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305Y1 - 신발에 설치되는 공기 순환용 에어 블로어 - Google Patents

신발에 설치되는 공기 순환용 에어 블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305Y1
KR200490305Y1 KR2020190003170U KR20190003170U KR200490305Y1 KR 200490305 Y1 KR200490305 Y1 KR 200490305Y1 KR 2020190003170 U KR2020190003170 U KR 2020190003170U KR 20190003170 U KR20190003170 U KR 20190003170U KR 200490305 Y1 KR200490305 Y1 KR 2004903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ower
shoe
bent
air
su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유
Original Assignee
김승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유 filed Critical 김승유
Priority to KR2020190003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3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3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43B7/08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in the upp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2Boots covering the lower 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에 설치되는 에어 블로어에 관한 것으로, 신발의 갑피 선포 부분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착화감을 방해하지 않으며, 신발 내부 앞부분의 공기 흡입과 배출을 원할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발에 설치되는 공기 순환용 에어 블로어 {Air blower installed on shoes}
본 고안은 신발에 설치되는 공기 순환용 에어 블로어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발을 보호하고 편의성을 제공하며 미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신발은 발의 건강을 위해서 통풍성이 중요한데, 근로자의 안전화, 군인의 전투화와 같이 신발의 목적에 따라서 이러한 기능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종래에는, 신발 내부의 습도가 높은 환경을 쾌적하게 개선하기 위하여 신발의 뒷꿈치 위치에 공기 펌프를 설치하고, 보행중에 발 뒷꿈치가 공기 펌프를 누르면 신발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술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공기 펌프가 설치된 뒷꿈치의 위치와 공기의 원활한 순환을 필요로 하는 신발의 앞부분까지 공기가 이동하는 거리가 멀고, 공기의 진행방향성이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전환되야 하기 때문에 신발의 내부 앞부분으로 공기가 전달되는 효과가 떨어지고, 공기의 이동을 위해 형성한 창재료 상부면의 홈이 미생물이 번식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물론 신발 사이즈 전체에 대한 창 금형을 모두 제작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문제도 존재하고 있다.
또한, 신발에서 제일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착화감인데, 기존에 사용되던 에어 블로어들은 신발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착화감을 불편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6062호 (2006.02.21)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흡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의 이동거리를 단축하여 신발 내부 앞부분의 공기 흡입과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신발의 봉제 공정에서 선포(Vamp) 부분에 손쉽게 설치되며 또한 발등 부분이 쉽게 구부러지도록 하며 착용자의 착화감을 해치지 않고자 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어는, 신발의 갑피 선포(Vamp) 부분에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를 덮도록 상기 신발의 상부에 설치되는 에어 블로어에 있어서, 상기 에어 블로어의 후면에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흡입구; 상기 흡입구로부터 연장된 흡입노즐; 상기 흡입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에어 블로어의 내부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판막; 및 중간부분으로부터 후면까지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구는 상기 배출구보다 내경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신발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서 상기 에어 블로어가 구부러지면 상기 판막이 상기 흡입구를 클로즈하고, 상기 에어 블로어가 펴지면 상기 판막이 상기 흡입구를 오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 블로어는, 상기 신발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서 상기 신발이 구부러지면 상기 돌출부가 비돌출부 방향으로 휘어지고, 상기 돌출부의 휘어짐에 의해 상기 판막이 상기 흡입구 방향으로 휘어져 상기 흡입구를 클로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 블로어는, 상기 신발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서 상기 신발이 구부러지면, 상기 돌출부의 일단쪽이 하측으로 휘어짐에 따라 상기 돌출부와 신발의 상면의 각도가 변화하고, 상기 각도 변화에 따라 상기 돌출부의 타단쪽에 위치한 판막의 각도가 상기 흡입구 방향으로 휘어져 상기 흡입구를 클로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 블로어는, 상기 신발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서 상기 신발이 구부러지면, 상기 돌출부의 일단쪽이 하측으로 휘어짐에 따라 내부에 공기 흐름이 생성되며, 상기 생성된 공기 흐름이 상기 에어 블로어의 내부로부터 상기 흡입구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판막이 흡입구 방향으로 휘어져 상기 흡입구를 클로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신발의 갑피 선포 부분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착화감과 앞꿈치의 편안함과 활동성을 보정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신발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신발의 선포 부분에 3개의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어의 상면도와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 도 4의 에어 블로어가 구부러져 흡입구를 차단한 것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어가 신발에 설치된 것을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어가 신발에 설치된 것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신발에 설치된 에어 블로어가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 구부러진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신발은 발을 보호하고 착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며 미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신발은 발의 건강을 위해서 통풍성이 중요한데, 군인의 전투화와 같이 특정 목적을 갖고 있는 신발의 경우에는 통풍성, 통기성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신발 내부의 습도가 높은 환경을 쾌적하게 개선하기 위해 여러가지 시도가 이루어졌다. 대표적으로, 신발의 뒷꿈치 위치에 공기 펌프를 설치하고, 보행중에 발 뒷꿈치가 공기 펌프를 누르면 신발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술이 있다.
이러한 기술은 공기 펌프가 설치된 뒷꿈치의 위치와 공기의 원활한 순환을 필요로 하는 신발의 앞부분까지 공기가 이동하는 거리가 멀고, 공기의 진행방향성이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전환되야 하기 때문에 신발의 내부 앞부분으로 공기가 전달되는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고, 공기의 이동을 위해 형성한 창재료 상부면의 홈에 미생물이 번식할 우려가 있다.
이외에도 신발 내부에 펌프 장치를 마련하여 사용자의 보행에 따라서 펌프 장치가 작동되게 하는 기술 등이 있지만, 현재까지 공개되었거나 사용되고 있는 기술들은 모두 위와 같은 문제점과 신발 내부에 장치가 마련되어 사용자의 착화감을 방해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 사용자의 착화감 또한 방해하지 않으면서 신발 내부에 통풍성, 통기성을 제공하는 고안을 안출하게 되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의미를 간략히 설명한다. 그렇지만 용어의 설명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명시적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는 사항으로 기재하지 않은 경우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
갑피: 신발의 상단 부분을 통틀어 칭하는 것으로, 신발의 전반적인 디자인과 형태를 유지하며 발과 발목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선포(Vamp): 도 2의 배출구(63)가 형성된 위치와 같이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하였을 때 발등에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행함에 따라서 신발의 선포 부분이 V, U 형태로 휘어지게 된다.
도 1은 신발의 예시도이고, 도 2는 신발의 선포 부분에 3개의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은 신발(63)을 예시하고 있는 도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어(10)가 설치될 필요성이 있는 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의 안전화, 군인의 전투화, 부츠와 같은 종류의 신발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예시를 위해 전투화, 부츠와 같은 신발을 예시한 것일뿐, 이외에도 산업용 작업화, 농어촌용 고무장화, 일반 스포츠화 등 신발에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신발(63)은 갑피 선포(Vamp) 부분에 하나 이상의 배출구(63)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2에서는 3개의 배출구(63)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어(10)는 신발(63)의 갑피 선포 부분에 설치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63)의 갑피 선포 부분에 형성된 배출구(63)를 덮도록 신발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때, 에어 블로어(10)는 신발의 상부에 스티칭 될 수도 있고, 접착/부착될 수도 있는 등, 신발 상부면에 설치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어(10)는 신발(63)의 선포 부분에 형성된 배출구(63)를 덥도록 신발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형태라면 무엇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어의 상면도와 A-A'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어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5는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 도 4의 에어 블로어가 구부러져 흡입구를 차단한 것을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어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어(1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어(10)는 흡입구(30), 흡입노즐(33), 판막(37), 돌출부(40)를 포함한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에어 블로어(1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흡입구(30)는 에어 블로어(10)의 후면에 형성되며, 에어 블로어(10)의 후면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흡입노즐(33)은 흡입구(30)로부터 에어 블로어(10)의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를 참조하면, 흡입구(30)는 에어 블로어(10)의 후면 소정 높이에 형성되어 있고, 흡입노즐(33)이 흡입구(30)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에 관한 것은 도 3의 (b)를 참조하면 A-A'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흡입구(30)가 에어 블로어(10)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되 소정 높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판막(37)은 흡입구(3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에어 블로어(10)의 내부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판막(37)은 도 4와 같이, 흡입구(30)로부터 에어 블로어(10)의 내부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 블로어(10)는 중간부분으로부터 후면까지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4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어(10)의 돌출부(40)의 일단쪽은 비돌출부와 맞닿는 부분을 의미하고, 돌출부(40)의 타단쪽은 이와 반대되는 위치로 판막(37)이 위치한 에어 블로어(10)의 후방쪽을 의미한다.
에어 블로어(10)는 하부면의 둘레로 신발의 갑피면 상부에 설치되기 위한 설치영역(4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설치영역(43)은 신발의 갑피면에 스티칭되기 위한 스티칭영역일 수도 있고, 신발의 갑피면에 접착되기 위한 접착영역일 수도 있다.
신발의 선포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63)는 흡입구(30)보다 내경이 작게 형성되어, 흡입구(30)의 공기 흐름이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어(10)는 기밀성이 있는 방수 재질로 형성되어 우천시에 에어 블로어(10)의 내부가 물이 차서 신발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에어 블로어(1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신발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서 구부러지거나 원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돌출부(40)는 에어 블로어(10)의 중간부분 상면으로부터 후면까지 외부로 돌출되되, 에어 블로어(10)의 후방으로 갈수록 돌출된 영역의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인하여, 에어 블로어(10)는 신발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서 에어 블로어(10)가 구부러지면 판막(37)이 흡입구(30)를 클로즈(Close)하고, 에어 블로어(10)가 펴지면 판막(37)이 흡입구(30)를 오픈(Ope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와 같이 에어 블로어(10)는 신발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서 신발에 구부러지면 돌출부(40)가 비돌출부(67) 방향으로 휘어지고, 이러한 돌출부(40)의 휘어짐에 의해 판막이 흡입구(30) 방향으로 휘어져 흡입구(30)를 클로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르게 말하면, 착용자가 발을 내디뎌 신발이 구부러지면 돌출부(40) 영역이 구부러져 돌출부(40)와 비돌출부(67)의 각도가 좁혀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여기서 비돌출부(67)란 에어 블로어(10)의 상부면 전체에서 돌출부(40)를 제외한 영역, 즉 에어 블로어(10)의 중간부분으로부터 전면까지 돌출부(40)에 비해 돌출되지 않은 영역, 부분을 의미한다.
이때, 에어 블로어(10)가 휘어짐에 따라 내부 공간의 크기가 줄어들고 배출구(63)으로 공기가 빠져나감에 따라서 에어 블로어(10) 내부의 압력이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휘어짐과 압력 차이에 의해 판막(37)이 흡입구(30) 방향으로 휘어져 흡입구(30)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에어 블로어(10)의 돌출부(40)의 외피 두께가 비돌출부(67)의 외피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돌출부(40)가 신발의 휘어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3에 배출구(63)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신발에 형성된 배출구(63)이며 에어 블로어(10)에 배출구(6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에어 블로어(10)는 바닥면이 개방된 형태이며 설치영역(43)이 신발의 외피 상면에 설치되어 기밀성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 도 5를 참조하면, 에어 블로어는 신발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서 신발이 구부러지면, 돌출부의 일단쪽이 하측으로 소정각도 휘어짐에 따라 돌출부와 신발의 상면의 각도가 변화하고, 이러한 각도 변화에 따라서 돌출부의 타단쪽에 위치한 판막의 각도가 흡입구 방향으로 소정 각도 휘어져 흡입구를 클로즈하게 된다.
또한, 에어 블로어는 신발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서 신발이 구부러지면, 돌출부의 일단쪽이 하측으로 휘어짐(눌림)에 따라 도 5와 같이 에어 블로어 내부에 공기 흐름이 생성되며, 이렇게 생성된 공기 흐름이 에어 블로어의 내부로부터 흡입구 방향으로 형성되어 판막이 바람에 의해 흡입구 방향으로 휘어져 흡입구를 클로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다른 도면들을 통해서 이와 같은 에어 블로어(10)의 동작, 효과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어(10)가 신발에 설치된 것을 예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어(10)가 신발에 설치된 것을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신발에 설치된 에어 블로어(10)가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 구부러진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신발의 선포부분 상면에 에어 블로어(1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9과 같이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서 신발의 앞부분(구체적으로는 선포 부분)이 구부러졌고, 해당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 블로어(10)도 함께 구부러진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에어 블로어(10)의 구부러짐은 판막(37)이 흡입구(30) 방향으로 밀리도록 하였고, 도면과 같이 판막(37)이 흡입구(30)를 차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보행자의 보행중에 신발의 앞꿈치가 구부러질 때에 에어 블로어(10)가 눌려지면 에어 블로어(10) 내부의 공기가 배출구(63)로 통하여 신발의 앞꿈치 내부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또한 구부러진 신발의 앞꿈치가 지면에서 들릴 때에는 에어 블로어(10)가 펴지며 흡입구(30), 흡입노즐(33)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에어 블로어(10) 내부로 흡입된다. 즉, 에어 블로어(10)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받아들여서 신발의 내부(앞꿈치 내부 공간)으로 배출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신발 내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돌출부(40)의 구성은, 에어 블로어(10)가 착용자의 보행에 의해 접혀질때, 에어 블로어(10) 내부의 공기를 흡입구(30) 위치로 강하게 밀어 에어 블로어(10) 내부의 공기가 배출구(63)를 통하여 신발 앞꿈치 내부로 강하고 빠르게 이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판막(37)은 흡입구(30)를 열고 닫으며 공기의 이동방향을 흡입구(30)에서 흡입노즐(33) 방향으로 일정하게 하는 것으로, 에어 블로어(10)가 눌려질 때에는 상승한 공기압이 판막(37)을 밀어 흡입구(30)가 닫히며, 공기가 배출구(63)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한다.
또한, 판막(37)은 에어 블로어(10)가 펴지면 본래의 형상으로 복귀할 때에는 판막(37)이 열리고 외부의 공기가 흡입노즐(33)과 흡입구(30)를 통해 흡입되도록 한다. 에어 블로어(10)가 펴지면 본래의 형상으로 복귀할 때 신발 내부의 공기도 배출구(63)를 통하여 에어 블로어(10) 내로 유입될 수 있지만, 배출구(63)의 크기가 흡입구(30)의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구(30)를 통해 많은 양의 공기가 에어 블로어(10) 내로 유입되고 배출구(63)를 통해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공기가 에어 블로어(1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에어 블로어(10)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받아들여서 신발의 내부(앞꿈치 내부 공간)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어(10)는 위와 같은 구성과 작동으로 인하여 하기와 같은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첫째로, 공기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하여 공기의 활발한 순환을 최우선으로 필요로 하는 신발의 앞꿈치와 매우 근접한 위치에서 공기의 이동을 간결하고 효과적으로 통하도록 한다.
둘째로, 에어 블로어(10)를 신발의 외부에 설치함으로 인하여 기존 에어 블로어(10) 장치들의 최대 문제점이었던 착용자의 착화감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셋째로, 에어 블로어(10)를 신발의 갑피 외부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현됨에 따라서 신발의 봉제공정에서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또한 신발이 완성된 후 혹은 신발이 판매된 후에도 재설치 및 수리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에어 블로어
30: 흡입구
33: 흡입노즐
37: 판막
40: 돌출부
43: 설치영역
60: 신발
63: 배출구
67: 비돌출부

Claims (4)

  1. 신발의 갑피 선포(Vamp) 부분에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를 덮도록 상기 신발의 상부에 설치되는 에어 블로어에 있어서,
    상기 에어 블로어의 후면에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흡입구;
    상기 흡입구로부터 연장된 흡입노즐;
    상기 흡입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에어 블로어의 내부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판막; 및
    중간부분으로부터 후면까지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구는 상기 배출구보다 내경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신발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서 상기 에어 블로어가 구부러지면 상기 판막이 상기 흡입구를 클로즈하고, 상기 에어 블로어가 펴지면 상기 판막이 상기 흡입구를 오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로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블로어는,
    상기 신발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서 상기 신발이 구부러지면 상기 돌출부가 비돌출부 방향으로 휘어지고, 상기 돌출부의 휘어짐에 의해 상기 판막이 상기 흡입구 방향으로 휘어져 상기 흡입구를 클로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로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블로어는,
    상기 신발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서 상기 신발이 구부러지면, 상기 돌출부의 일단쪽이 하측으로 휘어짐에 따라 상기 돌출부와 신발의 상면의 각도가 변화하고, 상기 각도 변화에 따라 상기 돌출부의 타단쪽에 위치한 판막의 각도가 상기 흡입구 방향으로 휘어져 상기 흡입구를 클로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로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블로어는,
    상기 신발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서 상기 신발이 구부러지면, 상기 돌출부의 일단쪽이 하측으로 휘어짐에 따라 내부에 공기 흐름이 생성되며, 상기 생성된 공기 흐름이 상기 에어 블로어의 내부로부터 상기 흡입구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판막이 흡입구 방향으로 휘어져 상기 흡입구를 클로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로어.
KR2020190003170U 2019-07-30 2019-07-30 신발에 설치되는 공기 순환용 에어 블로어 KR2004903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170U KR200490305Y1 (ko) 2019-07-30 2019-07-30 신발에 설치되는 공기 순환용 에어 블로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170U KR200490305Y1 (ko) 2019-07-30 2019-07-30 신발에 설치되는 공기 순환용 에어 블로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305Y1 true KR200490305Y1 (ko) 2019-10-24

Family

ID=68381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170U KR200490305Y1 (ko) 2019-07-30 2019-07-30 신발에 설치되는 공기 순환용 에어 블로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30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902U (ja) * 1991-09-13 1993-03-30 隆則 長田 長 靴
KR20050040301A (ko) * 2003-10-28 2005-05-03 그래피온테크놀로지즈코리아(주) 통기성 신발
KR20060016062A (ko) 2005-04-19 2006-02-21 박수현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된 신발
US20140033573A1 (en) * 2012-08-03 2014-02-06 Heeling Sports Limited Heel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902U (ja) * 1991-09-13 1993-03-30 隆則 長田 長 靴
KR20050040301A (ko) * 2003-10-28 2005-05-03 그래피온테크놀로지즈코리아(주) 통기성 신발
KR20060016062A (ko) 2005-04-19 2006-02-21 박수현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된 신발
US20140033573A1 (en) * 2012-08-03 2014-02-06 Heeling Sports Limited Heel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7538B2 (en) Ventilated shoe
US10743622B2 (en) Footwear ventilation structures and methods
US11672304B2 (en) Shoe sole, and shoe including shoe sole
KR200490305Y1 (ko) 신발에 설치되는 공기 순환용 에어 블로어
KR100927427B1 (ko) 통풍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창
KR100343789B1 (ko) 공기호스가 설치된 신발 깔창
KR200487679Y1 (ko) 통기가 가능한 신발
US20160007685A1 (en) Ventilating insole structure
KR100462809B1 (ko) 외부 공기 유입용 신발깔창
KR200356249Y1 (ko) 통풍용 신발의 체크밸브 구조
KR200248615Y1 (ko) 공기 순환식 신발 깔창
CA2986050C (en) Footwear ventilation structures and methods
KR200144133Y1 (ko) 신발밑창의 공기 순환구조
KR200479388Y1 (ko) 지압과 통풍기능이 구비된 신발
KR100238812B1 (ko) 충격완화 및 통풍기능을 갖는 신발
KR20060078178A (ko) 쿠션기능을 가지는 통풍 신발
KR200440638Y1 (ko) 공기순환 중창을 이용한 신발
KR200404227Y1 (ko) 발바닥 보호판이 내장된 공기순환식 신발창
KR100500530B1 (ko) 통풍구조를 갖는 신발
KR200401233Y1 (ko) 충격흡수겸용 통풍신발창
KR200193915Y1 (ko) 통풍기능 신발
KR200195951Y1 (ko) 통기구가 설치된 신발
KR200374438Y1 (ko) 통풍구조를 갖는 신발
KR200212948Y1 (ko) 공기순환이 가능한 신발 깔창
KR200313791Y1 (ko) 통풍구조를 갖는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