

본 고안에서는 상기 밀착단(26)에도 외부단자(32)의 결합부(36)의 일측 가장자리가 밀착되어 안착된다. 상기 밀착단(26)에 결합부(36)의 일측 가장자리가 밀착됨에 의해 외부단자(32)의 전동공구에 의한 회전이 방지된다.In the present design, one edge of the coupling portion 36 of the external terminal 32 is also in close contact with the close contact end 26 and is seated. Rotation by the power tool of the external terminal 32 is prevented by one side edge of the coupling portion 36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end 26.

상기 하우징(10)에서 상기 버스바(12)의 제2외부연결부(22)가 노출되는 영역의 선단은 만입부(28)로 된다. 상기 만입부(28)는 상기 하우징(10)의 다른 주변부에 비해 내측으로 후퇴되어 있다. 상기 만입부(28)는 아래에서 설명될 외부단자(32)가 연장되어 위치되는 공간이 된다. 이와 같이 만입부(28)가 형성되어 외부단자(32)가 위치됨에 의해 외부단자(32)가 퓨즈의 하우징(10)에서 돌출되는 정도가 최소화되어 퓨즈와 외부단자(32)가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the housing 10, the tip of the region where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portion 22 of the bus bar 12 is exposed becomes the indentation portion 28. The indentation 28 is retracted inward compared to other peripheries of the housing 10. The indentation 28 is a space where the external terminal 32 to be described below is extended. In this way, the indentation 28 is formed to minimize the degree to which the external terminal 32 protrudes from the housing 10 of the fuse by minimizing the space occupied by the fuse and the external terminal 32 by positioning the external terminal 32. Can be.

상기 만입부(28)가 형성된 하우징의 가장자리 중앙에는 걸이홈(30)이 오목하게 들어가서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30)은 상기 하우징(10)을 도면 상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홈(3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외부단자(32)의 오목비드(42)가 안착된다. 상기 걸이홈(30)에 상기 오목비드(42)가 안착됨에 의해 외부단자(32)가 상기 하우징(10)에 대해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the center of the edge of the housing in which the indentation 28 is formed, a hook groove 30 is recessed and formed. The hook groove 30 is formed to penetrate the housing 10 vertically. In the hook groove 30, a concave bead 42 of an external terminal 32 to be described below is seated. When the concave bead 42 is seated on the hook groove 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ternal terminal 32 from flowing relative to the housing 10.

외부단자(32)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외부단자(32)는 상기 제2외부연결부(22)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퓨즈가 부하측과 연결되도록 한다. 외부단자(32)에는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이 결합되는 케이블결합부(34)가 있다. 상기 케이블결합부(34)는 일반적인 단자의 바렐부형태이다.The external terminal 32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The external terminal 32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portion 22 so that the fuse is connected to the load side. The outer terminal 32 has a cable coupling portion 34 to which a cable (not shown) is coupled. The cable coupling portion 34 is in the form of a barrel portion of a general terminal.

상기 외부단자(32)의 일단부에는 결합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36)는 대략 사각판형상이다. 상기 결합부(36)에는 상기 체결볼트(24)가 관통하는 통공(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36)의 일측 모서리에는 걸이편(40)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걸이편(40)은 상기 걸이공간(27)에 안착되고, 회전력이 가해지면 상기 걸이단(25)에 걸어지게 된다.A coupling portion 36 is formed at one end of the external terminal 32. The engaging portion 36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 through hole 38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lt 24 passes is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36. The hook piece 40 protrudes from one edge of the coupling portion 36. The hanger piece 40 is seated in the hanger space 27, and is applied to the hanger end 25 when a rotational force is applied.

상기 결합부(36)의 일측 단부중 상기 걸이홈(30)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오목비드(42)가 형성된다. 상기 오목비드(42)는 상기 외부단부(32)를 외부에서 볼 때, 오목하게 들어간다. 하지만, 반대쪽에서 보면 볼록하게 튀어나온 비드 형상이다. 상기 오목비드(42)는 상기 걸이홈(30)에 안착되어 외부단자(32)가 상기 체결볼트(24)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게 한다.A concave bead 42 is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 groove 30 of on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36. The concave bead 42 enters concavely when the external end 32 is viewed from the outside. However, when viewed from the opposite side, it is a bead shape that protrudes convexly. The concave bead 42 is seated on the hook groove 30 so that the external terminal 32 is not rotated around the fastening bolt 24.

상기 외부단자(32)의 결합부(36)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체결너트(50)에 의해 상기 제2외부연결부(22)의 표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외부단자(32)와 퓨즈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The coupling portion 36 of the external terminal 32 is fixed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portion 22 by a fastening nut 50 as shown in FIG. 4. By doing so,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external terminal 32 and the fuse is mad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퓨즈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at the f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used.

본 고안의 퓨즈는 예를 들면 배터리에 직접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외부연결부(18)에 형성된 체결공(20)에 배터리단자가 관통하여 돌출되게 하고, 상기 배터리단자에 배터리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제1외부연결부(18)가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The fus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example, mounted directly on a battery. That is, the battery terminal penetrates and protrudes through the fastening hole 20 formed in the first external connection portion 18, and the battery terminal is fastened to the battery terminal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external connection portion 18 to the battery. As possible.

그리고, 상기 제2외부연결부(22)에는 상기 외부단자(32)가 장착된다. 상기 외부단자(32)는 상기 결합부(36)가 상기 제2외부연결부(22)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체결볼트(24)가 상기 결합부(36)의 통공(38)을 관통하게 하고, 상기 걸이편(40)이 상기 걸이공간(27)에 안착되게 하여 상기 결합부(36)가 상기 제2외부연결부(22)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24)에 체결너트(50)를 체결한다.In addition, the external terminal 32 is mounted on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portion 22. The external terminal 32 is installed such that the coupling portion 3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portion 22. That is, the fastening bolt 24 allows the through hole 38 of the engaging portion 36 to pass through, and the hook piece 40 is seated in the hanging space 27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36 is the It is to be seated on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22). In this state, the fastening nut 5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bolt 24.

상기 결합부(36)가 상기 제2외부연결부(2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36)의 일측 가장자리는 상기 밀착단(26)에 밀착된다. 상기 걸이편(40)은 상기 걸이공간(27)에 안착되어 상기 걸이단(25)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오목비드(42)에서 외부단자(32)의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상기 걸이홈(30)에 안착되어 걸어진다.When the coupling portion 36 is seated on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portion 22, one edge of the coupling portion 3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ose contact end 26. The hanger piece 40 is seated in the hanger space 27 and is hung on the hanger end 25. Th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oncave bead 42 to the inside of the outer terminal 32 is seated on the hook groove 30 and is hung.

따라서, 상기 체결볼트(24)에 상기 체결너트(50)를 체결하기 위해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체결너트(50)에 회전력을 주더라도 상기 결합부(36), 다시 말해 상기 외부단자(32)는 상기 체결너트(50)가 회전되는 회전력에 의해 함께 회전하지 않고 잘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는 상기 걸이편(40)이 상기 걸이단(25)에 걸어지고, 상기 결합부(36)의 일측 가장자리 전체가 상기 밀착단(26)에 밀착되며, 상기 오목비드(42)가 상기 걸이홈(30)에 걸어져 있기 때문이다.Therefore, even if a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fastening nut 50 by using a power tool to fasten the fastening nut 50 to the fastening bolt 24, the coupling portion 36, that is, the external terminal 32 The fastening nut 50 is well fixed without rotating together by the rotating force. This is the hook piece 40 is hooked to the hook end 25, the entire edge of one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3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end 26, the concave bead 42 is the hook groove ( 30).

이와 같이 외부단자(32)가 퓨즈의 체결볼트(24)에 대해서 상대 회전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게 되면, 외부단자(32)의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좋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36)뿐만 아니라 상기 오목비드(42)에 의해 외부단자(32) 전체적으로 퓨즈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체결너트(50)의 체결을 위한 작업중에 하우징(10) 쪽에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external terminal 32 is firmly fixed without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fastening bolt 24 of the fuse, the workability of the assembly opera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32 is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external terminal 32 is firmly fixed to the fuse as a whole by the concave beads 42 as well as the coupling portion 36, damage to the housing 10 occurs during the operation for fastening the fastening nut 50. Can be prevented.

한편, 상기 외부단자(32)가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됨에 있어서, 상기 만입부(28)의 존재에 의해 상기 외부단자(32)가 설치된 상태에서 전체 퓨즈의 외관이 차지하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퓨즈가 사용되는 자동차의 소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외부단자(32)가 연결된 상태의 퓨즈에는 퓨즈커버(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는데, 본 고안에서와 같이 상기 만입부(28)가 형성되어 외부단자(32)가 퓨즈의 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되면 상기 퓨즈커버의 구성이 상대적으로 소형화될 수 있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퓨즈(외부단자와 퓨즈커버포함)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ernal terminal 32 is mounted on the housing 10, the space occupied by the appearance of the entire fuse is relatively reduced when the external terminal 32 is installed by the presence of the indentation 28. do. This can help miniaturize the vehicle in which the fuse is used. For reference, a fuse cover (not shown) is mounted on the fuse in which the external terminal 32 is connected.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entation 28 is formed so that the external terminal 32 has a fuse housing 10 ) When minimizing the projecting to the outside, the configuration of the fuse cover can be relatively small, so that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of the fuse (including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fuse cover) can be minimized.

상기 퓨즈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터리단자에 제1외부연결부(18)가 결합되고, 상기 제2외부연결부에 부하쪽과 연결되는 외부단자(32)가 결합됨에 의해 배터리 측의 전원이 본 고안의 퓨즈를 통해서 부하쪽으로 전달되고, 과부하가 발생할 시에는 상기 용단공간(14) 내에 있는 상기 버스바(12)의 용단부가 녹아서 끊어져 더 이상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xternal connection part 18 is coupled to the battery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32 connected to the load side is coupled to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part, so that the power on the battery side is a f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ransferred to the load through, and when an overload occurs, the melting portion of the bus bar 12 in the melting space 14 is melted and cut to prevent further overload.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상기 오목비드(42)는 상기 걸이단(25)과 밀착단(26)에 의해 결합부(36)가 회전하지 않을 정도로 지지될 수 있는 경우라면 채용하지 않을 수 있다.For reference, the concave bead 42 may not be employed if the engaging portion 36 can be supported so as not to rotate by the hook end 25 and the close contact end 26.

10: 하우징 12: 버스바
14: 용단공간 16: 용단부커버
18: 제1외부연결부 20: 체결공
22: 제2외부연결부 24: 체결볼트
26: 밀착단 27: 걸이공간
28: 만입부 30: 걸이홈
32: 외부단자 34: 케이블결합부
36: 결합부 38: 통공
40: 걸이편 42: 오목비드
50: 체결너트
10: housing 12: bus bar
14: Yongdan space 16: Yongdan cover
18: first external connection 20: fastener
22: second external connection 24: fastening bolt
26: close contact 27: hanger space
28: indentation 30: hook groove
32: external terminal 34: cable coupling
36: engaging portion 38: through
40: hook side 42: concave bead
50: fastening nut

Claims (4)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외부연결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외부연결부와 상기 제1외부연결부와 제2외부연결부를 연결하고 과부하가 흐를 때 녹아서 끊어지는 용단부를 포함하는 버스바와,
상기 제2외부연결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의 다른 외면부분보다 내부로 후퇴되어 상기 제2외부연결부에 결합되는 외부단자가 위치되는 만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단자의 결합부에 있는 걸이편이 걸어지는 걸이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만입부의 반대쪽의 제2외부연결부 가장자리에 대응되게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외부단자의 결합부가 밀착되어 회전을 방지하는 밀착단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단과 상기 밀착단의 사이에 걸이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단자의 결합부에 있는 걸이편이 안착되며,
상기 제2외부연결부에서 상기 걸이공간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부분과 이와 인접한 상기 만입부에는 걸이단이 생략되어 개방된 형태로 열려 있고,
상기 만입부의 중간부에는 오목하고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걸이홈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단자에 형성된 오목비드가 안착되는 퓨즈.
Housing,
The first external connection part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externally connected part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A bus bar that connects the external connection portion with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portion, and includes a fusing portion that melts and breaks when an overload flows;
I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one edge of the second outer connection portion and includes an indentation portion in which an external terminal is retracted inwardly than the other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housing and coupled to the second outer connection portion,
A hook end on which a hook piece o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is hung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corresponds to an edge of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dentation,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to prevent rotation. A close contact end is formed,
A hanger space is formed between the hook end and the close contact end so that the hanger piece in the engaging portion of the outer terminal is seated.
In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portio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hanger space and the indentation portion adjacent thereto are omitted in the opening, and are opened in an open form.
In the middle of the indentation, a concave and a hook groove passing through the housing is formed so that a concave bead formed in the external terminal is se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외부연결부를 관통하여서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체결볼트가 돌출되고 상기 체결볼트가 상기 외부단자의 결합부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에 체결너트가 체결되는 퓨즈.The fastening bolt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bolt in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bolt fixed to the housing protrudes through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part and the fastening bolt penetrates through a hole formed in a coupling por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Fu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50005618U 2015-08-21 2015-08-21 Fuse KR20049135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618U KR200491353Y1 (en) 2015-08-21 2015-08-21 F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618U KR200491353Y1 (en) 2015-08-21 2015-08-21 F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786U KR20170000786U (en) 2017-03-02
KR200491353Y1 true KR200491353Y1 (en) 2020-03-25

Family

ID=58412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618U KR200491353Y1 (en) 2015-08-21 2015-08-21 F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353Y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7536B2 (en) * 2008-10-22 2013-06-12 矢崎総業株式会社 Electrical junction box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3867U (en) 2011-12-20 2013-06-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use having jump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7536B2 (en) * 2008-10-22 2013-06-12 矢崎総業株式会社 Electrical junction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786U (en)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2892B2 (en) Fusible link unit accommodated in in-vehicle electrical connection box
JP6262159B2 (en) Fuse unit
WO2016114068A1 (en) Fuse unit
WO2012046744A1 (en) Power source circuit breaker
JP6183701B2 (en) Directly attached battery fusible link
JP5586241B2 (en) Fusible link unit
US9972823B2 (en) Fusible link
CN105992855A (en) Side-door lock for a motor vehicle
KR200491353Y1 (en) Fuse
US20060066436A1 (en) Fuse for high-current applications
JP2010061813A (en) Fuse block
CN211788895U (en) Structure for increasing bonding strength of plastic fuse
JP6498533B2 (en) Fuse unit
KR102132033B1 (en) Junction-box
KR100353926B1 (en) Locking structure of fuse box cover of automobile
EP2784253A1 (en) Electrical installation box
KR20190021158A (en) Multiple fuse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using said multiple fuse device
KR102444188B1 (en) Fuse unit mounted on battery
US10636605B2 (en) Fusible link unit
CN218940672U (en) SPD backup protector and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with same
JP6586360B2 (en) Fusible link unit
JP6643889B2 (en) Fusible link unit
KR102088885B1 (en) Junction-box
JP2019053956A (en) Battery cover
KR20150062579A (en) Multi f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