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694Y1 -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694Y1
KR200490694Y1 KR2020170003900U KR20170003900U KR200490694Y1 KR 200490694 Y1 KR200490694 Y1 KR 200490694Y1 KR 2020170003900 U KR2020170003900 U KR 2020170003900U KR 20170003900 U KR20170003900 U KR 20170003900U KR 200490694 Y1 KR200490694 Y1 KR 200490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implant
fastening device
protrusion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9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310U (ko
Inventor
정좌락
Original Assignee
(주)포인트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인트닉스 filed Critical (주)포인트닉스
Priority to KR20201700039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694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3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3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6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internal slee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diverging in the apical direction of the implant or abu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치조골에 식립 고정되는 치과용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의 내부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에 있어서, 어버트먼트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삽입 체결되는 고정부; 및 고정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픽스츄어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부; 를 포함하며, 고정부는 체결장치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형성되며, 돌출부의 외주면에는 일방향의 경사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어셈블리{Tightening apparatus for implant with structure for anti-loosing and implant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고안은 주로 임플란트에 쓰이는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의 결합이 풀리지 않도록 체결할 수 있는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을 하는 경우,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를 결합시킬 때 강한 결합력이 필요하여 볼트나 나사와 같은 스크류 부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치과용 임플란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매입 고정되는 픽스츄어(F), 픽스츄어(F)에 결합되어 연결부위를 이루는 어버트먼트(A)와 어버트먼트(A)에 고정되어 인공치아의 헤드를 이루는 크라운(T)으로 구성된다.
픽스츄어(F)는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치조골에 식립되어 힐링기간을 거친 후, 어버트먼트(A) 및 크라운(T)을 결합하여 시술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어버트먼트(A)는 그 자체로 픽스츄어(F)에 결합되는 경우도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결합용 볼트(B)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임플란트 결합구조는 픽스츄어(F)와 어버트먼트(A)가 볼트(B)에 의해 단순하게 체결되는 구조이므로, 지속적인 음식물 저작에 의해 어버트먼트(A)가 유동하면서 미세하게 회전하여 픽스츄어(F)에서 풀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어버트먼트(A)가 풀린 상태에서 음식물을 계속 저작하게 되면 어버트먼트(A)가 손상되거나, 심한 경우 픽스츄어(F)가 손상되며 이러한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크라운(T)을 분리시키거나 전체 구조물을 분리하여 재시술 해야 하는 번거로움뿐 만 아니라, 어버트먼트(A)와 픽스츄어(F)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되어 박테리아, 세균 감염 등의 문제가 있게 된다.
(실용신안 문헌 001) 실용신안 등록공보 제0269113호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를 결합하는 체결장치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치조골에 식립 고정되는 치과용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의 내부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삽입 체결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상기 픽스츄어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체결장치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는 일방향의 경사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임플란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치조골에 식립 고정되는 치과용 픽스츄어;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픽스츄어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내부에 삽입되는 체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장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임플란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어버트먼트의 삽입공간 내주면에 상기 체결장치를 형성하는 돌출부의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홈부들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장치가 어버트먼트에 삽입 체결될 때, 어버트먼트에 형성된 돌출부의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홈부에 돌출부의 경사면이 일방향으로 끼워짐으로써 강한 고정력이 생기므로, 체결장치가 어버트먼트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와 픽스츄어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임플란트용 체결장치가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에 결합 사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고안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고안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2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이하,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 라고 함)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의 단면 사시도, 도 4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가 픽스츄어(F100)와 어버트먼트(A100)에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는 대략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고정부(310), 연결부(320) 및 결합부(330)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6에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가 연결부(32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연결부(320)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하다. 즉, 고정부(310)와 결합부(330)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310), 연결부(320) 및 결합부(3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연결부(320)을 포함하지 않는 구성으로 실시할 경우 고정부(310)와 결합부(3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에 별도의 부품을 결합시키지 않고도 고정부(310)에 형성된 풀림방지구조에 의해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풀림방지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는, 어버트먼트(A100)의 삽입공간을 통해 어버트먼트(A100)를 통과한 후, 픽스츄어(F100)의 삽입공간을 통해 픽스츄어(F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어버트먼트(A100)와 픽스츄어(F100)를 결합시킨다. 여기서,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는 어버트먼트(A100)와 픽스츄어(F100)의 내부에서 부식되거나 녹슬지 않는 재질로 구성되며, 예를 들면 녹슬지 않는 금속 재질인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또는 티타늄(Titanium)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녹슬지 않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할 것이다.
고정부(310)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가 어버트먼트(A100)와 픽스츄어(F100)가 결합된 결합상태(이하, '결합상태'라고 함)에서 어버트먼트(A100)의 삽입공간에 위치되는 영역이다. 고정부(310)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가 어버트먼트의 삽입공간에 위치될 때, 어버트먼트(A100)의 내측면과 접하면서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320)는 상부면, 하부면 및 측면(32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면은 고정부(310)와 연결된 면이고, 하부면은 결합부(330)에 연결된 면이고, 상부면과 하부면은 측면(32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부면은 후술할 고정단(311b)에 연결되어 있고, 하부면은 결합부(330)의 상부영역(330a)에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부(320)의 상부면에는 삽입도구(예를 들면, 육각렌치)를 이용하여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를 어버트먼트(A100)와 픽스츄어(F100)의 내부에 삽입시키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삽입홈(S31)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삽입홈(S31)이 육각형의 일부로 나타나 있지만, 육각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을 모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버트먼트(A100)에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가 어버트먼트(A100) 내부에서 결합하는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한 제1경사면(A11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부(320)의 측면에는 어버트먼트(A100)의 제1경사면(A110)에 걸쳐짐으로써 정확한 위치에서 어버트먼트(A100)와 결합하기 위해 제1경사면(A110)에 대응되는 가이드부(321)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321)는, 연결부(320)의 상부면의 외주부로부터 하부면과 가까워지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321a), 제1연장부(321a)로부터 제1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321b) 및 제2연장부(321b)로부터 제2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3방향으로 전환되어 연장되는 제3연장부(321c)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3연장부(321c)가 어버트먼트(A100) 내부의 제1경사면(A110)에 걸쳐짐으로써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가 어버트먼트(A100) 내부에서 결합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가이드 할 수 있다.
결합부(330)는 고정부(310)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픽스츄어(F100)와 결합하는 영역이며, 결합부(330)는 상부영역(330a)과 하부영역(33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부영역(330a)의 상단에는 삽입도구(예를 들면, 육각렌치)를 이용하여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를 어버트먼트(A100)와 픽스츄어(F100)의 내부에 삽입시키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영역(330b)의 적어도 일부에는 픽스츄어(F100)의 내측면과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331)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어버트먼트(A100)와 픽스츄어(F100)의 결합상태에서, 상부영역(330a)은 어버트먼트(A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하부영역(330b)의 적어도 일부는 픽스츄어(F100)의 내부에서 나사산(331)을 이용하여 픽스츄어(F100)의 내측면과 결합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310)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가 어버트먼트(A100)와 픽스츄어(F100)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311)로 구성된다. 돌출부(311)의 탄성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1)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11)는 연결부(320)의 상부면의 외경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연결부(320)을 포함하지 않는 구성으로 실시할 경우, 돌출부(311)는 결합부(330)의 상부영역(330a)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1)는 고정부(3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돌출부(311)는 연결부(320)에 연결되어 움직이지 않는 고정단(311b), 연결부(320)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 움직임이 가능한 자유단(311a)을 포함하며, 돌출부(311)의 외주면에는 일방향의 경사면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의 경사면은 돌출부(311)의 자유단(311a)에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경사면에 의한 체결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어버트먼트(A100)의 삽입공간 내주면에는 돌출부(311)의 경사면과 대응하는 제2경사면을 구비하는 홈부(A120)들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즉, 홈부(A120)에도 돌출부(311)의 일방향과 같은 방향의 제2경사면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일방향이란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를 어버트먼트(A100) 삽입공간에 삽입할 때의 방향을 의미한다.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가 어버트먼트(A100)의 삽입공간에 일방향으로 체결될 때 돌출부(311)에 구비된 일방향의 경사면이 홈부(A120)에 구비된 일방향의 제2경사면에 끼워지면서 고정되기 때문에 반대 방향으로는 잘 풀리지 않게 된다.
고정부(310)는 돌출부(311)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상태와 폐쇄상태가 가능하다. 여기서, 돌출부(311)의 탄성력이란, 개방상태-고정단(310)의 돌출부(311)에 의해 형성되는 외경이 어버트먼트(A100) 삽입공간의 외경보다 커지도록 자유단(311a)이 외부 쪽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이다.
개방상태는, 결합부(330)는 어버트먼트(A100)를 경유하여 픽스츄어(F100)에 삽입되고, 연결부(320)도 어버트먼트(A100)에 삽입되었지만, 고정부(310)는 어버트먼트(A100)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아서 돌출부(311)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부(311)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다.
폐쇄상태는, 고정부(310)가 어버트먼트(A100)에 완전히 삽입되어 어버트먼트(A100)의 삽입공간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자유단(311a)이 어버트먼트(A100)의 내부 쪽으로 이동된 상태이다.
예를 들면, 폐쇄상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단(311a)이 어버트먼트(A100)의 내부 쪽으로 이동되어 홈부(A120)의 경사면에 돌출부(311)의 경사면이 끼워진 상태이다.
이러한 돌출부(311)의 탄성력 및 돌출부(311)에 구비된 경사면에 의해 체결장치(3)가 어버트먼트(A100)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 즉, 풀림방지구조가 형성됨으로써 체결장치(3)가 어버트먼트(A100) 및 픽스츄어(F100)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임플란트 어셈블리는, 치조골에 식립 고정되는 치과용 픽스츄어(F100), 픽스츄어(F100)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A100) 및 픽스츄어(F100)와 어버트먼트(A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는 상술한 실시 예들의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어버트먼트(A100)의 삽입공간 내주면에는 돌출부(311)의 경사면과 대응하는 제2경사면을 구비하는 홈부(A120)들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즉, 홈부(A120)에도 돌출부(311)의 일방향과 같은 방향의 제2경사면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일방향이란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를 어버트먼트(A100) 삽입공간에 삽입할 때의 방향을 의미한다.
임플란트용 체결장치(3)가 어버트먼트(A100)의 삽입공간에 일방향으로 체결될 때 돌출부(311)에 구비된 일방향의 경사면이 홈부(A120)에 구비된 일방향의 제2경사면에 끼워지면서 고정되기 때문에 반대 방향으로는 잘 풀리지 않게 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310)는 돌출부(311)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상태와 폐쇄상태가 가능하다. 여기서, 돌출부(311)의 탄성력이란, 개방상태-고정단(310)의 돌출부(311)에 의해 형성되는 외경이 어버트먼트(A100) 삽입공간의 외경보다 커지도록 자유단(311a)이 외부 쪽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이다.
개방상태는, 결합부(330)는 어버트먼트(A100)를 경유하여 픽스츄어(F100)에 삽입되고, 연결부(320)도 어버트먼트(A100)에 삽입되었지만, 고정부(310)는 어버트먼트(A100)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아서 돌출부(311)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부(311)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다.
폐쇄상태는, 고정부(310)가 어버트먼트(A100)에 완전히 삽입되어 어버트먼트(A100)의 삽입공간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자유단(311a)이 어버트먼트(A100)의 내부 쪽으로 이동되어, 홈부(A120)의 제2경사면에 돌출부(311)의 경사면이 끼워진 상태이다.
이러한 돌출부(311)의 탄성력, 돌출부(311)에 구비된 경사면 및 어버트먼트(A100)에 구비된 홈부(A120)에 의해 체결장치(3)가 어버트먼트(A100)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 즉, 풀림방지구조가 형성됨으로써 체결장치(3)가 어버트먼트(A100) 및 픽스츄어(F100)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3: 체결장치
310: 고정부
320: 연결부
330: 결합부
311: 돌출부
321: 가이드부
A100: 어버트먼트
F100: 픽스츄어

Claims (12)

  1. 치조골에 식립 고정되는 치과용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의 내부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삽입 체결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상기 픽스츄어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부면, 하부면 및 측면으로 구성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면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부면은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측면에는 상기 체결장치가 상기 어버트먼트와 결합되는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내부에 상기 가이드부가 결합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1경사면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어버트먼트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체결장치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는 일방향의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이, 상기 어버트먼트 삽입공간 내주면에 상기 경사면과 대응되는 제2경사면을 구비하도록 함몰 형성된 홈부에서 상기 제2경사면에 끼워지면서 상기 임플란트용 체결장치가 상기 어버트먼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부에 연결된 고정단,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자유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돌출부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상태와 폐쇄상태가 가능하며,
    상기 개방상태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어버트먼트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아서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며, 상기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외경이 상기 어버트먼트의 삽입공간의 외경보다 커지도록 상기 자유단이 외부 쪽으로 이동된 상태이고,
    상기 폐쇄상태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어버트먼트의 삽입공간에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어버트먼트의 삽입공간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상기 자유단이 상기 어버트먼트의 내부 쪽으로 이동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부면의 외연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상부면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하부면과 가까워지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제1연장부로부터 제1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방향으로 전환되어 연장되는 제2연장부, 제2연장부로부터 제2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3방향으로 전환되어 연장되는 제3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결합부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결합부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에는 삽입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장치를 상기 어버트먼트와 상기 픽스츄어의 내부에 삽입시키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육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
  10. 임플란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치조골에 식립 고정되는 치과용 픽스츄어;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픽스츄어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내부에 삽입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장치는 제1항 내지 제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임플란트용 체결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의 삽입공간 내주면에는 상기 임플란트용 체결장치를 형성하는 돌출부의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홈부들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부에 연결된 고정단,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자유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돌출부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상태와 폐쇄상태가 가능하며,
    상기 개방상태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어버트먼트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아서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며, 상기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외경이 상기 어버트먼트의 삽입공간의 외경보다 커지도록 상기 자유단이 외부 쪽으로 이동된 상태이고,
    상기 폐쇄상태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어버트먼트의 삽입공간에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어버트먼트의 삽입공간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상기 자유단이 상기 어버트먼트의 내부 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홈부의 경사면에 상기 돌출부의 경사면이 끼워진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어셈블리.
KR2020170003900U 2017-07-26 2017-07-26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어셈블리 KR200490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900U KR200490694Y1 (ko) 2017-07-26 2017-07-26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900U KR200490694Y1 (ko) 2017-07-26 2017-07-26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310U KR20190000310U (ko) 2019-02-08
KR200490694Y1 true KR200490694Y1 (ko) 2020-01-22

Family

ID=65364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900U KR200490694Y1 (ko) 2017-07-26 2017-07-26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69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1412A1 (en) 2007-03-06 2009-11-26 Kent Engstrom Dental implant, abutment structure and method for implanting a dental implant
KR101250493B1 (ko) 2011-11-07 2013-04-03 주식회사 덴티스 임플란트 식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9113B1 (ko) 1997-07-09 2000-10-16 윤종용 압축부호화장치및방법
KR200449358Y1 (ko) * 2008-10-09 2010-07-05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지대주 스크루
KR20150089419A (ko) * 2014-01-28 2015-08-05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치과용 임플란트의 완충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KR20160029875A (ko) * 2014-09-05 2016-03-16 장은수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및 치과용 풀림방지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1412A1 (en) 2007-03-06 2009-11-26 Kent Engstrom Dental implant, abutment structure and method for implanting a dental implant
KR101250493B1 (ko) 2011-11-07 2013-04-03 주식회사 덴티스 임플란트 식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310U (ko) 2019-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2673B2 (en) Anti-splay medical implant closure with multi-surface removal aperture
ES2469015T5 (es) Método para utilizar un sistema de anclaje de collar expandible
US8702707B2 (en) Fixation instrument for treating a bone fracture
US8257402B2 (en) Closure for rod receiving orthopedic implant having left handed thread removal
US20020116001A1 (en) Bone screw
US7235075B1 (en) Anchoring element for securing a rod on a vertebra
US10265108B2 (en) Bone plate
US20120004690A1 (en) Screw fixation system
LU93307B1 (en) Screwdriver and Screw for a surgical application
AU2003221793A1 (en) Helical wound mechanically interlocking mating guide and advancement structure
WO1994026193A1 (en) A vertebral fixating device
US10575881B2 (en) Self-locking screwdriver
US7160303B2 (en) Medical implant with a secured bone screw
US7090495B1 (en) Dental implant screw and post system
KR101559823B1 (ko) 치아 임플란트 구조물
KR200490694Y1 (ko)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어셈블리
US8083521B2 (en) Anchor apparatus for orthodontic appliances
JP3638952B2 (ja) スペーサ部材
KR20190000311U (ko)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어셈블리
KR200490420Y1 (ko)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US20080021475A1 (en) Orthopaedic appliances
KR20190000172U (ko)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KR101632612B1 (ko) 이탈방지홈이 형성된 체결스크류
KR20170060539A (ko) 이탈방지홈이 형성된 체결스크류
US11998420B2 (en) Screwdriver and screw for a surgical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