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242Y1 - 배너 거치대 - Google Patents

배너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242Y1
KR200490242Y1 KR2020190000520U KR20190000520U KR200490242Y1 KR 200490242 Y1 KR200490242 Y1 KR 200490242Y1 KR 2020190000520 U KR2020190000520 U KR 2020190000520U KR 20190000520 U KR20190000520 U KR 20190000520U KR 200490242 Y1 KR200490242 Y1 KR 200490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bracket
holder
hinge shaf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장
Original Assignee
김민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장 filed Critical 김민장
Priority to KR2020190000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2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2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5Means for mounting flags to mas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66Stands for fla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너의 설치, 교체, 제거가 용이한 배너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배너 걸이봉에 매달린 배너를 게양하기 위해 지주에 설치되는 배너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배너 걸이봉이 거치되는 거치부, 힌지부에 힌지축 결합공를 포함하는 제1 브라켓; 상기 힌지축 결합공을 관통하는 힌지축; 및 상기 제1 브라켓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너 걸이봉을 지지하는 걸이봉 지지부 및 상기 힌지축이 결합하는 힌지축 결합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을 통해 상기 제1 브라켓과 축결합되어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개폐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이 닫히면 상기 배너 걸이봉이 고정된다.

Description

배너 거치대{Hanger For Banner Displaying}
본 고안은 배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너의 설치, 교체, 제거가 용이한 배너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행사, 공연 등의 광고를 위하여 도로 또는 공원에 현수막 등의 배너가 설치된다. 배너는 배너 길이봉에 걸린 상태로 가로등 또는 가로수 등의 지주에 배너 거치대를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너 거치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배너 거치대(10)는 체결밴드(20)로 가로등 또는 가로수와 같은 지주(40)에 고정되어 있다. 배너 거치대(10)는 몸체(11)와 배너 걸이봉(12)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몸체(11)와 배너 걸이봉(12)은 일체이다.
배너(30) 설치를 위하여, 설치자는 배너(30)를 배너 걸이봉(12)에 매달 수 있다. 이 후, 설치자는 체결밴드(20)를 배너 거치대(10)의 체결밴드홀(13)에 삽입한다. 이 후, 설치자는 체결밴드(20)를 지주(40)의 외주면을 감싼 후 체결밴드(20) 양끝 단의 일측과 타측을 전동 드릴을 이용하여 볼트로 고정함으로 배너(30)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그러나, 설치된 배너(30)가 철거하거나 교체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배너(30)를 철거시, 설치자는 체결밴드(20)의 고정된 볼트를 해체하기 위하여 다시 전동 드릴 작업을 해야 한다. 아울러, 배너(30) 교체가 필요한 경우, 설치자는 철거된 배너(30)를 새로 게시할 내용으로 변경 후 체결밴드(20)를 전동 드릴을 이용하여 지주(40)에 고정하는 작업을 다시 수행해야 한다. 보통 도로나 공원에 설치되는 배너의 수는 수십에서 수백개가 되기 때문에, 설치자가 설치된 배너 거치대(10)를 전동 드릴을 이용하여 일일이 분리하고 재설치하는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배너 거치대(10)는 배너(30)가 소정의 각도로만 게시될 수 있다. 배너(30)를 다른 각도로 배치하기 위하여, 설치자가 설치된 배너 거치대(10)를 전동 드릴을 이용하여 일일이 분리하고 재설치하는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0902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히기 위한 것으로, 배너 거치대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너의 설치, 교체, 제거가 용이한 배너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배너의 설치, 교체, 제거의 작업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배너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배너가 매달려있는 배너 걸이봉의 거치 또는 분리가 용이한 배너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배너가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는 배너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배너의 게양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배너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배너 걸이봉에 매달린 배너를 게양하기 위해 지주에 설치되는 배너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배너 걸이봉이 거치되는 거치부, 힌지부에 힌지축 결합공를 포함하는 제1 브라켓; 상기 힌지축 결합공을 관통하는 힌지축; 및 상기 제1 브라켓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너 걸이봉을 지지하는 걸이봉 지지부 및 상기 힌지축이 결합하는 힌지축 결합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을 통해 상기 제1 브라켓과 축결합되어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개폐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이 닫히면 상기 배너 걸이봉이 고정되는 배너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배너 걸이봉에 매달린 배너를 게양하기 위해 지주에 설치되는 배너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의 상면에서 연장된 날개부를 더 포함하는 배너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배너 걸이봉에 매달린 배너를 게양하기 위해 지주에 설치되는 배너 거치대에 있어서,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배너 걸이봉에 고정링이 배치되는 배너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배너 걸이봉에 매달린 배너를 게양하기 위해 지주에 설치되는 배너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제1 부 내지 제4 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는 상기 제 4부와 함께 상기 배너 걸이봉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3 부는 상기 배너 걸이봉이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배너 걸이봉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이고, 상기 제2 부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배너 걸이봉이 상기 제3 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배너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배너 걸이봉에 매달린 배너를 게양하기 위해 지주에 설치되는 배너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은 거치 보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 보조부는 상기 제2 브라켓이 닫힐 때 상기 배너 걸이봉을 상기 제3 부로 밀어서 거치하는 배너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배너 걸이봉에 매달린 배너를 게양하기 위해 지주에 설치되는 배너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의 정면에 배치되는 제1 덮개부; 및 상기 제1 브라켓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배너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배너 걸이봉에 매달린 배너를 게양하기 위해 지주에 설치되는 배너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1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배너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배너 걸이봉에 매달린 배너를 게양하기 위해 지주에 설치되는 배너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걸이봉 지지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배너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배너 걸이봉에 매달린 배너를 게양하기 위해 지주에 설치되는 배너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거치된 상기 배너 걸이봉의 수평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제1 암부 및 제2 암부를 포함하는 배너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배너의 설치, 교체, 제거가 용이한 배너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배너의 설치, 교체, 제거의 작업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배너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배너가 매달려있는 배너 걸이봉의 거치 또는 분리가 용이한 배너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배너가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는 배너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배너의 게양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배너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너 거치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가 가로등 지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의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의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의 암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의 닫힌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의 타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가 가로등 지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의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100)가 설치된 일 예이다. 배너 거치대(100)는 체결밴드(500)에 의해 지주(60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주(600)는 가로등 또는 가로수 등의 기둥 형태 일 수 있다. 배너(400)가 매달려있는 배너 걸이봉(200)은 배너 거치대(100)에 거치될 수 있다. 배너 거치대(100)는 제1 브라켓(110)과 제2 브라켓(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110)은 상기 체결밴드(500)에 의해 상기 지주(600)에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2 브라켓(120)은 상기 제1 브라켓(11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브라켓(110)과 축결합 되어 힌지부(A)를 축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배너 걸이봉(200)은 상기 제2 브라켓(120)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 브라켓(110)에 거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배너 걸이봉(200)은 상기 제1 브라켓(110)에 거치된 후 상기 제2 브라켓(120)이 닫히면 상기 배너 거치대(1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너 걸이봉(200)은 지면과 수직한 상하방향과, 지주(600) 방향과 지주(600)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 고정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링(310, 320)은 상기 배너 걸이봉(20)에 결합되어 상기 배너 걸이봉(200)의 장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배너(400)의 설치, 교체, 제거가 용이한 배너 거치대(2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배너(400)의 설치, 교체, 제거의 작업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배너 거치대(2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배너가 매달려있는 배너 걸이봉(200)의 거치 또는 분리가 용이한 배너 거치대(1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100)는 제1 브라켓(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110)은 제1 면(115), 제2 면(116), 제3 면(1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115)은 배너 거치대(100)가 지주(600)에 설치되면 외측면이 지주(600)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 면(116)은 상기 제1 면(115)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지주(60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면(117)은 상기 제1 면(115)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지주(60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면(116)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은(110)은 제1 거치부(111) 및 제2 거치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거치부(111)는 상기 제2 면(116)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거치부(111)는 배너 걸이봉(200)이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거치부(111)는 상기 제2 면(116)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거치부(111)는 제1 내지 제4 부(111a 내지 111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111a) 및 제4 부(111d)는 배너 걸이봉(200)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부(111c)는 배너 걸이봉(200)이 거치될 수 있도록 배너 걸이봉(200)의 외주면과 대응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부(111b)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배너 걸이봉(200)이 상기 제3 부(111c)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일 수 있다. 상기 제1 부(111a)는 상기 제1 면(116)의 상측면에서 상기 제2 부(111b)로 하측 방향으로 제1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의 경사 방향은 배너 거치대(100)의 측면 외측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 부(111b)는 상기 제1 부(111a)에서 상기 제3 부(111c)로 하측 방향으로 상기 제1 각도 보다 작은 제2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각도의 경사 방향은 배너 거치대(100)의 측면 외측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3 부(111c)는 상기 제2 부(111b)에서 상기 제4 부(111d)로 상측 방향으로 상기 배너 걸이봉(20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4 부(111d)는 상기 제3 부(111c)에서 상기 제1 면(116)의 상측면으로 상측 방향으로 상기 제1 부(111a)와 대응하여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거치부(112)는 상기 제2 면(117)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거치부(112)는 상기 제1 거치부(111)의 구성과 동일하고, 상기 제1 거치부(111)와 대응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110)은 제1 힌지축 결합공(113a) 및 제2 힌지축 결합공(11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축 결합공(113a)은 상기 제2 면(116)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축 결합공(113a)은 힌지축(13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축(13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축 결합공(113a)은 제1 체결밴드 결합공(114a)과 제1 거치부(1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축 결합공(113b)은 상기 제3 면(117)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축 결합공(113b)은 상기 제1 힌지축 결합공(113a)과 동일한 구성이고, 상기 제1 힌지축 결합공(113a)과 대응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110)은 제1 체결밴드 결합공(114a) 및 제2 체결밴드 결합공(11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밴드 결합공(114a)은 상기 제2 면(116)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밴드 결합공(114a)은 체결밴드(50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밴드(50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밴드 결합공(114a)은 상기 제1 면(115)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밴드 결합공(114b)은 상기 제3 면(117)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밴드 결합공(114b)은 상기 제1 체결밴드 결합공(114a)과 동일한 구성이고, 상기 제1 체결밴드 결합공(114a)과 대응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100)는 힌지축(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축(130)은 봉 형상이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힌지축(130)의 일단은 제1 브라켓(110)의 제1 힌지축 결합공(113a) 및 제2 힌지축 결합공(113b)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힌지축(130)은 제2 브라켓(120)의 제1 힌지축 결합리세스(126a) 및 제2 힌지축 결합리세스(126b)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130)은 제2 브라켓(120)의 제1 힌지축 결합리세스(126a) 및 제2 힌지축 결합리세스(126b)와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100)는 제1 덮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덮개부(140)는 상기 제1 브라켓(110)의 정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덮개부(140)는 상기 제2 면(116)과 상기 제3 면(117)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덮개부(140)는 상기 제1 면(115)과 마주보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덮개부(140)는 외부로부터 상기 배너 거치대(100)의 내부 보호와 오염 방지를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100)는 제2 덮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덮개부(150)는 상기 제1 브라켓(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덮개부(150)는 상기 제1 면(115)의 상측, 상기 제2 면(116)의 상측 및 상기 제3 면(117)의 상측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덮개부(150)는 외부로부터 상기 배너 거치대(100)의 내부 보호와 오염 방지를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100)는 제2 브라켓(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브라켓(120)은 제2-1 면(121), 제2-2 면(122), 제2-3 면(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면(121)은 상기 제2 브라켓(120)의 상부일 수 있다. 상기 제2-1 면(121)은 제1 브라켓(110)의 제1 거치부(111)의 상측 및 제2 거치부(112)의 상측을 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1 면(121)은 제1 브라켓(110)의 상부에 배치된 제2 덮개부(150)가 상기 제1 브라켓(110)의 상부를 덮지 않는 부분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제2-2 면(122)은 상기 제2-1 면(121)의 일측에 위치하여 지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2 면(122)은 제1 브라켓(110)의 제1 거치부(111) 중 삽입부에 해당하는 제1 부(111a) 및 제4 부(111d)와 가이드부에 해당하는 제2 부(111b)를 측면에서 덮을 수 있다. 상기 제2-3 면(123)은 상기 제2-1 면(121)의 타측에 위치하여 지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2 면(122)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3 면(123)의 구성은 상기 제2-2 면(122)의 구성과 동일 할 수 있고, 각 동일한 구성은 서로 대응하여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브라켓(120)은 날개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124)는 상기 제2-1 면(12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124)는 상기 제2-1면(121)의 일측에서 배너 거치대(100)의 정면 외곽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날개부(124)는 설치자가 배너 걸이봉(200) 거치할 경우 배너 거치대(100)의 개폐를 도울 수 있다. 상기 제2 브라켓(120)은 제1 걸이봉 지지부(125) 및 제2 걸이봉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이봉 지지부(125) 및 제2 걸이봉 지지부는 배너 걸이봉(200)이 제1 브라켓(110)의 제1 거치부(111) 및 제2 거치부(112)에 거치되고 제2 브라켓(120)이 닫히면 배너 걸이봉(200)을 지지하여 배너 걸이봉(200)의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이동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걸이봉 지지부(125)는 제2-2 면(12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이봉 지지부(125)는 제2-1 부(125a) 및 제2-2 부(12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부(125a)는 상기 제2-2 면(122)의 일 외측단에서 타 외측단으로 수평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1 부(125a)는 배너 걸이봉(200)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2 부(125b)는 연장된 상기 제2-1 부(125a)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2 부(125b)는 배너 걸이봉(200)의 일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걸이봉 지지부는 상기 제2-3 면(12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걸이봉 지지부는 상기 제1 걸이봉 지지부(125)의 구성과 동일하고, 상기 제2 걸이봉 지지부(125)와 대응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브라켓(120)은 제1 힌지축 결합리세스(126) 및 제2 힌지축 결합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축 결합리세스(126)는 제2-2 면(12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축 결합리세스(126)는 힌지축(13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축(13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축 결합리세스(126)는 상기 제1 걸이봉 지지부(125)와 소정의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소정의 거리는 힌지축(130)과 배너 거치대(100)에 거치된 배너 걸이봉(200)과의 최단 거리일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축 결합리세스(126)는 홀 형상 또는 홈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홈 형상일 경우, 상기 제1 힌지축 결합리세스(126)는 상기 제2-2 면(12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축 결합리세스는 제2-3 면(12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축 결합리세스는 상기 제1 힌지축 결합리세스(126)와 동일한 구성이고, 상기 제1 힌지축 결합리세스(126)와 대응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브라켓(120)은 제1 거치 보조부(127) 및 제2 거치 보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거치 보조부(127) 및 제2 거치 보조부는 제2 브라켓(120)을 닫을 때 배너 걸이봉(200)을 밀면서 제1 브라켓(110)의 제1 및 제2 거치부(111, 112)에 배너 걸이봉(200)이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거치 보조부(127)는 상기 제2-2 면(12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거치 보조부(127)는 상기 제1 걸이봉 지지부(125)에서 상기 제2-2 면(122)의 하단으로 제3 각도로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 각도의 경사 방향은 배너 거치대(100)의 측면 내측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 거치 보조부는 상기 제2-3면(12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거치 보조부는 상기 제1 거치 보조부(127)와 동일한 구성이고, 상기 제1 거치 보조부(127)와 대응하여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 4 및 도 5는 배너 거치대(100)의 개폐 모습을 나타내는 일 예이다. 도 4는 배너 거치대(100)가 닫힌 모습이고, 도 5는 배너 거치대(100)가 열린 모습이다. 도 4에서 배너 거치대(100)에 배너 걸이봉(200)이 거치되면, 배너 걸이봉(200)은 제1 브라켓(110)의 제1 거치부(111)에 거치 된다. 이 경우, 제2 브라켓(120)의 제1 걸이봉 지지부(125)는 상기 배너 걸이봉(200)을 고정할 수 있다. 도 4에서 배너 거치대(100)를 열기 위하여, 설치자는 제2 브라켓(120)의 날개부(124)에 수직 방향으로 들어 올릴 수 있다. 배너 거치대(100)가 열리면, 설치자는 제1 거치부(111) 및 제2 거치부(112)에 배너 걸이봉(200)을 거치하거나, 제1 거치부(111) 및 제2 거치부(112)에서 배너 걸이봉(200)을 분리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배너 걸이봉(200)이 거치되어 배너 거치대(100)의 닫힌 모습을 나타내는 일 예이다. 상기 배너 걸이봉(200)은 상기 제1 브라켓(110)의 제1 거치부(100)에 거치되고 상기 제2 브라켓(120)의 제1 걸이봉 지지부(125)에 지지되므로 배너 거치대(1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너 걸이봉(200)은 지면과 수직한 상하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 고정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는 배너의 설치, 교체, 제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는 배너의 설치, 교체, 제거의 작업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는 배너가 매달려있는 배너 걸이봉의 거치 또는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1100)는 도 3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100)에서 제1 고정부(1160) 및 제2 고정부(1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1100)는 도 3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100)에서 상기 제1 고정부(1160) 및 제2 고정부(1170)를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1100)의 설명은 도 3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10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1100)는 제1 브라켓(1110), 제2 브라켓(1120), 힌지축, 제1 덮개부(1140), 제2 덮개부(1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1100)는 제1 고정부(1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160)는 제1-1 고정부와 제1-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고정부는 제1 브라켓(1110)의 제1 거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1 고정부는 제1 거치부의 제3 부(도 3의 제1 거치부(111)의 제3 부(111c) 참조)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1 고정부는 마찰력이 있는 탄성재질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1 고정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1-2 고정부는 제1 브라켓(1110)의 제2 거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 고정부는 상기 제1-1 고정부와 동일한 구성이고, 상기 제1-1 고정부와 대응하여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1160)는 배너 걸이봉(200)을 배너 거치대(1100)에 더욱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1160)는 배너 걸이봉(200)의 장방향으로의 이동을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100)가 제1 고정링(310) 및 제2 고정링(3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1100)를 사용할 경우 필요 없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1100)는 제2 고정부(1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부(1170)는 제2-1 고정부와 제2-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고정부는 제2 브라켓(1120)의 제1 걸이봉 지지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160) 및 제2 고정부(1170)는 제1 걸이봉 지지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1 고정부는 마찰력이 있는 탄성재질일 수 있다. 일 예로, 제2-1 고정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2-2 고정부는 제2 브라켓(1120)의 제2 걸이봉 지지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2 고정부는 상기 제2-1 고정부와 동일한 구성이고, 상기 제2-1 고정부와 대응하여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1170)는 배너 걸이봉(200)을 배너 거치대(1100)에 더욱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부(1170)는 배너 걸이봉(200)의 장방향으로의 이동을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100)가 제1 고정링(310) 및 제2 고정링(3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1100)를 사용할 경우 필요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는 배너의 설치, 교체, 제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는 배너의 설치, 교체, 제거의 작업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는 배너가 매달려있는 배너 걸이봉의 거치 또는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는 배너가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의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의 암부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의 닫힌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8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의 타측면도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2100)는 도 3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100)에서 제1 암부(2260) 및 제2 암부(2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2100)는 도 3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100)에서 일부 구성의 차이가 있다. 이하 또 다른 실시예에 배너 거치대(2100)의 설명은 도 3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10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 위주로 설명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2100)는 제1 브라켓(2110), 제2 브라켓(2120), 힌지축(2130), 제1 덮개부(2140), 제2 덮개부(2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브라켓(2110)은 제1 면(2115), 제2 면(2116), 제3 면(21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2115)은 배너 거치대(2100)가 지주(600)에 설치되면 외측면이 지주(600)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 면(2116)은 상기 제1 면(2115)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지주(60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면(2117)은 상기 제1 면(2115)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지주(260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면(2116)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은(2110)은 제1 거치부(2111) 및 제2 거치부(2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거치부(2111)는 상기 제2 면(2116)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거치부(2111)는 배너 걸이봉(200)이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거치부(2111)는 상기 제2 면(2116)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거치부(2111)는 제1 내지 제5 부(2111a 내지 2111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2111a) 및 제5 부(2111e)는 배너 걸이봉(200)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2111b)는 배너 걸이봉(200)이 거치될 수 있도록 배너 걸이봉(200)의 일 외주면과 대응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4 부(2111d)는 배너 걸이봉(200)이 거치될 수 있도록 배너 걸이봉(200)의 타 외주면과 대응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3 부(2111c)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배너 걸이봉(200)이 상기 제2 부(2111b) 또는 상기 제4 부(2111d)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일 수 있다. 상기 제1 부(2111a)는 상기 제1 면(2116)의 상측면에서 상기 제2 부(2111b)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2111b)는 상기 제1 부(2111a)에서 상기 제3 부(2111c)로 하측 방향으로 상기 배너 걸이봉(200)의 일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 부(2111c)는 상기 제2 부(2111b)에서 상기 제4 부(2111d)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4 부 (2111d)는 상기 제3 부(2111c)에서 상기 제5 부(2111e)로 상측 방향으로 상기 배너 걸이봉(200)의 타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5 부(2111e)는 상기 제4 부(2111d)에서 상기 제1 면(2116)의 상측면으로 상측 방향으로 상기 제1 부(2111a)와 대응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거치부(2112)는 상기 제2 면(2117)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거치부(2112)는 상기 제1 거치부(111)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거치부(2112)는 상기 제1 거치부(2111)의 구성과 대응되도록, 제1 부 내지 제5 부(2112a 내지 2112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거치부(2112)의 제1 부 내지 제5 부(2112a 내지 2112e)는 상기 제1 거치부(2111)의 제1 부 내지 제5 부(2111a 내지 2111e)와 대응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브라켓(2120)은 제2-1 면(2121), 제2-2 면(2122), 제2-3 면(2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면(2121)은 상기 제2 브라켓(2120)의 상부일 수 있다. 상기 제2-1 면(2121)은 제1 브라켓(2110)의 제1 거치부(2111)의 상측 및 제2 거치부(2112)의 상측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제2-2 면(2122)은 상기 제2-1 면(2121)의 일측에 위치하여 지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2 면(2122)은 제1 브라켓(210)의 제1 거치부(2111) 중 삽입부에 해당하는 제1 부(2111a) 및 제5 부(2111e) 를 측면에서 덮을 수 있다. 상기 제2-3 면(2123)은 상기 제2-1 면(121)의 타측에 위치하여 지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2 면(2122)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3 면(2123)의 구성은 상기 제2-2 면(2122)의 구성과 동일 할 수 있고, 각 동일한 구성은 서로 대응하여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브라켓(2120)은 제1 걸이봉 지지부(2125) 및 제2 걸이봉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이봉 지지부(2125) 및 제2 걸이봉 지지부는 배너 걸이봉(200)이 제1 브라켓(2110)의 제1 거치부(2111) 및 제2 거치부(2112)에 거치되고 제2 브라켓(2120)이 닫히면 배너 걸이봉(200)을 지지하여 배너 걸이봉(200)의 수직방향의 이동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걸이봉 지지부(2125)는 제2-2 면(212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이봉 지지부(2125)는 제2-1 부 내지 제2-3 부(2125a 내지 2125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부(2125a)는 상기 제2-2 면(2122)의 일 외측단에서 타 외측단으로 수평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1 부(2125a)는 배너 걸이봉(200)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2 부(2125b)는 연장된 상기 제2-1 부(2125a)에서 하측 방향으로 상기 배너 걸이봉(200)의 일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2 부(125b)는 배너 걸이봉(200)의 일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3 부(2125c)는 하측으로 연장된 상기 제2-2 부(2125b)에서 제1 거치 보조부(2127)까지 수평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걸이봉 지지부는 상기 제2-3 면(212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걸이봉 지지부는 상기 제1 걸이봉 지지부(2125)의 구성과 동일하고, 상기 제2 걸이봉 지지부(2125)와 대응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브라켓(2120)은 제1 힌지축 결합리세스(2126) 및 제2 힌지축 결합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축 결합리세스(2126)는 제2-2 면(212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축 결합리세스(2126)는 힌지축(213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축(213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축 결합리세스(2126)는 상기 제1 걸이봉 지지부(2125)와 소정의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소정의 거리는 힌지축(2130)과 배너 거치대(2100)에 거치된 배너 걸이봉(200)과의 최단 거리일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축 결합리세스(2126)는 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축 결합리세스는 제2-3 면(212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축 결합리세스는 상기 제1 힌지축 결합리세스(2126)와 동일한 구성이고, 상기 제1 힌지축 결합리세스(2126)와 대응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브라켓(2120)은 제1 거치 보조부(2127) 및 제2 거치 보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거치 보조부(2127) 및 제2 거치 보조부는 제2 브라켓(2120)을 닫을 때 배너 걸이봉(200)을 밀면서 제1 브라켓(2110)의 제1 및 제2 거치부(2111, 2112)에 배너 걸이봉(200)이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거치 보조부(2127)는 상기 제2-2 면(212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거치 보조부(2127)는 상기 제1 걸이봉 지지부(2125)에서 상기 제2-2 면(2122)의 하단으로 제4 각도로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4 각도의 경사 방향은 배너 거치대(2100)의 측면 내측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 거치 보조부는 상기 제2-3면(212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거치 보조부는 상기 제1 거치 보조부(2127)와 동일한 구성이고, 상기 제1 거치 보조부(2127)와 대응하여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2130)의 일단은 제1 브라켓(2110)의 제1 힌지축 결합공(2113a) 및 제2 힌지축 결합공(2113b)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축(2130)은 제2 브라켓(2120)의 제1 힌지축 결합리세스(2126a) 및 제2 힌지축 결합리세스(2126b)를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축(2130)은 제2 브라켓(2120)의 제1 힌지축 결합리세스(2126a) 및 제2 힌지축 결합리세스(2126b)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2130)은 제1 암부(2160)의 힌지축 결합 리세스와 제2 암부(2170)의 힌지축 결합 리세스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2100)는 제1 암부(2160) 및 제2 암부(2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암부(2160)는 제2 브라켓(2120)의 제2-2 면(212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암부(2160)는 프레임부(2161), 어깨부(2162), 내훅부(2163), 외훅부(2164), 힌지축 결합부(21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2161)는 제2 브라켓(2120)의 제1 힌지축 결합리세스(2126)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1 걸이봉 지지부(2125)의 제2-2 부(2125b)와 대응하는 위치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걸이봉 지지부(2125)의 제2-2 부(2125b)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걸이봉 지지부(2125)의 제2-1 부(2125a)와 대응하는 위치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깨부(2162)는 상기 프레임부(216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 결합부(2165)는 상기 어깨부(2162)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 결합부(2165)는 홀 형상 또는 홈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홈 형상일 경우, 상기 제1 힌지축 결합부(2165)는 상기 어깨부(216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훅부(2163)는 상기 프레임부(2161)의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내훅부(2163)는 배너 걸이봉(200)의 일 외주면과 대응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외훅부(2164)는 상기 프레임부(2161)의 수평 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측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외훅부(2164)는 배너 걸이봉(200)의 타 외주면과 대응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암부(2170)는 제2 브라켓(2120)의 제2-3 면(212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암부(2170)는 상기 제1 암부(2160)와 동일한 구성이고, 상기 제1 암부(2160)와 대응하여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설치자는 배너(400)가 배너 거치대(2100)의 정면을 바라보도록 게양하기 위하여 제1 암부(2160)의 외훅부(2164)와 제2 암부(2170)의 외훅부가 배너 걸이봉(200)의 외주면에 각각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설치자는 배너(400)가 배너 거치대(2100)의 정면에서 좌측을 바라보도록 게양하기 위하여 제1 암부(2160)의 내훅부(2163)와 제2 암부(2170)의 외훅부(2174)가 배너 걸이봉(200)의 외주면에 각각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설치자는 배너 (400)가 배너 거치대(2100)의 정면에서 우측을 바라보도록 게양하기 위하여 제1 암부(2160)의 외훅부(2164)와 제2 암부(2170)의 내훅부가 배너 걸이봉(200)의 외주면에 각각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도 8 및 도 10를 참조하면, 도 8 및 도 10은 배너 거치대(2100)의 개폐 모습을 나타내는 일 예이다. 도 8은 배너 거치대(2100)가 열린 모습이고, 도 10은 배너 거치대(2100)가 닫힌 모습이다. 도 8에서 설치자는 제1 브라켓(2110)의 제1 거치부(2111) 및 제2 거치부(2112)에 배너 걸이봉(200)을 거치할 수 있다. 도 10에서 배너 거치대(2100)에 배너 걸이봉(200)이 거치되면, 제1 브라켓(2110)의 제1 거치부(2111)의 제2 부 (2111b)에 거치되게 된다. 이 경우, 제2 브라켓(2120)의 제1 걸이봉 지지부(2125)의 제2-2 부(2125b)와 제1 암부(2160)의 내훅부(2163)는 상기 배너 걸이봉(200)을 고정할 수 있다. 도 10에서 배너 걸이봉(200)이 거치된 상태에서 배너 거치대(2100)를 열기 위하여, 설치자는 제1 암부(2160)를 수직 방향으로 내린 후 배너 걸이봉(200)을 제1 브라켓(2110)의 제1 거치부(2111)의 제4 부(2111d)로 이동시킨 후 제2 브라켓(2120)의 날개부(2124)를 수직 방향으로 들어 올린 후 배너 걸이봉(200)을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는 배너의 설치, 교체, 제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는 배너의 설치, 교체, 제거의 작업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는 배너가 매달려있는 배너 걸이봉의 거치 또는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너 거치대는 배너의 게양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1100 2100 배너 거치대
110 제1 브라켓
111 112 거치부
113 힌지축 결합공
114 체결밴드 결합공
120 제2 브라켓
124 날개부
125 제1 걸이봉 지지부
126 제1 힌지축 결합리세스
127 제1 거치 보조부
130 힌지축
140 제1 덮개부
150 제2 덮개부
200 배너 걸이봉
310 320 고정링
400 배너
500 체결밴드
1160 제1 고정부
1170 제2 고정부
2160 2170 암부
2165 힌지축 결합부
A 힌지부

Claims (7)

  1. 배너 걸이봉에 매달린 배너를 게양하기 위해 지주에 설치되는 배너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배너 걸이봉이 거치되는 거치부, 힌지부에 힌지축 결합공를 포함하는 제1 브라켓;
    상기 힌지축 결합공을 관통하는 힌지축; 및
    상기 제1 브라켓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너 걸이봉을 지지하는 걸이봉 지지부 및 상기 힌지축이 결합하는 힌지축 결합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을 통해 상기 제1 브라켓과 축결합되어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개폐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이 닫히면 상기 배너 걸이봉이 고정되고,
    상기 거치부는, 제1 부 내지 제4 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는 상기 제4 부와 함께 상기 배너 걸이봉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3 부는 상기 배너 걸이봉이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배너 걸이봉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이고,
    상기 제2 부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배너 걸이봉이 상기 제3 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배너 거치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의 상면에서 연장된 날개부를 더 포함하는 배너 거치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배너 걸이봉에 고정링이 배치되는 배너 거치대.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은 거치 보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 보조부는 상기 제2 브라켓이 닫힐 때 상기 배너 걸이봉을 상기 제3 부로 밀어서 거치하는 배너 거치대.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걸이봉 지지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배너 거치대.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거치된 상기 배너 걸이봉의 수평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제1 암부 및 제2 암부를 포함하는 배너 거치대.
KR2020190000520U 2019-02-01 2019-02-01 배너 거치대 KR200490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520U KR200490242Y1 (ko) 2019-02-01 2019-02-01 배너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520U KR200490242Y1 (ko) 2019-02-01 2019-02-01 배너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242Y1 true KR200490242Y1 (ko) 2019-10-16

Family

ID=68381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520U KR200490242Y1 (ko) 2019-02-01 2019-02-01 배너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2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787B1 (ko) * 2020-04-17 2021-06-15 김학률 원스톱 배너 거치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0947332Y (zh) * 2006-08-24 2007-09-12 富山旗帜有限公司 宫灯宫灯旗帜固定座
KR200438975Y1 (ko) * 2006-11-03 2008-03-14 (주) 동산기획 배너광고용 클램프 장치
KR200440902Y1 (ko) 2007-09-10 2008-07-08 이영길 슬라이드 착탈식 배너 지지구
KR100870226B1 (ko) * 2008-05-23 2008-11-24 박미경 배너 고정 장치
KR20110019521A (ko) * 2009-08-20 2011-02-28 정연욱 가로등용 현수막 거치장치
KR20160001772U (ko) * 2014-11-17 2016-05-25 김태은 방향성이 있는 배너거치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0947332Y (zh) * 2006-08-24 2007-09-12 富山旗帜有限公司 宫灯宫灯旗帜固定座
KR200438975Y1 (ko) * 2006-11-03 2008-03-14 (주) 동산기획 배너광고용 클램프 장치
KR200440902Y1 (ko) 2007-09-10 2008-07-08 이영길 슬라이드 착탈식 배너 지지구
KR100870226B1 (ko) * 2008-05-23 2008-11-24 박미경 배너 고정 장치
KR20110019521A (ko) * 2009-08-20 2011-02-28 정연욱 가로등용 현수막 거치장치
KR20160001772U (ko) * 2014-11-17 2016-05-25 김태은 방향성이 있는 배너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787B1 (ko) * 2020-04-17 2021-06-15 김학률 원스톱 배너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8164B2 (ja) 容易に取り付け可能な照明器具および取付配置
KR100937904B1 (ko) 가로등용 배너걸이
CN210488783U (zh) 一种基于交通大数据分析的交通控制装置
KR200490242Y1 (ko) 배너 거치대
CN204153427U (zh) Led显示屏拼接吊架
US10816170B2 (en) Interface for cover plate
CN102298254A (zh) 隐藏式投影仪吊架
KR20110019521A (ko) 가로등용 현수막 거치장치
KR102229584B1 (ko) 광고 게시대
KR200440902Y1 (ko) 슬라이드 착탈식 배너 지지구
KR102264787B1 (ko) 원스톱 배너 거치대
CN209165212U (zh) 一种便于拆装的建筑施工用照明灯
CN101769497B (zh) 间接照明灯具罩装置
CN210291735U (zh) 一种便于拆装的水晶玻璃灯座的防尘装置
CN209508853U (zh) 一种交通信号灯以及照明灯安装用组合杆体
CN103851553A (zh) 吊灯及其灯壳
CN2502436Y (zh) 电缆桥架的防震吊架
CN206656313U (zh) 一种面板灯安装支架及直下式led面板灯
CN210567837U (zh) 一种具有多种安装结构的庭园灯
CN211551402U (zh) 一种园林用喷气式防虫路灯
CN219433191U (zh) 一种用于led路灯灯杆检修口内壁的安装支架
KR200471391Y1 (ko) 탈·부착이 가능한 현수막 걸이대
CN211624781U (zh) 一种高空悬挂式广告屏
KR200320134Y1 (ko) 배너 장착 장치
CN214700423U (zh) 一种可以调节角度的灯具接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