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131Y1 -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 Google Patents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131Y1
KR200491131Y1 KR2020180003131U KR20180003131U KR200491131Y1 KR 200491131 Y1 KR200491131 Y1 KR 200491131Y1 KR 2020180003131 U KR2020180003131 U KR 2020180003131U KR 20180003131 U KR20180003131 U KR 20180003131U KR 200491131 Y1 KR200491131 Y1 KR 2004911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upport
fram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13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0125U (en
Inventor
혜 숙 김
Original Assignee
김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숙 filed Critical 김혜숙
Priority to KR20201800031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131Y1/en
Publication of KR202000001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2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13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E04H15/08Trailer awnin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33Arrangements for fastening the flexible canopy material to the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차량용 어닝 구조물은 차량의 지붕(10)에 이격되게 한 쌍이 결합되며, 수평의 제1지지부(210)와, 상기 제1지지부(210)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수직의 하향 연장되는 제1결합부(220a)와, 상기 제1지지부(210)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연결되어 수평 연장되는 제2지지부(230)와, 상기 제2지지부(230)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수직의 하향 연장되면서 제1결합부(220a)의 수직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가진 제2결합부(220b)와, 상기 제1지지부(210)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제1지지부(210) 상부로 돌출되면서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걸림턱(240)과, 상기 제2지지부(230)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제2지지부(230) 상부에 돌출되면서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걸림턱(250)과, 상기 제2지지부(230)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연결되면서 소정의 기울기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260)와, 상기 경사부(260)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연결되어 상향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밀착부(270) 및, 상기 밀착부(270)와 제2걸림턱(250) 사이의 경사부(260) 상부에 형성된 제1수용부(280)로 구성되는 결합프레임(200) 및, 상기 결합프레임(200) 각각에 양단 하부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면서 내부에 중공형을 가지며, 상기 제1걸림턱(240)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1걸림턱(240)에 대응되도록 음각의 형태를 가진 제1걸림홈(311)이 형성된 끼움요부(310)와 제1수용부(280)에 수용되도록 제2걸림턱(250)에 대응되는 음각의 형태를 가진 제2걸림홈(321)이 형성된 끼움철부(320)가 하부에 형성되면서 결합프레임(200)의 제1지지부(210) 외측으로 더 연장되는 너비구조를 가지는 커버프레임(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pair spaced apart from the roof 10 of the vehicle, and is connected to a horizontal first support portion 210 and one side lengthwis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 to extend vertically downward. The first coupling part 220a and the second support part 230, which is horizontally extended by connecting one side in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part 210, ar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part 230. Whil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having a length small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and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10 are connected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10 The first locking jaw 240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hile protruding to,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230 to protrud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230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I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engaging jaw 250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230 As the sides are connected, an inclined portion 260 extending obliquely upwar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 contact portion 270 connected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inclined portion 260 to extend vertically upward, and the contact portion The coupling frame 200 composed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80 formed on the inclined portion 260 between the 270 and the second locking jaw 250 and the lower ends of both ends of the coupling frame 200 are detachable. As possible, the fitting part having a hollow shape therein and having a first catching groove 311 having an intaglio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atching jaw 240 so as to be fitted to the first catching jaw 240 is formed ( 310)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321 having an intaglio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cking jaw 250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80, the fitting iron portion 320 formed at the bottom is formed in the coupling frame (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ver frame 300 having a width structure further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upport 210 of 200) It shall be.

Description

차량용 어닝 구조물{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Vehicle awning structure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어닝 구조물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탑인 지붕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결합프레임을 통해 가로길이방향의 커버프레임을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커버프레임에 차양막을 연결하여 넓은 차양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고, 차양막의 일측에 연결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 전체가 차량의 루프탑에 지지됨에 따라 차양막의 늘어짐 없이 평평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a sunshade film to the cover frame by combining a cover fram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a support frame and a coupling frame coupled to the roof, which is a roof top of the vehicle. Thus, it is possible to secure a large awning space, and as a whole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wning membrane is supported on a roof top of the vehicle, it relates to a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that can be kept flat without sagging.

인간의 생활환경이 경제적으로 윤택해짐에 따라 레저를 비롯한 다양한 여가생활이 늘어나고 있다. 자동차의 보급이 늘어남에 따라 차량을 이용한 레저생활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As the human living environment is economically enriched, various leisure life including leisure is increasing. As the spread of automobiles increases, leisure life using vehicles is also rapidly increasing.

최근에는 힐링 붐이 일면서 건강과 휴식을 위한 아웃도어 레저가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이다. 최근 사람들은 차량에 텐트 등의 아웃도어 용품을 싣고 원하는 장소로 가서 텐트를 설치하고 휴식과 여가를 즐기는 생활을 일상적으로 즐기는 경우가 많다.Recently, with the boom of healing, outdoor leisure for health and relaxation is rapid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people often carry outdoor goods such as tents in their vehicles, go to desired places, install tents, and enjoy the daily life of relaxation and leisure.

따라서, 텐트, 차양, 비바람 막이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어닝(awning) 등을 더욱 간편하게 설치하기 위해, 차량을 이용하여 어닝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차량용 어닝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차량용 어닝은 어닝이 차량의 루프위에 설치되는 경우, 어닝이 차량을 지지대의 일부로 사용하여 설치되는 경우 등에 따라 구조와 기능을 달리한다.Accordingly, in order to more easily install awnings used for purposes such as tents, awnings, and weatherproofs, awnings for vehicles that can install awnings using a vehicle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The awning for a vehicle has a different structure and function depending on when the awning is install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when the awning is installed using a vehicle as part of a support.

차량용 어닝은 차량의 루프(roof)에 고정적으로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어닝이 차량을 지지대의 일부로 사용하여 설치되는 경우, 어닝을 펼쳤을 경우 외부의 충격에 잘 견디도록 견고해야 하며, 어닝을 접고 차량이 이동하는 경우에도 외부의 충격에 잘 견디도록 차량과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할 것이 요구되며, 종래의 실시예에서 어닝이 펼쳐져 설치되는 경우, 어닝이 형성하는 사용자의 사용공간은 차량용 어닝의 골격을 형성하는 각각의 프레임에 따라 그 모양이 결정된다. 차량용 어닝은 어닝이 형성하는 지붕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각각의 프레임이 배치될 수도 있고, 비가 내릴 경우 빗물이 잘 흘러내릴 수 있도록 지붕이 역방향 V자 형태가 형성되도록 각각의 프레임이 배치될 수도 있다.The vehicle awning can be used by being fixedly coupl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In particular, when the awning is installed by using the vehicle as part of a support, when the awning is extended, it must be sturdy to withstand external shocks, and even when the awning is folded and the vehicle is moving, the vehicle is sturdy with the external shocks. It is required to maintain, and in the conventional embodiment, when the awning is unfolded and installed, the user's use space formed by the awning is determined according to each frame forming the skeleton of the awning for the vehicle. In the vehicle awning, each frame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roof formed by the awning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each frame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roof is formed in a reverse V-shape so that rainwater flows well when it rains. .

따라서, 차량용 어닝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다양한 형태의 사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Therefore, the vehicle awning needs to be designed to have a structure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form various types of use spaces.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7559호(발명의 명칭 : 차량용 어닝)1.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547559 (Invention name: vehicle awning)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5573호(발명의 명칭 : 차양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양막 어닝 장치)2.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45573 (Invention name: Awning membrane awn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awning)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차량의 루프에 견고한 구조를 가지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다양한 형태의 사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어닝을 결합시켜 견고한 어닝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having a sturdy awning structure by combining awnings to have a sturdy structure in a roof of a vehicle and allowing a user to easily form various types of use spaces. There is this.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task, and other technical task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상기 서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통하여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t is to solve the problems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차량의 지붕에 이격되게 한 쌍이 결합되며, 수평의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수직의 하향 연장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연결되어 수평 연장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수직의 하향 연장되면서 제1결합부의 수직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가진 제2결합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제1지지부 상부로 돌출되면서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걸림턱과, 상기 제2지지부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제2지지부 상부에 돌출되면서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걸림턱과, 상기 제2지지부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연결되면서 소정의 기울기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연결되어 상향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와 제2걸림턱 사이의 경사부 상부에 형성된 제1수용부로 구성되는 결합프레임과,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air of spaced apart from the roof of the vehicle, the horizontal first support por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the first A second support portion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ing horizontally,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having a length small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while being vertically downward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is connected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trud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slope inclined,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top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s the second locking jaw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d one side is connected in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is extended to be inclined upwar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 coupling frame comprising an inclined portion, a contact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in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clined portion and extending vertically upward, and a first accommodation portion formed on the inclined portion between the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hanging jaw,

상기 결합프레임 각각에 양단 하부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면서 내부에 중공형을 가지며, 상기 제1걸림턱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1걸림턱에 대응되도록 음각의 형태를 가진 제1걸림홈이 형성된 끼움요부와 제1수용부에 수용되도록 제2걸림턱에 대응되는 음각의 형태를 가진 제2걸림홈이 형성된 끼움철부가 하부에 형성되면서 결합프레임의 제1지지부 외측으로 더 연장되는 너비구조를 가지는 커버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을 제공한다.As the lower ends of each of the coupling frames are detachably mounted, it has a hollow shape therein, and a fitting part having a first engaging groove having an intaglio shape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engaging jaw so as to be fitted to the first engaging jaw. A cover frame having a width structure that extends further outside the first support portion of the coupling frame while a fitting iron portion having a second engaging groove having an intaglio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ngaging jaw is formed at the bottom to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is provided.

한편, 상기 결합프레임의 제1결합부 하단에 칼날형의 고정돌기가 형성하되, 상기 고정돌기의 끝단 경사면이 제1결합부 내측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a blade-shaped fix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coupling frame, and an inclined surface at the end of the fixing projection provides a vehicle awning structure formed inside the first coupling portion.

한편, 상기 제1결합부 하단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연결되면서 타측이 제2결합부의 하단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On the other hand, while one side is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guide portion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결합부 하단이 하부로 더 연장되면서 연장된 끝단에 칼날형의 고정돌기가 형성하되, 상기 고정돌기의 끝단 경사면이 제1결합부 내측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더 포함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을 제공한다.While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extends further downward, a blade-like fix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extended end, and the inclined surface at the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is formed inside the first coupling portion. It provides a vehicle awning structure further includes.

한편,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 각각의 수직 길이보다 더 작은 길이를 가지면서 제1지지부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수직의 하향 연장되는 제3결합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더 포함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having a length that is small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each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a third coupling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ly connected to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formed. Provide an awning structure.

한편, 상기 결합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차량의 지붕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이 더 포함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차량의 지붕에 면접되는 하부의 지지판 양단 각각에 수직의 상향 연장되는 지지판으로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은 결합프레임의 가로길이보다 작은 가로길이를 가져 결합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호 결합하게 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frame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frame is fix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the support frame is a support plate extending vertically upward to each of both ends of the lower support plate to be interview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integral structure At this time, the support frame has a horizontal length small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coupling frame to provide a vehicle awning structure that is located below the coupling frame to be mutually coupled.

한편, 상기 결합프레임의 제1지지부 하면의 이격된 양측에 각각 제1지지부의 가로길이방향으로 단차진 결속탭이 형성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provided a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in which stepped binding tabs are formed in the transvers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s on both side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of the coupling frame.

한편, 상기 제3결합부가 형성된 결합프레임에 지지프레임이 결합시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 지지판이 제1결합부와 제3결합부 사이에 수용되어 지지프레임의 양측 지지판 중 일측 지지판이 제1결합부 측면에 면접 그리고 타측 지지판이 제3결합부의 측면에 면접되는 구조로 지지프레임이 결합프레임과 상호 결합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upport frame is coupled to the coupling frame on which the third coupling portion is formed, both side supporting plates of the supporting frame are accommodat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and one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of the supporting frame has a sid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Provides an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in which the support frame and the other support plate are interview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hird coupling portion, and the support frame is mutually coupled with the coupling frame.

한편,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결합프레임에 지지프레임이 결합시 지지프레임의 양측 지지판에 대응되는 위치의 가이드부에 한 쌍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을 통해 지지프레임의 지지판이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내측으로 인도되어 지지프레임의 양측 지지판 중 일측 지지판이 제1결합부 측면에 면접 그리고 타측 지지판이 제2결합부의 측면에 면접되는 구조로 지지프레임이 결합프레임과 상호 결합하게 되거나 결합프레임의 제1지지부 하면의 이격된 양측에 각각 제1지지부의 가로길이방향으로 단차진 결속탭이 형성되어 가이드홀을 통해 상향 이동된 지지프레임의 양측 지지판 상단이 결속탭에 면접 밀착되어 지지프레임을 단속하여 지지프레임과 결합프레임을 상호 결합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upport frame is coupled to the coupling frame on which the guide portion is formed, a pair of guide holes are formed in the guide portion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both side support plates of the support frame, and through the guide hole, the support plate of the support frame is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guid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frame of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of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is interviewed on the sid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the support frame is to be mutually coupled or coupled to the coupling frame Stepped binding tabs are formed in the transvers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s on the spaced apart sides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of the frame, so that the upper ends of the supporting plates on both sides of the supporting frame moved upward through the guide hole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binding tab to open the supporting frame. It provides an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that is intermittently coupled to a support frame and a coupling frame.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 지지판이 결합프레임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 또는 제1결합부와 제3결합부 사이에 내속시 상기 양측 지지판 일면에 상호 수평으로 연계되는 제1체결공과 상기 양측 지지판에 마주하는 제1 결합부 및 제2결합부 또는 제3결합부 일면에 제1체결공에 연통되는 제2체결공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지지판의 제1체결공 그리고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 또는 제3결합부의 제2체결공을 체결하여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 또는 제1결합부, 제3결합부 및 제2결합부 순으로 가로질러 연결 고정하되, 외주면 일면에 상하로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되는 환봉형의 지지봉과,On the other hand, the first fastening hole which is horizont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s at both sides when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 frame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of the coupling frame or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A first fasten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astening hol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or third coupling parts facing the support plates at both sides, wherein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first coupling part of the support plate and By fastening the second fastening hol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or the third coupling part, the connection is fix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or in the order of the first coupling part, the third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A round rod-shaped support rod in which a coupling hole penetrated up and down on one surface is formed,

상기 지지봉의 결합공 위치에 대응되는 제1지지부의 일면에 관통된 제3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3체결공을 통해 지지봉의 결합공으로 체결되는 고정수단이 포함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을 제공한다.Provided is an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including a fixing means that is formed through a third fastening hole a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support bar through a third fastening hole formed in a first suppor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hole of the support bar.

한편, 상기 결합프레임의 밀착부 일면에 하나 이상의 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공에 나사결합되어 결합프레임의 제1수용부에 수용되면서 밀착부의 내측에 마주하는 커버프레임의 끼움철부 일면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이 더 포함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one or more bolt hole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upling frame, and screwed to the bolt hole to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of the coupling frame and pressurize the one side of the fitting of the cover frame facing the inside of the contact portion. It provides a vehicle awning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means.

한편, 상기 커버프레임의 제1지지부에 형성된 제3체결공에 이격된 위치의 제1지지부 일면에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지프레임의 지지판 일면에 관통된 제4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으로 내속시켜 제4체결공을 통해 지붕에 지지프레임을 고정시키도록 체결수단이 더 포함되는 차량용 어닝 프레임을 제공한다.Meanwhile, a through hole is formed in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hird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first support portion of the cover frame, and a fourth fastening hole penetrated in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of the support fram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through frame is formed. It provides a vehicle awning frame further comprising fastening means to fix the support frame on the roof through the fourth fastening hole.

한편, 차량의 지붕에 결합프레임 또는 지지프레임을 결합시 결합프레임 또는 지지프레임 하부에 베이스판을 배치하며, 상기 베이스판은 고무재 또는 금속재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어닝 프레임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upling frame or support frame is coupl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a base plate is disposed under the coupling frame or support frame, and the base plate provides a vehicle awning frame made of a rubber or metal materia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어닝 구조물에 따르면, 차양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차양막의 일측이 차량의 지붕에 고정된 지지프레임과 결합프레임을 통해 탈부착되는 커버프레임의 일체의 어닝 구조물에 전부 지지됨에 따라 차양막의 늘어짐 없이 평평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프레임을 결합프레임에 의해 탈부착되면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결합력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ehicle awn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wning space can be secured widely, and one side of the awning membrane is attached to the awning structure of the cover frame detachably attached through the support frame and the coupling frame fix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As it is fully support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lat without sagging of the sunshade, as well as attaching and detaching the cover frame by the coupling frame, thereby increasing the coupling force by simple manipul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구조물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구조물이 결합되는 분리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구조물이 결합된 상태의 결합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구조물에서 결합프레임의 정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a)과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b).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구조물에서 커버프레임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구조물에서 지지프레임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a)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도면(b).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구조물에서 제3결합부가 형성된 결합프레임이 결합되는 분리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구조물에서 제3결합부가 형성된 결합프레임의 제1, 2결합부 사이에 지지프레임이 설치되는 단면을 나타낸 도면(a)과 결합프레임의 제1, 3결합부 사이에 지지프레임이 설치되는 단면을 나타낸 도면(b).
도 9는 도 7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구조물에서 제3결합부가 형성된 결합프레임의 정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a)과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b).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구조물에서 가이드부가 형성된 결합프레임이 커버프레임에 결합되는 분리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구조물에서 가이드부가 형성된 결합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0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구조물에서 가이드부가 형성된 결합프레임의 정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a)과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b).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구조물에서 가이드부가 형성된 결합프레임이 커버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분리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3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구조물에서 가이드부가 형성된 결합프레임이 커버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3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구조물에서 가이드부가 형성된 결합프레임의 정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a),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b) 및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도면(c).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구조물에서 가이드프레임이 결합되는 분리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구조물에서 가이드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구조물에서 가이드프레임이 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vehicle aw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eparation state in which the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vehicle aw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frame in the vehicle aw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and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b).
5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ver frame in a vehicle aw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frame in the vehicle aw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and a different view (b).
7 is a view showing a separation state in which a coupling frame formed with a third coupling portion in a vehicle aw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support frame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of the coupling frame in which the third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the vehicle aw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A drawing showing a cross-section in which a support frame is installed between 1 and 3 coupling parts (b).
9 is a view showing a front perspective view (a)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upling frame in which the third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the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7 (b).
10 is a view showing a separation state in which a coupling frame formed with a guide portion is coupled to a cover frame in a vehicle aw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coupling frame in which a guide portion is formed in a vehicle aw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0;
12 is a view (a)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frame in which a guide portion is formed in an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0 (b).
13 is a view showing a separation state in which a coupling frame formed with a guide portion in a vehicle aw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cover frame and a support frame.
14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state in which a coupling frame formed with a guide portion in a vehicle aw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3 is coupled to a cover frame and a support frame.
1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frame in which a guide portion is formed in a vehicle aw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3 (a), a cross-sectional view (b), and a different view (c).
16 is a view showing a separation state in which a guide frame is coupled in a vehicle aw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guide frame coupled state in the vehicle aw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guide frame in a vehicle aw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The following exampl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drawing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구조물(1)은 차량의 루프탑 즉, 차량의 지붕(10)에 설치되고, 차양막(미도시)의 일측은 차량용 어닝 구조물(1)에 고정되어 지지대 및 로프 등에 의해 팽팽하게 고정된다.A vehicle awning structur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roof top of a vehicle, that is, a roof 10 of a vehicle, and one side of a sunshade (not shown) is fixed to a vehicle awning structure 1 and supports and It is tightly fixed by a rope or the like.

즉, 차양막을 결합한 차량용 어닝 구조물(1)을 차량의 루프에 고정시킴에 따라, 차양막이 차량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차량의 높이만큼의 차양공간을 확보하게 된다.That is, as the awning structure 1 for a vehicle in which the sunshade membrane is combined is fix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the sunshade membrane extends outward from the vehicle and secures a sunshade space equal to the height of the vehic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구조물의 세부구성, 형상 및 유기적인 결합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기술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shape, and organic combination of the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어닝 구조물(1)에 대한 상세구성은 차량의 지붕(10)에 이격되게 한 쌍이 결합되며, 수평의 제1지지부(210)와, 상기 제1지지부(210)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수직의 하향 연장되는 제1결합부(220a)와, 상기 제1지지부(210)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연결되어 수평 연장되는 제2지지부(230)와, 상기 제2지지부(230)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수직의 하향 연장되면서 제1결합부(220a)의 수직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가진 제2결합부(220b)와, 상기 제1지지부(210)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제1지지부(210) 상부로 돌출되면서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걸림턱(240)과, 상기 제2지지부(230)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제2지지부(230) 상부에 돌출되면서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걸림턱(250)과, 상기 제2지지부(230)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연결되면서 소정의 기울기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260)와, 상기 경사부(260)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연결되어 상향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밀착부(270) 및, 상기 밀착부(270)와 제2걸림턱(250) 사이의 경사부(260) 상부에 형성된 제1수용부(280)로 구성되는 결합프레임(200)과, 상기 결합프레임(200) 각각에 양단 하부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면서 내부에 중공형을 가지며, 상기 제1걸림턱(240)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1걸림턱(240)에 대응되도록 음각의 형태를 가진 제1걸림홈(311)이 형성된 끼움요부(310)와 제1수용부(280)에 수용되도록 제2걸림턱(250)에 대응되는 음각의 형태를 가진 제2걸림홈(321)이 형성된 끼움철부(320)가 하부에 형성되면서 결합프레임(200)의 제1지지부(210) 외측으로 더 연장되는 너비구조를 가지는 커버프레임(300)을 포함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1)을 제공한다.First, 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awning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spaced apart from the roof 10 of the vehicle, the horizontal first support 210, and A first coupling part 220a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part 210 and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and a second support part connected to one side in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part 210 and horizontally extending ( 230),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connected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having a length small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and the first It is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support 210 and protrudes upwards of the first support 210 to connect to the first locking jaw 240 which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slope, and to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230 It is proj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art 230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slope. The second engaging jaw 250 and the inclined portion 260 extending inclined upwar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hile one side is connected in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230, and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clined portion 260 As the first side is connected to the contact portion 270 extending vertically upward, and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80 formed on the inclined portion 260 between the contact portion 270 and the second locking jaw 250 Composed of the combined frame 200, both ends of the coupling frame 200 is detachably mounted while having a hollow shape therein, the first engaging jaw 240 to be fitted to the first engaging jaw 240 ), The first catching groove 311 having the shape of the intaglio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tting portion 310 and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80 to accommodate the second catching jaw 250 corresponding to the intaglio shape 2 As the fitting groove 320 having the engaging groove 321 is formed at the bottom, the coupling frame 200 further extends outside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 Provides a vehicle structure awnings (1) comprising a cover frame 300 has a structure width.

본 고안의 차량용 어닝 구조물(1)은 결합프레임(200)과 커버프레임(300)으로 결합되는 일체의 결합구조를 가지며, 후술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차량용 어닝 구조물을 구성한다.The vehicle awning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egral coupling structure coupled to the coupling frame 200 and the cover frame 300, and constitutes a vehicle awning structure including a support fram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먼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프레임(200)은 차량의 지붕(10)에 이격되게 한 쌍이 결합되며, 이때 각각의 결합프레임(200)은 일선상으로 위치하여 한 쌍 또는 2개 이상의 결합프레임(200)이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ure 1, the coupling frame 200 is coupled to a pair of spaced apart from the roof 10 of the vehicle, wherein each coupling frame 200 is located in a line, a pair or two or more combinations The frame 200 may be installed spaced apart.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프레임(200)은 일측에서 타측의 세로방향의 단면 형상구조를 살펴보면, 제1지지부(210), 제2지지부(230), 경사부(260) 및 밀착부(270)의 순으로 연결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수평의 제1지지부(210) 일단, 즉 자유단에 하부에 수직의 하향 연장되는 제1결합부(220a)가 형성된다.And, as shown in Figure 4, the coupling frame 200 looks at the cross-sectional shape struc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side to the other, the first support 210, the second support 230, the inclined portion 260 and the contact portion It has an integral structure connected in the order of (270),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to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first support portion 210, that is, the free end is formed.

그리고, 상기 제2지지부(230)는 제1지지부(210) 타측 길이방향으로 일측 연결되어 수평구조를 가지며, 이때 제2지지부(230)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면서 제2지지부(230) 상부로 돌출된 경사진 제2걸림턱(250)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part 230 is connected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pport part 210 and has a horizontal structure. At this time, while being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part 230, the second support part 230 is moved upward. The protruding inclined second locking jaw 250 is formed.

게다가, 상기 제1결합부(220a)가 형성된 제1지지부(210) 일측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면서 제1지지부(210) 상부로 돌출된 경사진 제1걸림턱(240)이 형성된다.In addition, while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10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 inclined first catching jaw 240 protruding upwards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10 is formed.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220b)는 제2걸림턱(250)이 형성된 제2지지부(230)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수직의 하향 연장되며, 이때 상기 제2결합부(220b)의 수직 길이는 제1결합부(220a)의 수직 길이에 비해 더 작은 길이를 가진 제2결합부(220b)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is connected to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230 on which the second locking jaw 250 is formed, and extends vertically downward, at this time,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is vertical. The length form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having a smaller length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즉, 본 고안의 어닝 구조물(1)은 차량의 지붕(10) 가장자리에 설치됨에 따라 차량의 지붕(10) 가장자리의 곡면부(미도시)에 대응되도록 제1결합부(220a)와 제2결합부(220b)의 수직 길이에 차이를 두었으며, 차량의 지붕(10) 형상에 따라 제1, 2결합부(220a)(220b)의 수직 길이가 동일 또는 차이를 가지어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That is, as the awning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roof 10 of the vehicle,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and the second coupling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urved portion (not shown) of the edge of the roof 10 of the vehicle. A difference is made in the vertical length of the portion 220b, and it is revealed that the vertical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220a and 220b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roof 10 of the vehicle. .

그리고, 상기 경사부(260)는 제2지지부(230) 타측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연결되어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상향 연장되는 형태를 가진다.In addition, the inclined portion 260 has a shape in whic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2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inclined upwardly at a predetermined slope.

그리고, 상기 밀착부(270)는 경사부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상향 수직의 길이로 절곡 연장되는 형태를 가진다.Then, the contact portion 27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clined portion has a form that extends to the vertical length upward.

그리고, 상기 제1수용부(280)는 밀착부(270)와 제2걸림턱(250) 사이로서 경사부(260)의 상부에 형성된다.The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8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clined portion 260 between the contact portion 270 and the second locking jaw 250.

게다가, 상기 제1걸림턱(240) 및 제2걸림턱(250) 각각의 경사진 방향은 경사부(260)의 경사진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inclined direction of each of the first engaging jaw 240 and the second engaging jaw 250 is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inclined portion 260.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프레임(200)의 제1결합부(220a) 하단에 칼날형의 고정돌기(222)가 형성하되, 상기 고정돌기(222)의 끝단 경사면이 제1결합부(220a) 내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222)가 형성됨으로서 차량 지붕(10)의 표면에 고정돌기(222)의 끝단이 밀착되어 차량 진동에 의한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빗물 등에 의해 제1결합부(220a) 내측으로 스며드는 것을 일부 방지하는 실링역할을 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a blade-shaped fixing protrusion 222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of the coupling frame 200, but an inclined end surface of the fixing projection 222 has a first coupling portion. (220a) is formed inward, and the fixed projection 222 is formed so that the end of the fixed projection 2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vehicle roof 10 to prevent departure due to vehicle vibration, as well as the first by rainwater or the like. The coupling portion 220a serves as a sealing part that partially prevents penetration.

또한,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220a) 및 제2결합부(220b) 각각의 수직 길이보다 더 작은 길이를 가지면서 제1지지부(210)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수직의 하향 연장되는 제3결합부(220c)가 형성되며, 상기 제3결합부(220c)는 후술되는 지지프레임(100)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체결수단(50c)에 의해 차량의 지붕(10)에 고정된 지지프레임(100)과 연계되어 결합프레임(200)을 지지프레임(100)에 고정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7 to 9,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have a length smaller than each of the vertical lengths, and are connected in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 The third coupling part 220c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is formed, and the third coupling part 220c has a structure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roof of the vehicle by fastening means 50c. In connection with the support frame 100 fixed to (10), the coupling frame 200 serves to be fixed to the support frame 100.

또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220a) 하단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연결되면서 타측이 제2결합부(220b)의 하단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가이드부(290)가 형성되고,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while one side is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a guide portion 290 is formed in which the other side is connected in the low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상기 가이드부(290)의 일측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결합부(220a) 하단이 하부로 더 연장되면서 연장된 끝단에 칼날형의 고정돌기(222)가 형성하되, 상기 고정돌기(222)의 끝단 경사면이 제1결합부(220a) 내측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더 포함한다.While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290 further extends downward, a blade-shaped fixing protrusion 222 is formed at the extended end, and the fixing protrusion 222 is formed. The end of the inclined surface further comprises a structure formed inside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상기 가이드부(290)는 제1결합부(220a)와 제2결합부(220b) 사이를 커버하면서 양측 단부가 제1결합부(220a)의 하단 및 제2결합부(220b)의 하단에 각각 이음 연결되어 결합프레임(200)과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부(290)가 형성됨으로서 차량의 지붕(10)에 결합프레임(200)이 견고히 결합되도록 제1결합부(220a)와 제2결합부(220b)의 지지력을 보강하면서 면접되는 차량의 지붕(10) 표면에 견고히 밀착될 수 있는 역할을 한다.The guide portion 290 covers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while both ends have a lower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and a lower end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respectively. It is connected to the joint and has a structure integral with the coupling frame 200,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and the second coupling frame 200 are firmly coupled to the roof 10 of the vehicle by forming the guide portion 290. Reinforcing the support of the coupling portion (220b) serves to be firmly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roof 10 of the vehicle being interviewed.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220a)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돌기(222)가 차량의 지붕(10) 표면에 긴밀히 밀착되어 진동 등에 의해 이탈을 방지하면서 빗물 등이 결합프레임(200) 내측으로 스며드는 것을 일부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Then, the fixing protrusion 222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roof 10 of the vehicle, preventing rain and the like from leaking into the coupling frame 200 while preventing departure due to vibration or the like. It serves to block some.

게다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220a)와 제2결합부(220b)의 수직길이가 서로 다를 경우 가이드부(290)가 수평이 아닌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사진 차량의 지붕(10) 표면에 면접되어 긴밀히 밀착 결합하게 된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5, when the vertical lengths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are different, the guide portion 290 is formed to be inclined rather than horizontal, and thus the roof 10 of the inclined vehicle 10 ) It is interviewed on the surface to be closely bonded.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프레임(300)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진 중공형으로서, 차량의 지붕(10)에 결합된 한 쌍의 결합프레임(200) 각각을 하부 양단이 착탈 결합되어 결합프레임(200)과 결합프레임(200) 사이를 가로질러 가로방향으로 연결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진다.And, as shown in Figure 7, the cover frame 300 is a hollow type having an empty space therein, the lower ends of each of the pair of coupling frames 200 coupled to the roof 10 of the vehicle are detachably coupled. It has an integral structure that is transversely connected between the coupling frame 200 and the coupling frame 200.

상기 커버프레임(300)의 하부에 끼움요부(310)와 끼움철부(320)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요부(310)는 제1걸림턱(240)이 결합되어 단속되도록 제1걸림턱(240)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음각의 제1걸림홈(311)이 내부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끼움철부(320)는 제1수용부(280)에 수용되면서 제2걸림턱(250)에 결합되어 단속되도록 제2걸림턱(250)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음각의 제2걸림홈(321)이 타면 상측에 형성된다.A fitting recess 310 and a fitting recess 320 are formed under the cover frame 300, and the fitting recess 310 is coupled with the first locking jaw 240 so that the first locking jaw 240 is intermittently interrupted. Engraved first engaging groove 31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 fitting portion 32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80 while being coupled to the second engaging jaw 250 The second catching groove 32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atching jaw 25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ide.

그리고, 상기 커버프레임(300)의 끼움철부(320)와 끼움요부(310)가 형성된 부위가 일측부라면 일측부에서 연계되는 타측부가 결합프레임(200)의 제1지지부(210) 외측으로 더 연장되는 세로방향의 너비구조를 가지며, 이때 상기 커버프레임(300)의 타측부 하부 자유단에 걸림부(301)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301)를 통해 차양막(미도시)이 연결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In addition, if the portion where the fitting portion 320 and the fitting portion 310 of the cover frame 300 are formed is one side portion, the other side connected at one side portion is further out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 of the coupling frame 200. It has an extended longitudinal width structure, in which a locking portion 301 is formed at a lower free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cover frame 300, and a sunshade film (not shown) is coupled through the locking portion 301. It has a structure.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프레임(2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차량의 지붕(10)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100)이 더 포함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차량의 지붕(10)에 면접되는 하부의 지지판(110) 양단 각각에 수직의 상향 연장되는 지지판(120)으로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결합프레임(200)의 가로길이보다 작은 가로길이를 가져 결합프레임(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호 결합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a support frame 10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frame 200 and fixed to the roof 10 of the vehicle is further included, and the support frame 100 includes a roof 10 of the vehicle. ) Has an integral structure with a support plate 120 extending vertically upward at each end of the lower support plate 110 that is interviewed, wherein the support frame 100 has a smaller horizontal length tha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coupling frame 200. Bring it to the bottom of the coupling frame 200 to be coupled to each other.

즉,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양측 지지판(120)이 결합프레임(200)의 제1결합부(220a)와 제2결합부(220b) 사이에 수용되어 지지프레임(100)의 양측 지지판 중 일측 지지판(120)이 제1결합부(220a) 측면에 면접 그리고 타측 지지판(120)이 제2결합부(220b)의 측면에 면접되는 구조로 지지프레임(100)이 결합프레임(200)과 상호 결합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S. 2 and 3, both support plates 120 of the support frame 100 are accommodated and support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220a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220b of the coupling frame 200. Support frame 100 in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120 of the frame 100 is interviewed on the sid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20 is interviewed on the sid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The coupling frame 200 is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프레임(200)의 제1지지부(210) 하면의 이격된 양측에 각각 제1지지부(210)의 가로길이방향으로 단차진 결속탭(213)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양측 지지판(120) 상단이 결속탭(213)에 면접 밀착되어 지지프레임(100)을 단속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stepped binding tabs 213 are formed in the transvers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s 210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 of the coupling frame 200, At this time, the upper ends of the support plates 120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10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binding tab 213, thereby controlling the support frame 100.

또한, 도 7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3결합부(220c)가 형성된 결합프레임(200)에 지지프레임(100)이 결합시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양측 지지판(120)이 제1결합부(220a)와 제3결합부(220c) 사이에 수용되어 지지프레임(100)의 양측 지지판(120) 중 일측 지지판(120)이 제1결합부(220a) 측면에 면접 그리고 타측 지지판(120)이 제3결합부(220c)의 측면에 면접되는 구조로 지지프레임(100)이 결합프레임(200)과 상호 결합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7 and 8, when the support frame 1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frame 200 on which the third coupling portion 220c is formed, both support plates 120 of the support frame 100 are first It is accommodated between the coupling portion 220a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220c,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120 of the support frame 100 of the support frame 100 is interviewed on the sid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20 ) Is a structure in which the side surface of the third coupling part 220c is interviewed so that the support frame 100 is mutually coupled with the coupling frame 200.

또한,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290)가 형성된 결합프레임(200)에 지지프레임(100)이 결합시 지지프레임(100)의 양측 지지판(120)에 대응되는 위치의 가이드부(290)에 한 쌍의 가이드홀(291)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291)을 통해 지지프레임(100)의 지지판(120)이 제1결합부(220a)와 제2결합부(220b) 내측으로 인도되어 지지프레임(100)의 양측 지지판(120) 중 일측 지지판(120)이 제1결합부(220a) 측면에 면접 그리고 타측 지지판(120)이 제2결합부(220b)의 측면에 면접되는 구조로 지지프레임(100)이 결합프레임(200)과 상호 결합하게 되거나 결합프레임(200)의 제1지지부(210) 하면의 이격된 양측에 각각 제1지지부(210)의 가로길이방향으로 단차진 결속탭(213)이 형성되어 가이드홀(291)을 통해 상향 이동된 지지프레임(100)의 양측 지지판(120) 상단이 결속탭(213)에 면접 밀착되어 지지프레임(100)을 단속하여 지지프레임(100)과 결합프레임(200)을 상호 결합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3 to 15, when the support frame 1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frame 200 on which the guide portion 290 is formed, a guid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both side support plates 120 of the support frame 100 A pair of guide holes 291 is formed in the portion 290, and the support plate 120 of the support frame 100 is formed through the guide holes 291,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are formed. ) One side support plate 120 of both side support plates 120 of the support frame 100 is guided inwardly to the sid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20 is to the sid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In a structure that is interviewed, the support frame 100 is mutually coupled with the coupling frame 200, or in the transvers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10, respectively, at both spaced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10 of the combining frame 200. Stepped binding tabs 213 are formed so that the upper ends of the support plates 120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100 moved upward through the guide hole 291 are the binding tabs 213 )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terview to interrupt the support frame 100 so that the support frame 100 and the coupling frame 200 are mutually coupled.

또한, 도 8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양측 지지판(120)이 결합프레임(200)의 제1결합부(220a)와 제2결합부(220b) 사이 또는 제1결합부(220a)와 제3결합부(220c) 사이에 결합시 상기 양측 지지판(120) 일면에 상호 수평으로 연계되는 제1체결공(121)과 상기 양측 지지판(120)에 마주하는 제1결합부(220a) 및 제2결합부(220b) 또는 제3결합부(220c) 일면에 제1체결공(121)에 연통되는 제2체결공(221)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지지판(120)의 제1체결공(121) 그리고 제1결합부(220a) 및 제2결합부(220b) 또는 제3결합부(220c)의 제2체결공(221)을 체결하여 제1결합부(220a)와 제2결합부(220b) 사이 또는 제1결합부(220a), 제2결합부(220b) 및 제3결합부(220c) 순으로 가로질러 연결 고정하되, 외주면 일면에 상하로 관통된 결합공(401)이 형성되는 환봉형의 지지봉(400)과, 상기 지지봉(400)의 결합공(401) 위치에 대응되는 제1지지부(210)의 일면에 관통된 제3체결공(211)이 형성되어 상기 제3체결공(211)을 통해 지지봉(400)의 결합공(401)으로 체결되는 고정수단(50a)이 포함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1)을 제공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8 and 9, both support plates 120 of the support frame 100 are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of the coupling frame 200 or the first coupling. When coupled between the part 220a and the third coupling part 220c, the first fastening hole 121 that is horizontally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both support plates 120 and the first coupling part facing the both support plates 120. A second fastening hole 221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astening hole 121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220a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220b or the third fastening part 220c. The first fastening part 121 and the first fastening part 220a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221 of the second fastening part 220b or the third fastening part 220c are fastened to form a first fastening part 220a. The coupling hole 401 penetrated vertically on one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two coupling parts 220b or in the order of the first coupling part 220a, the second coupling part 220b, and the third coupling part 220c. ) Is formed round bar-shaped support rod 400 and the support rod 400 ), A third fastening hole 211 penetrat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art 21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hole 401 is formed so that the fastening hole of the support rod 400 through the third fastening hole 211 ( It provides a vehicle awning structure (1) that includes a fastening means (50a) fastened to (401).

먼저,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지지판(120) 모두가 결합프레임(200)의 제1결합부(220a)와 제2결합부(220b) 사이 또는 제1결합부(220a)와 제3결합부(220c) 사이에 수용되면서 서로 마주하게 되며, 즉, 도 8의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프레임(200)의 제1결합부(220a)와 제2결합부(220b) 사이에 지지프레임(100)의 지지판(120)을 수용시 양측 지지판(120) 중 일측 지지판(120)이 제1결합부(220a)의 내측에 마주하여 밀착되며 그리고 타측 지지판(120)은 제2결합부(220b)의 내측에 마주하여 밀착되면서 제3결합부(220c)가 형성되었을 때 지지판(120)과 지지판(120) 사이에 제3결합부(220b)가 위치하는 구조를 가지며, 또한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프레임(200)의 제1결합부(220a)와 제3결합부(220c) 사이에 지지프레임(100)의 지지판(120)을 수용시 양측 지지판(120) 중 일측 지지판(120)이 제1결합부(220a)의 내측에 마주하여 밀착되며 그리고 타측 지지판(120)은 제3결합부(220c)의 내측에 마주하여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때 지지판(120) 일면에 형성된 제1체결공(121)과 제1결합부(220a) 그리고 제2결합부(220b) 또는 제3결합부(220c) 일면에 형성된 제2체결공(221)이 상호 연통되게 된다.First, all of the support plate 120 of the support frame 100 is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of the coupling frame 200 or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It is accommodated between (220c) and face each other, that is, as shown in 9a in FIG. 8), the support frame (1)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of the coupling frame 200 ( When receiving the support plate 120 of 100), one support plate 120 of both side support plates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and the other support plate 120 i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hird coupling portion 220b is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plate 120 and the support plate 120 when the third coupling portion 220c is form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surface, and also in FIG. 8 (b) As shown in the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120 of the support plate 120 when receiving the support plate 120 of the support frame 100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220c of the coupling frame 200 ( One 20)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a) facing the inside of the close contact and the other side support plate (120) has a structure facing the inside of the third coupling portion (220c) in close contact, wherein the support plate 120 formed on one surface The first fastening hole 121 and the first fastening part 220a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221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part 220b or the third fastening part 220c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상기 지지봉(400)은 환봉형의 수평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지지판(120) 제1체결공(121) 및 결합프레임(200)의 제1, 2결합부(220a)(220b) 또는 제1, 2, 3결합부(220a)(220b)(220c) 제2체결공(221)을 통과하여 양측 제1, 2결합부(220a)(220b) 또는 제1, 2, 3결합부(220a)(220b)(220c)를 가로질러 나사결합으로 체결 연결되며, 이때 지지판(120)과 지지판(120) 사이에 위치한 지지봉(400)의 외주면 일면에 상하로 관통된 결합공(401)이 형성된다.The support rod 400 has a shap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round bar, the first fastening hole 121 of the support plate 120 of the support frame 100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of the coupling frame 200 (220a) (220b) or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upling parts 220a, 220b, 220c, passing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hole 221,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220a, 220b on either side or the first , 2, 3 coupling parts (220a) (220b) (220c) is fastened and connected by screw coupling, wherein the support plate 120 and the support plate 400 locat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rod 400 is penetrated up and down The coupling hole 401 is formed.

여기서, 상기 지지봉(400)의 결합공(401)에 수직 대응되는 위치의 결합프레임(200) 제1지지부(210) 일면에 관통된 제3체결공(211)이 형성된다.Here, a third fastening hole 211 penetrat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 of the coupling frame 200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401 of the support rod 400 is formed.

이에, 상기 고정수단(50a) 즉, 고정볼트(50a)가 제1지지부(210)의 제3체결공(211)을 통해 지지봉(400)의 결합공(401)에 나사결합되어 지지프레임(100)과 결합프레임(200)을 상호 결합 고정하게 된다.Thus, the fixing means (50a), that is, the fixing bolt (50a) is screwed to the coupling hole 401 of the support rod 400 through the third fastening hole 211 of the first support 210, the support frame (100) ) And the coupling frame 200 are mutually fixed.

또한, 도 2, 도 7, 도 10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프레임(200)의 밀착부(270) 일면에 하나 이상의 볼트공(271)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공(271)에 나사결합되어 결합프레임(200)의 제1수용부(280)에 수용되면서 밀착부(270)의 내측에 마주하는 커버프레임(300)의 끼움철부(320) 일면을 가압하는 가압수단(50b)이 더 포함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1)을 제공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7, 7, 10, and 13, one or more bolt holes 271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270 of the coupling frame 200, and the screws are screwed into the bolt holes 271. Compressed by being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80 of the coupling frame 200, the pressing means (50b) for pressing one side of the fitting portion 320 of the cover frame 300 facing the inside of the contact portion 270 is further Provided is a vehicle awning structure (1) included.

상기 가압수단(50b) 즉, 가압볼트(50b)를 볼트공(271)에 나사결합으로 이동시켜 가압볼트(50b)의 단부가 제1수용부(280)에 결합된 커버프레임(300)의 끼움철부(320) 일면을 가압함으로서, 상기 끼움철부(320)가 결합프레임(200)의 제2걸림턱(250) 방향으로 밀착 이동되면서 끼움철부(320)의 제2걸림홈(321)이 제2걸림턱(250)을 강하게 밀착되어 결합프레임(200)으로부터 커버프레임(300)을 긴밀히 단속하게 된다.The pressing means 50b, that is, the pressing bolt 50b is screwed to the bolt hole 271 so that the end of the pressing bolt 50b is fitted to the cover frame 300 coupled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80. By pressing one surface of the iron portion 320, the fitting iron portion 320 is mov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locking jaw 250 of the coupling frame 200, so that the second locking groove 321 of the fitting iron portion 320 is second. The locking jaw 250 is strongly adhered to closely control the cover frame 300 from the coupling frame 200.

또한, 차량의 지붕(10)에 지지프레임(100)을 고정하되, 지지프레임(100)과 결합프레임(200)을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100)을 차량의 지붕(10)에 고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조가 포함된다.In addition, to fix the support frame 100 to the roof 10 of the vehicle, in order to fix the support frame 100 to the roof 10 of the vehicle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frame 100 and the coupling frame 200 are combined The following structures are included.

도 2, 도 7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프레임(200)의 제1지지부(210)에 형성된 제3체결공(211)에 이격된 위치의 제1지지부(210) 일면에 통공(212)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212)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지프레임(100)의 지지판(110) 일면에 관통된 제4체결공(111)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212)으로 내속시켜 제4체결공(111)을 통해 지붕(10)에 지지프레임(100)을 고정시키도록 체결수단(50c)이 더 포함되는 차량용 어닝 프레임(1)을 제공한다.As shown in FIGS. 2, 7 and 13, a hole 212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 spaced apart from the third fastening hole 211 formed in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 of the coupling frame 200 ) Is formed, a fourth fastening hole 111 penetrated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10 of the support frame 1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212 is formed, and the fourth fastening is per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212. It provides a vehicle awning frame (1) further comprises a fastening means (50c) to secure the support frame 100 to the roof 10 through the ball (111).

상기 체결수단(50c) 즉, 체결볼트(50c)를 제1지지부(210)의 통공(212)으로 내속시키며, 이때 체결볼트(50c) 전체가 통공(212)을 그대로 통과하며, 이때 통공(212)을 통과한 체결볼트(50c)가 통공(212)에 대응되는 위치의 지지프레임(100)의 지지판(110) 일면에 관통된 제4체결공(111)을 통해 차량의 지붕(10)을 체결하여 지지프레임(100)을 차량의 지붕(10)에 고정하게 된다.The fastening means (50c), that is, the fastening bolt (50c) is internalized into the through hole (212)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 wherein the entire fastening bolt (50c)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12 as it is, and then through (212) ) Fastened bolt (50c) through the fourth fastening hole 111 through the support plate 110 of the support frame 1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212 fastening the roof 10 of the vehicle By fixing the support frame 100 to the roof 10 of the vehicle.

또한, 도 10 내지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0) 없이 차량의 지붕(10)에 결합프레임(200)과 커버프레임(300)만으로 어닝 구조물(1)을 설치시 상기 결합프레임(200)의 제1지지부(210)에 하나 이상의 통공(212)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지지부(210)에 마주하는 결합프레임(200)이 하부에 위치한 가이드부(290)에 상기 통공(21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5체결공(292)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제1지지부(210)의 통공(212)을 통과하여 제5체결공(292)에 체결수단(50c)을 체결하여 차량의 지붕(10)에 결합프레임(200)을 고정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0 to 12, when the awning structure 1 is installed only with the coupling frame 200 and the cover frame 300 on the roof 10 of the vehicle without the supporting frame 100, the coupling frame 200 While at least one through hole 212 is formed in the first support part 210, the coupling frame 200 facing the first support part 210 corresponds to the through hole 212 in the guide part 290 located below. A fifth fastening hole 292 is formed at the position, and at this time, the fastening means 50c is fastened to the fifth fastening hole 292 by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12 of the first support part 210, and then the roof 10 of the vehicle ) Is fixed to the coupling frame 200.

또한, 도 2, 도 7, 도 10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지붕(10)에 결합프레임(200) 또는 지지프레임(100)을 결합시 결합프레임(200) 또는 지지프레임(100) 하부에 베이스판(500)을 배치하며, 상기 베이스판(500)은 고무재 또는 금속재의 재질로 이루어지되, 내식성, 내마모성, 내열성 및 내산성을 가지면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링역할을 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coupling frame 200 or the support frame 100 is coupled to the roof 10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S. 2, 7, 7, 10, and 13, the coupling frame 200 or the lower support frame 100 The base plate 500 is disposed on, and the base plate 500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and has a corrosion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heat resistance, and acid resistance, and serves as a sealing to prevent rainwater from permeating.

또한, 차량의 지붕(10)에 고정된 결합프레임(200)에서 커버프레임(300)이 가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구조가 더 포함된다.In addition, the following structure is further included so that the cover frame 300 can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coupling frame 200 fixed to the roof 10 of the vehicle.

도 16 내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프레임(200)의 제2지지부(230) 하부에 면접되면서 결합프레임(200)의 제2지지부(230)에 연결된 제2결합부(220b)를 결속하거나 제2결합부(220b)를 포함하면서 상기 제2결합부(220b)에 밀착되는 지지프레임(100)의 지지판(120)을 함께 결속하도록 제2결합부(220b)의 길이방향 및 위치에 대응되도록 일면에 관통된 제1결속공(611)이 형성되는 제3지지부(610)와, 상기 제3지지부(610)의 일단에 연결 절곡되어 결합프레임(200)의 밀착부(270) 외면에 면접되는 제4지지부(620) 및, 상기 제4지지부(620)의 상단 중앙에 연결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탭(630)이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600)이 더 포함되며,As shown in FIGS. 16 to 18, while being interviewed under the second support portion 230 of the coupling frame 200,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230 of the coupling frame 200 is bound or To correspon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to bind together the support plate 120 of the support frame 10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while including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The third support portion 610, through which a first binding hole 611 penetrating one surface is forme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610 and is bent to be interview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270 of the coupling frame 200 A fourth support portion 620 and a guide frame 600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fourth support portion 620 and protrudes inward is further included,

이때 상기 가이드탭(630)이 대응되는 위치의 결합프레임(200) 밀착부(270)에 제2결속공(272)이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탭(630)이 제2결속공(272)을 통해 삽입되어 결합프레임의 제1수용부(280)로 인도되며,At this time, as the second binding hole 272 is formed in the contact portion 270 of the coupling frame 200 where the guide tab 630 corresponds, the guide tab 630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binding hole 272. It is delivered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80 of the combined frame,

이때 상기 가이드탭(630)의 자유단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1수용부(280)에 수용된 커버프레임(300)의 끼움철부(320) 일측면 가로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322)이 형성되어 가이드탭(630)의 자유단이 가이드홈(322)에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차량의 어닝 구조물(1)을 제공한다.At this time, the guide groove 322 is formed in the horizontal and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fitting portion 320 of the cover frame 300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80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ee end of the guide tab 630, The awning structure 1 of the vehicl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ree end of the tab 630 is fitted to the guide groove 322 is provided.

도 17과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프레임(600)은 제3지지부(610), 제4지지부(620) 및 가이드탭(630)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3지지부(610)는 결합프레임(200)의 제2지지부(230) 하부에 면접되며, 상기 제3지지부(610)의 가로길이는 결합프레임(200)의 제2지지부(230) 가로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17 and 18, the guide frame 600 has an integral structure composed of a third support portion 610, a fourth support portion 620, and a guide tab 630,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610 ) Is interviewed under the second support portion 230 of the coupling frame 200, and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61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230 of the coupling frame 200.

그리고, 상기 제3지지부(610)의 일면에 가로방향으로 관통된 제1결속공(611)이 형성되어 결합프레임(200)의 제2결합부(220b)를 삽입 결속하거나 제2결합부(220b)와 지지프레임(100)의 일측 지지판(120)을 함께 삽입 결속되며, 이때 결합프레임(200)과 지지프레임(100)이 결합시 제2결합부(220b)와 일측 지지판(120)은 상호 면접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가이드프레임(600)의 제1결속공(611)을 통해 삽입 결속하게 되며, 상기 제1결속공(611)의 너비는 결합프레임(200)의 제2결합부(220b) 가로방향에 길이에 대응되는 너비를 가진다.In addition, a first binding hole 611 penet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610 to insert and bi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of the coupling frame 200 or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 And one support plate 120 of the support frame 100 are inserted and bound together, and when the coupling frame 200 and the support frame 100 are engaged, the second coupling part 220b and the one side support plate 120 are mutually interviewed. It is formed in a structure to be inserted and bound through the first binding hole 611 of the guide frame 600, the width of the first binding hole 611 is the width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of the coupling frame 200 It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in the direction.

그리고, 상기 제4지지부(620)는 제3지지부(610)의 일단에 연결되면서 절곡되어 상향 연장되며, 이때 제4지지부(620)의 내측면이 결합프레임(200)의 밀착부(270) 외측면에 밀착 면접되게 된다.In addition, the fourth support part 620 is bent while being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ird support part 610 and extended upward, w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fourth support part 620 has a contact portion 270 of the coupling frame 200 and the like. You will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그리고, 상기 가이드탭(630)은 제4지지부(620)의 상단 중앙에 연결되면서 그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이때 상기 가이드탭(630)이 삽입되어 결합프레임(200)의 제1수용부(280)로 인도되도록 가이드탭(630)에 대응되는 위치의 밀착부(270) 일면에 관통된 제2결속공(272)이 형성되어 상기 제2결속공(272)을 통해 가이드탭(630)이 삽입되어 결합프레임(200)의 제1수용부(280)로 인도되게 된다.In addition, the guide tab 630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fourth support portion 620 and protrudes inward from its upper end. At this time, the guide tab 630 is inserted to accommodate the first of the coupling frame 200. A second binding hole 272 penetrated to one side of the contact portion 27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tab 630 to be guided to the portion 280 is formed to guide the guide tab 630 through the second binding hole 272 ) Is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80 of the coupling frame 200.

그리고,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밀착부(270)의 제2결속공(272)은 밀착부(270)에 형성된 볼트공(271)과 볼트공(271) 사이에 위치하며, 이때 제2결속공(272)에 가이드탭(630)을 결속하더라도 볼트공(271)은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존재하여 볼트공(271)을 통해 가압수단(50b)을 체결시에도 간섭이 없도록 가이드프레임(600)의 가이드탭(630)이 형성된다.And, as shown in Figure 17, the second binding hole 272 of the contact portion 270 is located between the bolt hole 271 and the bolt hole 271 formed in the contact portion 270, at this time, the second binding Even if the guide tab 630 is bound to the ball 272, the bolt hole 271 exists in the form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re is no interference even when the pressing means 50b is fastened through the bolt hole 271. ), The guide tab 630 is formed.

그리고, 상기 결합프레임(200)의 제1수용부(280)로 인도된 가이드탭(630)이 커버프레임(3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수용부(280)에 인도된 가이드탭(630)의 자유단에 대응되는 위치의 커버프레임(300) 끼움철부(320) 일측면 즉, 외측면에 커버프레임(300)의 가로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322)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600)의 가이드탭(630) 자유단이 가이드홈(322)에 끼움 결합되게 된다.Then, the guide tab 630 delivered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80 so that the guide tab 630 guided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80 of the coupling frame 200 can be coupled to the cover frame 300. The guide frame 322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over frame 300 on one side, 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frame 300, the fitting part 320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ee end of the guide frame The free end of the guide tab 630 of 600 is fitted into the guide groove 322.

그리고, 상기 결합프레임(200)의 제1수용부(280)로 인도된 가이드탭(630)의 자유단이 제1수용부(280)에 위치한 커버프레임(300)의 끼움철부(320)에 형성된 가이드홈(322)에 결합되며, 이때 가이드홈(322)의 형태에 대응된 형태의 가이드탭(630) 자유단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프레임(300)이 가이드탭(630)을 기준으로 가로방향의 좌우 슬라이드로 이동하게 된다.And, the free end of the guide tab 630 guided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80 of the coupling frame 200 is formed in the fitting iron portion 320 of the cover frame 300 located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80 It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322, wherein the cover frame 300 is based on the guide tab 630 in a state where the free ends of the guide tabs 630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guide grooves 322 are formed and coupled to each other. As it moves to the left and right sli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600)의 가이드탭(630)을 기준으로 커버프레임(300)을 좌우 이동 후 커버프레임(300)의 위치가 결정되면 볼트공(271)을 통해 가압수단(50b)을 체결하여 커버프레임(300)을 결합프레임(200)에 고정시키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cover frame 300 is moved left and right based on the guide tab 630 of the guide frame 600 and the position of the cover frame 300 is determined, the pressing means 50b is fastened through the bolt hole 271. By fixing the cover frame 300 to the coupling frame 200.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will be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though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spirit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지붕 10 고정수단 50a 가압수단 50b
체결수단 50c 지지프레임 100 지지판 110
제4체결공 111 지지판 120 제1체결공 121
결합프레임 200 제1지지부 210 제3체결공 211
통공 212 결속탭 213 제1결합부 220a
제2결합부 220b 제3결합부 220c 제2체결공 221
고정돌기 222 제2지지부 230 제1걸리턱 240
제2걸림턱 250 경사부 260 밀착부 270
볼트공 271 제2결속공 272 제1수용부 280
가이드부 290 가이드홀 291 제5체결공 292
커버프레임 300 걸림부 301 끼움요부 310
제1걸림홈 311 끼움철부 320 제2걸림홈 321
가이드홈 322 지지봉 400 결합공 401
베이스판 500 가이드프레임 600 제3지지부 610
제1결속공 611 제4지지부 620 가이드탭 630
Roof 10 Fixing means 50a Pressing means 50b
Fastening means 50c Support frame 100 Support plate 110
4th fastener 111 support plate 120 1st fastener 121
Coupling frame 200 First support 210 Third fastening 211
Through hole 212 Coupling tab 213 First coupling portion 220a
Second coupling part 220b Third coupling part 220c Second fastening hole 221
Fixing projection 222 Second support section 230 First hook jaw 240
Second locking jaw 250 Inclined part 260 Contact part 270
Bolt hole 271 Second binding hole 272 First accommodation part 280
Guide part 290 Guide hole 291 5th fastener 292
Cover frame 300 Locking part 301 Inserting part 310
1st jamming groove 311 fitting steel 320 2nd jamming groove 321
Guide groove 322 Support rod 400 Coupling hole 401
Base plate 500 Guide frame 600 Third support 610
1st binding hole 611 4th supporting part 620 Guide tab 630

Claims (12)

차량의 지붕에 이격되게 한 쌍이 결합되며, 수평의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수직의 하향 연장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연결되어 수평 연장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수직의 하향 연장되면서 제1결합부의 수직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가진 제2결합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제1지지부 상부로 돌출되면서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걸림턱과, 상기 제2지지부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제2지지부 상부에 돌출되면서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걸림턱과, 상기 제2지지부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연결되면서 소정의 기울기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연결되어 상향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와 제2걸림턱 사이의 경사부 상부에 형성된 제1수용부로 구성되는 결합프레임;과,
상기 결합프레임 각각에 양단 하부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면서 내부에 중공형을 가지며, 상기 제1걸림턱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1걸림턱에 대응되도록 음각의 형태를 가진 제1걸림홈이 형성된 끼움요부와 제1수용부에 수용되도록 제2걸림턱에 대응되는 음각의 형태를 가진 제2걸림홈이 형성된 끼움철부가 하부에 형성되면서 결합프레임의 제1지지부 외측으로 더 연장되는 너비구조를 가지는 커버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
A pair is spaced apart from the roof of the vehicle, and a horizontal first support portion, a first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and one side in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horizontally extended by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having a length small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while being vertically downwardly connected to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and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It is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trud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and is formed with an inclination at a predetermined slop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being inclined at a predetermined slope. A second engaging jaw,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upwardly inclined at a predetermined slope while one side is connected in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incline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ne side direction of the attachment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and upward, the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shoulder portion inclined upper locking is constituted by first receiving a frame formed in between; and,
As the lower ends of each of the coupling frames are detachably mounted, it has a hollow shape therein, and a fitting part having a first engaging groove having an intaglio shape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engaging jaw so as to be fitted to the first engaging jaw. A cover frame having a width structure that is further extended outside the first support portion of the coupling frame while a fitting iron portion having a second locking groove having an intaglio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cking jaw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portion to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 vehicle awning structur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 각각의 수직 길이보다 더 작은 길이를 가지면서 제1지지부의 타측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수직의 하향 연장되는 제3결합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having a length small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ly extending third coupling portion is formed structure Vehicle awning structure further comprise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의 제1결합부 하단에 칼날형의 고정돌기가 형성하되, 상기 고정돌기의 끝단 경사면이 제1결합부 내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The awning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blade-shaped fixing protrusion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coupling frame, and an inclined surface at the end of the fixing projection is formed inside the first coupling portion.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 하단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연결되면서 타측이 제2결합부의 하단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결합부 하단이 하부로 더 연장되면서 연장된 끝단에 칼날형의 고정돌기가 형성하되, 상기 고정돌기의 끝단 경사면이 제1결합부 내측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One side is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formed a guid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While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extends further downward, a blade-like fix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extended end, and the inclined surface at the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is formed inside the first coupling portion. Vehicle awning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차량의 지붕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이 더 포함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차량의 지붕에 면접되는 하부의 지지판 양단 각각에 수직의 상향 연장되는 지지판으로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은 결합프레임의 가로길이보다 작은 가로길이를 가져 결합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호 결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frame is further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frame is fix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the support frame is a support plate extending vertically upward to each of both ends of the lower support plate to be interview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The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having an integral structure, wherein the support frame has a horizontal length smaller than that of the coupling frame, and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oupling frame to be coupl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의 제1지지부 하면의 이격된 양측에 각각 제1지지부의 가로길이방향으로 단차진 결속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The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tepped binding tab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of the coupling fram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결합부가 형성된 결합프레임에 차량의 지붕에 면접되는 하부의 지지판 양단 각각에 수직의 상향 연장되는 지지판으로 일체의 구조를 가지는 지지프레임이 결합할 때에,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 지지판이 제1결합부와 제3결합부 사이에 수용되어 지지프레임의 양측 지지판 중 일측 지지판이 제1결합부 측면에 면접 그리고 타측 지지판이 제3결합부의 측면에 면접되는 구조로 지지프레임이 결합프레임과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2, When the support frame having an integral structure with a support plate extending vertically upward to each of both ends of the lower support plate that is interview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to the coupling frame formed with the third coupling portion,
A structure in which both side support plates of the support frame are accommodat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so that one side support plate of the two side support plates of the support frame is interviewed on the sid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late is interviewed on the side of the third coupling portion A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frame is mutually coupled with the coupling fram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결합프레임에 차량의 지붕에 면접되는 하부의 지지판 양단 각각에 수직의 상향 연장되는 지지판으로 일체의 구조를 가지는 지지프레임이 결합할 때에,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 지지판에 대응되는 위치의 가이드부에 한 쌍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을 통해 지지프레임의 지지판이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내측으로 인도되어 지지프레임의 양측 지지판 중 일측 지지판이 제1결합부 측면에 면접 그리고 타측 지지판이 제2결합부의 측면에 면접되는 구조로 지지프레임이 결합프레임과 상호 결합하게 되거나 결합프레임의 제1지지부 하면의 이격된 양측에 각각 제1지지부의 가로길이방향으로 단차진 결속탭이 형성되어 가이드홀을 통해 상향 이동된 지지프레임의 양측 지지판 상단이 결속탭에 면접 밀착되어 지지프레임을 단속하여 지지프레임과 결합프레임을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4, When the support frame having an integral structure with a support plate extending vertically upward to each of both ends of the lower support plate that is interview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to the coupling frame formed with the guide portion,
A pair of guide holes are formed in the guide portion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lates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support plates of the support frame are guided inside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through the guide holes, so that both sides of the supporting frame are formed. One of the support plates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is interviewed on the sid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late is interviewed on the sid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stepped binding tabs are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so that the upper ends of the support plates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moved upward through the guide hole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binding tabs, intermittently interposing the support frame and the coupling frame Vehicle awning structure.
제5항, 제7항 또는 제8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 지지판이 결합프레임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 또는 제1결합부와 제3결합부 사이에 내속시 상기 양측 지지판 일면에 상호 수평으로 연계되는 제1체결공과 상기 양측 지지판에 마주하는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 또는 제3결합부 일면에 제1체결공에 연통되는 제2체결공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지지판의 제1체결공 그리고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 또는 제3결합부의 제2체결공을 체결하여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 또는 제1결합부, 제3결합부 및 제2결합부 순으로 가로질러 연결 고정하되, 외주면 일면에 상하로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되는 환봉형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결합공 위치에 대응되는 제1지지부의 일면에 관통된 제3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3체결공을 통해 지지봉의 결합공으로 체결되는 고정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7, or 8, wherein both support plates of the support frame a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of the coupling frame or 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third coupling part. A first fastening hole that is horizont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s at both sides when intermittently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second fasten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astening hole on on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or the third coupling portion facing the both support plates. A ball is formed, wherein the first fastening hole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or the third coupling portion are fastened to form a first coupling portion or a second coupling portion, or a first coupling portion, The third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are connected and fixed in order, and a round bar-shaped support bar in which a coupling hole penetrated up and down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third fastening hole is formed through a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ar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hole of the support bar, and fixing means are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support bar through the third fastening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의 밀착부 일면에 하나 이상의 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공에 나사결합되어 결합프레임의 제1수용부에 수용되면서 밀착부의 내측에 마주하는 커버프레임의 끼움철부 일면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결합프레임의 제1지지부 일면에 형성된 제3체결공과 이격된 위치로 제1지지부 일면에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지프레임의 지지판 일면에 관통된 제4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으로 내속시켜 제4체결공을 통해 지붕에 지지프레임을 고정시키도록 체결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One or more bolt hole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upling frame, screwed to the bolt hole and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of the coupling frame, one side of the fitting of the cover frame facing the inside of the contact portion Pressing means for pressurizing is included,
A through hol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hird fastening hol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of the coupling frame, and a fourth fastening hole is formed through the support plate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through hole, A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means is further included so as to fix the support frame on the roof through the fourth fastening hole.
제1항, 제2항, 제5항, 제7항 또는 제10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200)의 제2지지부(230) 하부에 면접되면서 결합프레임(200)의 제2지지부(230)에 연결된 제2결합부(220b)를 결속하거나 제2결합부(220b)를 포함하면서 상기 제2결합부(220b)에 밀착되는 지지프레임(100)의 지지판(120)을 함께 결속하도록 제2결합부(220b)의 길이방향 및 위치에 대응되도록 일면에 관통된 제1결속공(611)이 형성되는 제3지지부(610)와, 상기 제3지지부(610)의 일단에 연결 절곡되어 결합프레임(200)의 밀착부(270) 외면에 면접되는 제4지지부(620) 및, 상기 제4지지부(620)의 상단 중앙에 연결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탭(630)이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600)이 더 포함되며,
이때 상기 가이드탭(630)이 대응되는 위치의 결합프레임(200) 밀착부(270)에 제2결속공(272)이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탭(630)이 제2결속공(272)을 통해 삽입되어 결합프레임의 제1수용부(280)로 인도되며,
이때 상기 가이드탭(630)의 자유단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1수용부(280)에 수용된 커버프레임(300)의 끼움철부(320) 일측면 가로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322)이 형성되어 가이드탭(630)의 자유단이 가이드홈(322)에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5, 7, or 10, wherein the coupling frame 200 while being interviewed under the second support portion 230 of the coupling frame 200 The support plate 120 of the support frame 100 that is bound to the second coupling part 220b while binding the second coupling part 220b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art 230 or including the second coupling part 220b A third support portion 610 through which a first binding hole 611 penetrated on one surfac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to bind together, and one end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610 The fourth support portion 620 that is bent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270 of the coupling frame 200 and the guide tab 630 connect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fourth support portion 620 and protruding inward is provided. The formed guide frame 600 is further included,
At this time, as the second binding hole 272 is formed in the contact portion 270 of the coupling frame 200 where the guide tab 630 corresponds, the guide tab 630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binding hole 272. It is delivered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80 of the combined frame,
At this time, the guide groove 322 is formed in the horizontal and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fitting portion 320 of the cover frame 300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80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ee end of the guide tab 630, A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ee end of the tab 630 has a structure fitted to the guide groove 322.
제1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의 지붕에 결합프레임 또는 지지프레임을 결합시 결합프레임 또는 지지프레임 하부에 베이스판을 배치하며, 상기 베이스판은 고무재 또는 금속재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닝 구조물.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or 5, When the coupling frame or support frame is coupl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the base plate is disposed under the coupling frame or the support frame, the base plate is rubber A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material of ash or metal.
KR2020180003131U 2018-07-06 2018-07-06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KR20049113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131U KR200491131Y1 (en) 2018-07-06 2018-07-06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131U KR200491131Y1 (en) 2018-07-06 2018-07-06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25U KR20200000125U (en) 2020-01-15
KR200491131Y1 true KR200491131Y1 (en) 2020-04-24

Family

ID=69155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131U KR200491131Y1 (en) 2018-07-06 2018-07-06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131Y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1830B2 (en) * 1994-11-18 2000-04-10 日産アルティア株式会社 Attachment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KR100945573B1 (en) 2007-10-26 2010-03-09 주식회사 시드컴 Sun roof awning apparatus for adjusting awning angle
KR101547559B1 (en) 2014-02-20 2015-08-26 남상규 Awning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25U (en)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442B1 (en) A ponding-water-proof high-dome tent
US20090056779A1 (en) Auxiliary section for a canopy
US20080302934A1 (en) Roofing bracket for supporting a platform
US201601086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Portable Wind Break Device
KR102061871B1 (en) Safety parapet for construction work
KR101393418B1 (en) Awning bracket
KR20170025636A (en) Coupling device for deck boards
US10081965B2 (en) Modular hyperbolic trapezoid fabric structure
KR200491131Y1 (en)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KR102061472B1 (en) Awning structure for a vehicle
EP2267248B1 (en) Tent poles for a tented roof
KR20170000167A (en) Tent Assembly
KR102061877B1 (en) Safety parapet constructing method for construction work
KR20190104916A (en) Combination structure of canopy
KR200472551Y1 (en) Lighting panel structure
KR200254959Y1 (en) Portable assembly bungalow
JP5572751B1 (en) Folding tent
CN214696901U (en) Waterproofing membrane construction auxiliary frame
DE202019003306U1 (en) Holding profile and system for holding
KR102061876B1 (en) Safety parapet manufacturing method for construction work
DE20012351U1 (en) Window or door with relief device
US11597263B2 (en) Modular corner uplift assembly
EP0374447A1 (en) Window frame
DE102006051617B4 (en) Awning for a camper
CN209277684U (en) A kind of anti-climb fe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