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870Y1 - 키 낮은 간이 의자 - Google Patents

키 낮은 간이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870Y1
KR200490870Y1 KR2020170006738U KR20170006738U KR200490870Y1 KR 200490870 Y1 KR200490870 Y1 KR 200490870Y1 KR 2020170006738 U KR2020170006738 U KR 2020170006738U KR 20170006738 U KR20170006738 U KR 20170006738U KR 200490870 Y1 KR200490870 Y1 KR 200490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leg
seating
support portion
centr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703U (ko
Inventor
백승철
강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Priority to KR2020170006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870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7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7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8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은 키 낮은 간이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화 및 저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의자와 함께 사용되는 테이블의 높이에 맞춰 간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착좌면을 형성하고,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며, 후방 중심부가 하방으로 굴곡 형성되는 착좌부 및 상기 착좌부의 후방부에서 상방으로 만곡되어 연장되고 상하의 길이가 좌우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의자몸체; 및 중앙지지부, 상기 중앙지지부의 전단부에서 절곡 연장되는 전방지지부, 상기 중앙지지부의 후단부에서 절곡 연장되는 후방지지부, 상기 전방지지부에서 절곡 연장되는 전방다리부 및 상기 후방지지부에서 절곡 연장되는 후방다리부로 구비된 한 쌍의 지주부재를 포함하는 의자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의자다리는, 한 쌍의 상기 지주부재의 상기 중앙지지부가 서로 연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착좌부의 저면에 밀착되어 상기 의자몸체를 지지하며, 상기 중앙지지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후방지지부는 상기 후방다리부에서 상기 중앙지지부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낮은 간이 의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키 낮은 간이 의자{Low Height Convenience Chair}
본 고안은 키 낮은 간이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화 및 저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의자와 함께 사용되는 테이블의 높이에 맞춰 간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편의점에서는 도시락, 김밥, 햄버거 등과 같은 신선식품들을 비롯하여 다양한 식품들이 판매되고 있다.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식품은 편의점에서 보관 진열되고 있다가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소비자는 편의점에서 구매한 식품을 자신의 거처로 운반한 뒤에 먹을 수 있지만, 시간에 쫓기는 경우에는 식품을 구매한 편의점에서 제공하는 장소에서 구매한 식품을 먹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편의점에서는 구매한 식품을 먹을 수 있도록 테이블과 의자를 제공하여, 소비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편의점 제품의 판매 증가를 꾀한다.
일반적으로 편의점과 같은 곳에서 간이 테이블과 함께 제공되는 의자는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기 보다는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어 제작된다.
의자는 엉덩이를 받치는 부분과 등을 받치는 부분으로 구비되는데, 테이블과 함께 제공되는 의자는 이용되지 않을 때, 테이블 하부에 거치된다. 이때, 의자의 등을 받치는 부분이 테이블 위로 돌출되면 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테이블 위를 치우거나 닦을 때, 의자의 등을 받치는 부분이 거치적거릴 수 있다.
또한, 편의점과 같은 곳에서 간이 테이블과 함께 제공되는 의자는 저비용 경량화로 제작되어 이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면서도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가령 편의점과 같이 간이 테이블과 함께 제공되는 의자가 주는 불편함을 보완하고자 의자의 높이를 낮추고, 저비용 경량화 생산 가능하게 하면서도 안전하게 앉을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테이블과 함께 제공되는 의자가 이용되지 않을 때 테이블 상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하여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고 거치적거리는 부분을 없애 편의를 도모함과 동시에, 저비용 경량화 제작하면서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착좌면을 형성하고,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며, 후방 중심부가 하방으로 굴곡 형성되는 착좌부 및 상기 착좌부의 후방부에서 상방으로 만곡되어 연장되고 상하의 길이가 좌우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의자몸체; 및 중앙지지부, 상기 중앙지지부의 전단부에서 절곡 연장되는 전방지지부, 상기 중앙지지부의 후단부에서 절곡 연장되는 후방지지부, 상기 전방지지부에서 절곡 연장되는 전방다리부 및 상기 후방지지부에서 절곡 연장되는 후방다리부로 구비된 한 쌍의 지주부재를 포함하는 의자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의자다리는, 한 쌍의 상기 지주부재의 상기 중앙지지부가 서로 연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착좌부의 저면에 밀착되어 상기 의자몸체를 지지하며, 상기 중앙지지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후방지지부는 상기 후방다리부에서 상기 중앙지지부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낮은 간이 의자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지지부에 결합되어 좌우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착좌부의 저면에 밀착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낮은 간이 의자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다리부 및 상기 후방다리부의 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선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 외주면에 제2 나사선이 형성된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키 낮은 간이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지면에서 상기 착좌부의 후방부까지의 높이와, 상기 착좌부의 후방부에서 상기 등받이부의 상단까지의 높이의 비는 1.7:1 내지 2.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낮은 간이 의자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전방다리부 및 상기 후방다리부 사이의 이격거리는 하방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되, 상기 전방다리부가 지면과 이루는 경사각보다 상기 후방다리부가 지면과 이루는 경사각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낮은 간이 의자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방다리부 및 상기 후방다리부의 단부에는 지면과 수직으로 안착될 수 있는 수직안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낮은 간이 의자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지지부가 상기 중앙지지부와 이루는 각도 및 상기 후방지지부가 상기 중앙지지부와 이루는 각도가 둔각이 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낮은 간이 의자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테이블에 제공되는 의자가 사용되지 않을 때, 의자가 테이블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어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테이블 상부를 정리할 때 의자의 등받이 부분이 거치적거리지 않아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경량화 저비용으로 제작하되 의자에 앉은 이용자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안전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고안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키 낮은 간이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다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의자다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몸체에 의자다리가 고정된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를 저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다리부 및 후방다리부 사이의 이격거리가 하방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의자다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안착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지지부 및 후방지지부가 각각 중앙지지부와 이루는 각도가 둔각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키 낮은 간이 의자(1)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다리(200)의 측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의자다리의 평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키 낮은 간이 의자(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몸체(100) 및 의자다리(200)를 포함한다.
의자몸체(100)는 연직방향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착좌부(110)와 연직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등받이부(150)로 구비될 수 있다. 착좌부(110)는 의자(1)에 앉는 사용자의 엉덩이 및 대퇴부 뒷부분과 접촉하여 연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등받이부(150)는 사용자의 허리 및 등 부분과 접촉하여 연직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착좌부(110)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착좌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착좌부(110)는 사용자가 의자(1)에 착석했을 때 무릎 부분이 위치하는 전방에서 엉덩이 부분이 위치하는 후방으로 갈수록 아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착좌부(110)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대퇴부의 뒷부분과 접촉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착복 상태나 착좌부(110)의 재질에 따라 접촉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이 상이할 수 있다. 착좌부(110)의 후방에는 등받이부(15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착좌부(110)가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면, 의자(1)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고, 의자(1)에 착석한 사용자가 전방으로 미끄러져 의자(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착좌부(110)의 후방 중심부는 의자(1)에 착석한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착좌부(110)의 후방은 양쪽 가장자리보다 중심부가 아래로 굴곡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받이부(150)는 연직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착좌부(110)의 후방부에서 상방으로 만곡되어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편의점과 같은 곳에서 간이 테이블과 함께 제공되는 의자(1)는 특정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기 보다는 다수의 사용자가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받이부(150)는 상하의 길이가 좌우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의자(1)가 테이블 하부에 거치된 상태로 보관될 때에 등받이부(150)의 상단이 테이블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테이블과 함께 제공되는 의자(1)는 이용되지 않을 때, 테이블 하부에 거치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이때, 등받이부(150)의 상단부가 테이블 위로 돌출되면 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테이블 위를 치우거나 닦을 때 등받이부(150)의 상단부가 거치적거릴 수 있기 때문에, 등받이부(150)의 상하의 길이를 좌우의 길이보다 짧게하면 등받이부(150)의 상단부가 테이블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국인들의 일반적인 체형을 고려했을 때, 평균적으로 다리의 길이는 전체 신장의 44~46%에 이른다. 사용자가 의자(1)에 앉거나 의자(1)에서 일어서기 용이하도록, 지면에서 착좌부(110)까지 높이는 사용자의 다리 길이를 고려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등받이부(150)의 상하의 길이는 등받이부(150)가 의자(1)에 착석한 사용자의 요추까지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자(1)에 착석한 사용자의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이 요추이며, 디스크가 발생하기 가장 쉬운 곳이 요추부분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5개의 요추를 가지고 있지만, 사람마다 요추의 수가 4개인 경우와 6개인 경우가 있으며 요추의 개수에 따라 요추까지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요추의 수가 5개인 일반적인 경우에는 요추의 길이는 전체 신장의 22~24%에 이른다.
따라서, 지면에서 착좌부(110)의 후방부까지 높이와 착좌부(110)의 후방부에서 등받이부(150)의 상단까지 높이의 비는 1.8:1 내지 2.2:1가 되도록, 등받이부(150)의 상하의 길이가 구성될 수 있다.
착좌부(110)와 등받이부(150)는 다른 부재가 연결된 상태로 의자몸체(100)를 구성할 수 있지만, 의자(1)의 중량과 제작비용을 고려하여 하나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의자다리(200)는 착좌부(110) 저면에 밀착되어 의자몸체(100)를 지면에서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의자다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주부재(210)가 대칭되어 중앙지지부(212)가 연접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의자다리(200)는 하나의 부재를 구부려 마련할 수 있는 한 쌍의 지주부재(210)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지주부재(210)는 전후로 연장되는 중앙지지부(212), 중앙지지부(212)의 전단부에서 측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전방지지부(214), 중앙지지부(212)의 후단부에서 측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후방지지부(216), 전방지지부(214)에서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전방다리부(222) 및 후방지지부(216)에서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후방다리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몸체에 의자다리가 고정된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를 저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의자다리(200)가 의자몸체(100)를 지면에서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할 때, 의자다리(200)의 상부는 착좌부(110)의 저면과 최대한 밀착된 상태로 의자다리(200)와 의자몸체(10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자다리(200)의 상부가 착좌부(110)의 저면에 밀착되는 부분에서는, 착좌부(110)와 함께 착좌부(110)에 밀착되는 의자다리(200)의 상부 부분이 의자(1)에 착석한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착좌부(110)를 얇게 구성할 수 있고 의자(1)의 중량과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착좌부(110)의 중앙부분을 지지하는 중앙지지부(212)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는 착좌부(11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착좌부(110)의 후방부 저면을 지지하는 후방지지부(216)는, 중심부가 하방으로 굴곡 형성되는 착좌부(11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후방다리부(224)에서 중앙지지부(212)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2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지지부(212), 전방지지부(214) 및 후방지지부(216)로 마련되는 의자다리(200)의 상부는 착좌부(110)의 전후방 모서리 부분과 전방지지부(214) 중앙부에서 후방지지부(216) 중앙부를 지지하게 된다.
보강부(230)는 중장지지부에 결합되어 좌우로 연장 형성되고, 착좌부(110)의 저면에 밀착되어, 중앙지지부(212), 전방지지부(214) 및 후방지지부(216)에 지지되지 않는 착좌부(11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보강부(230)는 중간지지부에서 좌우로 연장되는 길이가 길어질수록, 보강부(230)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착좌부(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지만, 의자(1)의 중량 및 제작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의자몸체(100)와 의자다리(200)가 결합될 때에, 중앙지지부(212), 전방지지부(214) 또는 후방지지부(216)가 착좌면의 저면과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24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키 낮은 간이 의자(1)는 전방다리부(222) 및 후방다리부(224)의 단부 내주면에 제1 나사선(226)이 구비되고, 제1 나사선(226)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제2 나사선(241) 및 타측에 지면과 접촉하는 접지부(242)가 마련된 받침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나사선(241)은 일측 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제1 나사선(226)과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2 나사선(241)이 제1 나사선(226)을 따라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전후방다리부(222,224)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의자(1)가 안착되는 지면의 수평이 맞지 않더라도 받침부(240)를 조정함으로써, 안착부의 수평을 맞출 수 있다.
그리고, 접지부(242)는 고무재질로 마련되어 의자(1)가 지면에 안착되었을 때, 의자(1)가 지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다리부(222) 및 후방다리부(224) 사이의 이격거리가 하방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8의 의자다리를 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키 낮은 간이 의자(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다리부(222,224)는 전후방다리부(222,224) 사이의 이격거리가 하방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지면에 접지되는 전후방다리부(222,224)가 넓은 면적으로 지면을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의자(1)에 착석한 사용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의자(1)에 착석한 상태에서 전방에는 사용자의 다리가 위치하므로, 의자(1)에 무게중심이 전방으로 집중될 염려가 적고, 설사 의자(1)에 무게중심이 전방으로 집중되더라도 의자(1)가 앞으로 넘어질 염려는 적다. 반면에, 의자(1)의 후방에는 사용자의 상체의 하중이 집중되며, 사용자가 의자(1)에 착석한 상태에서 의자(1)의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집중되게 되면 의자(1)가 뒤로 넘어질 염려가 크기 때문에, 안정성을 고려하여, 전방다리부(222)가 지면과 이루는 경사각보다 후방다리부(224)가 지면과 이루는 경사각이 더 크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안착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지지부 및 후방지지부가 각각 중앙지지부와 이루는 각도가 둔각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키 낮은 간이 의자(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다리부(222) 및 후방다리부(224)의 단부에는 지면과 수직으로 안착될 수 있는 수직안착부(228)가 구비될 수 있다.
수직안착부(228)는 전후방다리부(222,224)의 단부에서 굴절되어 연장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의자(1)가 지면에 안착되었을 때, 수직안착부(228)는 지면과 직각을 이룰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후방다리부(222,224)의 단부에 수직안착부(228)가 형성되면, 전후방다리부(222,224)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전후방다리부(222,224)의 길이가 줄어들수록, 전후방다리부(222,224)가 의자(1)에 착석한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할 때, 전후방다리부(222,224)에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을 막을 수 있다.
지면을 기준으로 전후방다리부(222,224)에 걸리는 모멘트는 의자(1)에 착석한 사용자의 하중과 전후방다리부(222,224)의 길이에 비례하므로, 전후방다리부(222,224)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으면 전후방다리부(222,224)에 걸리는 모멘트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키 낮은 간이 의자(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지지부(214) 및 후방지지부(216)가 중앙지지부(212)와 이루는 각도가 둔각이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방다리부(222) 및 후방다리부(224)가 지면과 경사를 이루는 경우에는 의자(1)에 착석한 사용자의 하중으로 전후방지지부(214,216)에 전후 방향의 힘이 작용하게 되고, 전후방지지부(214,216)에 작용하는 전후 방향의 힘에 의해 전후방지지부(214,216)에는 전단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전방지지부(214)가 중앙지지부(212)와 이루는 각도 및 후방지지부(216)가 중앙지지부(212)와 이루는 각도를 둔각으로 형성하게 되면, 전후방지지부(214,216)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비스듬히 마련될 수 있기 때문에, 전후방지지부(214,216)에 발생하는 전단응력을 줄일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의자
100: 의자몸체
110: 착좌부
150: 등받이부
200: 의자다리
210: 지주부재
212: 중앙지지부
214: 전방지지부
216: 후방지지부
222: 전방다리부
224: 후방다리부
226: 제1 나사선
228: 수직안착부
230: 보강부
240: 받침부
241: 제2 나사선
242: 접지부

Claims (7)

  1. 착좌면을 형성하고,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며, 후방 중심부가 하방으로 굴곡 형성되는 착좌부 및 상기 착좌부의 후방부에서 상방으로 만곡되어 연장되고 상하의 길이가 좌우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의자몸체; 및
    중앙지지부, 상기 중앙지지부의 전단부에서 측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전방지지부, 상기 중앙지지부의 후단부에서 측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후방지지부, 상기 전방지지부에서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전방다리부 및 상기 후방지지부에서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후방다리부로 구비된 한 쌍의 지주부재를 포함하는 의자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의자다리는,
    한 쌍의 상기 지주부재의 상기 중앙지지부가 서로 연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착좌부의 저면에 밀착되어 상기 의자몸체를 지면에서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하며,
    상기 중앙지지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후방지지부는 상기 후방다리부에서 상기 중앙지지부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며,
    상기 전방다리부 및 후방다리부 사이의 이격거리는 하방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되, 상기 전방다리부가 지면과 이루는 경사각보다 상기 후방다리부가 지면과 이루는 경사각이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방다리부 및 상기 후방다리부는 지면과 수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각각의 단부에 굴절되어 연장 형성되는 수직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키 낮은 간이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지지부에 결합되어 좌우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착좌부의 저면에 밀착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낮은 간이 의자.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지면에서 상기 착좌부의 후방부까지의 높이와, 상기 착좌부의 후방부에서 상기 등받이부의 상단까지의 높이의 비는 1.8:1 내지 2.2: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낮은 간이 의자.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지부가 상기 중앙지지부와 이루는 각도 및 상기 후방지지부가 상기 중앙지지부와 이루는 각도가 둔각이 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낮은 간이 의자.
KR2020170006738U 2017-12-27 2017-12-27 키 낮은 간이 의자 KR200490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738U KR200490870Y1 (ko) 2017-12-27 2017-12-27 키 낮은 간이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738U KR200490870Y1 (ko) 2017-12-27 2017-12-27 키 낮은 간이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703U KR20190001703U (ko) 2019-07-05
KR200490870Y1 true KR200490870Y1 (ko) 2020-01-15

Family

ID=6722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738U KR200490870Y1 (ko) 2017-12-27 2017-12-27 키 낮은 간이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8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140Y1 (ko) 2020-07-15 2020-08-14 강수빈 접이식 의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87422A1 (en) * 2012-01-24 2013-07-25 Ditto Sales, Inc./Versteel Chair having flexibility between seat and back
CN204812879U (zh) * 2015-06-30 2015-12-02 诺梵(上海)办公系统有限公司 一种卡扣式固定连接件及配装有该固定连接件的椅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419Y1 (ko) * 2012-06-04 2014-04-25 한의경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87422A1 (en) * 2012-01-24 2013-07-25 Ditto Sales, Inc./Versteel Chair having flexibility between seat and back
CN204812879U (zh) * 2015-06-30 2015-12-02 诺梵(上海)办公系统有限公司 一种卡扣式固定连接件及配装有该固定连接件的椅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140Y1 (ko) 2020-07-15 2020-08-14 강수빈 접이식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703U (ko)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1345B2 (en) Adjustable ergonomic chair
JP6888236B2 (ja) 回転可能なシートクレードル
SE456397B (sv) Stol innefattande en sits med ett framat lutande parti
AU2016262706B2 (en) A sitting device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KR200490870Y1 (ko) 키 낮은 간이 의자
KR102109497B1 (ko) 허리 및 골반 교정용 의자
US10159349B1 (en) Folding sofa
US673100A (en) Invalid's walking-chair.
JP3238558U (ja) 携帯用姿勢矯正ランバーサポートクッション
US20140091608A1 (en) One piece chair with integral arm rest
CN206852417U (zh) 一种多功能儿童餐椅
AU2005232245B2 (en) Improved Seat
CN205053490U (zh) 多功能儿童椅
CN216089692U (zh) 一种椅子
CN211154766U (zh) 一种可调式多功能儿童沙发
WO1998008424A1 (en) Chair
CN208658358U (zh) 座椅联动双腰枕支撑
US20200237100A1 (en) Self-adjustable backrest device
CN208550602U (zh) 实木座椅
CN104433391A (zh) 一种倚坐多功能椅子
US8720993B2 (en) Stool with top extension
CN206182772U (zh) 坐姿自调整型办公椅
CN204950169U (zh) 一种转角沙发
EP2661987B1 (fr) Support d'assise
US2044212A (en) Chair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