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260Y1 - 자동차 테일게이트 푸시로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테일게이트 푸시로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260Y1
KR200491260Y1 KR2020180002002U KR20180002002U KR200491260Y1 KR 200491260 Y1 KR200491260 Y1 KR 200491260Y1 KR 2020180002002 U KR2020180002002 U KR 2020180002002U KR 20180002002 U KR20180002002 U KR 20180002002U KR 200491260 Y1 KR200491260 Y1 KR 2004912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gate
open
push rod
opening
clos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0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852U (ko
Inventor
광밍 양
Original Assignee
광저우 창이 오토 파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저우 창이 오토 파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저우 창이 오토 파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1800020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260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8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8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2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테일게이트 푸시로드 장치를 제공하고, 자동차 부품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테일게이트의 푸시로드가 이동 경로 내의 임의의 위치에 정지되지 못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였다. 당해 장치는 구구동 장치, 전동 장치 및 개폐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기구와 자동차 테일게이트는 연결되며; 상기 구동 장치의 동력 수출단은 상기 전동 장치를 통해 상기 개폐 기구와 전동 연결되며; 상기 개폐 기구는 개폐 상태와 자체 잠금 정지 상태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장치가 가동된 후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개폐 기구를 구동하여 자체 잠금 정지 상태로부터 개폐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자동차 테일게이트를 열거나 또는 닫을 수 있으며, 상기 구동 장치가 정지된 후 상기 개폐 기구는 내부 저항의 작용하에 자동으로 개폐 상태로부터 자체 잠금 정지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자동차 테일게이트를 정지시키고, 상기 개폐 기구는 상기 자동차 테일게이트를 이동 경로 내의 임의의 위치에 정지시킨다.

Description

자동차 테일게이트 푸시로드 장치{A mechanical device for electric rear door double push rod}
본 고안은 자동차 부품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테일게이트 푸시로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테일게이트를 가동하는 방식은 주요하게 두 종류가 있다. 저급 차량 모델은 순수 수동으로 가동하는 방식을 이용하거나 또는 차량내 버튼 + 수동으로 가동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지한 이러한 전통적인 가동 방식은 대부분 트렁크 테일게이트를 완전히 열리도록 할 수는 없었다. 현재 선진적인 SUV차량은 전동식 푸시로드를 설치하여 트렁크 테일게이트를 가동시키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바, 수동으로 트렁크 테일게이트 개폐 과정을 완성할 필요가 없고, 손으로 트렁크 덮개를 덮을 필요가 없이 트렁크의 닫기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된다. 자동차 테일게이트 개폐 과정의 자동화는 사람들의 출행을 매우 편리하게 하였다.
본 출원인은 종래 기술 중에 적어도 이하와 같은 기술적 과제가 존재하는 것을 발견했다.
시중에서 시판되는 자동차 테일게이트의 개폐 상태는 전부 열리거나 또는 전부 닫길 수 밖에 없기에, 푸시로드 장치는 수요에 따라 테일게이트를 이동 경로 내의 임의의 위치에 정지시킬 수 없으며, 따라서 물품을 넣거나 꺼내는 효율이 높지 못하고 편리하지 못하다.
또한, 단일 로트 테일게이트는 장기간 사용될 때, 개폐 과정에서 테일게이트가 받는 압력이 평형되지 않기에 테일게이트의 변형을 초래하며, 더욱 엄중한 것은 테일게이트가 완전히 닫길 수 없는 현상이 초래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수동, 전동식 이중 용도의 자동차 테일게이트 푸시로드 장치를 제공하여, 종래 기술 중에 존재하는 자동차 테일게이트의 푸시로드가 이동 경로 내의 임의의 위치에 정지되지 못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여러 기술안 중의 바람직한 기술안에 의한 기술적 효과는 하기 설명이 참조된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이하의 기술안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자동차 테일게이트 푸시로드 장치는 구동 장치, 전동 장치 및 개폐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기구와 자동차 테일게이트는 연결되며; 상기 구동 장치의 동력 수출단은 상기 전동 장치를 통해 상기 개폐 기구와 전동 연결되며; 상기 개폐 기구는 개폐 상태와 자체 잠금 정지 상태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장치가 가동된 후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개폐 기구를 구동하여 자체 잠금 정지 상태로부터 개폐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자동차 테일게이트를 열거나 또는 닫을 수 있으며, 상기 구동 장치가 정지된 후 상기 개폐 기구는 내부 저항의 작용하에 자동으로 개폐 상태로부터 자체 잠금 정지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자동차 테일게이트를 정지시키고, 상기 개폐 기구는 상기 자동차 테일게이트를 이동 경로 내의 임의의 위치에 정지시킨다.
옵션으로서, 상기 푸시로드 장치의 수량은 적어도 두 개이고, 적어도 두 개의 상기 푸시로드 장치는 모두 상기 자동차 테일게이트 상에 분포된다.
적어도 두 개의 푸시로드는 모두 자동차 테일게이트 상에 분포되기에, 테일게이트 각 위치에서 받는 압력의 불평형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상기 개폐 기구는 외측 튜브, 나사 맨드렐 및 너트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튜브는 상기 나사 맨드렐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너트 튜브의 정단은 너트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너트 튜브는 상기 외측 튜브에 삽입되고 상기 너트를 통해 상기 나사 맨드렐과 나사 연결된다.
나사 맨드렐과 너트가 결합하는 방식을 이용하기에, 전동을 평형시키고, 신뢰성이 있으며, 개폐 기구의 자체 잠금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전동 장치는 2단 평행 헬리컬 기어로서, 제1 헬리컬 기어、제2 헬리컬 기어 및 제3 헬리컬 기어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1 헬리컬 기어의 기어 샤프트와 상기 구동 장치의 수출 축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3 헬리컬 기어의 기어 샤프트와 상기 나사 맨드렐은 고정 연결된다.
평행 헬리컬 기어 전동을 통해, 전동이 평형되고, 소음이 작다.
옵션으로서, 상기 구동 장치는 감속 모터이다.
전동식 방식 구동을 이용하기에, 자동화 정도가 높고, 제어하기 용이하고, 차에서 내리지 않고서도 자동차 테일게이트에 대한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상기 감속 모터의 모터 축과 상기 나사 맨드렐의 축선이 평행되기에, 감속 모터는 높은 공간을 점유하지 않고 구조가 컴팩트하고 합리적이다.
옵션으로서, 적어도 두 개의 상기 푸시로드 장치 중의 임의의 푸시로드 장치의 상기 감속 모터의 모터 축 상에는 자석이 설치되고, 대응된 모터 회로 기판 상에는 홀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자석과 상기 홀 센서 사이의 작용을 통해 상기 자동차 테일게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확한 제어를 실현한다.
홀 감응 원리를 이용하여 자동차 테일게이트의 경로를 제어하기에. 정확도가 높다.
옵션으로서, 차량 운전실 내 또는 상기 자동차 테일게이트 상에는 제어 버튼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 버튼은 상기 감속 모터의 모터 회로 기판과 전기 연결되고, 상기 제어 버튼은 상기 감속 모터의 스위칭 및 정회전과 역회전을 제어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외측 튜브의 저단에는 상기 너트 튜브를 가이드하는 가이더가 설치된다.
옵션으로서, 상기 푸시로드 장치는 프론트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 및 상기 전동 장치는 모두 상기 프론트 시트 내에 설치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자동차 테일게이트 푸시로드 장치는 구동 장치, 전동 장치 및 개폐 기구를 포함하고, 개폐 기구는 자동차 테일게이트와 연결되고; 개폐 기구는 개폐 상태와 자체 잠금 정지 상태를 구비하고, 구동 장치가 가동된 후 구동 장치는 개폐 기구를 구동하여 자체 잠금 정지 상태로부터 개폐 상태로 전환되어 자동차 테일게이트를 열거나 또는 닫을 수 있으며, 구동 장치가 정지된 후 개폐 기구는 내부 저항의 작용하에 자동으로 개폐 상태로부터 자체 잠금 정지 상태로 전환되어 자동차 테일게이트를 정지시키고, 개폐 기구는 상기 자동차 테일게이트를 이동 경로 내의 임의의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는 바, 전통적인 자동차 테일게이트는 전부 열리거나 또는 전부 닫길 수 밖에 없는 것에 비해, 수요에 따라 자동차 테일게이트의 개구를 제어할 수 있고, 편리하고 빠르며, 효율이 높다.
본 고안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 중의 기술안을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 중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간단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도면은 다만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로서, 창의적인 작업이 없이 이러한 도면에 근거하여 기타 도면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의 자동차 전동식 테일게이트 더블 푸시로드 장치의 우측 푸시로드가 자동차 테일게이트 닫김 상태에서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2는 우측 푸시로드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3은 도1 중의 우측 푸시로드가 자동차 테일게이트 열림 상태에서의 상태 모식도이다.
도4는 자동차 전동식 테일게이트 더블 푸시로드 장치의 좌측 푸시로드가 자동차 테일게이트 닫김 상태에서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5는 도4 중의 우측 푸시로드가 자동차 테일게이트 열림 상태에서때의 상태 모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 볼헤드 위치제한 브라켓; 2: 실리콘 패드; 3: 볼헤드 커넥터; 4: 나사; 5: 베어링; 6: 그로밋; 7: 제1 헬리컬 기어; 8: 기어 샤프트b; 9: 제3 헬리컬 기어; 10: 베어링 캡; 11: E형 서클립; 12: 너트; 13: 베어링 블록; 14: 외측 튜브; 15: 너트 튜브; 16: 나사 맨드렐; 17: 가이더 조립체; 18: 가이더; 20: 볼헤드 서클립; 21: 중간 기어 샤프트; 22: 백커버; 23: 제2 헬리컬 기어; 24: 기어 샤프트a; 25: 모터 전단 댐핑 링; 26: 감속 모터; 27: 프론트 시트; 28: 모터 후단 댐핑 링; 29: 자석 원형 트레이; 30: 회로 기판; 31: 모터 커버.
본 고안의 목적, 기술안 및 장점을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해, 이하 본 고안의 기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물론, 설명된 실시예는 다만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로서, 모든 실시예인 것은 아니다. 당업자가 본 고안의 실시예에 근거하여, 창의적인 작업이 없이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형태는 모두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고안은 구동 장치, 전동 장치 및 개폐 기구를 포함하는 자동차 테일게이트 푸시로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개폐 기구와 자동차 테일게이트는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동 장치의 동력 수출단은 상기 전동 장치를 통해 상기 개폐 기구와 전동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개폐 기구는 개폐 상태와 자체 잠금 정지 상태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장치가 가동된 후,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개폐 기구를 구동시켜 자체 잠금 정지 상태로부터 개폐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자동차 테일게이트를 열거나 또는 닫을 수 있으며, 상기 구동 장치가 정지된 후 상기 개폐 기구는 내부 저항의 작용하에 자동으로 개폐 상태로부터 자체 잠금 정지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자동차 테일게이트를 정지시키고, 상기 개폐 기구는 상기 자동차 테일게이트를 이동 경로 내의 임의의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구동 장치가 정지된 후 개폐 기구는 내부 저항의 작용하에 자동으로 개폐 상태로부터 자체 잠금 정지 상태로 전환되어 자동차 테일게이트를 정지시키고, 개폐 기구는 상기 자동차 테일게이트를 이동 경로 내의 임의의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는 바, 전통적인 자동차 테일게이트는 전부 열리거나 또는 전부 닫길 수 밖에 없는 것에 비해, 수요에 따라 자동차 테일게이트의 개구를 제어할 수 있고, 편리하고 빠르며, 효율이 높다. 또한, 일부 바람 지역에서는 연간 풍력 등급이 모두 비교적 높으며, 자동차 테일게이트 푸시로드 장치는 자체 잠금 정지를 진행한 후, 자동차 테일게이트 내의 물품을 꺼낼 때 자동차 테일게이트에 대한 바람 영향을 피할 수 있으며, 자동차 테일게이트는 바람에 따라 이동되지 않고 안전성이 높다.
도1로부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 테일게이트의 좌우 양측에 장착된 두 개의 푸시로드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전동식 테일게이트 더블 푸시로드 장치를 포함한다. 이하, 이들을 좌측 푸시로드 및 우측 푸시로드로 약칭한다. 각 푸시로드 장치는 모두 프론트 시트(27), 감속 모터(26), 2단 헬리컬 기어, 나사 맨드렐(16), 너트 튜브(15), 외측 튜브(14), 모터 댐핑 링, 가이더(18), 자석 원형 트레이(29) 및 홀 센서를 포함한다. 우측 푸시로드의 구조는 도1-도3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좌측 푸시로드의 구조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좌측 푸시로드 및 우측 푸시로드는 모두 감속 모터(26)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통해 테일게이트의 개폐를 실현한다. 좌측 푸시로드 및 우측 푸시로드의 감속 모터(26)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은 스플라인을 통해 제1 헬리컬 기어(7)을 회전시키며, 다시 제2 헬리컬 기어(23) 전동을 통해, 토크를 전달하여 제3 헬리컬 기어(9)를 회전시키며, 제3 헬리컬 기어(9)는 나사 맨드렐(16)을 회전시켜 너트 튜브(15)가 외측 튜브(14) 상에서 직선 신축 운동을 진행하도록 하며, 너트 튜브(15)의 신축에 의해 테일게이트 스윙 암이 차량 힌지 축 상에서 회전하도록 한다. 이러한 운동 전환을 통해, 자동차 테일게이트의 열기 및 닫기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너트 튜브(12)와 나사 맨드렐(16)의 내부 저항을 통해, 개폐 기구의 자체 잠금 정지를 실현한다.
옵션 실시형태로서, 홀 감응 장치를 통해, 감속 모터(26)의 회전수를 정확하게 제어하여, 좌우측 푸시로드 이동 경로에 대한 정확한 제어를 실현한다. 감속 모터(26)의 모터 회로 기판(30)은 감속 모터(26)의 일 회전을 검출하여, 너트 튜브(15)의 이동 경로를 제어하며, 수요에 따라 이동 경로의 임의의 위치에서 자체 잠금 정지를 진행할 수 있다.
프론트 시트(27)을 연결 주체로 하여, 감속 모터(26)을 주체에 설치하고, 감속 모터(26)은 스플라인 홀을 통해 헬리컬 기어와 스플라인 연결되고, 헬리컬 기어 상하 각 베어링(5)를 지점(支点)으로 한다. 2단 평행 헬리컬 기어의 전동을 통해, 제3 헬리컬 기어(9)를 회전시킨다. 제3 헬리컬 기어(9)는 또한 스플라인 홀을 통해 나사 맨드렐(16)과 스플라인 연결되고, 나사 맨드렐(16)은 베어링(5) 및 가이더(18)을 두 개의 지점으로 한다. 너트 튜브(15)를 나사 맨드렐(16)에 설치하고, 다시 베어링(5) 블록, 외측 튜브(14), 베어링(5), 베어링 캡(10)을 순서에 따라 조립한 후 함께 프론트 시트(27)에 설치한다. 너트 튜브(15)의 타단은 볼헤드 커넥터(3)과 리벳팅된다. 프론트 시트(27)과 백커버(22)는 나사(4)를 통해 고정된다. 백커버(22)와 볼헤드 커넥터(3)은 나사(4)를 통해 고정된다. 양단의 볼헤드 커넥터(3)은 각각 차체 및 자동차 테일게이트 회전 스윙 암에 연결되면, 죄우측 푸시로드 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은 좌우측 푸시로드의 왕복 직선 운동을 실현할 수 있고, 테일게이트를 구동시켜 힌지 축 주위로 회전하도록 하여, 자동차 테일게이트 열기 및 닫기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수동 또는 전동식으로 테일게이트를 개폐할 때, 감속 모터(26), 나사 맨드렐(16), 너트 튜브(15) 및 외측 튜브(14)의 저항력의 작용하에, 테일게이트가 임의의 위치에 정지하도록 한다. 회로 제어를 통해, 하나의 중앙 제어 버튼을 통해 운전실에서 테일게이트를 개폐하는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중의 좌측 푸시로드는 우측 푸시로드에 비해 하나의 자석 원형 트레이(29)가 더 많을 뿐, 기타 구조는 동일하다. 좌측 푸시로드의 장착 절차는 다음과 같다. 우선, 감속 모터(26)는 각각 모터 전단 댐핑 링(25), 모터 후단 댐핑 링(28), 자석 원형 트레이(29) (우측 푸시로드에는 해당 부품이 없음), 회로 기판(30)와 함께 순서에 따라 부품A를 조립한다. A부품은 프론트 시트(27)에 설치되어 모터 커버(31)와 함께 나사(4)를 통해 부품B를 형성한다. 다시 너트(12) 튜브를 나사 맨드렐(16)에 설치하고, 나사 맨드렐(16) 일단에는 가이더 조립체(17)가 설치되며, 타단에는 베어링(5)이 설치된 후 E형 서클립(11)을 설치하여 부품C를 형성한다. 외측 튜브(14)와 베어링 블록(13), 가이더(18)은 버클 방식을 통해 조립되어 부품 D를 형성한다. 부품C를 부품D 중에 설치하고, 다시 베어링 캡(10)을 설치하여 부품 E를 형성한다. 볼헤드 위치제한 브라켓(1), 볼헤드 커넥터(3), 볼헤드 서클립(20)과 백커버(22)는 나사(4)를 통해 연결되며, 다시 실리콘 패드(2), 베어링(5)를 설치하여 부품F를 형성한다. 제1 헬리컬 기어(7)은 각각 기어 샤프트a (24), 기어 샤프트b (8)와 함께 두 개의 작은 부품I를 조립한다. 다시 부품E를 제2 절차의 조립된 부품B에 설치하고, 중간 기어 샤프트(21), 그로밋(6)을 설치하고, 또한 조립된 두 개의 부품I를 설치한 후, 기타 그로밋(6)을 설치하며, 마지막으로 조립된 부품을 나사(4)를 통해 설치한 후, 너트 튜브(15) 외부 노출단과 볼헤드 커넥터(3)은 압점을 통해 연결되어 전체적인 푸시로드 부품의 조립을 완성한다. 회로 기판(30) 상에는 홀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홀 원리를 통해 정확하게 감속 모터(26)의 회전수를 피드백하여, 좌측 푸시로드 및 우측 푸시로드의 신축 경로의 정확한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나사 맨드렐(16)을 통해 좌우측 푸시로드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바, 도1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 모터(26)이 역회전할 때, 2단 평행 헬리컬 기어 전동을 통해, 나사 맨드렐(16)을 회전시키며, 너트(12) 튜브가 외측 튜브(14)에 따라 근점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그 이동 경로가 클로즈 포인트에 도착할 시 막대는 최소 길이를 가지며, 자동차 테일게이트는 닫혀진다.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푸시로드 모터가 정회전할 때, 2단 평행 헬리컬 기어 전동을 통해, 나사 맨드렐(16) 을 회전시키며, 너트 튜브(15)가 외측 튜브(14)에 따라 원점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그 이동 경로가 오픈 포인트에 도착할 시 막대는 최대 길이를 가지며, 자동차 테일게이트는 열려진다. 감속 모터(26), 나사 맨드렐(16), 너트(12) 및 외측 튜브(14)의 내부 저항의 작용하에, 자동차 테일게이트는 열려질 때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다.
당해 장치는 일반적인 자동차 테일게이트와 마찬가지로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고, 운전실 또는 테일게이트 상에서 버튼을 통해 자동차 테일게이트를 열거나 또는 닫을 수 있으며, 또한 원격으로 자동차 테일게이트를 열거나 또는 닫을 수 있기에, 조작이 간편하고,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부분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이나,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당업자가 본 고안에서 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진행된 변화 또는 대체는 모두 본 고안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Claims (10)

  1. 자동차 테일게이트 푸시로드 장치에 있어서,
    구동 장치, 전동 장치 및 개폐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기구와 자동차 테일게이트는 연결되며; 상기 구동 장치의 동력 수출단은 상기 전동 장치를 통해 상기 개폐 기구와 전동 연결되며; 상기 개폐 기구는 개폐 상태와 자체 잠금 정지 상태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장치가 가동된 후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개폐 기구를 구동하여 자체 잠금 정지 상태로부터 개폐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자동차 테일게이트를 열거나 또는 닫을 수 있으며, 상기 구동 장치가 정지된 후 상기 개폐 기구는 내부 저항의 작용하에 자동으로 개폐 상태로부터 자체 잠금 정지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자동차 테일게이트를 정지시키고, 상기 개폐 기구는 상기 자동차 테일게이트를 이동 경로 내의 임의의 위치에 정지시키는 것이고,
    상기 푸시로드 장치의 수량은 적어도 두 개이고, 적어도 두 개의 상기 푸시로드 장치는 모두 상기 자동차 테일게이트 상에 분포되는 것이고,
    상기 개폐 기구는 외측 튜브, 나사 맨드렐 및 너트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튜브는 상기 나사 맨드렐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너트 튜브의 정단은 너트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너트 튜브는 상기 외측 튜브에 삽입되고 상기 너트를 통해 상기 나사 맨드렐과 나사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전동 장치는 2단 평행 헬리컬 기어로서, 제1 헬리컬 기어、제2 헬리컬 기어 및 제3 헬리컬 기어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1 헬리컬 기어의 기어 샤프트와 상기 구동 장치의 수출 축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3 헬리컬 기어의 기어 샤프트와 상기 나사 맨드렐은 고정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구동 장치는 감속 모터인 것이고,
    상기 감속 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은 상기 2단 평행 헬리컬 기어 전동을 통해 나사 맨드렐을 회전시켜 너트 튜브가 외측 튜브 상에서 직선 신축 운동을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 테일게이트를 열거나 또는 닫을 수 있고,
    상기 감속 모터, 나사 맨드렐, 너트 튜브 및 외측 튜브의 내부 저항의 작용하에 자동차 테일게이트를 이동 경로 내의 임의의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테일게이트 푸시로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모터의 모터 축과 상기 나사 맨드렐의 축선은 평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테일게이트 푸시로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상기 푸시로드 장치 중의 임의의 푸시로드 장치의 상기 감속 모터의 모터 축 상에는 자석이 설치되고, 대응된 모터 회로 기판 상에는 홀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자석과 상기 홀 센서 사이의 작용을 통해 상기 자동차 테일게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확한 제어를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테일게이트 푸시로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차량 운전실 내 또는 상기 자동차 테일게이트 상에는 제어 버튼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 버튼은 상기 감속 모터의 모터 회로 기판과 전기 연결되고, 상기 제어 버튼은 상기 감속 모터의 스위칭 및 정회전과 역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테일게이트 푸시로드 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튜브의 저단에는 상기 너트 튜브를 가이드하는 가이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테일게이트 푸시로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프론트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 및 상기 전동 장치는 모두 상기 프론트 시트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테일게이트 푸시로드 장치.
KR2020180002002U 2018-05-08 2018-05-08 자동차 테일게이트 푸시로드 장치 KR2004912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002U KR200491260Y1 (ko) 2018-05-08 2018-05-08 자동차 테일게이트 푸시로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002U KR200491260Y1 (ko) 2018-05-08 2018-05-08 자동차 테일게이트 푸시로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52U KR20190002852U (ko) 2019-11-18
KR200491260Y1 true KR200491260Y1 (ko) 2020-03-11

Family

ID=68692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002U KR200491260Y1 (ko) 2018-05-08 2018-05-08 자동차 테일게이트 푸시로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26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7522A (ja) * 2001-01-19 2002-08-14 Hai-Rekkusu Controls Inc 動力アクチュエータ
JP2007009684A (ja) * 2005-06-27 2007-01-18 Stabilus Gmbh フラップ開放装置
JP2011231452A (ja) 2008-11-04 2011-11-17 Niitech Co Ltd 自動車用トランクリッドの開閉装置
KR101439836B1 (ko) 2013-04-03 2014-09-12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차량용 테일 게이트의 전동식 액츄에이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493B1 (ko) * 2015-12-08 2017-07-2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동식 테일게이트의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7522A (ja) * 2001-01-19 2002-08-14 Hai-Rekkusu Controls Inc 動力アクチュエータ
JP2007009684A (ja) * 2005-06-27 2007-01-18 Stabilus Gmbh フラップ開放装置
JP2011231452A (ja) 2008-11-04 2011-11-17 Niitech Co Ltd 自動車用トランクリッドの開閉装置
KR101439836B1 (ko) 2013-04-03 2014-09-12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차량용 테일 게이트의 전동식 액츄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52U (ko) 201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5378B2 (en) Power side door actuator with rotating drive nut
US10801245B2 (en) Power door with toothed rod crank mechanism
JP5612484B2 (ja) 自動車ドアロック
JP5559138B2 (ja) 可動家具部材を駆動する家具用駆動装置
JP2009510284A (ja) 家具用ヒンジ
CN203285212U (zh) 一种铰链装置及具有该铰链装置的汽车行李箱
CN109281568A (zh) 螺母丝杠式自动门开闭机构、汽车自动门和汽车
CN109209070B (zh) 尾门锁传动机构
US6669268B2 (en) Lost motion mechanism for power liftgate closure system
CN109252782B (zh) 螺母丝杠式自动门开闭机构、汽车自动门和汽车
CN108374616A (zh) 一种限位器及汽车
CN202048654U (zh) 一种汽车空调风门机构
KR200491260Y1 (ko) 자동차 테일게이트 푸시로드 장치
CN105715138A (zh) 汽车后备箱直线式电动尾门推杆
CN201172428Y (zh) 汽车电动后尾门的驱动机构
CN105735819A (zh) 一种轿车电动尾门推杆增阻器
JP3857459B2 (ja) ドア開閉装置
CN204492456U (zh) 汽车后备箱直线式电动尾门推杆
CN209483005U (zh) 螺母丝杠式自动门开闭机构、汽车自动门和汽车
CN208184507U (zh) 汽车侧门电动驱动机构
CN206158443U (zh) 电动挺杆
CN207813358U (zh) 一种单臂结构且具防夹功能的汽车玻璃升降装置
CN111593989A (zh) 一种无人驾驶汽车线控自动门
US2779199A (en) Windshield wiper
CN216517504U (zh) 一种下背门开关装置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