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417Y1 - Common bracket for mounting switch modules and telecommunication modules - Google Patents

Common bracket for mounting switch modules and telecommunication modu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417Y1
KR200490417Y1 KR2020180003749U KR20180003749U KR200490417Y1 KR 200490417 Y1 KR200490417 Y1 KR 200490417Y1 KR 2020180003749 U KR2020180003749 U KR 2020180003749U KR 20180003749 U KR20180003749 U KR 20180003749U KR 200490417 Y1 KR200490417 Y1 KR 2004904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fastening groove
bracket
fram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74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경군
Original Assignee
조경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군 filed Critical 조경군
Priority to KR20201800037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41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4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41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위치 모듈 또는 통신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1)에 관한 것이다. 브래킷(1)은 네 변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10), 하부 프레임(20), 좌측 프레임(30) 및 우측 프레임(40)을 구비하고, 스위치 모듈 또는 통신 모듈과의 결합을 위하여, 좌측 프레임(30)과 우측 프레임(40)의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내측면에는 위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제1 체결홈(31, 41), 제2 체결홈(32, 42) 및 제3 체결홈(33, 43)이 형성되며, 상측의 제1 체결홈(31) 및 하측의 제3 체결홈(33)의 상하방향 폭이 중앙의 제2 체결홈(32)의 상하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브래킷에 의하면, 스위치 모듈이나 통신 모듈의 개수에 따라 그 장착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따라서 1개 내지 3개의 스위치 모듈의 장착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통신 모듈의 장착에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1) for mounting a switch module or communication module. The bracket 1 has an upper frame 10, a lower frame 20, a left frame 30, and a right frame 40 forming four sides, and the left frame for coupling with a switch module or a communication module. Each of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30 and the right frame 40 facing each other with the first fastening grooves 31 and 41, the second fastening grooves 32 and 42, and the third fastening groov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reof. 33 and 43 are formed, and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upper first fastening groove 31 and the lower third fastening groove 33 are greater than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central second fastening groove 32. . According to such a bracket, the mounting posi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witch modules or communication modules, and therefore, it can be used for mounting one to three switch modules in common, and can also be used for mounting communication modules.

Description

스위치 모듈 및 통신 모듈 장착용 공용 브래킷{Common bracket for mounting switch modules and telecommunication modules}Common bracket for mounting switch modules and telecommunication modules

본 고안은 스위치 등을 벽에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1개 내지 3개의 스위치 모듈뿐만 아니라, 각종 통신(TV, 전화, 인터넷 등) 모듈을 공용으로 장착할 수 있는 다용도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for mounting a switch on the wall, more specifically, not only one to three switch modules, but also a multi-purpose bracket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communication (TV, telephone, Internet, etc.) modules in common It is about.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조명기기를 제어하는 스위치 모듈이나, TV, 전화, 인터넷 등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 모듈은 브래킷을 통하여 벽체에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In general, a switch module for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in a home or an office, or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nnecting a TV, a telephone, the Internet, etc., can be fixed to a wall through a bracket.

종래에는 스위치 모듈용 브래킷과 통신 모듈용의 브래킷은 각각 별도로 제작되고, 서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는 모듈이 1개, 2개 또는 3개가 하나의 브래킷에 장착되는 형식들이 있는데, 종래에는 스위치 모듈이 1개인 것과 3개인 것은 하나의 브래킷을 공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있지만, 스위치 모듈이 2개인 것은 공용하여 사용하지 못하고, 별도의 브래킷을 사용하고 있었다. Conventionally, the bracket for the switch module and the bracket for the communication module ar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cannot be used interchangeably. In addition, there are types of switches in which one, two, or three modules are mounted on one bracket. Conventionally, one switch module and three may use a single bracket in common, but the switch module has two modules. Private ones could not be shared and used separate brackets.

이와 같이, 스위치 또는 통신 모듈마다 별도의 브래킷을 사용하거나, 스위치 모듈의 개수마다 별도의 브래킷을 사용함으로써, 제조시 각각 별도의 금형이 필요하여 생산 비용이 증가하고, 재고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s such, by using a separate bracket for each switch or communication module or by using a separate bracket for each number of switch modul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mold is required during manufacturing, which increases production costs and makes inventory management difficult.

한편,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스위치 모듈용 브래킷의 일례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브래킷은 스위치 모듈과 리모컨 모듈을 공용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브래킷이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의 브래킷은 스위치 모듈과 리모컨 모듈을 각각 전면과 후면측에 체결하는 방식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통신용 모듈과의 공용은 여전히 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특허문헌 1의 브래킷은 스위치 모듈이 1개 또는 3개인 경우뿐만 아니라 2개인 경우에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는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 example of a switch module bracket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Bracket of Patent Document 1 is a multi-purpose bracket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the switch module and the remote control module in common. However, the bracket of Patent Document 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witch module and the remote control module are fasten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and the structure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still impossible. In addition, the bracket of Patent Document 1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not be used in common in the case of two as well as one or three switch modules.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63433호 공보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63433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스위치 모듈 및 통신 모듈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1개 내지 3개의 스위치 모듈에 모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multi-purpose bracket that can be used in common in the switch module and communication module, which can be used in common to all one to three switch modules. .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스위치 모듈 또는 통신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으로서, 네 변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모듈 또는 상기 통신 모듈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좌측 프레임과 상기 우측 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내측면에는 위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제1 체결홈, 제2 체결홈 및 제3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측의 제1 체결홈 및 하측의 제3 체결홈의 상하방향 폭이 중앙의 제2 체결홈의 상하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s a bracket for mounting a switch module or a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n upper frame, a lower frame, a left frame and a right frame forming four sides, coupled with the switch module or the communication module To this end, each inner surface of the left frame and the right frame facing each other is formed with a first fastening groove, a second fastening groove and a third fastening groov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op to bottom, the first fastening of the upper side I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width of the groove and the lower third fastening groove is formed larger than the vertical width of the center second fastening groov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홈에는 각각 스위치 모듈 및 통신 모듈에 구비된 후크가 결합되는 걸림턱들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들 중에서 좌측의 체결홈에 형성된 걸림턱과 우측의 체결홈에 형성된 걸림턱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engaging jaw is coupled to the hook provided in the switch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respectively, the engaging jaw formed in the fastening groove on the left side of the engaging jaw And the locking step formed in the fastening groove on the right side may have different shapes.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좌측의 체결홈에 형성된 걸림턱은 체결홈 내에서 상하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우측의 체결홈에 형성된 걸림턱은 상하 방향 일부분이 컷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 specific embodiment, the locking jaw formed in the fastening groove on the left side may have a shape extending vertically in the fastening groove, and the locking jaw formed in the fastening groove on the right side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vertical direction is cut.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측의 제1 체결홈 및 하측의 제3 체결홈은 상기 스위치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의 후크보다 큰 상하방향 폭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first fastening groove and the lower third fastening groove may have a width larger than the hook of the switch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 각각의 중앙부에는 스위치 캡의 결합시에 스위치 캡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회전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support protrusion for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switch cap when the switch cap is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each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may be formed protruding.

본 고안에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에 의하면, 상측 및 하측의 체결홈의 상하방향 폭을 중앙의 체결홈의 상하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스위치 모듈이나 통신 모듈의 개수에 따라 그 장착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따라서 1개 내지 3개의 스위치 모듈의 장착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통신 모듈의 장착에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그에 따라, 브래킷의 제조시 하나의 금형만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재고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brac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upper and lower fastening grooves are formed larger than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central fastening grooves, thereby adjusting their mounting positi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witch modules or communication modules. Therefore, it can be used in common for the mounting of one to three switch modules, it can also be used in common for mounting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ccordingly, since only one mold can be used in the manufacture of the bracket, the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and inventory management is easy.

아울러,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따른 브래킷에 의하면, 좌측의 체결홈에 형성된 걸림턱과 우측의 체결홈에 형성된 걸림턱의 형상을 다르게 함으로써, 스위치 모듈이나 통신 모듈의 장착 시 오장착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locking jaw formed in the fastening groove on the left side and the fastening groove on the right 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rong mounting when mounting the switch module or communication module. Can b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브래킷에 1개의 스위치 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브래킷에 2개의 스위치 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브래킷에 3개의 스위치 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브래킷에 1개의 스위치 모듈이 장착된 경우의 스위치 캡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2개의 스위치 모듈이 장착된 경우의 스위치 캡들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브래킷에 스위치 모듈 대신 통신 모듈이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들로서, 도 7a는 통신 모듈이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통신 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switch module is mounted to the bracket.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wo switch modules are mounted to the bracket.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ree switch modules are mounted to the bracket.
5 is a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switch cap is coupled when one switch module is mounted on the bracke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switch caps are coupled when two switch modules are mounted.
7A and 7B are diagrams showing that the communication module is mounted on the bracket instead of the switch module, and FIG. 7A shows the state before the communication module is mounted, and FIG. 7B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moun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1)은 사각의 액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사각형의 네 변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10), 하부 프레임(20), 좌측 프레임(30) 및 우측 프레임(40)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들 4개의 프레임(10, 20, 30, 40)이 둘러싸는 공간에 스위치 모듈과 통신 모듈이 장착된다.As shown in FIG. 1, the bracke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includes an upper frame 10, a lower frame 20, a left frame 30, and a right side forming four sides of a square. The frame 40 is provided. The switch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are mount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se four frames 10, 20, 30, and 40.

상부 및 하부 프레임(10, 20) 각각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브래킷(1)을 벽면 등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가 체결되는 나사체결공(11, 21)들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후술할 1구 스위치 캡(80)(도 5)과의 결합시에 1구 스위치 캡(8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해주기 위하여 반원형으로 돌출된 회전지지돌기(12, 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20)의 하단부에는 브래킷(1)의 전면에 커버(미도시)가 장착되는 경우, 그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커버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커버분리용 돌출부(23)가 형성되어 있다.Screw fastening holes 11 and 21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 and 20 to fasten screws for fixing the bracket 1 to the wall, respectively, and in the center, a one-hole switch cap to be described later. Rotating support protrusions 12 and 22 protruding in a semicircular shape are formed in order to facilitate rotation of the one-piece switch cap 80 at the time of engagement with 80 (FIG. 5). In addition, when a cover (not shown)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1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frame 20, a cover separation protrusion 23 for protruding outward of the cover to facilitate separation of the cover is provided. Formed.

좌측 프레임(30)과 우측 프레임(30)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스위치 모듈이나 통신 모듈과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체결홈(31~33 및 41~43)들이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31 to 33 and 41 to 43 for coupling with a switch module or a communication module are formed on inner surfaces of the left frame 30 and the right frame 30 facing each other.

구체적으로, 좌측 프레임(30)의 내측 단부에는 위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좌측 제1 체결홈(31), 좌측 제2 체결홈(32) 및 좌측 제3 체결홈(33)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체결홈(31~33)에는 후술할 스위치 모듈 및 통신 모듈의 후크(51, 52, 61, 62)(도 2 내지 도 4)가 결합되는 제1 내지 제3 걸림턱(31a, 32a, 33a)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체결홈(31) 및 제3 체결홈(33)의 상하방향 폭(L1, L3)은 중앙의 제2 체결홈(32)의 상하방향 폭(L2)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Specifically, the left first fastening groove 31, the left second fastening groove 32, and the left third fastening groove 33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top to the inner end of the left frame 30. . 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latching jaws 31a and 32a to which the hooks 51, 52, 61, and 62 (FIGS. 2 to 4) of the switch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to be described later are coupled to the respective fastening grooves 31 to 33. 33a) are formed. In addition, the up-down widths L1 and L3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31 and the third fastening groove 33 are larger than the up-down width L2 of the second fastening groove 32 in the center.

아울러, 우측 프레임(30) 역시 내측 단부에는 위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우측 제1 체결홈(41), 우측 제2 체결홈(42) 및 우측 제3 체결홈(43)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체결홈(41~43)에는 스위치 모듈 및 통신 모듈의 후크가 결합되는 제1 내지 제3 걸림턱(41a, 42a, 43a)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체결홈(41) 및 제3 체결홈(43)은 중앙의 제2 체결홈(42)보다 큰 상하방향 폭을 가진다.In addition, the right frame 30 also has a right first fastening groove 41, a right second fastening groove 42, and a right third fastening groove 43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reof. In addition, each of the fastening grooves 41 to 43 has first to third locking jaws 41a, 42a, and 43a to which the hooks of the switch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are coupled. In addition, the first fastening groove 41 and the third fastening groove 43 have a larger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second fastening groove 42 in the center.

좌측 제1 내지 제3 체결홈(31~33)과 우측 제1 내지 제3 체결홈(41~43)들을 각각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서로 대응하는 좌,우측 체결홈들은 서로 동일한 상하방향 폭을 가진다. 다만, 좌측의 제1 및 제3 체결홈(31, 33)은 각각의 걸림턱(31a, 33a)들이 각 체결홈 내에서 상하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데 비하여, 우측의 제1 및 제3 체결홈(41, 43)의 걸림턱(41a, 43a)들은 상하 방향 일부분이 컷팅된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좌측의 제1 및 제3 걸림턱(31a, 31c)과 우측의 제1 및 제3 걸림턱(41a, 43a)의 형상을 다르게 형성한 이유는, 스위치 또는 통신 모듈의 장착 시에 사용자가 좌우 방향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오장착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left first to third fastening grooves 31 to 33 and the right first to third fastening grooves 41 to 43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left and right fastening groov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the same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has a width. However, the first and third fastening grooves 31 and 33 on the left side have respective locking jaws 31a and 33a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in the respective fastening grooves. The locking jaws 41a and 43a of the grooves 41 and 43 have a shape in which a portion of the top and bottom directions is cut. As such, the reason why the shapes of the first and third latching jaws 31a and 31c on the left side and the first and the third catching jaws 41a and 43a on the right side are differently formed is because of the user's installation of the switch or the communication module. Is to prevent the misalignment by allowi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be distinguished.

한편, 제1 및 제3 체결홈(31, 33, 41, 43)의 상하방향 폭(L1, L3)과 제2 체결홈(32, 42)의 상하방향 폭(L2)을 다르게 하는 이유는 1개 내지 3개의 스위치 모듈을 공용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why the vertical widths L1 and L3 of the first and third fastening grooves 31, 33, 41, and 43 are different from the vertical widths L2 of the second fastening grooves 32 and 42 is 1. It is to be able to mount the three to three switch modules in common.

도 2에는 브래킷(1)에 1개의 스위치 모듈(50)이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스위치 모듈(50)이 장착될 때, 스위치 모듈(50)은 브래킷(1)의 배면 측으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고, 스위치 모듈(5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후크(51, 52)들이 각각 좌측 제2 체결홈(32) 및 우측 제2 체결홈(42)의 걸림턱(32a, 42a)에 걸림으로써 고정된다.2 shows a state in which one switch module 50 is mounted on the bracket 1. As shown in FIG. 2, when one switch module 50 is mounted, the switch module 50 enters the internal space from the rear side of the bracket 1 and is provided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witch module 50. The hooks 51 and 52 are fixed to the locking jaws 32a and 42a of the left second fastening groove 32 and the right second fastening groove 42, respectively.

도 3에는 브래킷(1)에 2개의 스위치 모듈(50, 60)이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스위치 모듈이 장착될 때에는, 상측의 스위치 모듈(50)의 후크(51, 52)들은 각각 좌측 제1 체결홈(31) 및 우측 제1 체결홈(41)의 걸림턱(31a, 41a)에 걸려 고정되며, 하측의 스위치 모듈(60)의 후크(61, 62)들은 각각 좌측 제3 체결홈(33) 및 우측 제3 체결홈(43)의 걸림턱(33a, 43a)에 걸려 고정된다.3 shows a state in which two switch modules 50 and 60 are mounted to the bracket 1. As shown in FIG. 3, when two switch modules are mounted, the hooks 51 and 52 of the upper switch module 50 respectively have a left first fastening groove 31 and a right first fastening groove 41. The hooking jaw (31a, 41a) of the hook is fixed, the hook 61, 62 of the lower switch module 60 is the locking jaw of the left third fastening groove 33 and the right third fastening groove 43, respectively 33a, 43a) and fixed.

그리고, 이 때, 상측의 스위치 모듈(50)의 후크(51, 52)들은 각각 좌측 제1 체결홈(31) 및 우측 제1 체결홈(41) 내에서 아래쪽으로 치우치게 위치하며, 하측의 스위치 모듈(60)의 후크(61, 62)들은 각각 우측 제3 체결홈(33) 및 우측 제3 체결홈(43) 내에서 위쪽으로 치우치게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2개의 스위치 모듈(50, 60)들 사이의 간격을 KS 규격에 맞추어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oks 51 and 52 of the upper switch module 50 are located downwardly in the left first fastening groove 31 and the right first fastening groove 41, respectively, and the lower switch module Hooks 61 and 62 of 60 are positioned upwardly in the right third fastening groove 33 and the right third fastening groove 43, respectively. By doing so,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witch modules 50 and 60 can be properly maintained in accordance with the KS standard.

도 4에는 브래킷(1)에 3개의 스위치 모듈(50, 60, 70)이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스위치 모듈이 장착될 때에는, 상측의 스위치 모듈(50)의 후크(51, 52)들은 각각 좌측 제1 체결홈(31) 및 우측 제1 체결홈(41)의 걸림턱(31a, 41a)에 걸려 고정되며, 하측의 스위치 모듈(60)의 후크(61, 62)들은 각각 좌측 제3 체결홈(33) 및 우측 제3 체결홈(43)의 걸림턱(33a, 43a)에 걸려 고정되고, 중앙의 스위치 모듈(70)의 후크(71, 72)들은 각각 좌측 제2 체결홈(32) 및 우측 제2 체결홈(42)의 걸림턱(32a, 42a)에 걸려 고정된다.4 shows a state in which three switch modules 50, 60, 70 are mounted on the bracket 1. As shown in FIG. 3, when the three switch modules are mounted, the hooks 51 and 52 of the upper switch module 50 have a left first fastening groove 31 and a right first fastening groove 41, respectively. The hooking jaw (31a, 41a) of the hook is fixed, the hook 61, 62 of the lower switch module 60 is the locking jaw of the left third fastening groove 33 and the right third fastening groove 43, respectively The hooks 71 and 72 of the switch module 70 in the center are fixed to the hooks 33a and 43a, and the locking jaws 32a and 42a of the left second fastening groove 32 and the right second fastening groove 42 are respectively. Is fixed to hanging.

그리고, 이 때, 2개의 스위치 모듈이 장착될 때와는 반대로, 상측의 스위치 모듈(50)의 후크(51, 52)들은 각각 좌측 제1 체결홈(31) 및 우측 제1 체결홈(41) 내에서 위쪽으로 치우치게 위치하며, 하측의 스위치 모듈(60)의 후크(61, 62)들은 각각 우측 제3 체결홈(33) 및 우측 제3 체결홈(43) 내에서 아래쪽으로 치우치게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3개의 스위치 모듈(50, 60, 70)들 사이의 간격을 KS 규격에 맞추어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opposed to when two switch modules are mounted, the hooks 51 and 52 of the upper switch module 50 respectively have a left first fastening groove 31 and a right first fastening groove 41. Inwardly located upwards, the hooks 61 and 62 of the lower switch module 60 are positioned downwardly in the right third fastening groove 33 and the right third fastening groove 43, respectively. By doing so, the distance between the three switch modules 50, 60, 70 can be properly maintained in accordance with the KS standard.

이와 같이, 제1 체결홈(31, 41) 및 제3 체결홈(33, 43)의 상하방향 폭을 상대적으로(즉, 제2 체결홈 및 후크의 상하방향 폭에 비하여) 크게 형성함으로써, 스위치 모듈을 2개 장착하는 경우와, 3개 장착하는 경우에 스위치 모듈들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장착되는 스위치 모듈이 1개 내지 3개인 경우 모두에 브래킷(1)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As such, the vertical widths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s 31 and 41 and the third fastening grooves 33 and 43 are formed to be relatively large (that is, compared to the vertical widths of the second fastening grooves and the hooks). In the case of mounting two modules, and in the case of three moun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witch modules can be adjusted, and accordingly, the bracket 1 can be used in common when one to three switch modules are mounted. have.

한편, 도 5는 1개의 스위치 모듈(50)이 장착되는 경우에 스위치 캡(80)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 스위치 캡(80)은 브래킷(1) 내의 장착공간 전면을 덮어야 하므로, 상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하 길이가 길면 스위치 캡(80)이 회전(시소) 동작할 때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스위치 캡(80)의 상단 중앙부 및 하단 중앙부에는 브래킷(1)의 상하 회전지지돌기(12, 22)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안내홈(81, 82)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 캡(80)의 결합시, 브래킷의 회전지지돌기(12, 22)가 스위치 캡의 안내홈(81, 82)에 안착됨으로써, 스위치 작동시 스위치 캡(80)의 회전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witch cap 80 is coupled when one switch module 50 is mounted. As shown in Figure 5, in this case, the switch cap 80 is to cover the front of the mounting space in the bracket (1), the upper and lower length is formed long. In this way, if the vertical length is long, the switch cap 80 may not be made stable when the rotation (seesaw) operation. For this reason, guide grooves 81 and 82 protrude from the upper and lower center portions of the switch cap 8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rotation support protrusions 12 and 22 of the bracket 1. When the switch cap 80 is coupled, the rotation support protrusions 12 and 22 of the bracket are seated in the guide grooves 81 and 82 of the switch cap, so that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switch cap 80 may be smoothly performed during the switch operation. Make sure

도 6은 2개의 스위치 모듈(50, 60)이 장착되는 경우에 스위치 캡(80a, 80b)들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에는 스위치 캡(80a, 80b)의 상하 길이가 1구 스위치 캡(80)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스위치 캡(80a, 80b)의 회전 동작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캡(80a, 80b)의 상단에 1구 스위치 캡(80)과 달리 안내홈이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switch caps 80a and 80b are coupled when two switch modules 50 and 60 are mounted. As shown in FIG. 6, in this case, since the vertical length of the switch caps 80a and 80b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1-hole switch cap 80,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switch caps 80a and 80b is also relatively stable. Therefore, unlike the one-hole switch cap 80, guide grooves may not be formed at the upper ends of the switch caps 80a and 80b.

도 7a 및 도 7b는 브래킷(1)에 스위치 모듈 대신 통신 모듈이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통신 모듈로서 인터넷 모듈(91), 전화 모듈(92), TV 모듈(93)의 3개 모듈이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인터넷 모듈(91), 전화 모듈(92), TV 모듈(93)은 모두 스위치 모듈(50, 60, 70)과 동일한 상하, 좌우 폭을 가지며, 스위치 모듈의 후크(51, 52)들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후크(91a, 92a, 93a)들을 구비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모듈(91, 92, 93)은 브래킷(1)의 배면 측으로부터 전면을 향하여 내부 공간으로 진입한 다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모듈(91, 92, 93)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후크(91a, 92a, 93a)들이 각각 브래킷의 좌우측 제1 내지 제3 체결홈(31~33 및 41~43)의 걸림턱들에 걸림으로써 고정된다.7A and 7B show that the communication module is mounted on the bracket 1 instead of the switch module, and three modules of the Internet module 91, the telephone module 92, and the TV module 93 are mounted as the communication module. It shows the state. The internet module 91, the telephone module 92, and the TV module 93 all have the same top, bottom, left and right widths as the switch modules 50, 60, and 70, and are the same positions as the hooks 51 and 52 of the switch module. Hooks 91a, 92a, and 93a formed in the grooves. As shown in FIG. 7A, each module 91, 92, 93 enters the interior space from the rear side of the bracket 1 toward the front side, and then, as shown in FIG. 7B, each module 91, 92. And hooks 91a, 92a, and 93a provided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racket 93 are fixed to the locking jaws of the left and right first to third fastening grooves 31 to 33 and 41 to 43 of the bracket, respectively.

이와 같이, 스위치 모듈(50, 60, 70)과 통신 모듈(91, 92, 93)을 동일한 규격과 체결구조를 사용함으로써, 브래킷(1)을 스위치 모듈과 통신 모듈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this way, by using the switch module 50, 60, 7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91, 92, 93 with the same standard and fastening structure, the bracket 1 can be used in common for the switch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will be.

1: 브래킷
10: 상부 프레임
12, 22: 회전지지돌기
20: 하부 프레임
30: 좌측 프레임
31: 좌측 제1 체결홈
32: 좌측 제2 체결홈
33: 좌측 제3 체결홈
40: 우측 프레임
41: 우측 제1 체결홈
42: 우측 제2 체결홈
43: 우측 제3 체결홈
31a, 32a, 33a, 41a, 42a, 43a: 걸림턱
50, 60, 70: 스위치 모듈
51, 52, 61, 62, 71, 72: 후크
80: 스위치 캡
91: 인터넷 모듈
92: 전화 모듈
93: TV 모듈
1: bracket
10: upper frame
12, 22: rotating support protrusion
20: lower frame
30: left frame
31: Left first fastening groove
32: left second fastening groove
33: 3rd left fastening groove
40: right frame
41: right first fastening groove
42: right second fastening groove
43: right third fastening groove
31a, 32a, 33a, 41a, 42a, 43a: hanging jaw
50, 60, 70: switch module
51, 52, 61, 62, 71, 72: hook
80: switch cap
91: Internet module
92: telephone module
93: TV module

Claims (5)

스위치 모듈 또는 통신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1)으로서,
네 변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10), 하부 프레임(20), 좌측 프레임(30) 및 우측 프레임(40)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모듈 또는 상기 통신 모듈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좌측 프레임(30)과 상기 우측 프레임(40)의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내측면에는 위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제1 체결홈(31, 41), 제2 체결홈(32, 42) 및 제3 체결홈(33, 43)이 형성되며,
상측의 제1 체결홈(31) 및 하측의 제3 체결홈(33)의 상하방향 폭(L1, L3)이 중앙의 제2 체결홈(32)의 상하방향 폭(L2)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홈(31~33 및 41~43)에는 각각 스위치 모듈 및 통신 모듈에 구비된 후크가 결합되는 걸림턱(31a, 32a, 33a, 41a, 42a, 43a)들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들 중에서 좌측의 체결홈(31, 32, 33)에 형성된 걸림턱(31a, 33a)은 체결홈 내에서 상하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우측의 체결홈(41, 42, 43)에 형성된 걸림턱(41a, 43a)은 상하 방향 일부분이 컷팅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상측의 제1 체결홈(31) 및 하측의 제3 체결홈(33)은 상기 스위치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의 후크보다 큰 상하방향 폭을 가지며,
상기 상부 프레임(10) 및 하부 프레임(20) 각각의 중앙부에는 스위치 캡(80)의 결합시에 스위치 캡(80)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회전지지돌기(12, 22)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프레임(20)의 하단부에는 브래킷(1)의 전면에 커버가 장착될 때 상기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커버분리용 돌출부(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
Bracket (1) for mounting a switch module or communication module,
An upper frame 10, a lower frame 20, a left frame 30, and a right frame 40 forming four sides,
In order to couple with the switch module or the communication module, each inner surface of the left frame 30 and the right frame 40 which face each other, the first fastening groove 3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top to the bottom 41, second fastening grooves 32 and 42 and third fastening grooves 33 and 43 are formed,
The up-down widths L1 and L3 of the upper first fastening groove 31 and the lower third fastening groove 33 are larger than the vertical width L2 of the second fastening groove 32 in the center,
Engaging jaws 31a, 32a, 33a, 41a, 42a, and 43a to which hooks provided in the switch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are coupled are formed in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grooves 31 to 33 and 41 to 43, respectively.
Among the locking jaws, the locking jaws 31a and 33a formed on the left fastening grooves 31, 32, and 33 have a shape extending vertically in the fastening groove, and on the right fastening grooves 41, 42, 43. The formed locking jaws 41a and 43a have a shape in which a portion of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cut.
The first fastening groove 31 on the upper side and the third fastening groove 33 on the lower side have a larger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hooks of the switch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In the central portion of each of the upper frame 10 and the lower frame 20, rotating support protrusions 12 and 22 for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switch cap 80 when the switch cap 80 is coupled, protruded,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ower frame 20 is formed with a cover separation protrusion (23)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over when the cover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bracket (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80003749U 2018-08-13 2018-08-13 Common bracket for mounting switch modules and telecommunication modules KR20049041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749U KR200490417Y1 (en) 2018-08-13 2018-08-13 Common bracket for mounting switch modules and telecommunication modu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749U KR200490417Y1 (en) 2018-08-13 2018-08-13 Common bracket for mounting switch modules and telecommunication modu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417Y1 true KR200490417Y1 (en) 2019-11-11

Family

ID=68531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749U KR200490417Y1 (en) 2018-08-13 2018-08-13 Common bracket for mounting switch modules and telecommunication modu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417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747U (en) * 2021-10-08 2023-04-17 주식회사 신아시스템 Apparatus for universal switch
KR20230000954U (en) *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 베코 Multi-purpose bracket apparatu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389Y1 (en) * 2004-03-10 2004-05-22 허필규 An electric an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tructure be easy to installation
KR100463433B1 (en) 2002-05-11 2004-12-23 김경수 A finishing method for wall or corners of building construction
JP2006236955A (en) * 2005-01-26 2006-09-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ultimedia outlet
KR20110006916U (en)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위너스 Multipurpose bracket of wall switch
KR200469071Y1 (en) * 2012-04-26 2013-09-23 주식회사 두남 Switch for lighting
KR20160003799A (en) * 2014-01-31 2016-01-11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Wiring-fixture mounting frame, actuator, and switch device
KR101783661B1 (en) * 2016-05-18 2017-10-11 (주)대성 Fixing plate for unit assembling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433B1 (en) 2002-05-11 2004-12-23 김경수 A finishing method for wall or corners of building construction
KR200351389Y1 (en) * 2004-03-10 2004-05-22 허필규 An electric an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tructure be easy to installation
JP2006236955A (en) * 2005-01-26 2006-09-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ultimedia outlet
KR20110006916U (en)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위너스 Multipurpose bracket of wall switch
KR200469071Y1 (en) * 2012-04-26 2013-09-23 주식회사 두남 Switch for lighting
KR20160003799A (en) * 2014-01-31 2016-01-11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Wiring-fixture mounting frame, actuator, and switch device
KR101783661B1 (en) * 2016-05-18 2017-10-11 (주)대성 Fixing plate for unit assembl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747U (en) * 2021-10-08 2023-04-17 주식회사 신아시스템 Apparatus for universal switch
KR200497632Y1 (en) * 2021-10-08 2024-01-11 주식회사 신아시스템 Apparatus for universal switch
KR20230000954U (en) *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 베코 Multi-purpose bracket apparatus
KR200497502Y1 (en) * 2021-11-03 2023-11-29 주식회사 베코 Multi-purpose bracket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105B1 (en) cable tray for apartment building
KR200490417Y1 (en) Common bracket for mounting switch modules and telecommunication modules
JP2007099007A (en) Cable routing structure of wire harness
US5312270A (en) Wiring block having detachable leg assemblies
US20020088188A1 (en) Modular partition
KR101676679B1 (en) Frame-mounted set-top box
KR20090009911U (en) Structure for covering frame of fittings
US4390230A (en) Modular block base and bracket assembly
US20070267284A1 (en) Micro switch
KR200401184Y1 (en) Terminal box
ES2929243T3 (en) Cladding element for electrical switchgear
CN107842930B (en) Cabinet air conditioner
KR200215435Y1 (en) Rack assembly for Electronic communication equipment installation
CN211090247U (en) Amplifier shell convenient to mount and dismount
KR100790142B1 (en) Upper/lower case fixing device of terminal
US20220231495A1 (en) Wirable bracket and module coupling device coupled thereto
CN216519016U (en) Subassembly and mounting panel subassembly
JPH0424929B2 (en)
CN220507399U (en) Door body assembly and refrigeration equipment
CN212649875U (en) Bottom box and intelligent panel
CN212053411U (en) Suspended ceiling component capable of integrating electric appliances
KR101690756B1 (en) The Cable Seperater for Cable Duct
KR0169703B1 (en) Quarter glass moulding
JP7109248B2 (en) Box for information distribution board
KR200158225Y1 (en) Bracket for wall type air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