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219Y1 - Buffing stopper apparatus for window - Google Patents
Buffing stopper apparatus for window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0219Y1 KR200490219Y1 KR2020180000531U KR20180000531U KR200490219Y1 KR 200490219 Y1 KR200490219 Y1 KR 200490219Y1 KR 2020180000531 U KR2020180000531 U KR 2020180000531U KR 20180000531 U KR20180000531 U KR 20180000531U KR 200490219 Y1 KR200490219 Y1 KR 20049021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main body
- window
- buffer stopper
- stopper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는 창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제1 레일에 장착되고, 창짝에서 상기 제1 레일을 향하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관통된 한 쌍의 조립홀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조립홀을 통해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조립되며, 상기 제1 레일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본체를 상기 제1 레일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ffer stopper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The main body including a pair of assembling holes mounted to a first rail provided in the window frame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window frame and penetrating in a first direction in a direction from the window toward the first rail, and the assembling The fitting is detachably fitted to the main body through a hole, and includes a fastener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first rail to fix the main body to the first rail.
Description
본 고안은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ffer stopper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창호는 창틀과 창틀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창짝을 포함한다. 그리고, 한 쌍의 창짝이 중첩되는 여밈대 부분에는 창짝의 개폐를 제한하는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In general, the sliding window comprises a window frame and a window slid sliding along the rail provided in the window frame. In addition, a locking device for restri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indow is installed at the portion of the fastening overlapping the pair of windows.
이러한 슬라이딩 창호에서, 창짝의 개방 시에 잠금장치가 창틀의 수직프레임의 내주면에 부딪히면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고, 이때의 충격에 의해 잠금장치와 창틀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In such sliding windows, noise may occur while the locking device strike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of the window frame when the window is open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cking device and the window frame are damaged by the impac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레일의 일측 단부에 완충 역할을 하는 스토퍼를 설치하여, 창짝이 개방되었을때 스토퍼에 의해 창짝의 개방을 제한하여 잠금장치가 창틀의 내주면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topper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rail to prevent the locking device from colliding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ow frame by limiting the opening of the window when the window is opened.
도 1에는 종래 슬라이딩 창호의 완충 기능을 하는 스토퍼가 도시된다. 1 shows a stopper functioning as a buffer of a conventional sliding window.
종래 스토퍼(20)는 창틀(10)의 수평프레임(11)에 형성된 레일(12)과 수직프레임(13)에 형성된 레일(14)에 끼움 결합되고, 스토퍼(20)에 형성된 체결홀(21)에 스크류(23)가 끼워져서 레일(12)에 스토퍼(20)를 고정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때 레일(12)의 반원형의 돌기에 스크류(23)가 조립하고 스크류(23) 머리를 캡(미도시)으로 마감한다. The
그런데, 종래 스토퍼(20)의 고정방식에 의하면 고정작업 시에 스크류(23)의 고정공수 및 마감캡의 조립공수가 더해져서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창틀(10)에 스토퍼(20)를 조립한 후 스토퍼(20)의 위치를 이동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By the way,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fixing method of the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성과 시공성이 향상되고 창틀에 탈착이 용이한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ffer stopper device of a window and door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installability, and easy to detach the window fr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는 창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제1 레일에 장착되고, 창짝에서 상기 제1 레일을 향하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관통된 한 쌍의 조립홀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조립홀을 통해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조립되며, 상기 제1 레일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본체를 상기 제1 레일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uffer stopper device of the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the first rail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window frame, a pair of penetrating in the first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from the window toward the first rail It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n assembly hole and detachably fitted to the main body through the assembly hole, and a fastener for pressing the first rail elastically to fix the main body to the first rail.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를 이용하면 종래 스크류 고정공수와 스크류의 마감캡 조립공수가 생략되고, 현장에서 별도의 공구 없이 고정구를 본체에 끼움 조립하므로 조립성과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Conventional screw using the buffer stopper device of the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work of the fixing cap and the screw cap is omitted, and assembling the fixture into the main body without a separate tool in the field can be improved assembly and construction.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고정구가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조립되므로, 조립 후에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고, 교체 등을 위해 완충 스토퍼장치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구의 레일에 대한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astener is detachably fitted to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move the position after assembly and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shock absorber device for replacement or the like. In addition, the fixing force to the rail of the fastener can be increased.
도 1은 종래 스토퍼가 창틀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가 창틀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의 분해사시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의 본체에 고정구가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탄성누름부가 눌려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stopper is assembled to a window frame.
Figure 2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ffer stopper device of the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window fram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buffer stopper device of the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the fixture to the body of the buffer stopper device of the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ffer stopper device of the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buffer stopper device of the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pressing portion is pressed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인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고안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Firs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suitable embodiments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buffer stopper device of the window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or appli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100)는 본체(200)와 고정구(300)를 포함한다. 2 to 5, the
본체(200)는 창틀(10)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제1 레일(12)에 장착되고, 창짝에서 제1 레일(12)을 향하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관통된 한 쌍의 조립홀(231)을 포함한다. The
구체적으로 창틀(10)은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3)을 포함한다. 수평프레임(11)에는 수평 방향의 레일인 제1 레일(12)이 돌출되며 수직프레임(13)에는 수직 방향의 레일인 제2 레일(14)이 돌출된다. 창짝은 제1 레일(1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개폐될 수 있다. In detail, the
여기서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100)는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3)이 만나는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200)는 제1 레일(12)이 삽입되는 제1 레일장착홈(210)과 제2 레일(14)이 삽입되는 제2 레일장착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창짝에서 제1 레일(12)을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정의하고(도 7의 A 방향 참조), 제1 방향에 수직하면서 제1 레일(12)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즉, 제2 방향은 제1 레일장착홈(210)으로부터 실내와 실외를 향하는 양측 방향일 수 있다.(도 7의 B 방향 참조).Here, the
본체(200)에 구비된 조립홀(231)은 제1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립홀(231)은 본체(200)의 상면과 제1 레일(12)에 연통되게 길게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이 이격 및 대칭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고정구(300)는 조립홀(231)을 통해 본체(20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며, 제1 레일(12)과의 결합 시에 제1 레일(12)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본체(200)를 제1 레일(12)에 고정한다.Fixture 300 is It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즉,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300)는 종래 스크류 체결방식이 아닌, 조립홀(231)을 통해 본체(200)에 끼움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레일(12)과의 결합 시에 제1 레일(12)을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본체(200)를 제1 레일(12)에 고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100)를 이용하면, 종래 스크류 고정공수와 스크류의 마감캡 조립공수가 생략되고, 현장에서 별도의 공구 없이 고정구(300)를 본체(200)에 끼움 조립하므로 조립성과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using the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고정구(300)가 본체(200)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조립되므로, 조립 후에 완충 스토퍼장치(1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고, 교체 등을 위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한편, 고정구(300)는 탄성누름부(310)와 삽입부(330) 및 고정편(350)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탄성누름부(310)는 본체(200)의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면에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elastic
또한, 삽입부(330)는 탄성누름부(310)의 양측에서 제1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조립홀(231)에 삽입되며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누름부(310)는 수평방향으로 마련되고, 삽입부(330)는 탄성누름부(310)의 단부에서 꺽여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누름부(310)와 삽입부(330)를 연결하는 절곡된 부분에서 탄성력이 발생될 수 있다. 삽입부(330)는 조립홀(231)에 대응되게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조립홀(231)은 레일을 향하는 방향의 수직방향인 제2 방향의 내측면(231a)이 제1 방향으로 갈수록 제2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홀의 내측면(231a)은 제1 방향으로 갈수록 약 1도 정도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나, 각도는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고정구(300)를 본체(200)에 조립 시에 삽입부(330)가 조립홀(23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The
고정편(350)은 삽입부(330)의 제1 방향을 향하는 방향의 단부에 구비되고, 제1 레일(12)을 양측에서 탄성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The
더욱 구체적으로, 고정편(350)은 삽입부(330)의 제1 방향의 단부에서 삽입부(330)와 예각을 이루면서 꺽임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삽입부(330)와 고정편(350)의 꺽인 부분에서 탄성력이 발생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구체적으로, 삽입부(330)와 고정편(350)은 소정 각도를 이루며 꺽임 형성되고, 고정구(300)가 본체(200)에 끼워지면 제1 레일(12)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편(350)과 삽입부(330)가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고, 원래 각도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에 의해 고정편(350)이 제1 레일(12)을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구(300)는 한 쌍의 고정편(350)이 제1 레일(12)의 양측에서 탄성 가압함으로써 고정력이 증대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또한, 고정편(350)은 제1 레일(12)과 접촉되는 고정편(350)의 끝단에 복수의 고정돌기(35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돌기(351)는 고정편(350)의 단부에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돌기(351)에 의해 제1 레일(12)에 대한 고정구(300)의 고정력이 증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고정구(300)를 이루는 탄성누름부(310)와 삽입부(330)와 고정편(350)은 하나의 부재를 꺽임형 구조를 가진 클립 형태로 형성하고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고정구(300)는 탄성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 SUS 등의 금속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elastic
한편,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체(200)는 탄성누름부(310)가 안착되는 조립면(233)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면(233)은 본체(200)에서 창짝을 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조립홀(231)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조립면(233)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탄성누름부(310)의 형상에 대응되게 요입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탄성누름부(310)가 안착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3 and 6, the
탄성누름부(310)는 제1 방향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만곡된 곡면으로 이루어져 조립면(233)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The elastic
즉, 도 6을 참조하면 탄성누름부(310)는 고정구(300)가 본체(200)에 조립된 상태에서 중심부를 중심으로 조립면(233)에 이격되어, 조립면(233)과 탄성누름부(310)의 하면 사이에 소정간격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referring to FIG. 6, the elastic
또한, 고정구(300)는 본체(200)에 조립된 상태에서 탄성누름부(310)의 누름 동작에 의해 한 쌍의 삽입부(330)가 서로 이격되게 벌어지면서, 고정편(350)이 제1 레일(12)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감소되고, 탄성누름부(310)의 누름 동작이 해제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고정편(350)의 제1 레일(12)에 대한 가압력이 복원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구체적으로, 도 6과 같이 본체(200)를 제1 레일(12)에 끼우고 고정구(300)를 조립홀(231)에 끼움결합하면, 고정구(300)가 제1 레일(12)을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본체(200)를 제1 레일(12)에 고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when the
이와 같이 조립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탄성누름부(310)를 A 방향으로 누르면, 탄성누름부(310)의 만곡된 곡면이 눌리는 힘에 의해 한 쌍의 삽입부(330)가 제1 레일(12)에 멀어지는 제2 방향(B)으로 벌어질 수 있다. 이때 삽입부(330)의 외측면은 조립홀(231)의 내측면(231a)에 접촉된다. In the assembled state, as shown in FIG. 7,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elastic
한 쌍의 삽입부(330)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고정편(350)이 제1 레일(12)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구(300)가 제1 레일(12)의 양측면을 파지하는 고정력이 감소되어, 본체(200)를 이동 및 분리시키기 용이해질 수 있다. As the pair of
따라서, 고정구(300)를 조립하여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100)를 창틀(10)에 조립한 후에도, 완충 스토퍼장치(100)의 위치를 이동시켜서 정확한 위치나 원하는 위치에 조립할 수 있다. Therefore, even after assembling the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체(200)는 안착홈(252)과 걸림돌기(2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안착홈(252)은 조립홀(231)에 구비되며 삽입부(330)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다. 걸림돌기(251)는 안착홈(252)에서 제1 레일(12) 방향으로 상향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안착홈(252)은 탄성누름부(310)의 누름 동작 시에 삽입부(330)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고, 걸림돌기(251)는 삽입부(330)의 단부가 안착홈(252)에 안착되면 고정편(350)을 제2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The mounting
즉, 고정구(300)는 도 6과 같이 본체(200)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삽입부(330)의 제1 방향 단부가 안착홈(252)의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고, 걸림돌기(251)는 고정편(350)을 가압하지 않을 수 있다. 이 후 도 7과 같이 탄성누름부(310)를 A 방향으로 누르면 삽입부(330)가 벌어지면서 삽입부(330)의 제1 방향의 단부가 안착홈(252)에 삽입 및 안착될 수 있다. 이때 고정편(350)은 걸림돌기(251)에 의해 제2 방향으로 가압되어 삽입부(330)와 이루는 꺽임 각도가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편(350)의 끝단이 제1 레일(12)을 가압함으로써 발생하는 고정력이 저하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또한, 탄성누름부(310)에 대한 A 방향의 누름동작이 해제되면, 삽입부(330)와 고정편(350)이 원래 각도로 돌아가려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삽입부(330)가 도 6에 도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편(350)의 제1 레일(12)에 대한 고정력이 복원되고 탄성누름부(310)도 만곡된 형태로 복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ressing operation in the A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lastic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체(200)는 창틀(10)의 수직방향의 레일인 제2 레일(14)이 삽입되고, 제2 레일(14)과 접촉되는 내측면에 복수의 결합돌기(221)가 돌출 형성된 제2 레일장착홈(220)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5, the
이러한 결합돌기(221)에 의해 제2 레일장착홈(220)의 내측면과 제2 레일(14) 사이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완충 스토퍼장치(100)와 창틀(10)의 고정력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By the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를 이용하면, 종래 방식에서의 스크류 고정공수와 스크류의 마감캡 조립공수가 생략되고, 현장에서 별도의 공구 없이 고정구를 본체에 끼움 조립하므로 조립성과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buffer stopper device of the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screw fixing work and the finishing cap assembling work of the screw are omitted in the conventional method, and assembling the fastener into the main body without a separate tool in the field improves assembly and constructability Can be.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고정구가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조립되므로, 조립 후에 완충 스토퍼장치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고, 교체 등을 위해 완충 스토퍼장치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astener is detachably fitted to the main body, the position of the shock absorbing stopper device can be moved after assembly, and the separation of the shock absorbing stopper device can be facilitated for replacement.
또한, 고정편의 탄성력과 고정돌기에 의해, 고정구의 제1 레일에 대한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force to the first rail of the fastener can be increased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fixing piece.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As mentioned above,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ut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those described in the clai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0: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 200: 본체
210: 제1 레일장착홈 220: 제2 레일장착홈
221: 결합돌기 231: 조립홀
231a: 조립홀의 내측면 233: 조립면
251: 걸림돌기 252: 안착홈
300: 고정구 310: 탄성누름부
330: 삽입부 350: 고정편
351: 고정돌기 10: 창틀
11: 수평프레임 12: 제1 레일
13: 수직프레임 14: 제2 레일100: buffer stopper device 200: main body
210: first rail mounting groove 220: second rail mounting groove
221: engaging projection 231: assembly hole
231a: inner surface of the assembly hole 233: assembly surface
251: protrusion 252: seating groove
300: fixture 310: elastic pressing portion
330: inserting portion 350: fixed piece
351: fixed protrusion 10: window frame
11: horizontal frame 12: first rail
13: vertical frame 14: second rail
Claims (10)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되, 상기 조립홀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삽입 관통되어 끼움 조립되며 상기 본체의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면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레일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본체를 상기 제1 레일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A main body mounted on a first rail provided in the window frame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main body including a pair of assembling holes penetrating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from the window toward the first rail;
Removably assembled to the main body, inserted into the assembly hole in the first direction to be fitted and assembled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main body fac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rail A buffer stopper device for a window and door comprising a fixture for pressing the elastically to fix the main body to the first rail.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레일이 삽입되고, 상기 조립홀과 연통되는 제1 레일장착홈을 포함하는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is a buffer stopper device of the window and comprises a first rail mounting groove is inserted into the first rail, the communication hole and the assembling hole.
상기 고정구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면에 노출되게 구비되는 탄성누름부;
상기 탄성누름부의 양측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상기 조립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는 방향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레일을 양측에서 탄성적으로 파지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ixture
An elastic pressing part provided to be exposed to a surface of the main body fac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direction;
A pair of insertion portions bent in the first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assembly holes at both sides of the elastic pressing portion,
A buffer stopper device for a window and door comprising a fixing piece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in a direction facing the first direction, and holding the first rail elastically on both sides.
상기 고정편은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서 절곡되고, 상기 제1 레일과 접촉되는 상기 고정편의 끝단에 복수의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fixing piece is bent at the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the buffer stopper device of the window and the plurality of fixing projections protruding to the end of the fixing piece in contact with the first rail.
상기 본체는 상기 탄성누름부가 안착되는 조립면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누름부는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만곡된 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조립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조립되는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main body includes an assembly surface on which the elastic pressing portion is seated,
The elastic pressing portion is a buffer stopper device of the window door is composed of a curved surfac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direction is assembl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assembly surfac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고정구는 상기 본체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누름부의 누름 동작에 의해 한 쌍의 상기 삽입부가 서로 이격되게 벌어지면서, 상기 고정편이 상기 제1 레일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감소되고, 상기 탄성누름부의 누름 동작이 해제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편의 상기 제1 레일에 대한 가압력이 복원되는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The method of claim 5,
As the fastener is assembled to the main body by a pressing operation of the elastic pressing portion of the pair of the insertion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ressing force to press the first rail is reduced, the pressing of the elastic pressing portion The buffer stopper device of the window and door when the operation is releas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o restore the pressing force on the first rail of the fixing piece.
상기 본체는
상기 조립홀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의 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향 단차지게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main body
A seating groove provided in the assembly hole and at which an end of the insertion part is seated;
A buffer stopper device of a window and door comprising a locking projection formed to be stepped upward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seating groove.
상기 본체는
상기 조립홀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누름부의 누름 동작 시에 상기 삽입부의 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향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단부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면 상기 고정편을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면서 상기 제1 레일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가압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The method of claim 6,
The main body
A seating groove provided in the assembly hole and configured to seat an end of the insertion part when the elastic pressing part is pressed;
It is formed to be stepped upward from the seating groove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is pressed in the second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rail while being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buffer stopper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comprising a locking projection.
상기 조립홀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면서 상기 제1 레일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제2 방향의 내측면이, 상기 제1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2 방향으로 경사지는,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said assembly hole is a buffer stopper apparatus of the window whic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2nd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away from a said 1st rail perpendicular to a said 1st direction inclines in a said 2nd direction toward a said 1st direction.
상기 본체는, 상기 창틀의 수직방향의 레일인 제2 레일이 삽입되고, 상기 제2 레일과 접촉되는 내측면에 복수의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제2 레일장착홈을 포함하는,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is a buffer stopper device of the window, including a second rail mounting groove in which a second rail, which is a rai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window frame, is inserted, and has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protruding from an inner side thereof in contact with the second rail.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0531U KR200490219Y1 (en) | 2018-02-02 | 2018-02-02 | Buffing stopper apparatus for window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0531U KR200490219Y1 (en) | 2018-02-02 | 2018-02-02 | Buffing stopper apparatus for window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2051U KR20190002051U (en) | 2019-08-12 |
KR200490219Y1 true KR200490219Y1 (en) | 2019-10-14 |
Family
ID=67585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0531U KR200490219Y1 (en) | 2018-02-02 | 2018-02-02 | Buffing stopper apparatus for window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0219Y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6032B1 (en) | 2019-12-24 | 2020-09-15 |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 Window Stopper |
KR102406847B1 (en) | 2022-01-21 | 2022-06-10 | 주식회사 퍼넥스이노베이션 | Guide rail stopper for sliding windows and doors |
KR102669238B1 (en) | 2023-09-01 | 2024-05-23 | 나승식 | Window frame stopper with insulation function |
KR20240117769A (en) | 2023-01-26 | 2024-08-02 | 배수효 | Stopper for windows and door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89903B1 (en) | 2021-11-05 | 2024-07-31 | 민현승 | Rail stopper for window |
KR102689902B1 (en) | 2021-11-05 | 2024-07-31 | 민현승 | Rail stopper for window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4795Y1 (en) | 2015-08-25 | 2017-10-25 | 이석춘 | Stoper for window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949Y2 (en) * | 1988-03-11 | 1994-02-02 | 吉田工業株式会社 | Stopper device for doors, shoji, etc. in the opening frame |
JP3149626U (en) * | 2009-01-23 | 2009-04-02 | 炳炎 陳 | Window fixture |
KR102041005B1 (en) * | 2016-02-24 | 2019-11-05 | (주)엘지하우시스 | Rail stopper for sliding window |
-
2018
- 2018-02-02 KR KR2020180000531U patent/KR200490219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4795Y1 (en) | 2015-08-25 | 2017-10-25 | 이석춘 | Stoper for window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6032B1 (en) | 2019-12-24 | 2020-09-15 |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 Window Stopper |
KR102406847B1 (en) | 2022-01-21 | 2022-06-10 | 주식회사 퍼넥스이노베이션 | Guide rail stopper for sliding windows and doors |
KR20240117769A (en) | 2023-01-26 | 2024-08-02 | 배수효 | Stopper for windows and doors |
KR102669238B1 (en) | 2023-09-01 | 2024-05-23 | 나승식 | Window frame stopper with insulation fun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2051U (en) | 2019-08-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90219Y1 (en) | Buffing stopper apparatus for window | |
KR101641021B1 (en) | Apparatus for locking windows and doors | |
KR102177820B1 (en) | Clip fixing type stopper for finishing window frame | |
US20080236095A1 (en) | Door frame system | |
KR101738584B1 (en) | Door stopper with shock absorber | |
KR102328976B1 (en) | Guide stopper for windows and doors | |
JP5085884B2 (en) | Cover frame and joinery | |
US6035488A (en) | Vehicle sliding door stopper having concavities formed therein | |
KR100989505B1 (en) | door frame | |
KR101936047B1 (en) | Door frame assembly structure of door frame | |
KR102536377B1 (en) | Spring gasket for door frame with airtight function | |
JP6831076B2 (en) | Joinery | |
KR200451315Y1 (en) | Door safety device | |
KR101987845B1 (en) | Windshield stopper for window | |
JP6704835B2 (en) | Joinery | |
JPH0227115Y2 (en) | ||
JP3946801B2 (en) | Adjustment strike | |
KR102689902B1 (en) | Rail stopper for window | |
JP5016536B2 (en) | Door to door | |
KR100444891B1 (en) | Sliding door | |
JP6013219B2 (en) | Joinery | |
KR102274768B1 (en) | sliding window | |
JP4805209B2 (en) | sliding door | |
JPH09268846A (en) | Sheet glass body holding member, and sheet glass body | |
JP2528427Y2 (en) | Screen do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