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770Y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송스크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송스크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770Y1
KR200490770Y1 KR2020170004706U KR20170004706U KR200490770Y1 KR 200490770 Y1 KR200490770 Y1 KR 200490770Y1 KR 2020170004706 U KR2020170004706 U KR 2020170004706U KR 20170004706 U KR20170004706 U KR 20170004706U KR 200490770 Y1 KR200490770 Y1 KR 2004907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heater
rotary blades
foo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7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661U (ko
Inventor
김수윤
Original Assignee
김수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윤 filed Critical 김수윤
Priority to KR20201700047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770Y1/ko
Priority to PCT/KR2018/010392 priority patent/WO2019050285A2/ko
Priority to DE212018000309.2U priority patent/DE212018000309U1/de
Priority to CN201890001177.5U priority patent/CN212190553U/zh
Priority to US16/645,313 priority patent/US20210060573A1/en
Priority to JP2020600086U priority patent/JP3228062U/ja
Publication of KR201900006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7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7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45Steam treatment, e.g. supercritical water gasification or oxid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09B3/008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5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knives spaced axially and circumferentially on the periphery of a cylindrical roto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18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 B02C23/24Passing gas through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 B02C23/28Passing gas through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gas moving means being integral with, or attached to, crushing or disintegra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with non-enclosed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26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26Screws
    • B65G33/265Screws with a continuous helica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26Screws
    • B65G33/30Screws with a discontinuous helica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511Conveyor screws
    • B65G2812/0527Conveyor screw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e.g. hollow, toot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77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0594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with parallel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Screw Conveyor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가정집,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양을 줄이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도중에 교반, 분쇄 또는 절단시킬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송스크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송스크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외주연에 나선형태를 이루어 형성되고 음식물 쓰레기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도중에 교반, 분쇄 및 절단시키기 위한 나선형태의 회전날개로 이루어지는 이송스크류;
상기 회전날개에 관통 형성되고, 이웃한 회전날개와 회전날개사이의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외부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기포 생성으로 인해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외부공기 공급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송스크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 transferring screw of food waste processing device}
본 명세서는 이송스크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정집,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양을 줄이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도중에 교반, 분쇄 및 절단시키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송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단지나 학교, 또는 군부대 등의 단체급식소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총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의 약 30%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하루에 약 5만여 톤의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배출량은 인구 증가와 도시화가 심화되면서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방법으로 탈수 방식, 건조 방식, 또는 발효 방식 등을 사용하고 있다.
탈수 방식은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 분쇄, 고속회전에 의해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소량 배출하는 가정에서는 이용 가능한 반면에, 다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음식점 또는 단체급식소에서는 부적합하다.
건조 분해 방식은 음식물 쓰레기를 열을 가하여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대폭 줄일 수 있다. 이때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기의 내부 온도가 약 1시간 정도 지나면 90℃를 유지하게 되며, 가열시 99.9% 살균처리할 수 있다.
전술한 건조 분해 방식으로는 건조조 내에 열풍이나 히터를 이용하여 내부를 임의온도로 가열하여 음식물 쓰레기 중에 포함된 수분만을 증발시키는 일반 건조방식과,
건조조 내에 음심물 쓰레기를 투입한 후 회전시키면서 건조조 외곽에 스팀을 공급하여 임의온도에서 간접 열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파쇄시키는 건조 파쇄방식과,
발효조에 열풍 또는 히터를 장착하여 발효 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설정하여 발효과 건조를 동시에 진행시키는 발효 건조방식이 사용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회전축에 삼발이 형태의 회전날개가 형성된 이송스크류를 이용한 교반, 분쇄방식은, 회전날개의 구조적인 특성상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 분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않아 교반 효율이 떨어지고, 교반스크류에 의해 조개류, 식물의 뿌리, 일반 뼈다귀 등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또는 절단시킬 수 없게 된다.
또한, 교반스크류가 설치되고,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는 챔버 내측면에 히터의 발열로 인해 음식물 쓰레기가 눌러 붙는 소위, 누룽지 현상이 발생된다.
음식물 쓰레기의 누룽지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의 탄화로 인해 심한 악취가 발생됨은 물론이고, 히터 발열을 음식물 쓰레기에 전달할 경우 탄화층으로 인해 열 전달율이 떨어지며, 또한 음식물 쓰레기가 검게 탈 경우 벤조피렌(1급 발암물질을 말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거나, 발효시에 발효 건조실 내부에 발생되는 악취나 각종 유독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 이를 감안하여 탈취탑 또는 정화 필터와 같은 부대설비를 갖출 경우 정화시키기 위한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28427호(2003.09.19.등록.)에 축산폐기물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교반 스크류가 게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 분쇄, 절단됨과 동시에 이송스크류를 따라 원활하게 이송되므로, 음식물 쓰레기가 히터 발열에 의해 챔버 바닥면에 눌러 붙는 누룽지 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송스크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회전날개를 낱개로 분할 형성하여 이송스크류에 일체형으로 연결함에 따라 마모되거나 파손된 회전날개만을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송스크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음식물 쓰레기를 나선형 회전날개에 의해 교반, 분쇄시키는 도중에 고온 다습한 음식물 쓰레기에 외부공기를 공급하여 음식물 쓰레기 내에 열전달 및 공기층 형성으로 인해 처리시간을 단축시키고, 배출되는 수중기를 응축시킴에 따라 악취, 또는 유독가스 배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송스크류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외주연에 나선형태를 이루어 형성되고 음식물 쓰레기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도중에 교반, 분쇄 및 절단시키기 위한 나선형태의 회전날개로 이루어지는 이송스크류;
상기 회전날개에 관통 형성되고, 이웃한 회전날개와 회전날개사이의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외부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기포 생성으로 인해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외부공기 공급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송스크류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명세서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가정집,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송과정에서 교반, 분쇄, 절단시키는 회전날개가 마모 또는 파손되는 경우 해당 회전날개만을 교체시켜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수분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나선형 회전날개에 의해 교반, 분쇄시키는 도중에 고온, 다습한 음식물 쓰레기사이에 외부공기를 공급하여 기포 발생으로 생성되는 수증기를 공냉식 및 수냉식 응축기를 차례로 통과시켜 응축시킴에 따라 악취, 유독가스 배출로 인한 주변환경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사용자로부터 신뢰성을 갖게 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최소화(감량율 83-87%정도를 말함)시킴에 따라 실용성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송스크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송스크류가 적용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송스크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송스크류의 회전날개에 형성된 외부공기 공급공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에 공급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 기포를 생성 및 히터 가열로 인한 고온 다습한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송스크류의 사용상태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송스크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송스크류는,
구동모터(1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11)과, 회전축(11) 외주연에 나선형태를 이루어 형성되고, 가정집 또는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포함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도중에 교반, 분쇄 및 절단시키기 위한 나선형태의 회전날개(12)로 이루어지는 이송스크류(13);
회전날개(12)에 관통 형성되고, 이송스크류(13)에 의해 교반, 분쇄 및 절단되는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사이에 외부공기를 공급하여 기포 생성으로 인해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외부공기 공급공(14);을 구비한다.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임의두께를 갖는 회전날개(12)의 외주연에 반복 형성되고,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 교반 및 분쇄시키는 도중에 칼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톱니부(15);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날개(12)를 뫼비우스띠 형태를 이루도록 낱개로 분할 형성하되, 회전축(11) 외주연에 회전날개(12)의 내주연이 밀착되어 고정되며, 회전날개(12)의 양끝단이 이웃한 회전날개에 접합되어 나선형태를 이루도록 이음연결될 수 있다.
이때, 회전날개(12)를 회전축(11) 외주연에 용접 등에 고정시키고 이웃한 회전날개(12,12) 양끝단을 접합시켜 이음연결하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송스크류(13)는
회전축(11) 일단에 형성되고, 이송스크류(13)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킬 경우 인접한 이송스크류(13a)에 음식물 쓰레기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방향전환판(17);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스크류(13) 끝단에 이송될 경우 정체되지않고 방향전환판(17)에 의해 용이하게 방향전환되어 이송스크류(13a)측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18은 하우징(19)의 투입구(20) 및 배출구(21)를 개폐시키도록 뚜껑(22) 및 도어(23)가 장착되는 케이스이고, 24은 구동모터(10)의 축에 결합되는 2단형 구동기어이며, 25는 이송스크류(13)의 회전축(11)에 결합되는 제1피동기어이며, 26은 이송스크류(13a)의 회전축(11a)에 결합되는 제2피동기어이며, 27 및 27a는 구동기어(24)와 제1,2피동기어(25,26)를 연결함에 따라 구동모터(10)의 회전에 의해 이송스크류(13,13a)를 회전시키는 체인이며, 28a 및 28b는 공냉식 및 수냉식 응축기이며, 29는 하우징 바닥면에 장착되는 캐스터이며, 30은 이송스크류(13,13a)를 따라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전기식 히터이며, 31은 이송스크류(13,13a)를 따라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통로를 형성하는 챔버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송스크류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전원스위치(미 도시됨)를 온(ON) 조작시켜 구동모터(10)를 구동시킬 경우, 구동모터(10) 축에 결합된 2단형 구동기어(24)가 회전됨에 따라 구동기어(24)에 체인(27,27a)을 통해 연결된 제1,2피동기어(25,26)가 연동되어 회전된다.
이때, 이송스크류(13,13a)의 회전축(11,11a)이 구동모터(10)의 회전속도에 대해 1:60 비율로 감속되어 회전되므로 나선형 이송스크류(13,13a)는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10)의 구동시 2단형 구동기어(24)의 회전에 의해 제1,2피동기어(25,26)가 연동되어 회전됨에 따라 나선형 이송스크류(13,13a)(이때,이송스크류(13,13a)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됨)가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18) 상면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된 뚜껑(22)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가정집 또는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수분(수분 함유량이 82-85% 정도를 말함)이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의 적정량을 하우징(19)의 투입구(20)에 투입시킬 경우, 챔버(31)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 이송스크류(13,13a)의 회전날개(12,12a) 사이에 음식물 쓰레기가 낙하된다.
이송스크류(13,13a)에 의해 교반, 분쇄 및 절단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조개류, 일반뼈 종류, 식물의 뿌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회전날개(12,12a) 사이에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회전되는 한 쌍의 회전날개(12,12a)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면서 교반 및 분쇄작용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때, 이송스크류(13,13a)의 회전날개(12,12a) 외주연에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칼날 기능을 갖는 톱니부(15)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절단시키는 절단기능이 추가되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더 작게 분쇄, 절단할 수 있다.
이때, 챔버(31) 상에서 한 쌍의 회전날개(12,12a)의 회전에 의해 교반, 분쇄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이송스크류(13,13a)를 따라 수평으로 이송된다.
회전날개(12,12a)가 낱개로 분할 형성되어 회전축(11,11a)에 나선형태로 고정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분쇄, 절단시키는 회전날개(12,12a)가 마모 또는 파손되는 경우, 해당 회전날개만을 교체시킴에 따라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챔버(31) 상에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스크류(13,13a)의 나선형 회전날개(12,12a)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 교반 및 분쇄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동시에 히터(30) 가열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킴에 따라, 챔버(31) 상에서 음식물쓰레기가 정체되어 눌러 붙는 누룽지 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나선형 이송스크류(13,13a)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날개(12,12a)에 의해 교반 및 분쇄시 발생되는 수분을 챔버(31) 바닥면에 장착된 히터(30) 가열에 의해 건조시킬 수 있다.
즉, 히터(30)의 바닥면에 형성된 전원공급단자(32)를 통해 전원을 히터(30)에 인가시킴에 따라 히터(30)에 내설된 면상발열체로부터 발열되는 임의온도의 열원이 챔버(31)의 바닥면에 전열된다.
히터(30)에 의해 챔버(31)가 가열되므로, 챔버(31)에 이격되어 회전되는 나선형 이송스크류(13,13a)의 회전날개(12,12a)가 열을 전달받아 가온됨에 따라, 하우징(19) 내부가 건조분위기(약 90℃정도를 유지함)를 형성하게 되어 챔버(31) 상면에서 분쇄되면서 수평으로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이때, 히터(30)가 모듈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챔버(31) 바닥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됨에 따라 히터(30)가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경우 해당 히터 만을 교체할 수 있어 유지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챔버(31) 바닥면에 장착되고 히터(30)를 포함하는 포켓(200) 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밀폐되므로 면상발열체의 열을 음식물 쓰레기에 전달시 열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히터(30)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열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 음식물 찌꺼기 등이 포켓(200)에 의해 히터(30)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히터(30)의 산화부식되는 것이 방지되어 내부식성을 갖게 되므로 사용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나선형 이송스크류(13,13a)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 교반, 분쇄시킴과 동시에 히터(30)에 의해 건조시킬 경우, 미도시된 에어펌프 구동으로 인해 하우징(18)에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회전날개(12,12a)에 관통형성된 외부공기 공급공(14)을 통과하여 이웃한 회전날개(12)와 회전날개(12a)사이에서 교반 및 분쇄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공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날개(12)의 외부공기 공급공(14)을 통해 이웃한 회전날개(12)와 회전날개(12)사이의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에 외부공기를 공급하고, 히터(30)의 발열에 의해 챔버(31) 상의 고온, 다습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열을 기포과정을 통해 수증기화시킬 수 있다.
즉,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고온(약 190℃정도), 다습한 수분(약 82%정도의 수분율을 유지함)에 기포를 생성시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고온, 다습한 수분을 증발시켜 수증기화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증발되는 수증기는 하우징(19) 상부에 형성된 수증기 배출관(19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하우징(19)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약 190℃정도)상태의 수증기는 수증기 배출관(19a)에 연결된 물탱크(100)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즉 하우징(19)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 다습한 수증기가 수증기 배출관(19a)을 통해 물탱크(100) 내부를 통과할 경우, 고온의 수증기와 물탱크(100) 내부의 물이 상호 열교환을 하게 되므로 물탱크(100)의 물을 온수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때, 물탱크(100)의 온수는 펌프에 의해 온수 또는 바닥 난방수가 필요한 장소(음식점, 또는 축사 등을 말함)에 공급하여 유용하게 활용하게 되므로 경제적 부담이 되는 온수 또는 난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물탱크(100) 내부를 통과하며 악취가 포함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은 공냉식 응축기(28a)를 통과하여 1차로 응축처리됨에 따라 수분 중에 포함되는 악취를 정화처리할 수 있다.
공냉식 응축기(28a)를 통과하여 1차 응축처리된 수분은 수냉식 응축기(28b)를 통과하게 되므로 수분 중에 포함된 대부분의 악취(약 90-95% 정도를 말함)를 정화처리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수냉식 응축기(28b)를 통과함에 따라 응축된 응축수는 하수구로 방류하게 된다.
따라서, 뚜껑(22) 및 도어(23)가 장착된 케이스(18)가 덧씌워진 하우징(19) 내부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고,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배출되는 고온, 다습한 수증기만이 수증기 배출관(19a)을 통해 물탱크(100)를 거쳐 공냉식 및 수냉식 응축기(28a,28b)에 의해 응축되어 정화처리된다.
이로 인해, 하우징(19) 내에서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분쇄, 이송 및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대부분의 악취 또는 각종 유독가스가 응축시켜 정화처리되고, 응축기(28a,28b)를 통과하여 응축화된 응축수를 하수구로 배출시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구동모터
11; 회전축
12; 회전날개
13; 이송스크류
14; 외부공기 공급공
15; 톱니부
17; 방향전환판

Claims (4)

  1.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외주연에 나선형태를 이루어 형성되고 음식물 쓰레기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도중에 교반, 분쇄 및 절단시키기 위한 나선형태의 회전날개로 이루어지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회전날개에 관통 형성되고, 이웃한 회전날개와 회전날개사이의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외부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기포 생성으로 인해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외부공기 공급공;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날개의 외주연에 반복 형성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시키기 위해 칼날 기능을 갖는 톱니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날개를 뫼비우스띠 형태를 이루도록 낱개로 분할 형성하며, 상기 회전축 외주연에 상기 회전날개 내주연이 밀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회전날개의 양끝단이 이웃한 회전날개에 접합되어 나선형태를 이루도록 이음연결되고, 상기 이송스크류는 상기 회전축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킬 경우 인접한 이송스크류에 음식물 쓰레기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방향전환판;을 구비하되,
    챔버는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챔버 바닥면에 면상발열체가 내설된 모듈형 히터가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며, 내부가 진공밀폐된 포켓은 상기 히터를 감싸며,
    상기 히터에 의해 생성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수증기는 수증기 배출관을 통해 물탱크 내부를 통과하여 열교환하며, 공냉식 응축기와 수냉식 응축기를 연속 통과하여 응축수로 응축되고, 상기 열교환된 온수는 펌프에 의해 난방수로 공급되고,
    상기 히터의 바닥면에 형성된 전원공급단자를 통해 전원을 상기 히터에 인가시킴에 따라 상기 히터에 내설된 면상발열체로부터 발열되는 임의온도의 열원이 상기 챔버의 바닥면에 전열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70004706U 2017-09-06 2017-09-06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송스크류 KR2004907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706U KR200490770Y1 (ko) 2017-09-06 2017-09-06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송스크류
PCT/KR2018/010392 WO2019050285A2 (ko) 2017-09-06 2018-09-06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송스크류
DE212018000309.2U DE212018000309U1 (de) 2017-09-06 2018-09-06 Förderschnecke für Vorrichtung zur Entsorgung von Nahrungsmittelabfällen
CN201890001177.5U CN212190553U (zh) 2017-09-06 2018-09-06 食物垃圾处理装置用输送螺旋机
US16/645,313 US20210060573A1 (en) 2017-09-06 2018-09-06 Conveying screw for food waste disposal device
JP2020600086U JP3228062U (ja) 2017-09-06 2018-09-06 生ごみ処理装置用の搬送スクリ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706U KR200490770Y1 (ko) 2017-09-06 2017-09-06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송스크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61U KR20190000661U (ko) 2019-03-14
KR200490770Y1 true KR200490770Y1 (ko) 2020-02-20

Family

ID=65635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706U KR200490770Y1 (ko) 2017-09-06 2017-09-06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송스크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060573A1 (ko)
JP (1) JP3228062U (ko)
KR (1) KR200490770Y1 (ko)
CN (1) CN212190553U (ko)
DE (1) DE212018000309U1 (ko)
WO (1) WO201905028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521B1 (ko) * 2020-03-23 2021-01-26 박정배 음식물 처리용 교반 겸용 분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KR102588331B1 (ko) * 2022-12-15 2023-10-12 주식회사 대한환경 음식물 및 식품 찌꺼기 발효 건조 감량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907B1 (ko) * 2021-04-07 2023-07-31 이택기 응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
CN113117841B (zh) * 2021-04-14 2022-09-27 贵州省草业研究所 一种畜牧养殖饲料加工设备及饲料加工方法
CN113751456B (zh) * 2021-09-09 2023-10-31 莆田联政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危险固体废弃物的填埋池
US20230278041A1 (en) * 2022-03-01 2023-09-07 Provisur Technologies, Inc Separator and feed screw for a grinding machine
CN114751197B (zh) * 2022-03-03 2024-05-24 安徽淮草堂中药饮片有限公司 一种便于中药饮片煅制用取料设备及其使用方法
KR102617711B1 (ko) * 2022-08-19 2023-12-27 정태주 돈분 처리 장치
CN117945793A (zh) * 2024-03-22 2024-04-30 江苏光阳动力环保设备有限公司 餐厨垃圾发酵处理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022Y1 (ko) * 1997-12-03 2000-01-15 최돈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3124698B2 (ja) * 1995-03-08 2001-01-15 森下株式会社 有機廃棄物処理装置
JP3382875B2 (ja) * 1999-03-31 2003-03-04 株式会社栗本鐵工所 2軸押出機のスクリュー羽根構造
KR101105134B1 (ko) * 2009-06-18 2012-01-16 김지연 처리물의 처리 및 고효율 폐열회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503B2 (ja) * 1994-03-28 2001-06-18 森下株式会社 有機廃棄物連続分解処理装置
KR20000021995A (ko) * 1998-09-28 2000-04-25 김인수 이중 관 식 히트파이프형 고속 배양 기
KR20140109578A (ko) * 2013-03-06 2014-09-16 이경희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4698B2 (ja) * 1995-03-08 2001-01-15 森下株式会社 有機廃棄物処理装置
KR200167022Y1 (ko) * 1997-12-03 2000-01-15 최돈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3382875B2 (ja) * 1999-03-31 2003-03-04 株式会社栗本鐵工所 2軸押出機のスクリュー羽根構造
KR101105134B1 (ko) * 2009-06-18 2012-01-16 김지연 처리물의 처리 및 고효율 폐열회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521B1 (ko) * 2020-03-23 2021-01-26 박정배 음식물 처리용 교반 겸용 분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KR102588331B1 (ko) * 2022-12-15 2023-10-12 주식회사 대한환경 음식물 및 식품 찌꺼기 발효 건조 감량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61U (ko) 2019-03-14
JP3228062U (ja) 2020-10-08
CN212190553U (zh) 2020-12-22
US20210060573A1 (en) 2021-03-04
WO2019050285A3 (ko) 2019-05-02
DE212018000309U1 (de) 2020-04-30
WO2019050285A2 (ko)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770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송스크류
CN105618476B (zh) 一种基于太阳能的土壤热脱附修复装置
KR101634741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US9506002B2 (en) System to dry, condense and sterilize waste materials for reuse
KR101272187B1 (ko) 음식물쓰레기 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퇴비의 생산방법
KR101599989B1 (ko) 슬러지 발효 건조장치
KR101170602B1 (ko) 축분 발효장치
KR10080362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EP2543643A1 (de) Universale doppelwandige Trocknungsanlage
KR101890126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시스템
CN218202578U (zh) 一种生物质垃圾资源转化设备
KR10111014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224084B1 (ko) 디스크 타입 건조기
JP2000176399A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CN203159493U (zh) 一种有机废弃物自然好氧堆肥设备
KR100757401B1 (ko) 음식물쓰레기 분쇄 건조장치
KR200488875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가열장치
KR100864944B1 (ko) 덩어리 생석회를 이용한 유기 폐기물 처리방법
CN115650775B (zh) 一种生物质垃圾资源转化设备及方法
CN205587424U (zh) 一种基于太阳能的土壤热脱附修复装置
KR200358420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건조,발효장치
CN219519988U (zh) 一种农业废弃物资源化系统
CN214244172U (zh) 一种新型污泥处理器
JP3140298U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装置
KR100346850B1 (ko) 폐음식물을 이용한 비료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