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064Y1 -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064Y1
KR200491064Y1 KR2020180004559U KR20180004559U KR200491064Y1 KR 200491064 Y1 KR200491064 Y1 KR 200491064Y1 KR 2020180004559 U KR2020180004559 U KR 2020180004559U KR 20180004559 U KR20180004559 U KR 20180004559U KR 200491064 Y1 KR200491064 Y1 KR 2004910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screw member
support
vacuum circui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5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재욱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45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0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0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는 차단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핸들부; 및,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단기 본체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 본체의 후단과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면서, 전후 방향을 따르는 외력을 상기 차단기 본체로 제공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를 외함 내부의 설정되는 위치로 전후 방향을 따라 강제 이동시키는 강제 이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WITHDRAWABLE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 차단기를 외함의 내부에 안전하게 인입 및 인출하도록 하는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CB; Circuit Breaker)는 전력계통에 설치되어 단락이나 과전류 등의 위험상황이 발생할 경우 회로를 차단하여 전력계통을 보호하도록 구성된 전력기기이다.
이러한 차단기 중에는 발전소 및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각종 전기기기를 넣어 관리하는 배전반에 인입 설치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배전반에 고정된 크래들 내부에 수납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차단기의 예로 진공차단기(VCB; Vacuum Circuit Breaker)를 들수 있다. 진공차단기는 고압용 회로차단기의 일종으로서 진공상태에서의 절연성능과 아크 소호력이 우수한 점을 활용하여 설계된 것이다. 즉, 진공차단기는 특고압/고압 배전 선로의 과전류, 단락 및 지락사고 등 이상전류 발생시 외부의 별도 계전기에 의해 차단기 내부의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 : VI)에서 진공 소호방식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인명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제품이다.
크래들 내부에는 회로차단기의 터미널이 크래들의 부하단자에 접속되어 전압과 전류가 공급될 수 있는 운전(Service) 위치와 크래들의 단자들로부터 분리되어 차단기의 동작 시험만 가능한 시험(Test) 위치가 있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반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차단기(2)를 배전반(1) 내에 설치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을 위해 호이스트(hoist, 미도시)를 이용하여 왔다. 일반적으로 배전반(1) 내에서 차단기실(3)의 위치는 전후로는 전면부, 상하로는 중앙부에 위치하는 경우가 보통이므로 호이스트로 차단기(2)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적당한 위치를 잡아 차단기실(3) 내부로 밀어넣는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하였다. 즉, 호이스트를 차단기(2)에 연결하고 들어올린 상태에서 호이스트를 운전하여 차단기(2)의 위치를 조정해가면서 배전반(1)의 차단기실(3)에 집어넣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차단기(2)의 인입 작업에 있어서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차단기(2)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차단기(2)가 흔들리는 등 불안정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주변부품과의 충돌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의 작동능력에 의존하는 바가 커서 숙련된 사람만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특히, 진공 차단기는 외함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차단기를 유지 보수하는 경우, 차단기 본체를 외함의 선로에서 완전히 분리시킨다. 즉, 전원 측 1차 피더와 부하 측 2차 피더에서 완전히 분리시킨다.
이러한 차단기 본체의 인출입 작업은 작업자에 의존한다. 즉, 직접적으로 사람이 인출입 Handle을 이용하여 차단기를 인입 또는 인출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작업자는 감전 및 화상사고 발생의 위험성에 노출되어 치명적인 인명사고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고압 설비에서 상기와 같은 안전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사망사고 비율을 나타낸다. 이에, 직접적인 사망사고가 발생되는 고압 설비에서 보다 적극적인 감전사고 방지 대책이 요구된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 10-1999-0049064호(공개일: 1999.07.05)가 있다.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진공차단기를 외함의 내부에 안전하게 인입 및 인출할 수 있는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진공 차단기를 인입 및 인출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외함 내부에서의 진공 차단기의 서로 다른 접점 상태를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는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고안은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는 차단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핸들부; 및,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단기 본체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 본체의 후단과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면서, 전후 방향을 따르는 외력을 상기 차단기 본체로 제공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를 외함 내부의 설정되는 위치로 전후 방향을 따라 강제 이동시키는 강제 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수평 방향을 따라 상하 간격을 이루며, 일정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중 어느 하나의 지지대 양단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차단기 본체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단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제 이동부는, 다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제 이동부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대에 배치되되,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대에 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 부재와, 상기 스크류 부재의 전단에 설치되는 고정 부재와, 상기 스크류 부재에 외감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대를 서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 부재는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스크류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차단기 본체의 하단에 외력을 제공하고,
상기 탄성 스프링은, 상기 스크류 부재가 이동됨에 따라 압축 또는 인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제 이동부는, 밀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밀착부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 부재가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 부재가 관통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탄성 스프링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제 이동부는, 인터락 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락 부는, 상기 밀착부에 설치되며, 일정 위치로 이동된 상기 스크류 부재의 이동을 락 또는 언락하는 걸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제 이동부는, 다단으로 돌출 가능한 중공 형상의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외력을 제공하는 전동 렌치와 결합되는 렌치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대 후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스크류 부재의 일부는, 상기 파이프의 중공에 배치되고, 상기 파이프의 일단은,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 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 부재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부의 전단에는, 상기 차단기 본체의 후단에 선택적으로 걸려 연결되는 걸림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류 부재의 전체 길이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이프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고안은 진공차단기를 외함의 내부에 안전하게 인입 및 인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진공 차단기를 인입 및 인출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외함 내부에서의 진공 차단기의 서로 다른 접점 상태를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반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를 보여주는 다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의 돌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인터락 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를 보여주는 다른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 하면, 본 고안에 따른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는 크게 지지부와, 핸들부와, 강제 이동부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들을 설명한다.
지지부(100)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100)는 차단기 본체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100)는 한 쌍의 지지대(110)와, 연결대(120)와, 한 쌍의 걸림 부재(130)를 갖는다.
상기 한 쌍의 지지대(110)는 수평 방향을 따라 상하 간격을 이루며, 일정 길이를 갖는다. 상기 한 쌍의 지지대(110)는 원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대(120)는 상기 한 쌍의 지지대(110)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한다. 상기 연결대(120)는 한 쌍의 지지대(100)의 다수 위치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연결대(120)는 한 쌍의 지지대(110)를 고정한다.
상기 한 쌍의 걸림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중 어느 하나의 지지대 양단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차단기 본체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단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핸들부(200)
본 고안에 따른 핸들부(200)는 'ㄷ'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핸들부(200)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지지대(110) 중 상단에 배치되는 지지대(110) 양단에 연결 및 고정된다.
상기 핸들부(200)는 상기 상단에 배치되는 지지대(110)와 둔각을 이루는 사이각을 형성한다. 상기 핸들부(200)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부재이다.
강제 이동부(300)
본 고안에 따른 강제 이동부(300)는 상기 지지부(100)에 설치되며, 상기 차단기 본체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 본체의 후단과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면서, 전후 방향을 따르는 외력을 상기 차단기 본체로 제공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를 외함(미도시) 내부의 설정되는 위치로 전후 방향을 따라 강제 이동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강제 이동부는 다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강제 이동부(300)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대(110), 즉 상단에 배치되는 지지대(110)에 배치되되,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대(110)에 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 부재(310)와, 상기 스크류 부재(310)의 전단에 설치되는 고정 부재(320)와, 상기 스크류 부재(310)에 외감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320)와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대(110)를 서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330)을 구비한다.
상기 스크류 부재(310)는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고정 부재(320)는 상기 스크류 부재(3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차단기 본체의 하단에 외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 스프링(330)은 상기 스크류 부재(310)가 이동됨에 따라 압축 또는 인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강제 이동부(300)는 밀착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밀착부(340)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 부재(320)가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 부재(310)는 상기 밀착부(340)의 후단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탄성 스프링(330)은 상기 밀착부의 내부에 배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강제 이동부(300)는 다단으로 돌출 가능한 중공 형상의 파이프(400)와, 상기 파이프(400)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400)를 회전시키는 외력을 제공하는 전동 렌치와 결합되는 렌치 결합 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대(110) 후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스크류 부재(310)의 일부는 상기 파이프(400)의 중공에 배치된다.
상기 파이프(400)의 일단은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 부재(310)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 부재(420)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의 돌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400)는 다단으로 돌출 가능한 단위 파이프들(410)을 포함한다. 상기 단위 파이프들(410)은 서로 다른 크기의 직경 또는 중공을 이루어 일정 길이 돌출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고안에 따른 단위 파이프들(410)은 3개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400)는 3단으로 돌출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400)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단위 파이프들(410)은 돌출되는 경우 틀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340)의 전단에는 상기 차단기 본체의 후단에 선택적으로 걸려 연결되는 걸림 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 부재(310)의 전체 길이는 상기 파이프(400)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된다.
도 6을 참조 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강제 이동부(300)는 인터락 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락 부(600)는 상기 밀착부(340)에 설치된다. 상기 인터락 부(600)는 일정 위치로 이동된 상기 스크류 부재(310)의 이동을 락 또는 언락하는 걸쇠(610)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차단기 본체는 지지대(11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대(110)의 양단에 힌지 연결된 한 쌍의 걸림 부재(130)는 차단기 본체의 양측단에 형성된 각 걸림단(미도시)에 회전되어 걸릴 수 있다. 그리고, 차단기 본체는 한 쌍의 지지대(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된 차단기 본체는 외함의 내부 입구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 본체는 외함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레일에 연결되어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밀착부(340)의 전단은 차단기 본체의 후단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탄성 스프링(330)은 압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압축된 상태는 탄성 스프링(330)의 초기 상태일 수 있다.
이어, 다단을 이루는 파이프(400) 일단은 지지대(100)의 후단에 설치된 너트 부재(420)와 결합된다.
스크류 부재(330)의 후단부는 파이프(400)의 중공에 배치된다. 상기 스크류 부재(330)의 타단은 렌치 결합 부재(500)와 결합된다.
렌치 결합 부재(500)는 외부 렌치(미도시)와 결합된다. 상기 외부 렌치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스크류 부재(330)는 회전된다.
상기 스크류 부재(330)가 정방향을 따라 회전되면, 스크류 부재(330)는 전방을 따라 점진적으로 직선 이동된다.
직선 이동되는 스크류 부재(330)의 단부에 설치된 고정 부재(320) 역시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고정 부재(320)가 고정된 밀착부(340)는 전방으로 직선 이동된다, 이때, 탄성 스프링(330)은 인장된다. 탄성 스프링(330)은 일정의 복귀 탄성력을 형성한다.
상기 밀착부(340)는 차단기 본체의 후단을 가압한다. 이때, 상기 차단기 본체는 걸림 부재(130)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를 이룬다.
상기 차단기 본체는 전방으로 이동되는 밀착부(340)에 의해 밀려 외함의 내부 일정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인터락 부(600)의 걸쇠에 의해, 상기 스크류 부재(310)의 이동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동시에, 탄성 스프링(330)은 일정의 인장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차단기 본체는 외함의 내부에 인입될 수 있다.
역으로, 상기 차단기 본체를 인출하는 경우, 상기 인터락 부(600)의 락 상태를 언락 상태로 전환한다. 이때, 상기 밀착부(340)는 걸림 장치에 의해 차단기 본체의 후단에 결합되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다단의 파이프(400)는 외부 렌치의 역회전에 따라 역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다단의 파이프(400)는 신장된다. 스크류 부재(310)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후방으로 이동된다. 밀착부(340)는 스크류 부재(310)의 후방 이동에 연동되어 후방으로 직선 이동된다.
이때, 차단기 본체는 밀착부(340)의 이동에 연동되어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동되는 차단기 본체는 한 쌍의 지지대(110)에 다시 지지된다. 이에 따라, 차단기 본체는 외함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고안은 기존의 차단기 인입·인출 Handle을 개조하여 전기아크, 감전사고 등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차단기 본체의 인출입되는 경우 Connection, Test, Disconnection 등의 포지션 인터락 온 또는 오프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차단기 본체가 인입되는 경우 다단의 파이프를 사용하여 인입출 거리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차단기 본체를 인출하는 경우 외부 렌치를 사용하여 스크류 부재를 회전시켜 인장된 탄성 스프링이 원 상태로 복원되면서 너트의 풀림과 함께 차단기 본체를 후방으로 끌어당김을 통해 안전하게 인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장치를 강하고 가벼운 알루미늄 합금류인 두랄루민을 사용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발전소 및 각종 플랜트설비에 진공차단기(VCB : Vacuum Circuit Breaker) 안전거리 확보 인출입 장치로 사용함으로 차단기 인출입시 발생할 수 있는 전기아크 등 치명적인 사고들로부터 사람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지지부
110 : 지지대
120 : 연결대
130 : 걸림 부재
200 : 핸들부
300 : 강제 이동부
310 : 스크류 부재
320 : 고정 부재
330 : 탄성 스프링
340 : 밀착부
400 : 파이프
410 : 단위 파이프
420 : 너트 부재
500 : 렌치 결합 부재

Claims (10)

  1. 차단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핸들부; 및,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단기 본체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 본체의 후단과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면서, 전후 방향을 따르는 외력을 상기 차단기 본체로 제공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를 외함 내부의 설정되는 위치로 전후 방향을 따라 강제 이동시키는 강제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수평 방향을 따라 상하 간격을 이루며, 일정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중 어느 하나의 지지대 양단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차단기 본체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단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이동부는,
    다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이동부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대에 배치되되,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대에 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 부재와,
    상기 스크류 부재의 전단에 설치되는 고정 부재와,
    상기 스크류 부재에 외감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대를 서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 부재는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스크류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차단기 본체의 하단에 외력을 제공하고,
    상기 탄성 스프링은, 상기 스크류 부재가 이동됨에 따라 압축 또는 인장되는,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이동부는, 밀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밀착부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 부재가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 부재가 관통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탄성 스프링이 배치되는,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이동부는, 인터락 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락 부는,
    상기 밀착부에 설치되며, 일정 위치로 이동된 상기 스크류 부재의 이동을 락 또는 언락하는 걸쇠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이동부는,
    다단으로 돌출 가능한 중공 형상의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외력을 제공하는 전동 렌치와 결합되는 렌치 결합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대 후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스크류 부재의 일부는, 상기 파이프의 중공에 배치되고,
    상기 파이프의 일단은,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 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 부재와 결합되는,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의 전단에는,
    상기 차단기 본체의 후단에 선택적으로 걸려 연결되는 걸림 장치가 설치되는,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부재의 전체 길이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되는,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



KR2020180004559U 2018-10-04 2018-10-04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 KR2004910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559U KR200491064Y1 (ko) 2018-10-04 2018-10-04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559U KR200491064Y1 (ko) 2018-10-04 2018-10-04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064Y1 true KR200491064Y1 (ko) 2020-02-13

Family

ID=69494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559U KR200491064Y1 (ko) 2018-10-04 2018-10-04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064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604B1 (ko) * 2009-05-21 2012-06-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604B1 (ko) * 2009-05-21 2012-06-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4118B2 (ja) 引出形回路遮断器及び配電盤
KR101658541B1 (ko) 진공 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EP2149947B1 (en) Secondary disconnect for circuit breaker drawout system
US9576751B1 (en) Motorized vacuum isolation switch
DE112015002390B4 (de) Leistungsschalter mit lichtbogen-ableiter sowie ausrüstung zum empfangen und verteilen von energie, welche diesen verwendet
CN105720413A (zh) 用于将插件连接到母线通道的接口装置和方法
CA2887771C (en) Electrical system, and support assembly and method of racking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therefor
CN110350414B (zh) 一种高压开关柜系统及其高压开关柜更换方法
KR101702587B1 (ko) 차단기 인입출용 이송대차
KR102111463B1 (ko) 회로차단기
KR200491064Y1 (ko) 진공차단기 인입출 장치
KR101667639B1 (ko) 3-포지션 인터록 조절 장치
RU2285319C1 (ru) Шкаф комплектного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выдвижной элемент шкафа комплектного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7531760B1 (en) Operating handle locking apparatus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627678B1 (ko) 저압 전동기 제어반 유닛의 3단 인출입 장치
CN109378247B (zh) 一种10kV防误合隔离开关锁
KR100835397B1 (ko) 록킹장치가 구비된 보호계전기
WO2009121752A2 (de) Anordnung zum betrieb eines schaltgerätes
KR200489519Y1 (ko) 진공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US11444439B1 (en) Mechanism for limiting racking in circuit breaker into case
CN110707576B (zh) 一种可移动的高压真空断路器装卸专用平台
KR102595091B1 (ko) 회로 차단기
CN216849754U (zh) 一种实现开合35kV电缆电容电流的可移动式升降隔离开关
AU2017272328B2 (en) A circuit arrangement and a switchboard with the circuit arrangement
RU2710918C2 (ru) Комплекс адаптацион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кад-1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