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366Y1 - 턴테이블 rt대차 지그 - Google Patents

턴테이블 rt대차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366Y1
KR200490366Y1 KR2020180001203U KR20180001203U KR200490366Y1 KR 200490366 Y1 KR200490366 Y1 KR 200490366Y1 KR 2020180001203 U KR2020180001203 U KR 2020180001203U KR 20180001203 U KR20180001203 U KR 20180001203U KR 200490366 Y1 KR200490366 Y1 KR 2004903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table
bogie
frame
cent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421U (ko
Inventor
김종덕
윤주영
성종환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1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366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4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4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3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3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5/00Means or devices for securing or supporting the cargo, including protection against sho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대상물의 RT(Radiographic Testing)검사를 위하여 대상물이 배치되는 턴테이블 RT대차에 구비되며, 대상물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턴테이블 RT대차 지그에 관한 것으로, 원통으로 형성된"+"자 형상으로, 턴테이블의 상면에 구비되며, 중심축이 상기 턴테이블의 중심축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중심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중심프레임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대상물의 일단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턴테이블 RT대차 지그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턴테이블 RT대차 지그에 의하면, 턴테이블의 중앙에 대상물을 쉽고 빠르게 턴테이블의 상면에 배치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대상물의 내주면에 맞닿는 지지프레임이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턴테이블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회전시킴에도 대상물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대상물의 전소위험을 저하시킬 수 있어,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턴테이블 RT대차 지그{Jig for radiographic testing carriage having turning table}
본 고안은 턴테이블 RT대차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사선투과검사(RT; Radiographic Testing)를 위하여 대상물이 배치되는 턴테이블 RT대차의 상면에 대상물을 용이하게 배치시키기 위한 턴테이블 RT대차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사선투과검사(RT; Radiographic Testing)는 엑스선, 감마선 등의 방사선을 사용조건 및 용도에 따라 선택하여 대상물에 투과시킴으로써 내부결함을 검출하는 비파괴검사 방법 중 하나이다. 즉 상기한 방사선투과검사는 투과되는 방사선의 강도의 변화로부터 내부 결함의 상태나 조립품의 내부 구조 등을 검사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사선투과검사는 발전소의 건설 현장이나, 배관공사 및 압력용기 등을 제작하는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대상물의 내부 결함유무를 측정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대상물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검사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정성 및 신뢰성의 향상에 기여되고 있다. 상기한 방사선투과검사 시, 대형의 대상물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상물을 RT대차에 배치시켜 방사선투과실로 이송시킨다. 따라서 대상물이 RT대차의 상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방사선조사장치를 통하여 방사선을 대상물에 투과시킴으로써, 방사선투과검사를 실시 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RT대차에 배치된 대상물을 방사선투과검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대상물의 촬영구간과 방사선이 촬영하는 초첨을 맞추기 위하여 RT대차의 정확한 위치에 대상물을 배치시켜야 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RT대차의 중심부에 대상물을 배치시키며, RT대차의 중심부에 배치되지 못한 대상물은 방사선이 촬영하는 초첨이 맞지않아 재촬영(RTK; Retake)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RT대차의 중심부에 대상물을 정확하게 배치시키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대상물을 들어 재배치시켜야하여 배치과정에 추가적인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효율이 저하 될 수 있다. 더불어 대형의 대상물을 배치시키는 과정에서는 크레인(Crane) 등의 이송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64289호(명칭: 대차 이송용 캐리어)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대상물을 턴테이블 RT대차의 중심부에 정확하고 빠르게 배치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안전성을 향상시킨 턴테이블 RT대차 지그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턴테이블 RT대차 지그는, 대상물의 RT(Radiographic Testing)검사를 위하여 대상물이 배치되는 턴테이블 RT대차에 구비되며, 대상물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턴테이블 RT대차 지그에 관한 것으로, 원통으로 형성된"+"자 형상으로, 턴테이블의 상면에 구비되며, 중심축이 상기 턴테이블의 중심축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중심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중심프레임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대상물의 일단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중심프레임은, 상기 "+"자 형상의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관통되는 나사를 포함하여, 상기 나사를 통하여 상기 턴테이블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중심프레임의 끝단에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타단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형성되고, 일면이 상기 턴테이블에 면접촉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고정부의 타단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고정부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상향경사지도록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조받침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 RT대차 지그는 상기 중심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연장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장프레임은, 복수개가 구비되고 서로 결합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턴테이블 RT대차 지그에 의하면, 턴테이블의 중앙에 대상물을 쉽고 빠르게 턴테이블의 상면에 배치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대상물의 내주면에 맞닿는 지지프레임이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턴테이블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회전시킴에도 대상물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대상물의 전소위험을 저하시킬 수 있어,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연장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직경이 큰 대상물을 턴테이블의 중앙에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으며, 연장프레임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대상물에 대한 수용이 가능하여 사용효율성이 향상 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턴테이블 RT대차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턴테이블 RT대차 지그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턴테이블 RT대차 지그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턴테이블 RT대차 지그에 연장부를 결합시킨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턴테이블 RT대차 지그에 다른 연장부를 더 결합시킨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턴테이블 RT대차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턴테이블 RT대차 지그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턴테이블 RT대차 지그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턴테이블 RT대차 지그에 연장부를 결합시킨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턴테이블 RT대차 지그에 다른 연장부를 더 결합시킨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턴테이블 RT대차 지그(10)는 대상물(P)의 비파괴검사(RT; Radiographic Testing)를 위하여 대상물(P)이 안착되는 턴테이블 RT대차(20)에 구비된다. 상기 턴테이블 RT대차(20)는 대상물(P)의 외면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조사장치(20)의 일측에 구비되어, 대상물(P)이 그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방사선조사장치(20)의 턴테이블(21)이 회전함으로써, 대상물(P)을 상기 방사선조사장치(20)에서 조사하는 방사선에 대응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턴테이블 RT대차 지그(10)는 상기 턴테이블 RT대차(20)에 구비되어 상기 턴테이블 RT대차(20)의 상면에 안착되는 대상물(P)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턴테이블 RT대차 지그(10)에 상기 대상물(P)이 배치시킴으로써, 대상물(P)을 상기 턴테이블 RT대차(20)의 중심부에 쉽고 빠르게 배치가능하다. 부연하면 대상물(P)은 대형의 통형상으로 일단의 단면이 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턴테이블 RT대차 지그(10)에 상기 대상물(P)의 일단을 외삽시킴으로써, 상기 대상물(P)을 상기 턴테이블(10)의 상면에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 턴테이블 RT대차 지그(10)는 상기 중심프레임(100)과 복수개의 지지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심프레임(100)은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턴테이블 RT대차(20)의 상면에 구비된다. 상기 중심프레임(100)은 원통으로 형성된 "+"자 형상이며, "+"형상의 중심축이 상기 턴테이블(21)의 중심축과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즉 상기 중심프레임(100)은 상기 턴테이블(21)의 중앙에 배치된다. 상기 중심프레임(100)은, 상기 "+"자 형상의 중심에, 상기 "+"자 형상의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홀(110)이 형성된다. 상기 중심프레임(100)은 나사(12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나사(120)를 상기 관통홀(110)에 관통시켜 상기 턴테이블(21)과 결합시킬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턴테이블(21)의 상면에는 상기 관통홀(110)에 대응하는 결합홀(21h)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중심프레임(100)에는 상기 중심프레임(100)의 "+"자 형상의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홀(110)이 형성되고, 상기 턴테이블(21)의 상면에는 상기 관통홀(110)에 대응하는 결합홀(21h)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120)가 상기 관통홀(110)과 상기 결합홀(21h)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중심프레임(100)을 상기 턴테이블(21)의 중앙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심프레임(100)은 상기 나사(120)를 통하여 상기 턴테이블(21)에 선택적으로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나사(120)가 상기 관통홀(110)과 상기 결합홀(21h)에 거관통결합됨으로써, 상기 관통홀(110)의 중심축과 상기 결합홀(21h)의 중심축을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중심프레임(100)을 상기 턴테이블(21)의 중심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200)은 대상물(P)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상기 중심프레임(100)의 끝단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200)은, 상기 중심프레임(100)이"+"자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자 형상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도록 4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200)이 상기 중심프레임(100)의 끝단에 결합됨으로써, "+"자 형상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200)은 타단이 대상물(P)의 일단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대상물(P)이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원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200)을 상기 대상물(P)의 일단 내측으로 배치시켜, 상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200)은 타단이 대상물(P)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200)은 타단이 대상물(P)의 일단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대상물(P)의 일단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하면 상기 중심프레임(100)의 길이와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길이를 합한 길이가 대상물(P)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고정부(210), 한 쌍의 지지판(220)과 보조받침판(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10)는 일단이 상기 중심프레임(100)의 끝단에 결합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210)는 상기 중심프레임(100)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부(210)의 일단이 상기 중심프레임(100)의 끝단에 삽입됨으로서, 상기 중심프레임(100)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프레임(100)의 끝단 내측에는 제 1결합부(1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210)의 일단에는 상기 제 1결합부(130)에 대응하는 제 1삽입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삽입부(211)가 상기 제 1결합부(13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중심프레임(100)에 상기 고정부(210)를 결합가능하다. 부연하면 상기 제 1결합부(130)는 상기 중심프레임(100)의 끝단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 1삽입부(211)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 1삽입부(211)의 외주면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결합부(130)의 내경은 상기 중심프레임(10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삽입부(211)는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결합부(211)에 삽입되도록 외주면이 상기 제 1결합부(211)의 내주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삽입부(211)는 상기 고정부(2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지지판(220)은 원통형상의 상기 고정부(210)를 상기 턴테이블(21)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부(210)의 타단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지지판(220)은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판으로, 상기 고정판(2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일면이 상기 턴테이블(21)에 면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판(220)이 상기 턴테이블(21)에 면접촉함으로써, 상기 고정부(2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받침판(230)은 상기 고정부(210)의 타단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보조받침판(230)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면이 상기 고정부(210)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상향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조받참판(230)은 상기 고정부(210)의 외주면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고정부(210)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상향경사지도록 배치됨으로써, 대상물(P)의 내측으로 삽입될 시 대상물(P)과 맞닿지 않아, 대상물(P)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안정적으로 대상물(P)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연장프레임(300)은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대상물(P)을 수용하기 위하여 적용시키는 구성으로, 전체적인 턴테이블 RT대차 지그(1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연장프레임(300)은 상기 중심프레임(100)과 상기 지지프레임(200)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연장프레임(300)은 상기 중심프레임(100)과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대응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프레임(300)의 일단은 상기 중심프레임(100)과 결합되며, 상기 연장프레임(300)의 타단은 상기 지지프레임(200)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프레임(300)은 상기 중심프레임(100)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연장프레임(300)은 상기 중심프레임(100)이"+"자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자 형상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도록 4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하면 상기 연장프레임(300)은 일단이 상기 중심프레임(100)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외삽되어 상기 중심프레임(100)과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사이에 결합된다. 상기 연장프레임(300)의 일단에는 제 2삽입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프레임(300)의 타단에는 제 2결합부(3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삽입부(310)를 상기 제 1결합부(130)에 삽입시키고, 상기 제 2결합부(320)에 상기 제 1삽입부(211)를 삽입시켜 상기 연장프레임(300)을 상기 중심프레임(100) 및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결합가능하다. 부연하면 상기 제 2결합부(320)는 상기 연장프레임(300)의 타단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 1삽입부(211)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 1삽입부(211)의 외주면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결합부(320)의 내경은, 상기 제 연장프레임(300)의 내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삽입부(310)는 상기 연장프레임(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장프레임(300)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결합부(130)에 삽입되도록 외주면이 상기 제 1결합부(130)의 내주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삽입부(310)는 상기 연장프레임(3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삽입부(211)와 상기 제 2삽입부(310)는 같은 직경 및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결합부(130)와 상기 제 2결합부(320)는 같은 내경 및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장프레임(300)을 상기 중심프레임(100)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연장프레임(300)을 복수개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연장프레임(300)에 다른 연장프레임(300)을 결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중심프레임(100)의 상기 제 1결합부(130)에 하나의 연장프레임(300)의 제 2삽입부(310)를 삽입시키고, 상기 연장프레임(300)의 제 2결합부(320)에 다른 연장프레임(300)의 제 2삽입부(310)를 삽입시킨 후, 상기 다른 연장프레임(300)의 제 2결합부(320)에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상기 제 1삽입부(211)를 삽입시켜 상기 턴테이블 RT대차 지그(1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연장프레임(300)을 결합시키는 개수는 상기 대상물(P)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여 적용 가능 할 것이다. 즉 상기 중심프레임(100)과 상기 지지프레임(200) 사이에 상기 연장프레임(300)이 결합되고,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결합됨으로써, 전체적인 턴테이블 RT대차 지그(10)의 길이가 연장되고, 일단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대상물(P)이 턴테이블(21)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프레임(300)은, 전체적인 턴테이블 RT대차 지그(1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의 대상물(P)을 수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턴테이블 RT대차 지그(10)에 의하면, 턴테이블(21)의 중앙에 대상물(P)을 쉽고 빠르게 턴테이블(21)의 상면에 배치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대상물(P)의 내주면에 맞닿는 지지프레임(200)이 대상물(P)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턴테이블(P)을 이용하여 대상물(P)을 회전시킴에도 대상물(P)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대상물(P)의 전소위험을 저하시킬 수 있어,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연장프레임(300)을 구비함으로써, 직경이 큰 대상물(P)을 턴테이블(21)의 중앙에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으며, 연장프레임(300)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대상물(P)에 대한 수용이 가능하여 사용효율성이 향상 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턴테이블 RT대차 지그 20 : 턴테이블 RT대차
21 : 턴테이블 21h : 결합홀
100 : 중심프레임 110 : 관통홀
120 : 나사 130 : 제 1결합부
200 : 지지프레임 210 : 고정부
211 : 제 1삽입부 220 : 지지판
230 : 보조받침판 300 : 연장프레임
310 : 제 1삽입부 320 : 제 2삽입부
P : 대상물

Claims (5)

  1. 대상물의 RT(Radiographic Testing)검사를 위하여 대상물이 배치되는 턴테이블 RT대차에 구비되며, 대상물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턴테이블 RT대차 지그에 있어서,
    원통으로 형성된"+"자 형상으로, 턴테이블의 상면에 구비되며, 중심축이 상기 턴테이블의 중심축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중심프레임;
    일단이 상기 중심프레임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대상물의 일단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중심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연장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중심프레임의 끝단에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타단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형성되고 일면이 상기 턴테이블에 면접촉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고정부의 타단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고정부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상향경사지도록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조받침판을 포함하는 턴테이블 RT대차 지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프레임은,
    상기 "+"자 형상의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관통되는 나사를 포함하여, 상기 나사를 통하여 상기 턴테이블에 결합되는 턴테이블 RT대차 지그.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프레임은,
    복수개가 구비되고 서로 결합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턴테이블 RT대차 지그.
KR2020180001203U 2018-03-20 2018-03-20 턴테이블 rt대차 지그 KR2004903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203U KR200490366Y1 (ko) 2018-03-20 2018-03-20 턴테이블 rt대차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203U KR200490366Y1 (ko) 2018-03-20 2018-03-20 턴테이블 rt대차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421U KR20190002421U (ko) 2019-09-30
KR200490366Y1 true KR200490366Y1 (ko) 2019-11-05

Family

ID=68084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203U KR200490366Y1 (ko) 2018-03-20 2018-03-20 턴테이블 rt대차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36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612B1 (ko) * 2022-12-19 2024-03-13 주식회사 리퓨터 식물용 3차원 스캔 자동화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5618A (ja) * 1998-07-09 2000-01-25 Taisei Corp 長尺重量物の運搬台車
KR200411896Y1 (ko) * 2005-12-21 2006-03-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턴튜브 위치 체크용 지그
KR100586724B1 (ko) * 2004-08-05 2006-06-12 박기봉 연결부에 의해서 길이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작업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4289A (ko) 2010-12-09 2012-06-19 한국철도공사 대차 이송용 캐리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5618A (ja) * 1998-07-09 2000-01-25 Taisei Corp 長尺重量物の運搬台車
KR100586724B1 (ko) * 2004-08-05 2006-06-12 박기봉 연결부에 의해서 길이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작업대
KR200411896Y1 (ko) * 2005-12-21 2006-03-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턴튜브 위치 체크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421U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366Y1 (ko) 턴테이블 rt대차 지그
JPH06105312B2 (ja) 制御棒検査法及び制御棒検査装置
CN110907479A (zh) 材料试验机和放射线ct装置
CN117309212A (zh) 一种焊接件的拘束应力测试装置
JP3113739B2 (ja) 核燃料棒の超音波検査方法と装置
CN107262781A (zh) 一种用于不开敞结构加工的引孔器
CN213121681U (zh) 一种小径管x射线检测辅助装置
KR101579684B1 (ko) 비파괴검사용 방사선 차폐장치
CN213239973U (zh) 一种通过插塞进行管道中心探伤的定位装置
JP2006010600A (ja) 歯車の歯折れ強度試験方法及び歯折れ強度試験治具
KR102434340B1 (ko) 이동식 디지털 방사선 검사 장치
CN109443216B (zh) 一种扫描测试用零件定位装置
CN202002849U (zh) 钢管弯曲变形试验系统的试验管连接盘
KR101710855B1 (ko) 방사선원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콜리메이터
KR101985386B1 (ko) 방사선원장치
KR102283451B1 (ko) 방사선 시편 검사 장치
CN105041866A (zh) 探伤检验滑轨装置
KR20110049134A (ko) 인장 시험편용 고정장치
CN215833331U (zh) 一种用于锥形件试块的无损检测放置架
KR200489289Y1 (ko) 터닝롤러 고정지그
JP5834756B2 (ja) 管端検査装置
KR100520127B1 (ko) 방사선 투과 검사장치
CN212265607U (zh) 一种夹具及包含该夹具的x射线无损检测台
CN220507896U (zh) 一种可快速检测发动机左盖位置度尺寸的检具
KR101465388B1 (ko) 파괴저항 시험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파괴저항 시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