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575Y1 - 화장 도구 - Google Patents

화장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575Y1
KR200490575Y1 KR2020180003467U KR20180003467U KR200490575Y1 KR 200490575 Y1 KR200490575 Y1 KR 200490575Y1 KR 2020180003467 U KR2020180003467 U KR 2020180003467U KR 20180003467 U KR20180003467 U KR 20180003467U KR 200490575 Y1 KR200490575 Y1 KR 2004905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tube
inner cap
collision
rib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4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800034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5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5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5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23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5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for selecting or displaying personal cosmetic colours or hairsty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는, 내용물의 측면을 두르는 보호관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가 결합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상기 보호관과 마찰을 이루는 제1 리브를 포함하는 내캡; 및 상기 제1 리브를 따라 상기 내캡의 내부로 진입된 상기 보호관이 충돌하여 맞닿는 충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관과 상기 충돌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 도구{A cosmetic device}
본 고안은 화장 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시의 결합 여부를 사용자가 확실히 인식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는 화장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피부를 포함하여 머리, 손톱, 입술 등을 다양한 방식으로 화장함으로써 만족도를 느끼며, 특히 입술의 경우, 붉은색 계통으로 화장하여 얼굴에서 입술이 도드라져 보이도록 하는 화장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입술 화장은, 립스틱이나 립글로즈 등의 이용으로 화장이 이루어지고, 입술에 색상을 입혀 입술을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면서도 입술이 건조해져서 갈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립스틱은 기본적으로 통 형태로 제작되는데, 사용자가 립스틱의 하단부를 회전시키면, 립스틱 화장품이 상승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립스틱 화장품을 이용하여 입술 화장을 완료한 뒤, 립스틱의 하단부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립스틱 화장품이 하강하여 내부에 보관되도록 한다.
한편, 립스틱 화장품과 같은 일반적인 화장 도구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몸체부의 중심 둘레면과 뚜껑의 하단이 서로 맞닿아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인 바와 같이, 일률적인 구조 및 결합방식이 이용되고 있어, 사용자의 흥미가 저하되는 것은 물론, 결합 구조에 대한 변화의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와 달리 몸체부의 상단에서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사용자에게 흥미를 제공할 수 있는 화장 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는, 내용물의 측면을 두르는 보호관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가 결합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상기 보호관과 마찰을 이루는 제1 리브를 포함하는 내캡; 및 상기 제1 리브를 따라 상기 내캡의 내부로 진입된 상기 보호관이 충돌하여 맞닿는 충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관과 상기 충돌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관과 상기 충돌부는, 서로 대향하는 각각의 단부가 맞닿도록 직경이 동일 범위 내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캡은, 상기 충돌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보호관의 진입을 간섭하는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관은, 외력에 의해 상기 돌기를 경로하여 상기 충돌부와 충돌하도록 진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캡은, 상기 충돌부와 상기 돌기 사이에 공간을 이루는 경로홈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로홈은, 상기 내캡에 상기 충돌부 용이하게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상기 충돌부가 맞닿는 상기 내캡의 천장까지 연장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보호관을 가압하도록 상기 보호관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캡은, 상기 보호관을 가이드하도록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2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캡을 커버하며,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외캡; 및 상기 외캡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장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캡은, 상기 장식부가 끼움되는 끼움홈; 및 상기 장식부의 측면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해 일부가 절삭된 절삭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 도구는, 슬라이딩을 통해 부드러운 진입을 이루고 나서, 진입이 일시 정지된 후 충돌을 통한 진입이 차단되어, 충돌음에 따른 경쾌감을 부여하여 소비자에게 흥미를 줄 수 있으며, 몸체부의 상단에서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어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뚜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에서 충돌부가 설치된 내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내캡을 도시하며, 도 5와 다른 각도에서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도면에서 충돌부가 설치된 내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에서 내캡의 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뚜껑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에서 충돌부가 설치된 내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내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1)는, 몸체부(10)와 뚜껑(2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상부/상단, 하부/하단 등의 용어는, 도 1 내지 도 4를 기준으로 설명하는 것이나, 화장 도구(1)의 배치 관계에 따라 상하가 변경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용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지 않는다.
몸체부(10)는, 일반적인 립스틱 화장품으로서의 내용물(화장료)이 수용될 수 있으며 보호관(11)을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부(10)에 수용된 내용물의 이용은,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한 손으로 보호관(11)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몸체부(10)의 손잡이(12)를 잡아서 회전시킴으로써, 내용물이 상승되도록 하여 외부로 내용물을 노출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 노출된 내용물을 이용하여 입술 화장을 완료한 뒤, 손잡이(12)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내용물이 하강하도록 하여 보호관(11) 내부에 내용물이 보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물의 상하 구동은, 공지된 메카니즘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종래의 구조는, 몸체부(10)의 손잡이(12)와 보호관(11) 사이에 마련되는 단턱(13)을 통한 맞닿음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반해, 본원 고안은 후술되는 구성의 관계를 통해 몸체부(10)의 보호관(11)과 뚜껑(20)이 결합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보호관(11)은, 접시(11A)(도 2 참조) 상의 내용물의 측면을 두르며, 외력에 의해 후술되는 내캡(23)의 돌기(23C)를 경로하여 충돌부(24)와 충돌하도록 진입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
여기서 보호관(11)은, 충돌부(24)와의 관계에 따른 직경을 구비할 수 있으며, 금속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충돌부(24)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은 하겠으나, 간략하게는 충돌부(24)와의 맞닿음을 위해, 충돌부(24)와 대향하는 보호관(11) 단부의 직경이 충돌부(24) 단부의 직경과 동일 범위 내로 구비되어, 보호관(11)이 충돌부(24)에 간섭됨으로써, 집입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뚜껑(20)은 내용물의 보호를 위해 몸체부(10)에 결합되며, 외캡(21), 장식부(22), 내캡(23) 및 충돌부(24)를 포함할 수 있고, 하부가 개방되어 몸체부(1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중력에 의해 뚜껑(20)으로부터 몸체부(10)가 단순히 분리되지 않도록 몸체부(10)를 구속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뚜껑(2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단턱(13)에서의 결합과 더불어 뚜껑(20)의 내측 상부에서의 결합이 이루어져, 종래에 대비하여 더욱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뚜껑(20)의 내측 상부에서의 결합만으로 몸체부(10)와 뚜껑(2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므로, 단턱(13)에서의 결합이 생략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외캡(21)은, 몸체부(10)와 결합되어,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화장 도구(1)의 상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와 달리, 뚜껑(20)의 내측 상부에서의 결합만으로 몸체부(10)와 뚜껑(2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몸체부(10)의 둘레면에서의 결합이 생략되어, 도 9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화장 도구(1)의 전체 외관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뚜껑(20)으로부터 몸체부(1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몸체부(10)를 잡을 수 있게 몸체부(10)의 하부가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가 몸체부(10)를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정도의 절개된 형태의 홈이 뚜껑(20)의 하단에서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는 바에 따라, 몸체부(10)의 분리 구조 변경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형예를 통해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외캡(21)은 충돌부(24)/내캡(23)과 별도로 제작될 수 있어, 충돌부(24) 등의 재질과 이종의 재질로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충돌부(24)와 동일/동종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공지된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고, 내부 구조를 가릴 수 있도록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외캡(21)은,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내캡(23)이 내부에 마련되는 구조를 이루어 내캡(23)을 커버할 수 있으며, 내캡(23)의 고정을 위해 내주면에 가로길이 방향의 턱(21E)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장식부(22)의 설치를 위한 끼움홈(21A)과 절삭홈(21D)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21A)은, 장식부(22)가 끼움되는 구성으로서, 외캡(21)의 상단 둘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오목한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끼움홈(21A)의 폭은 장식부(22)가 끼워진 상태로 고정을 이룰 수 있게 장식부(22)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끼움홈(21A)의 둘레 상단(21B)은 장식부(22)와 대향하여 내부가 폐쇄될 수 있는데, 이와 달리 상단(21B)이 생략되어 외캡(21) 상부의 내부 공간(21C)이 개방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고, 이때 내부 공간(21C)에는 접시(11A) 상에 마련되는 내용물과 색상을 달리하는 화장품이 수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내용물은 장식부(22)를 통해 개폐가 이루어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절삭홈(21D)은, 장식부(2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해 일부가 절삭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삭홈(21D)은, 화장 도구(1)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경우, 뚜껑(20)의 한 모서리를 기준으로 하부를 향해 좌우 양측의 공간이 점차 줄어드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도 1 참조).
또는, 뚜껑(20)의 한 쌍의 모서리에서 서로 대칭되게 마련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며, 이러한 절삭홈(21D)은 장식부(22)를 일부 노출시킴으로써 화장 도구(1)의 측면 둘레를 따라 장식부(22)가 노출되어 심미감을 줄 수도 있고, 장식부(22)가 외캡(21)에 고정되거나, 사용자가 장식부(22)를 잡고 외캡(21)으로부터 장식부(22)를 분리시킬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또한, 외캡(21)은, 끼움홈(21A)의 둘레 상단(21B)의 내부 공간(21C) 둘레에 마찰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마찰면(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될 수 있으며, 마찰면은 세로 길이 방향의 복수의 돌출구조 또는 울퉁불퉁한 무늬 등을 이룰 수 있어, 민무늬에 대비하여 내캡(23)과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장식부(22)는, 외캡(21)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외캡(21)과 색상, 재질이 달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장식부(22)의 색상은 내용물의 색상과 동일/동종의 색상을 이룰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뚜껑(20)을 개방하지 않고도 장식부(22)의 색상을 통해 내용물의 색상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색상의 화장 도구(1)를 구비하는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의 화장 도구(1)를 찾기 위한 불편함을 해소시켜 사용의 편리성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장식부(22)의 결합은, 끼움홈(21A)을 통해 끼움 결합이 가능하므로, 외부로 노출되는 장식부(22)의 뒷면인, 장식부(22)와 외캡(21)의 사이는 접착제 등으로 인한 미관 손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장식부(22)는 미관 손상 방지를 위한 불투명 재질로 제한되지 않아,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있다.
물론, 장식부(22)의 결합이, 접착제에 의한 부착/접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불어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장식부(22)에는 고리 등과 같은 연결 부재가 마련되어 브러시가 장착될 수도 있다.
내캡(23)은, 외캡(21)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장식부(22)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고, 외캡(21)의 상단(21B) 구조에 의해 장식부(22)와 구획될 수 있으며, 제1 리브(23A), 제2 리브(23B), 돌기(2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브(23A)는, 몸체부(10)가 결합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캡(23)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보호관(11)과 마찰을 이룰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내캡(23)의 내부에서 보호관(11)의 둘레를 따라 제1 리브(23A)가 맞닿게 보호관(11)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돌출되어 보호관(11)에 밀착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게다가 제1 리브(23A)는, 내캡(23) 내에 보호관(11)이 억지 끼움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1 리브(23A)가 형성하는 가상의 둘레가 형성하는 직경/폭은, 보호관(11)의 외경/폭보다 좁게 이루어져, 보호관(11)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제1 리브(23A)가, 보호관(11)을 가압하는 정도 및/또는 보호관(11)의 재질에 따라 보호관(11)의 직경이 감소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보호관(11)의 직경이 감소되는 경우, 제1 리브(23A)의 가압이 해지되면 보호관(11)의 직경은 복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리브(23A)는, 보호관(11)을 억지 끼움으로 결합시켜 뚜껑(20)에 몸체부(10)를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에 단턱(13)의 둘레면에서만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에 대비하여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어, 화장 도구(1)의 낙하 등에 의한 뚜껑(20)과 몸체부(10)의 분리를 방지하여, 낙하된 화장 도구(1)의 손잡이(12)가 임의 회전되면서 노출되는 내용물이 바닥면에 닿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리브(23B)는, 보호관(11)을 가이드하도록 내캡(23)의 하단부에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2 리브(23B)가 형성하는 가상의 둘레가 형성하는 직경/폭은, 복수의 제1 리브(23A)가 형성하는 가상의 둘레가 형성하는 직경/폭에 대비하여 크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제2 리브(23B)는 보호관(11)이 뚜껑(20) 내부로 진입시 외캡(21)의 내벽에 부딪히지 않도록 방지하면서도 진입 경로가 기울지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리브(23B)는, 제1 리브(23A)를 향해 진입하는 보호관(11)이 점차적으로 중심을 향할 수 있게,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외캡(21)의 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는 경우 각 모서리에 제2 리브(23B)가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돌기(23C)는, 보호관(11)의 진입을 일시 정지시키는 구성으로서, 보호관(11)의 진입에 필요한 힘에 대비하는 더 큰 외력이 추가되는 경우, 보호관(11)과 충돌부(24)의 충돌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23C)는, 충돌부(24)로부터 하부로 이격되어, 충돌부(24)와 돌기(23C) 사이에 경로홈(23D)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보호관(11)의 진입을 간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23C)는, 내캡(23)의 내주면에서 앞뒤 및/또는 좌우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어, 한 쌍 또는 두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 리브(23A) 사이에 마련될 수 있고, 가로 길이 방향으로 이루어져 보호관(11)의 상단과 맞닿을 수 있다.
특히 돌기(23C)는, 충돌부(24)의 하부에서 이격되어, 충돌부(24)와 돌기(23C) 사이에 공간을 이루는 경로홈(23D)이 형성됨으로써, 돌기(23C)를 경로한 보호관(11)이 바로 충돌부(24)에 맞닿지 않고, 충돌부(24)와 돌기(23C)가 이격된 거리에 대응되는 경로홈(23D)의 길이만큼 보호관(11)이 더 진입을 하도록 하여, 보호관(11)이 충돌부(24)에 충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경로홈(23D)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충돌부(24)와 돌기(23C)와의 관계에서, 충돌부(24)로부터 노출되어 보호관(11)이 진입하는 거리인, 충돌부(24)로부터 이격된 돌기(23C)의 이격 거리에 해당될 수 있다(도 7 참조시 충돌부(24)의 하부에 형성된 경로홈(23D)의 길이).
다만 경로홈(23D)은, 보호관(11)의 진입 거리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내캡(23)의 내부에 충돌부(24)가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충돌부(24)가 내캡(23)에 진입시 충돌부(24)와 내캡(23)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거나 줄어들도록, 경로홈(23D)의 길이가 충돌부(24)가 맞닿는 내캡(23)의 천장(23F)까지 연장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이룰 수 있다.
이때, 도 8을 참조하면, 내캡(23)의 둘레면을 따라 경로홈(23D)이 복수개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이러한 노출을 통해 충돌부(24)가 노출되는데, 노출을 통해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마찰이 감소되는 것이다.
또한, 내캡(23)에 결합되는 충돌부(24)의 결합은, 걸림 구조(A)(도 5 참조)를 통해 이룰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충돌부(24)의 둘레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내캡(23)에는 단차를 향해 돌출되는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더불어 설명하지 않은 부호 '23E'은, 내캡(23)의 천장(23F) 상부로 돌출되어, 외캡(21) 상부의 내부 공간(21C)에 대응하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앞서 언급한 바와은, 별도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충돌부(24)는, 제1 리브(23A)를 따라 내캡(23)의 내부로 진입된 보호관(11)이 충돌하여 맞닿는다.
예를 들어 충돌부(24)는, 내캡(23)의 천장(23F)에 맞닿게 마련될 수 있으며,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돌기(23C)와의 사이에 경로홈(23D)이 형성되도록 돌기(23C)와 이격되게 마련되어, 돌기(23C)를 경로한 보호관(11)이 충돌부(24)에 단순히 맞닿는 것이 아닌, 충돌을 통한 간섭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충돌부(24)는, 도 5 및 도 7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내캡(23)의 내주면에 대응하여 원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링, 원통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바(bar) 가 서로 이격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다만, 충돌부(24)는 내캡(23)과 개별로 제작된 후, 내캡(23)에 조립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바를 개별로 접착제 등으로 설치할 필요없이, 하나의 원통을 삽입/끼움 하는 과정을 통해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충돌부(24)는, 보호관(11)과의 충돌을 통해 금속 충돌음이 발생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호관(11)과 충돌부(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보호관(11)과 충돌부(24)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져, 보호관(11)과 충돌부(24)가 부딪히면서 금속 충돌음이 발생됨으로써 사용자에게 경쾌감을 줄 수 있다.
게다가 보호관(11)과 충돌부(24)의 금속재질은, 플라스틱에 대비하여 무게감을 줄 수 있어, 한 손에 잡히는 립스틱 용 화장 도구(1)를 사용자가 잡고서 사용시 사용상의 무게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보호관(11)과 충돌부(24)는, 서로 대향하는 각각의 단부가 맞닿도록 직경이 동일 범위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관(11)과 충돌부(24)는, 서로 동일한 내경 및/또는 서로 동일한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관(11)과 충돌부(24)는, 서로 동일한 내경 또는 서로 동일한 외경을 가지되 나머지 직경은 달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다른 예로 보호관(11)과 충돌부(24)는, 서로 다른 내경과 외경을 가지되, 적어도 일부가 서로 간섭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서로의 단부가 충돌이 발생될 수도 있으며, 보호관(11)과 충돌부(24)가 서로 겹치는 것이 아닌 맞닿는 구조라면, 보호관(11)과 충돌부(24) 각각의 두께가 동일하거나 차이가 발생되는 것에 무관한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뚜껑(20)에 결합되는 몸체부(10)로 인한, 보호관(11)의 작동은 아래와 같다.
보호관(11)이, 돌기(23C)를 경로할 경우 돌기(23C)의 간섭으로 진입이 제한될 수 있는데, 이는 보호관(11)이 충돌부(24)와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도록 충돌거리를 부여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보호관(11)을 단순히 밀어냄으로써 보호관(11)의 이동에 걸림이 없는 한도에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고, 돌기(23C)에 의해 슬라이딩이 제한됨으로써 보호관(11)의 진입이 차단되되, 사용자가 보호관(11)의 슬라이딩 동작에 대비하여 더 강한 가압으로 보호관(11)을 밀어내면, 보호관(11)에 대한 돌기(23C)의 간섭이 해제되어, 보호관(11)의 진입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돌기(23C)에서 진입이 제한된 상태였으므로 돌기(23C)로부터 강한 힘으로 충돌부(24)에 부딪히므로, 사용자는 보호관(11)과 충돌부(24)의 충돌을 손의 감각으로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보호관(11)과 충돌부(24)의 충돌음을 통한 충돌여부도 소리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1 리브(23A)를 통한 슬라이딩을 통해 부드러운 진입을 이루고 나서, 돌기(23C)에 의한 진입이 일시 정지된 후 경로홈(23D)을 경로하여 충돌부(24)에 충돌을 통한 진입이 차단된 후 결합이 이루어져, 충돌음에 따른 경쾌감을 부여하여 소비자에게 흥미를 줄 수 있으며, 몸체부(10)의 상단에서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어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화장 도구 10: 몸체부
11: 보호관 11A: 접시
12: 손잡이 13: 단턱
20: 뚜껑 21: 외캡
21A: 끼움홈 21B: 상단
21C: 내부 공간 21D: 절삭홈
21E: 턱 22: 장식부
23: 내캡 23A: 제1 리브
23B: 제2 리브 23C: 돌기
23D: 경로홈 23F: 천장
24:충돌부

Claims (9)

  1. 내용물의 측면을 두르는 보호관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가 결합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상기 보호관과 마찰을 이루는 제1 리브를 포함하는 내캡; 및
    상기 제1 리브를 따라 상기 내캡의 내부로 진입된 상기 보호관이 충돌하여 맞닿는 충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관과 상기 충돌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캡은,
    상기 충돌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보호관의 진입을 간섭하는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관은, 외력에 의해 상기 돌기를 경로하여 상기 충돌부와 충돌하도록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과 상기 충돌부의 직경은,
    서로 대향하는 각각의 단부가 삽입되지 않고 맞닿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상기 충돌부와 상기 돌기 사이에 공간을 이루는 경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홈은,
    상기 내캡에 상기 충돌부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상기 충돌부가 맞닿는 상기 내캡의 천장까지 연장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보호관을 가압하도록 상기 보호관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상기 보호관을 가이드하도록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2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을 커버하며,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외캡; 및
    상기 외캡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장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은,
    상기 장식부가 끼움되는 끼움홈; 및
    상기 장식부의 측면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해 일부가 절삭된 절삭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KR2020180003467U 2018-07-26 2018-07-26 화장 도구 KR2004905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467U KR200490575Y1 (ko) 2018-07-26 2018-07-26 화장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467U KR200490575Y1 (ko) 2018-07-26 2018-07-26 화장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575Y1 true KR200490575Y1 (ko) 2019-12-02

Family

ID=68834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467U KR200490575Y1 (ko) 2018-07-26 2018-07-26 화장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5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194B1 (ko) * 2020-03-23 2020-08-26 (주) 제이미인터내셔날 큐티클 제거 및 오일 붓 기능을 구비한 도구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Y2 (ja) * 1983-02-10 1985-01-05 株式会社資生堂 化粧用筆
KR910008644Y1 (ko) * 1989-12-20 1991-10-26 태평양화학 주식회사 립스틱 용기의 뚜껑
KR20000019579U (ko) * 1999-04-15 2000-11-15 강성일 립스틱 용기
JP2012170570A (ja) * 2011-02-21 2012-09-10 Hidan Co Ltd 棒状化粧料容器
JP5518448B2 (ja) * 2009-05-18 2014-06-11 株式会社ヒダン 棒状化粧料容器
JP6000015B2 (ja) 2012-08-08 2016-09-2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1794508B1 (ko) * 2015-08-31 2017-11-08 (주)아모레퍼시픽 립스틱홀더의 유동을 방지한 립스틱 케이스
KR20180000398U (ko) * 2016-08-01 2018-02-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립스틱 홀더 및 이를 구비한 립스틱 용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Y2 (ja) * 1983-02-10 1985-01-05 株式会社資生堂 化粧用筆
KR910008644Y1 (ko) * 1989-12-20 1991-10-26 태평양화학 주식회사 립스틱 용기의 뚜껑
KR20000019579U (ko) * 1999-04-15 2000-11-15 강성일 립스틱 용기
JP5518448B2 (ja) * 2009-05-18 2014-06-11 株式会社ヒダン 棒状化粧料容器
JP2012170570A (ja) * 2011-02-21 2012-09-10 Hidan Co Ltd 棒状化粧料容器
JP6000015B2 (ja) 2012-08-08 2016-09-2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1794508B1 (ko) * 2015-08-31 2017-11-08 (주)아모레퍼시픽 립스틱홀더의 유동을 방지한 립스틱 케이스
KR20180000398U (ko) * 2016-08-01 2018-02-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립스틱 홀더 및 이를 구비한 립스틱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194B1 (ko) * 2020-03-23 2020-08-26 (주) 제이미인터내셔날 큐티클 제거 및 오일 붓 기능을 구비한 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4142B1 (ko) 리필용기의 체결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KR200490575Y1 (ko) 화장 도구
US10973302B2 (en) Compact container having tension part integrally formed therein
CN110937246B (zh) 可移除盖、分配瓶和生产分配瓶的可移除盖的第二装饰元件的方法
KR20190010756A (ko) 내용기의 회전 체결구조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2375068B1 (ko) 버튼의 작동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JP5154983B2 (ja) 二色成形体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二色成形体、並びにそれを用いた色見本付きテスター
KR102101926B1 (ko) 화장품 용기
US6571950B2 (en) Two-piece cosmetic applicator
KR101908054B1 (ko) 뚜껑의 이미지가 회전하는 화장품용기
JP7323995B2 (ja)
KR102196056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장식 프레임
KR20110007384U (ko) 화장실 칸막이용 마감재
KR20210006762A (ko) 심미감이 증대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KR200487520Y1 (ko) 거울 사용이 용이한 화장 케이스
KR102337142B1 (ko) 화장용 도구
JP2019172273A (ja) 可撓性容器用ホルダー
JP3839175B2 (ja) コンパクト容器の鏡付き蓋体および該蓋体を有するコンパクト容器
JP7083384B2 (ja) 内容物が外部から見える化粧品容器
KR20010055159A (ko) 형틀
KR200234003Y1 (ko) 가변형문틀커버
KR200490823Y1 (ko) 화장품 용기
JP7025888B2 (ja)
KR101984913B1 (ko)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
JP3500627B2 (ja) 笠木用化粧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