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660Y1 - 퍼팅연습기 - Google Patents

퍼팅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660Y1
KR200489660Y1 KR2020180000950U KR20180000950U KR200489660Y1 KR 200489660 Y1 KR200489660 Y1 KR 200489660Y1 KR 2020180000950 U KR2020180000950 U KR 2020180000950U KR 20180000950 U KR20180000950 U KR 20180000950U KR 200489660 Y1 KR200489660 Y1 KR 2004896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utting
hole
ball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9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희
Original Assignee
김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희 filed Critical 김순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6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6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퍼팅연습기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는, 홀컵 규격의 면적을 갖는 원판 형상의 본체와, 본체의 중심부에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골프용 티를 끼움공에 꽂아 지면으로부터 티의 길이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르면, 구조가 간결하고 두께가 얇아서 휴대하기 용이하고, 실내 또는 실외에서 퍼팅연습이 가능하다.
잔디밭에서는 티를 꽂아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공을 퍼팅시켜 본체와 지면 사이에 공이 끼이면 홀인으로 간주될 수 있고, 실내에서는 바닥에 본체를 올려놓되 하부면이 위를 향하도록 하여 배치한 후 공을 퍼팅시켜 유도홈에 진입하여 공이 휘면서 통과하면서 홀인으로 간주될 수 있어 퍼팅 연습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퍼팅연습기{Putting Exerciser}
개시되는 내용은 퍼팅연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퍼팅 감각을 연마하기 위해 평지나 잔디위에 홀컵 대체부재를 배치해두고 퍼팅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퍼팅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골프는 실외 경기로서 잔디 위에서 홀컵에 단시간에 공을 넣어 승부를 가리는 운동이다.
홀컵에 볼을 넣는 동작을 퍼팅이라 하는데 퍼팅은 작은 힘으로 공을 타격하여, 공이 굴러서 홀컵에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퍼팅은 매우 쉬운 동작이지만 지면의 형상과 홀컵과 공 간의 거리 등을 고려해보면 거리가 멀수록 성공확률이 낮아진다.
따라서 골퍼는 마지막 퍼팅에서 집중력과 타격감각을 익히기 위해 많은 퍼팅연습을 하여야 한다.
이에 퍼팅만 집중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퍼팅연습장치가 출시된 바 있다.
종래 퍼팅연습장치는 대략 2~6mm의 길이를 갖는 인조잔디매트 상에 홀컵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퍼팅연습장치는 반드시 인조잔디매트라는 부속물등이 있어야만 하고, 그에 따른 또 다른 부속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커서 휴대하기가 불편하며 가격적인 면에서도 고가인 단점이 있다.
특히 후자의 종래의 퍼팅연습장치는 오직 부속된 인조잔디매트상에서만 홀컵의 직경을 줄인다든지 하는 보다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여 연습이 가능하지만 실제 잔디그린상에서는 규정된 직경을 가지는 홀컵이 바닥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의 인조잔디매트상에서와 같은 엄격한 기준을 인위적으로 변경하면서 연습하기가 전혀 불가능하여 실전에서의 퍼팅 방향성에 대한 감각의 연습에는 절대 부적당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 20-0421731호에는 퍼팅 연습용 홀컵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퍼팅연습기는 부피가 커서 휴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개시되는 내용은 구조가 간결하고 두께가 얇아서 휴대하기 용이하고, 실내 또는 실외에서 퍼팅연습이 가능하도록 한 퍼팅연습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는, 홀컵 규격의 면적을 갖는 원판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심부에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골프용 티를 상기 끼움공에 꽂아 지면으로부터 티의 길이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한 퍼팅연습기에 의해 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상부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하부면은 중심부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면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실내 바닥에서는 하부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는 공의 진입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홈이 원주방향으로 다수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도홈은 본체의 하부면을 일정 깊이로 요입시켜 본체의 끝단부와 통하도록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의 끝단부로 갈수록 유도홈의 폭이 넓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가 간결하고 두께가 얇아서 휴대하기 용이하고, 실내 또는 실외에서 퍼팅연습이 가능하다.
즉, 잔디밭에서는 티를 꽂아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공을 퍼팅시켜 본체와 지면 사이에 공이 끼이면 홀인으로 간주될 수 있고, 실내에서는 바닥에 본체를 올려놓되 하부면이 위를 향하도록 하여 배치한 후 공을 퍼팅시켜 유도홈에 진입하여 공이 휘면서 통과하면서 홀인으로 간주될 수 있어 퍼팅 연습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퍼팅연습기의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퍼팅연습기를 밑에서 올려다 본 배면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퍼팅연습기의 측단면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퍼팅연습기를 잔디에서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퍼팅연습기를 실내에서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퍼팅연습기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퍼팅연습기의 보관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퍼팅연습기의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퍼팅연습기를 밑에서 올려다 본 배면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퍼팅연습기의 측단면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퍼팅연습기를 잔디에서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퍼팅연습기를 실내에서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퍼팅연습기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퍼팅연습기의 보관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퍼팅연습기(A)는, 홀컵 규격의 면적을 갖는 원판 형상의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중심부에는 끼움공(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는 원판 형상이되 상부면(22)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하부면(24)은 중심부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면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의 하부면(24)에는 공(6)의 진입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홈(5)이 원주방향으로 다수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유도홈(5)은 본체(2)의 하부면(24)을 일정 깊이로 요입시켜 본체(2)의 끝단부와 통하도록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2)의 중심부에서 끝단부로 갈수록 유도홈(5)의 폭이 넓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유도홈(5)은 대향되게 양측에 형성된 사선부(52)와, 양측 사선부(52)를 연결하는 원호형상의 호형부(54)로 구성되어 대략 부채꼴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도홈(5)의 호형부(54)는 본체(2)의 중심부에 근접된 부위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골프용 티(7)를 본체(2)의 끼움공(4)에 꽂은 후 티(7)의 하부를 지면에 꽂아 고정시킨다.
따라서 본체(2)는 티(7)의 길이만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티(7)의 길이는 대략 공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으므로 공(6)이 본체(2)에 정확하게 근접되면 본체(2)의 하부면(24)과 지면 사이에 끼이게 된다.
이 경우를 컨시드(Concede)로 간주하게 된다.
골프용 티(7)를 사용하는 경우는 잔디에서 주로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며, 잔디 지면보다 본체(2)가 이격된 상태가 됨으로써 공(6)이 정확하게 홀컵을 향하게 되면 더이상 굴러가지 않고 본체(2)와 지면 사이에 끼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본체(2)의 일측에 통공(6)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6)에 수납고리(8)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수납고리(8)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링이거나 또는 후크일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체(2)의 크기가 커서 주머니에 넣기 부담스러운 경우 수납고리(8)를 달아서 허리벨트에 착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해진다.
한편 다른 사용예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골프용 티(7)를 제거한 상태로 실내 바닥에 본체(2)의 평평한 상부면(22)이 접촉되도록 뒤집어서 안착시켜 하부면(24)이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한다.
일정 거리에서 퍼팅하면, 공(6)이 직선형태로 본체(2)에 접근한 후 유도홈(5)을 타고 이동하되 사선부(52)를 따라 궤적이 변하다가 호형부(54)에서 휘어지도록 유도된다.
물론 공(6)의 속도가 빠르다면 유도홈(5)에 영향을 받지않고 본체(2)를 통과하게 될 것이다.
이런 경우는 힘이 너무 강해서 홀컵과 방향은 일치되었지만 홀컵에 충돌한 후 튕겨 나간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유도홈(5)에 영향을 받아 궤적이 휘어진 경우에만 적절한 힘과 방향이 적절했다고 판단하여 이를 컨시드(Concede)로 간주하게 되며 이를 통해 퍼팅 연습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퍼팅연습기(A,A')을 각기 상반되게 배치하고, 2개의 퍼팅연습기(A,A')의 각각의 본체(2)의 끼움공(4)에 관통하여 골프용 티(7)를 끼워 하부의 퍼팅연습기를 지면에 안착시킨다.
따라서 상,하부에 2개의 퍼팅연습기(A,A')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공(6)이 2개의 퍼팅연습기(A,A') 사이에 끼이게 되면 홀인으로 간주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의 일측에는 관통홀(29)이 형성되고, 관통홀(29)에 카라비너와 같은 고리(28)를 연결하고, 이 고리(28)를 가방(B)에 걸어 보관할 수 있어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본체 4 : 끼움공
5 : 유도홈 7 : 골프용 티
22 : 상부면 24 : 하부면

Claims (5)

  1. 홀컵 규격의 면적을 갖는 원판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중심부에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골프용 티를 상기 끼움공에 꽂아 지면으로부터 상기 골프용 티의 길이만큼 이격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본체는
    상부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하부면은 중심부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면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실내 바닥에서는 골프용 티를 제거하고 하부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바닥에 안착시켜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는 공의 진입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홈이 원주방향으로 다수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유도홈은 본체의 하부면을 일정 깊이로 요입시켜 본체의 끝단부와 통하도록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의 끝단부로 갈수록 유도홈의 폭이 넓게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유도홈은, 대향되게 양측에 형성된 사선부와, 상기 양측 사선부를 연결하는 원호형상의 호형부로 구성되며,
    상기 호형부는 본체의 중심부에 근접된 부위에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연습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80000950U 2018-02-09 2018-03-05 퍼팅연습기 KR20048966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0643 2018-02-09
KR2020180000643 2018-0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660Y1 true KR200489660Y1 (ko) 2019-07-19

Family

ID=67439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950U KR200489660Y1 (ko) 2018-02-09 2018-03-05 퍼팅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660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1922A (en) * 1986-03-10 1987-09-08 Peel Robert M Golf practice device
KR920002162A (ko) * 1990-07-20 1992-02-28 크사바 키스, 아띨라 만디 고형 제약 조성물
JP2585920Y2 (ja) * 1992-12-28 1998-11-25 三愛化成商事株式会社 ゴルフパット練習用代用ホール具
US6595864B2 (en) * 2001-06-19 2003-07-22 Ernest Fuller Putting practice device
JP3116394U (ja) * 2005-06-28 2005-12-08 株式会社シロトリ ゴルフのパター・アプローチ練習用ターゲット
KR100903733B1 (ko) * 2007-11-11 2009-06-19 김진우 골프 퍼팅 연습용 라인홀
KR20130135453A (ko) * 2012-06-01 2013-12-11 주식회사 포디존 감지기능이 구비된 홀컵 및 홀컵이 구비된 골프 퍼팅 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1922A (en) * 1986-03-10 1987-09-08 Peel Robert M Golf practice device
KR920002162A (ko) * 1990-07-20 1992-02-28 크사바 키스, 아띨라 만디 고형 제약 조성물
JP2585920Y2 (ja) * 1992-12-28 1998-11-25 三愛化成商事株式会社 ゴルフパット練習用代用ホール具
US6595864B2 (en) * 2001-06-19 2003-07-22 Ernest Fuller Putting practice device
JP3116394U (ja) * 2005-06-28 2005-12-08 株式会社シロトリ ゴルフのパター・アプローチ練習用ターゲット
KR100903733B1 (ko) * 2007-11-11 2009-06-19 김진우 골프 퍼팅 연습용 라인홀
KR20130135453A (ko) * 2012-06-01 2013-12-11 주식회사 포디존 감지기능이 구비된 홀컵 및 홀컵이 구비된 골프 퍼팅 연습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2585920 UR
JP3116394 UR
공개의장공보 92-2162호 (1997.8.12. 공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8263B2 (en) Golf tee set
US5613678A (en) Apparatus for projecting an object such as a ball
US5971863A (en) Putting touch trainer
US6053822A (en) Golf tee
US5492323A (en) Ball support specially designed for golf practice
US5913737A (en) Golf tee setting device
JPH0919523A (ja) 調整可能なゴルフティー
US6780119B1 (en) Golf putter attachment
KR19980033167A (ko) 골프 티 고정장치
US9259635B2 (en) Portable golf training system
EP1894607B1 (en) Golf tee set
US20060019764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20050026726A1 (en) Golf tee with a height adjustment device
US5759118A (en) Golf tee with crown-shaped head
KR200489660Y1 (ko) 퍼팅연습기
US20090253536A1 (en) Height Adjustable Golf Tee
KR100577053B1 (ko) 골프 티
KR102388088B1 (ko) 골프 퍼팅 장치
US20240165476A1 (en) Baseball and softball fielding mat device
US20100173730A1 (en) Adjustable golf tee
US5013042A (en)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US6726574B2 (en) Device for golf practice
GB2524234A (en) A golf tee
US5449176A (en) Golf training device
KR101924544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볼마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