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356Y1 -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356Y1
KR200490356Y1 KR2020170000973U KR20170000973U KR200490356Y1 KR 200490356 Y1 KR200490356 Y1 KR 200490356Y1 KR 2020170000973 U KR2020170000973 U KR 2020170000973U KR 20170000973 U KR20170000973 U KR 20170000973U KR 200490356 Y1 KR200490356 Y1 KR 2004903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conductor member
conductor
insulation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646U (ko
Inventor
송유정
Original Assignee
송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정 filed Critical 송유정
Priority to KR2020170000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356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6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6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3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3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5Arrangements wherein electric components are disposed between and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wo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e.g. Cordwood modu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22Completing of printed circuits by adding non-printed jumper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inting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Between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를 개시한다. 개시된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는, 구리에 의해 형성되어 외면에 주석 코팅층이 형성되며, 양 끝단부가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전도체부재와, 폴리아미드와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수지를 통해 전도체부재의 외면에 사출 성형되며, 전도체부재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절연보호부재와, 인쇄회로기판과 전도체부재를 접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도록 절연보호부재에 관통 형성되는 가스배출홀부와,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는 전도체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전도체부재에 형성되는 가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된 후 솔더링 과정에서 피복이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인쇄회로기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록 하는 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WASTEBASKET FOR TOILET BOWL}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된 후 솔더링 과정에서 피복이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인쇄회로기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은 절연물인 판에 얇은 구리박을 씌운 기판을 회로도에 따라 불필요한 구리박을 떼어내고 전자 회로를 구성한 것으로, 집적 회로, 저항기 또는 스위치 등의 전기적 부품들이 납땜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에는 서로 이격된 회로 패턴을 연결하여 이들 회로 패턴 사이에서 전류가 흐르도록 하기 위하여 점퍼 와이어(Jumper Wire)가 사용될 수도 있다.
통상 점퍼 와이어(Jumper Wire)는 인쇄회로기판의 이격된 회로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제작이 완료된 후 추가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점퍼 와이어는 접속을 위한 와이어와, 이 와이어를 절연하기 위한 피복으로 이루어지며, 와이어가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접지홀에 삽입된 후 솔더링을 통해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점퍼 와이어는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된 후 운반이나 납땜하는 과정에서 인쇄회로기판에서 분리될 수 있음은 물론 납땜될 때 피복이 녹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69355호(등록일:2010년07월02일)에는 "황동판재에 니켈도금된 표면실장용 점퍼"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된 상태에서 솔더링될 때 절연보호부재가 녹거나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는, 구리에 의해 형성되어 외면에 주석 코팅층이 형성되며, 양 끝단부가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전도체부재와, 폴리아미드와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수지를 통해 상기 전도체부재의 외면에 사출 성형되며, 상기 전도체부재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절연보호부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전도체부재를 접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도록 상기 절연보호부재에 관통 형성되는 가스배출홀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는 상기 전도체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도체부재에 형성되는 가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고정부재는, 코오킹 가공을 통해 상기 전도체부재에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는 제1지지리브와, 상기 제1지지리브와 대응하도록 상기 전도체부재에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는 제2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연보호부재는, 두께가 1.3mm 이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일 측면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는 종래 기술과 달리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된 상태에서 솔더링될 때 절연보호부재가 녹거나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가고정부재를 통해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와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고정부재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와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고정부재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100)는, 인쇄회로기판(10)의 회로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인쇄회로기판(10)에 결합되어 납땜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100)는, 인쇄회로기판(10)의 접속구멍(11)에 삽입되는 전도체부재(110)와, 전도체부재(110)의 절연을 위한 절연보호부재(120)와, 절연보호부재(120)에 형성되는 가스배출홀부(130)와, 전도체부재(110)를 접속구멍(11)에 가고정하기 위한 가고정부재(140)를 포함한다.
전도체부재(110)는 구리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의 막대가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양 끝단부가 인쇄회로기판(10)에 접속구멍(11)이 삽입되도록 절연보호부재(12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전도체부재(110)는 납땜(Soldering)시 회로패턴과 효과적으로 접속되도록 외면에 주석 코팅층(111)이 형성된다.
또한, 전도체부재(110)는 접속구멍(11)에 용이하게 삽입됨은 물론 삽입되는 과정에서 인쇄회로기판(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끝단에 라운드부(11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도체부재(110)는 절연보호부재(120)에 의해 절연됨은 물론 그 형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절연보호부재(120)는 폴리아미드와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수지를 통해 전도체부재(110)의 외면에 사출 성형되며, 전도체부재(110)의 절곡된 형태를 유지시킨다. 이러한 절연보호부재(120)는 폴리아미드 65 ~ 70중량%와 유리섬유 30 ~ 35중량%를 포함한다.
여기서, 폴리아미드의 함량이 65중량% 미만이면 사출 성형시 수지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사출작업이 어렵고, 폴리아미드의 함량이 70중량%를 초과하면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유리섬유의 함량이 35중량%를 초과하면 수지의 유동성 저하로 인하여 사출작업이 어렵고, 유리섬유의 함량이 30중량% 미만이면 점퍼 와이어(100)와 인쇄회로기판(10)을 솔더링할 때 가해지는 열로 인하여 절연보호부재(120)가 변형되어 절연보호부재(120)의 형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없게 된다.
또한, 절연보호부재(120)는 전도체부재(110)의 외면에 1.3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보호부재(120)는 폴리아미드 66 수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절연보호부재(120)에는 가스배출홀부(130)가 형성된다. 가스배출홀부(130)는 전도체부재(110)를 인쇄회로기판(10)에 접합하기 위하여 납땜할 때 전도체부재(110)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게 된다. 또한, 가스배출홀부(130)는 납땜과정 중에서 가열되는 전도체부재(110)를 방열하는 기능도 가진다.
예를 들어 전도체부재(110)와 인쇄회로기판(10)을 솔더링할 때 가해지는 열로 인하여 전도체부재(110)의 표면에 코팅된 주석 코팅층(111)이 산화 또는 녹으면서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가스가 가스배출홀부(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홀부(130)는 1mm 이상의 직경을 가지도록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가고정부재(140)는 납땜을 위하여 인쇄회로기판(10)의 접속구멍(11)에 삽입되는 전도체부재(110)가 운반이나 납땜과정 중에 접속구멍(1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가고정부재(140)는 절연보호부재(120)의 외부로 노출된 전도체부재(110)의 끝단부에 코오킹 가공을 통해 돌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가고정부재(140)는 코오킹 가공을 통해 전도체부재(110)에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는 제1지지리브(141)와, 제1지지리브(141)와 대응하도록 전도체부재(110)에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는 제2지지리브(14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가고정부재(140)는 제1지지리브(141)와 제2지지리브(143)가 대응되게 형성되므로, 전도체부재(110)의 외면과 접속구멍(11)의 내면이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전도체부재(110)의 외면과 접속구멍(11)의 내면 사이에 유입되는 납땜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므로, 전류의 흐름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구리에 의해 제작되는 구리선 형태로 제작되는 전도체부재(110)의 외면에 변형이 없고 내열성을 가지는 절연보호부재(120)가 사출 성형되므로, 전도체부재(110)의 절곡된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안정되게 유지된다. 즉, 단단한 재질의 절연보호부재(120)에 의해 전도체부재(110)가 휘거나 변형되지 않으므로, 전도체부재(110)를 인쇄회로기판(10)의 접속구멍(11)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전도체부재(110)를 접속구멍(11)에 삽입하면 가고정부재(140)가 접속구멍(11)의 내면에 밀착됨에 따라 인쇄회로기판(10)을 운반하는 과정이나 납땜하는 과정에서 전도체부재(110)가 접속구멍(1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도체부재(110)를 인쇄회로기판(10)에 납땜할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절연보호부재(120)가 변형되거나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납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가스배출홀부(130)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 110 : 전도체부재
111 : 주석 코팅층 120 : 절연보호부재
130 : 가스배출홀부 140 : 가고정부재
141 : 제1지지리브 143 : 제2지지리브

Claims (3)

  1. 구리에 의해 원형의 막대가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외면에 주석 코팅층이 형성되어 양 끝단부가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전도체부재; 폴리아미드와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수지를 통해 상기 전도체부재의 외면에 사출 성형되며, 상기 전도체부재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절연보호부재;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전도체부재를 접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도록 상기 절연보호부재에 관통 형성되는 가스배출홀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는 상기 전도체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도체부재에 형성되는 가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고정부재는, 코오킹 가공을 통해 상기 전도체부재에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는 제1지지리브; 및 상기 제1지지리브와 대응하도록 상기 전도체부재에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는 제2지지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보호부재는, 1.3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
  2. 삭제
  3. 삭제
KR2020170000973U 2017-02-28 2017-02-28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 KR2004903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973U KR200490356Y1 (ko) 2017-02-28 2017-02-28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973U KR200490356Y1 (ko) 2017-02-28 2017-02-28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646U KR20180002646U (ko) 2018-09-05
KR200490356Y1 true KR200490356Y1 (ko) 2019-11-01

Family

ID=63588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973U KR200490356Y1 (ko) 2017-02-28 2017-02-28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356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9313A (ja) * 2010-09-22 2012-04-05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ャンパ線連結体およびこれを用いて形成されたジャンパ線を備えたプリント基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9398B2 (ja) * 1992-03-30 1998-07-23 三菱電機株式会社 超電導回転電機用回転子
JPH10326524A (ja) * 1997-03-28 1998-12-08 Hitachi Chem Co Ltd 抵抗素子用ワイヤと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9313A (ja) * 2010-09-22 2012-04-05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ャンパ線連結体およびこれを用いて形成されたジャンパ線を備えたプリント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646U (ko)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4337B2 (en) Thermally decoupling fuse holder and assembly
US6798330B2 (en) Miniature fuse of surface-mount type
US8397977B2 (en) Solder containment brackets
KR101060013B1 (ko) 퓨즈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과 설치방법
JP2006164979A (ja) 広がったハンダを有する改善されたヒューズ
JP5286447B2 (ja) 基板表面実装用導電性接触端子
US20100328020A1 (en) Subminiature fuse with surface mount end caps and improved connectivity
US20120184142A1 (en) Connector
US6552642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electric wire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20090117779A1 (en)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KR101662264B1 (ko)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JP2018018654A (ja) 同軸コネクタ
EP0822568A1 (en) Conductive epoxy fuse and method of making
KR20170009948A (ko) 전자 장치
KR200490356Y1 (ko) 인쇄회로기판용 점퍼 와이어
US7351074B2 (en) Structure of circuit board
JP2010073805A (ja) 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HU226629B1 (en) Module support for electrical/electronic components
JPS5823138A (ja) ヒユ−ズ回路板
JP2020072090A (ja) ヒューズ抵抗組立体及びヒューズ抵抗組立体の製造方法
JP2008041408A (ja) 放電ギャップ装置及び放電ギャップ形成方法−
US20040003936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the connection of contacts
KR100507625B1 (ko) 크림 솔더를 이용한 표면실장형 전기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90057796A1 (en) Wire with composite shield
JPH0864468A (ja) 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及び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