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554Y1 - 아동용 운동 복합 시설 - Google Patents

아동용 운동 복합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554Y1
KR200489554Y1 KR2020190000863U KR20190000863U KR200489554Y1 KR 200489554 Y1 KR200489554 Y1 KR 200489554Y1 KR 2020190000863 U KR2020190000863 U KR 2020190000863U KR 20190000863 U KR20190000863 U KR 20190000863U KR 200489554 Y1 KR200489554 Y1 KR 2004895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 performing
space structure
partition walls
motion
struc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임서영영재교육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임서영영재교육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임서영영재교육연구소
Priority to KR2020190000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5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5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554Y1/ko
Priority to CN201921219658.6U priority patent/CN211132901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4Gymnasiums; Other sporting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동 복합 시설, 특히 아동용 운동 복합 시설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격벽들로 구획된 다수의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로서, 상기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각각은 2개의 격벽 및 상기 2개의 격벽에 수직한 2개의 벽측으로 포위된 공간을 포함하는,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상기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중 일 단측에 위치한 제1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에 수직한 일 벽측에 설치된 입구; 및 상기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중 상기 일 단측의 타 단측에 위치한 제2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에 수직한 일 벽측에 설치된 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의 각각은 특정 과제를 위한 운동 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사이의 격벽에는 구조간 출입구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아동용 운동 복합 시설{ATHLETIC COMPLEX FACILITIES FOR CHILDREN}
본 고안은 운동 복합 시설, 특히, 아동용 운동 복합 시설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격벽들로 구획된 다수의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로서, 상기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각각은 2개의 격벽 및 상기 2개의 격벽에 수직한 2개의 벽측으로 포위된 공간을 포함하는,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상기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중 일 단측에 위치한 제1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에 수직한 일 벽측에 설치된 입구; 및 상기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중 상기 일 단측의 타 단측에 위치한 제2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에 수직한 일 벽측에 설치된 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의 각각은 특정 과제를 위한 운동 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사이의 격벽에는 구조간 출입구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규격화되어 대량 생산에 적합화된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간에서 일방통행으로만 통과가 허용되거나 일방통행이 권장되는 운동 규칙 하에서 입구로 들어가면 출구로 나올 때까지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마다 정해진 운동 과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아동용 운동 복합 시설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순서가 미리 짜여 있는 운동 과제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운동 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르면, 운동 복합 시설이 제공되는바, 그 운동 복합 시설은, 격벽들로 구획된 다수의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로서, 상기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각각은 2개의 격벽 및 상기 2개의 격벽에 수직한 2개의 벽측으로 포위된 공간을 포함하는,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상기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중 일 단측에 위치한 제1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에 수직한 일 벽측에 설치된 입구; 및 상기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중 상기 일 단측의 타 단측에 위치한 제2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에 수직한 일 벽측에 설치된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포위된 공간 각각은 특정 과제를 위한 운동 설비가 설치 가능하며, 상기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사이의 격벽에는 구조간 출입구가 형성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입구 및 출구 중 적어도 하나는 탁 뚫려 있는 개구이거나 여닫이문일 수 있다. 또한, 더 유리하게는 상기 입구는 상기 제1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의 외부에서만 열리도록 구성되고, 안에서는 열리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사이의 격벽의 상부는 뚫려 있거나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간 출입구는 개구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와 상기 제2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 외의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는 상기 격벽들에 수직한 벽측 중 적어도 일 벽측의 상부는 뚫려 있거나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입구 및 상기 출구는 여닫이문으로 구현되고, 상기 여닫이문의 문고리는 제1 지정 높이를 초과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정 높이는 미리 지정된 나이의 아동들의 평균키 이상으로서 결정되고, 상기 출입구는 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사용자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은 제2 지정 높이 미만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지정 높이는 미리 지정된 나이의 아동들의 평균 앉은키 미만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입구로 들어간 사용자가 각 운동 과제에 해당하는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를 거쳐 출구로 나오게 되어 있어 개별 운동 과제를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수행하도록 권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에서 쉽게 운동 시설 내부를 확인할 수 있어, 관리 감독자의 모니터링 하에서 사용자, 특히 아동이 열심히 운동하도록 장려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설명에 이용되기 위하여 첨부된 아래 도면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 중 단지 일부일 뿐이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하 "통상의 기술자"라 함)에게 있어서는 고안에 이르는 노력 없이 이 도면들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들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 복합 시설의 예시적 정면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 복합 시설 중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의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에 나타난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의 제1 실시 예의 일측 격벽을 제거하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 복합 시설 중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의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에 나타난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의 제2 실시 예의 일측 격벽을 제거하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 복합 시설 중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의 제3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에 나타난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의 제3 실시 예의 일측 격벽을 제거하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 복합 시설 중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의 제4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나타난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의 제4 실시 예의 일측 격벽을 제거하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의 목적들, 기술적 해법들 및 장점들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포함하다'라는 단어 및 그 변형은 다른 기술적 특징들, 부가물들,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제외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권리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고안의 다른 목적들, 장점들 및 특성들이 일부는 본 설명서로부터, 그리고 일부는 본 고안의 실시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아래의 예시 및 도면은 실례로서 제공되며,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더욱이 본 고안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분명히 문맥에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로 지칭된 항목은, 그 문맥에서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복수의 것을 아우른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 복합 시설의 예시적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격벽들(미도시)로 구획된 다수의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110 내지 150)을 포함하는 운동 복합 시설이 도시되어 있는데, 구조들(110 내지 150) 중 일 단측에 위치한 제1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110)은 상기 격벽들에 수직하게 일 벽측(도 1의 예시에서는 정면 측)에 입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조들(110 내지 150) 중 상기 일 단측의 타 단측에 위치한 제2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150)은 상기 격벽들에 수직하게 일 벽측(정면 측 또는 정반대측)에 출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입구 및 출구 중 적어도 하나는 탁 뚫려 있는 개구이거나 여닫이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폐쇄된 문으로 구성되는 때에, 상기 입구는 상기 제1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의 외부에서만 열리도록 구성되고, 안에서는 열리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입구에 한번 들어가면 출구 쪽으로 나오도록 권장하기 위함이다. 다른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입구 및 출구가 여닫이문으로 구현되는 경우, 여닫이문의 문고리는 제1 지정 높이를 초과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제1 지정 높이는 미리 지정된 나이의 아동들의 평균키 이상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정 높이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평균키(예시적으로, 2017년 대한민국 남아 기준으로 10세의 경우, 138.8cm임)이상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여닫이문의 문고리가 아동들의 키높이를 초과하여 배치됨으로써, 운동 센터의 외부 공간에 있는 다른 아동이 운동 규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고, 어른들(예를 들면, 운동 센터 내의 운동 코치)에 의해서 상기 입구 및 출구의 운동이 제어될 수 있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 복합 시설 중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의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에 나타난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의 제1 실시 예의 일측 격벽을 제거하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는 2개의 격벽 및 상기 2개의 격벽에 수직한 2개의 벽측으로 포위된 공간을 포함한다. 도 2a에 나타난 예시는 일 벽측에 입구(210)가 설치된 제1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110)이다.
그 포위된 공간에는 특정 과제를 위한 운동 설비가 설치 가능한데, 도 2a 및 도 2b의 예시에서는 농구공과 농구 골대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110)과 다음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120) 사이의 격벽에는 운동 과제의 진행을 위한 구조간 출입구(220)가 형성되어 있다. 구조간 출입구는 여닫이 문, 미닫이 문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통행의 편의를 위하여 개구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출입구가 개구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개구를 통해 사용자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은 제2 지정 높이 미만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제2 지정 높이는 미리 지정된 나이의 아동들의 평균 앉은키 미만으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지정 높이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평균 앉은키(예시적으로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자료에 따라, 대한민국 남아 기준으로 10세의 경우, 74.2cm임)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개구의 높이가 아동들의 앉은키 미만으로 배치됨으로써, 운동 센터 내의 아동들이 운동 코치의 휘슬이나 운동 센터 내에서 울리는 벨 알람과 같은 규칙에 따라 제1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110)에서 다음 운동 과제 수행 구조(120)로 규칙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 복합 시설 중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의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에 나타난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의 제2 실시 예의 일측 격벽을 제거하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의 제2 실시 예의 상기 포위된 공간에는 특정 과제를 위한 운동 설비로서, 트레드밀(운동용 쳇바퀴; 러닝 머신; 330)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제2 실시 예의 경우에 구조간 출입구(310, 320)가 2개의 격벽 모두에 나타나는데, 2개의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사이에 개재하는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에 해당한다.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 복합 시설 중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의 제3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에 나타난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의 제3 실시 예의 일측 격벽을 제거하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의 제3 실시 예의 상기 포위된 공간에는 구조간 출입구(410, 420) 및 특정 과제를 위한 운동 설비로서, 사이클 머신(430)이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5a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 복합 시설 중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의 제4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나타난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의 제4 실시 예의 일측 격벽을 제거하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의 제4 실시 예의 상기 포위된 공간에는 구조간 출입구 및 경사 밧줄타기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운동 복합 시설에 설치될 수 있는 운동 설비의 예시에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110)과 상기 제2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150) 외의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120 내지 140)은 상기 격벽들에 수직한 벽측 중 적어도 일 벽측의 상부는 뚫려 있거나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외부에서 운동 과제 수행 공간의 내부 상황을 관찰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2a 내지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사이의 격벽의 상부는 뚫려 있거나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본 고안을 이용하는 사용자들 간에 다음 순번의 운동 과제 수행 공간이 비어 있는지 다른 사람이 이용중인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고안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내지 150: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110: 제1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
120: 제2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
210: 입구
220, 310, 320, 420, 430: 구조간 출입구들
330: 트레드밀
430: 사이클 머신

Claims (4)

  1. 운동 복합 시설로서,
    격벽들로 구획된 다수의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로서, 상기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각각은 2개의 격벽 및 상기 2개의 격벽에 수직한 2개의 벽측으로 포위된 공간을 포함하는,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상기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중 일 단측에 위치한 제1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에 수직한 일 벽측에 설치된 입구; 및
    상기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중 상기 일 단측의 타 단측에 위치한 제2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에 수직한 일 벽측에 설치된 출구
    를 포함하되,
    상기 포위된 공간 각각은 특정 과제를 위한 운동 설비가 설치 가능하고, 상기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사이의 격벽에는 구조간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들 사이의 격벽의 상부는 뚫려 있거나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구조간 출입구는 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입구 및 상기 출구는 여닫이문으로 구현되고, 상기 여닫이문의 문고리는 제1 지정 높이를 초과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정 높이는 미리 지정된 나이의 아동들의 평균키 이상으로서 결정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사용자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은 제2 지정 높이 미만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지정 높이는 미리 지정된 나이의 아동들의 평균 앉은키 미만으로 결정되는 운동 복합 시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와 상기 제2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 외의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는 상기 격벽들에 수직한 벽측 중 적어도 일 벽측의 상부는 뚫려 있거나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복합 시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는 상기 제1 운동 과제 수행 공간 구조의 외부에서만 열리도록 구성된 운동 복합 시설.
KR2020190000863U 2019-02-28 2019-02-28 아동용 운동 복합 시설 KR2004895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863U KR200489554Y1 (ko) 2019-02-28 2019-02-28 아동용 운동 복합 시설
CN201921219658.6U CN211132901U (zh) 2019-02-28 2019-07-31 一种儿童运动综合设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863U KR200489554Y1 (ko) 2019-02-28 2019-02-28 아동용 운동 복합 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554Y1 true KR200489554Y1 (ko) 2019-07-05

Family

ID=6722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863U KR200489554Y1 (ko) 2019-02-28 2019-02-28 아동용 운동 복합 시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9554Y1 (ko)
CN (1) CN211132901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293B1 (ko) * 2013-07-27 2015-02-04 이창호 키즈카페 테마놀이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293B1 (ko) * 2013-07-27 2015-02-04 이창호 키즈카페 테마놀이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1132901U (zh) 2020-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dener Ground rules and social maps for women: An introduction
Chu et al. The contact theory of racial integration: The case of sport
McIver et al. Assessing children's physical activity in their homes: The observational system for recording physical activity in children‐home
Reed Hope on remand
Pfister Doing sport in a headscarf? German sport and Turkish females
Marfell ‘We wear dresses, we look pretty’: The feminization and heterosexualization of netball spaces and bodies
Kukla et al. Intersubjectivity and receptive experience
KR200489554Y1 (ko) 아동용 운동 복합 시설
CN202715228U (zh) 迷人宫
Wiedenfeld Multicultural American heroes: Reading Obama-era biopics of Jackie Robinson and Jesse Owens through the lens of American civil religion
CN211328131U (zh) 一种双塔游乐设施
GB2057895A (en) Ball game practice device
Piroska et al. Women on ice-gender equalization
CN205460642U (zh) 一种立体儿童户外拓展设备
Hartill Suffering in gratitude: sport and the sexually abused male child
CN211752443U (zh) 一种螺形主题游乐设施
Ketelle et al. Behind the T (rope): One Boxer's Story
O’Connor et al. The meaning of “Blackness”: How Black students differentially align race and achievement across time and space
US1252407A (en) Exercise and game apparatus.
Kemmis Addison Hills: A case study of alienation and transition from school
KR102427081B1 (ko) 모듈형 사물함
KR100977913B1 (ko) 유희용 승마기구
Gandhi et al. Laws and Marginalised Bodies: Sex Trafficking, Child Labour and Circus as a Site of Negotiations
Lightner KNPE 397
Khan Meritocracy, marriage and mating: a cross-country qualitative analysis between India and the UKUS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