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071Y1 - 비상용 다목적 하의 - Google Patents

비상용 다목적 하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071Y1
KR200491071Y1 KR2020180005111U KR20180005111U KR200491071Y1 KR 200491071 Y1 KR200491071 Y1 KR 200491071Y1 KR 2020180005111 U KR2020180005111 U KR 2020180005111U KR 20180005111 U KR20180005111 U KR 20180005111U KR 200491071 Y1 KR200491071 Y1 KR 200491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main body
fasteners
string
bot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연
조유나
윤희정
Original Assignee
최지연
조유나
윤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연, 조유나, 윤희정 filed Critical 최지연
Priority to KR2020180005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0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0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14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47G9/0223Blan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38Bed linen
    • A47G9/0261Blanket or duvet enclosing covers, e.g. bag-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상용 다목적 하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길이 변형이 가능한 탄성부와,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체결구 및 끈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하의를 보관할 수 있고 하의 착용시 하의에 부착가능한 파우치를 포함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킨 비상용 다목적 하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상용 다목적 하의{Emergency Multi-Purpose Skirt}
본 고안은 비상용 다목적 하의에 관한 것으로써, 착용성 및 활용성을 개선하고 휴대가 보다 용이한 비상용 다목적 하의에 관한 것이다.
하의가 오염되었을 때, 특히 생리주기를 확실히 모르는 여성이 갑작스러운 생리로 생리혈이 하의에 묻었을 때 오염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가릴 수 있는 방법이 마땅치 않은 실정이다.
카디건과 같은 의류로 허리를 감싸 가리게 되면 보통 의류에는 방수기능이 없기 때문에 오염부위를 가린 의류까지 오염되는 2차오염의 위험이 있다.
또한, 겨울철이나 에어컨 등으로 인해 온도가 낮은 장소에서 또는 생리기간 중에 하의에 추가적인 보온이 필요할 때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의류가 요구된다.
이러한 보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이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7031호'에 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7031호'의 휴대용 보온 직물은 직물에 상기 직물을 폭으로 접거나 길이로 접는 경우 대향하게 위치하는 다수 개소에 형성된 체결구(단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직물의 중심부 일측을 허리에 두르고 허리사이즈에 따라 상기 체결구 간의 체결관계를 맺음으로써 치마 혹은 하체용 숄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7031호'의 휴대용 보온 직물은 체결구(단추, 후크)로만 치마를 허리에 고정하기 때문에 앉았을 때 복부의 체형이 변하게 되면 허리 조임이 심하여 편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휴대할 수 있는 장치가 따로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직물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7031호'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비상용 다목적 하의에 체결구 이외에도 끈을 추가로 형성하여 착용성을 개선하고, 하의에 장착할 수 있는 파우치를 추가로 포함하여 휴대성을 개선한 비상용 다목적 하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비상용 다목적 하의는 사이즈 조절부와, 상기 사이즈 조절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림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사이즈 조절부의 일정 구간에 형성되는 탄성부와, 상기 사이즈 조절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끈과, 상기 사이즈 조절부의 일면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끈과 묶이는 제2끈과, 상기 사이즈 조절부의 타면의 좌측과 우측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좌측 및 상기 우측에 각각 복수 개로 형성되는 체결구와, 상기 본체를 담을 수 있는 파우치와, 상기 파우치 양측에 각각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체결구와, 두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체결구는 상기 사이즈 조절부의 좌측 체결구 또는 우측 체결구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사이즈 조절부의 좌측 체결구와 우측 체결구는 상기 체결홈을 통해 서로 결합된다.
삭제
삭제
상기 사이즈 조절부의 체결구 중 일부는 상기 제1끈과 상기 본체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면은 방오 또는 방수가 가능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비상용 다목적 하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체를 방오 또는 방수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하의에 묻은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가릴 수 있고, 또한 외부의 오염원으로부터 하의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체에 복수개로 형성된 체결구로 인해 사람마다 자신의 체형에 맞게 허리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고, 끈으로 묶는 것보다 훨씬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다.
본체에 형성된 끈으로 인해 위급시 재빠르게 비상용 다목적 하의를 착용할 수 있고, 체결구와 더불어 이중적으로 체결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다.
본체의 양 끝을 마주보게 합친 다음에 상기 합친 부분을 복부 쪽으로 접어 끈으로 고정하는 구조로 인해 복부가 3겹의 천으로 따뜻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체의 체결구에 체결할 수 있는 파우치로 인해 비상용 다목적 하의를 착용하고 있을 때도 파우치의 분실 위험을 줄일 수 있고, 파우치를 주머니로 활용하거나 파우치에 핫팩과 같은 보온 도구를 넣어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파우치의 체결구를 위쪽으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함으로써, 파우치를 본체에 부착한 채로 본체의 좌우 체결구끼리 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다목적 하의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다목적 하의의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다목적 하의의 파우치의 정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다목적 하의가 보관된 파우치를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다목적 하의를 착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비상용 다목적 하의는 천 재질의 본체(100)와,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사이즈 조절부(110)와,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림부(120)와, 사이즈 조절부(110)의 양측에 각각의 일측이 연결되는 제1끈(112)과, 사이즈 조절부(110)의 중앙에 형성되는 탄성부(111)와, 사이즈 조절부(110)의 일면 중앙에 일측이 연결되고 제1끈(112)과 묶이는 제2끈(115) 및 사이즈 조절부(110)의 타면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구(113,114)를 포함하고, 좌측의 체결구(113a,114a)와 우측의 체결구(113b,114b)는 서로 체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10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본체(100)의 너비는 사용자의 허리를 감쌀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넓게 형성되고, 본체(100)의 높이는 엉덩이와 허벅지를 감쌀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짧은 하의를 입은 경우 에스컬레이터나 계단과 같은 노출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하의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체(100)의 재질은 모직, 폴라폴리스, 나일론 또는 합성수지재 중의 하나일 수 있다. 특히 본체(100)의 적어도 일면은 폴라폴리스나 나일론과 같은 방오 또는 방수가 가능한 재질로 불투명하게 형성되어, 하의에 묻은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가릴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오염원으로부터 하의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마철에 우산으로 커버하기 어려운 하의가 젖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야외에서 휴식을 취하고 싶을 때 장소의 제약 없이 착석해도 하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방수 재질과, 펼쳤을 때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인해 상기 본체(100)를 매트, 담요 등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사이즈 조절부(110)는 끈의 형태로 형성된다.
사이즈 조절부(110)의 중앙에 형성되는 탄성부(111)는 고무줄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111)로 인해 사용자가 후술할 제2체결구(114)로 자신의 허리 사이즈에 맞게 비상용 다목적 하의의 사이즈를 조절하더라도, 활동시 혹은 착석시 여유 공간이 확보되어 보다 편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111)는 사이즈 조절부(110)의 중앙에서 좌측으로 치우친 곳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본체(100)의 양측을 체결구(113,114)로 체결하여 본체(100)의 양 끝이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겹쳐진 부분의 중앙이 사용자 복부의 중앙 위에 오도록 접었을 때 탄성부(111)의 중앙이 사용자 등의 중앙에 오게 되므로 착용감이 보다 향상된다.
제1끈(112)은 본체(100) 양쪽에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끈(112)을 후술할 제2끈(115)과 묶었을 때, 본체(100)의 양쪽이 제1끈(112) 및 제2끈(115)으로 인해 쳐지지 않고 지지될 수 있다.
제2끈(115)은 탄성부(111)와 우측의 제1끈(112b) 사이에 일측이 연결되어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111)의 중앙이 사용자 등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착용했을 경우 제1끈(112)과 제2끈(115)으로 인해 형성되는 매듭이 사용자의 등 쪽에 형성되지 않게 되어 착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체결구(113,114)는 단추 또는 똑딱 단추를 의미한다. 또한, 벨크로 테이프를 의미할 수도 있다. 체결구는 본체(100)의 좌측에 형성되는 체결구(113a,114a)와 본체(100)의 우측에 형성되는 체결구(113b,114b)로도 나눌 수 있다. 좌측의 체결구(113a,114a)와 우측의 체결구(113b,114b)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1체결구(113)는 제1끈(112)이 본체(100)에 연결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제1체결구(113)를 먼저 체결함으로써 후술할 좌측의 제2체결구(114a)와 우측의 제2체결구(114b)가 체결될 수 있는 위치에 정렬되어 제2체결구(114)를 보다 쉽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양 끝을 정렬시킴으로써 미관상 보다 미려해지고, 직관적으로 착용방법을 알 수 있고, 본체(100) 양 끝의 처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체결구(114)는 제1체결구(113)와 탄성부(111) 사이에 배치된다. 제2체결구(114)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허리 사이즈에 맞게 제2체결구(114)를 체결할 수 있으므로 착용감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제2체결구(114)로 인해 끈 묶기 외의 방식으로 본체(100)를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시킬 수 있어 착용감이 보다 향상된다.
이러한 체결구(113,114)로 인해, 체결구(113,114)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본체(100)를 고정해도 사용자가 무릎 덮개로 사용하는 데 무리가 없어, 흘러내림 없이 걸치는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제1끈(112)과 제2끈(115)을 이용하여 2차적으로 고정하면 고정력이 보다 강화되어 보다 용이하게 활동할 수 있다.
가림부(120)는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가림부(12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가림부의 좌측(121)의 기울기는 가림부의 우측(122)의 기울기보다 경사지게 형성된다. 사용자가 본체(100)를 착용했을 때, 가림부의 좌측(121)이 가림부의 우측(122)보다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 즉, 가림부의 좌측(121)이 가림부의 우측(122)보다 회전반경이 크다. 이러한 가림부(120)의 형태에 의해 사용자가 본체(100)를 완전하게 착용했을 때, 가림부의 좌측(121) 끝이 가림부의 우측(122) 끝보다 더 외측에 배치되어, 가림부의 좌측(121)이 가림부의 우측(122)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전방을 보다 완전하게 커버할 수 있다. 또한, 미관상 미려해지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비상용 다목적 하의는 본체(100)를 담을 수 있는 파우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우치는 도 3 내지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파우치(200)의 하부에는 본체(100)가 담기는 보관부(210)가 형성되고, 파우치(200)의 상부에는 파우치(200)를 본체(100)에 연결할 수 있는 부착부(220)가 형성된다.
보관부(210)의 상부에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211)가 형성되어, 본체(100)를 보관부(210)에 담은 후 지퍼(211)를 잠가 본체(100)를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부착부(220)는 돌출된 부분이 위쪽을 향하는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ㄷ'자 형태의 돌출된 부분에는 돌출부(221)가 형성되고, 오목한 부분에는 체결홈(222)이 형성된다.
돌출부(221)에는 각각 제3체결구(223)가 형성된다. 제3체결구(223) 사이의 거리는 본체(100)의 제2체결구(114) 사이의 거리의 배수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3체결구(223) 사이의 거리는, 좌우 중 한쪽 제2체결구(114)에서 서로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두 제2체결구(114) 사이의 거리와 같다.
제3체결구(223)는 사이즈 조절부(110)의 좌측에 형성되는 제2체결구(114a)와 결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본체(100)를 파우치(200)에서 꺼내 사용하더라도 파우치(200)를 분실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우치(200)를 주머니로 활용할 수 있고, 핫팩과 같은 온열기구를 넣어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체결구(223)와 사이즈 조절부(110)의 좌측에 형성되는 제2체결구(114a)를 체결하고 나면, 제2체결구(114a)중 제3체결구(223)와 체결되지 않은 제2체결구(114a)가 체결홈(222)을 통해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체결홈(222)으로 인해 상기 노출된 제2체결구(114a)는 사이즈 조절부(110)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2체결구(114b)와 결합될 수 있다. 즉, 파우치(200)를 본체(100)에 결합하더라도 본래의 기능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비상용 다목적 하의를 착용하는 방법은 도 6 내지 도 10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111)가 등 쪽을 향하게 본체(100)를 두른 다음 제1체결구(113)를 서로 체결한다. 그러면 제1체결구(113) 및 제1끈(112)이 사용자의 좌측에 위치하고, 제2끈(115)은 사용자의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가림부(120)의 좌측(121)이 우측(122)보다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좌측(121)의 하단이 우측(122)의 하단보다 외측으로 튀어나오게 된다.
그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허리 사이즈에 맞게 제2체결구(114)를 체결한다. 이때 제1체결구(113)에 의해 제2체결구(114)가 서로 정렬되어 쉽게 제2체결구(114)를 체결할 수 있다. 제2체결구(114)는 필요한 만큼만 체결하면 된다.
체결구(113,114)를 전부 체결한 후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좌측에 있는 제1끈(112)과 사용자의 우측에 있는 제2끈(115)을 각각 손으로 잡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끈(112)이 있는 쪽을 제2끈(115)이 있는 쪽으로 접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묶으면 착용이 완료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복부 쪽에는 3겹의 천이 위치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보온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본체 110: 사이즈 조절부
111: 탄성부 112: 제1끈
113: 제1체결구 114: 제2체결구
115: 제2끈 120: 가림부
121: 좌측 122: 우측
200: 파우치 210: 보관부
211: 지퍼 220: 부착부
221: 돌출부 222: 체결홈
223: 제3체결구 224: 제4체결구

Claims (5)

  1. 사이즈 조절부와, 상기 사이즈 조절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림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사이즈 조절부의 일정 구간에 형성되는 탄성부;
    상기 사이즈 조절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끈;
    상기 사이즈 조절부의 일면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끈과 묶이는 제2끈;
    상기 사이즈 조절부의 타면의 좌측과 우측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좌측 및 상기 우측에 각각 복수 개로 형성되는 체결구;
    상기 본체를 담을 수 있는 파우치;
    상기 파우치 양측에 각각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체결구;
    두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체결구는 상기 사이즈 조절부의 좌측 체결구 또는 우측 체결구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사이즈 조절부의 좌측 체결구와 우측 체결구는 상기 체결홈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비상용 다목적 하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즈 조절부의 체결구 중 상기 제1끈과 상기 본체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다목적 하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면은 방오 또는 방수가 가능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다목적 하의.
KR2020180005111U 2018-11-09 2018-11-09 비상용 다목적 하의 KR200491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111U KR200491071Y1 (ko) 2018-11-09 2018-11-09 비상용 다목적 하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111U KR200491071Y1 (ko) 2018-11-09 2018-11-09 비상용 다목적 하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071Y1 true KR200491071Y1 (ko) 2020-02-19

Family

ID=69638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111U KR200491071Y1 (ko) 2018-11-09 2018-11-09 비상용 다목적 하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0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660B1 (ko) * 2023-12-01 2024-05-10 안효정 치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323Y1 (ko) * 2001-03-23 2001-11-16 천봉우 기능성 환자 복
KR200376077Y1 (ko) * 2004-11-24 2005-03-11 정석진 휴대용 다기능 착용구
KR20120007031U (ko) 2011-04-04 2012-10-12 주식회사 원우성업 휴대용 보온 직물
US20160353816A1 (en) * 2015-06-04 2016-12-08 Kaedan Designs Llc Multi-purpose garment convertible to a tote bag
KR20180033658A (ko) * 2016-09-26 2018-04-04 정인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한복치마의 착용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323Y1 (ko) * 2001-03-23 2001-11-16 천봉우 기능성 환자 복
KR200376077Y1 (ko) * 2004-11-24 2005-03-11 정석진 휴대용 다기능 착용구
KR20120007031U (ko) 2011-04-04 2012-10-12 주식회사 원우성업 휴대용 보온 직물
US20160353816A1 (en) * 2015-06-04 2016-12-08 Kaedan Designs Llc Multi-purpose garment convertible to a tote bag
KR20180033658A (ko) * 2016-09-26 2018-04-04 정인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한복치마의 착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660B1 (ko) * 2023-12-01 2024-05-10 안효정 치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5267A (en) Protective loincloth garment for motorcycle riders
US5241706A (en) Garment convertible from muffler to seat warmer
US6049913A (en) Waterproof outer garment
US4303187A (en) Multiple pocket clothing accessory
US9775387B2 (en) Garment for protection from the elements
US4022197A (en) Body support and protection appliance
US5269023A (en) Body warming device
US20120266350A1 (en) Universal rain and cool weather carrier cover
US20050044606A1 (en) Beach wrap
US20120066812A1 (en) Combination garment including hat, scarf and gloves
US4984303A (en) Rain chaps
US20140215679A1 (en) Padded pants
US7523508B2 (en) Hockey pants
US20150096095A1 (en) Garment with Knee Pads
US2712133A (en) Wheel chair robe
EP3585196A1 (en) Convertible garment with integrated holder
US5956774A (en) Sit-upon shorts
US5105474A (en) Wet suit with support belt, knee pads and shin guards
US6175959B1 (en) Wrap-around and waterproof seat apparel for outdoor applications
KR200491071Y1 (ko) 비상용 다목적 하의
WO1992016130A1 (en) Infant carrying pouch
KR101448939B1 (ko) 전신우의
US20070261169A1 (en) Blanket pants
CA2517311C (en) Hockey pants
JPH044456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