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522Y1 - 젖병 구조 - Google Patents

젖병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522Y1
KR200489522Y1 KR2020180000982U KR20180000982U KR200489522Y1 KR 200489522 Y1 KR200489522 Y1 KR 200489522Y1 KR 2020180000982 U KR2020180000982 U KR 2020180000982U KR 20180000982 U KR20180000982 U KR 20180000982U KR 200489522 Y1 KR200489522 Y1 KR 2004895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ed milk
bag
fixing ring
milk ba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이화
Original Assignee
이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이화 filed Critical 이이화
Priority to KR2020180000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5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5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5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분유 봉투를 포함한 젖병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젖병 구조는 상단 중앙에 분유 인출공을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된 젖꼭지, 상기 젖꼭지의 하단에 결합되고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가이드 링, 상기 가이드 링과 결합되는 원통형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제공되는 분유 봉투, 상기 분유 봉투의 토출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하단에 결합되는 분유 봉투 고정 링 및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분유 봉투의 노출을 차단하는 분유 봉투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젖병 구조{A Structureof nursing bottle}
본 고안은 젖병 구조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젖병 구조 내부에 분유 봉투를 수납할 수 있는 분유 봉투 고정 링 및 분유 봉투 고정 덮개를 포함하여 수유 시 편리성과 위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젖병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젖병은 내부에 분유 및 우유를 담아 유아에게 보다 간편하게 수유 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용기의 상부에는 젖꼭지부가 결합되며 하단에는 분유 및 우유를 담을 수 있는 수납부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위생과 휴대성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되면서 휴대용 젖병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휴대용 젖병이란, 휴대용 분유통에 일회용 비닐로 형성된 분유 봉투를 삽입하고, 분유 봉투 내에 분유 파우더 및 물을 혼합하여, 아기에게 수유한 후, 사용된 분유 봉투를 버리는 방법으로 사용되는 젖병을 의미한다.
하지만, 휴대용 젖병을 사용하는 경우 일회용 분유 봉투를 여유분 이상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으며, 일회용 분유 봉투를 휴대함에 따라 수납에 필요한 공간이 늘어난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우수한 휴대성을 갖는 젖병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최소화된 부피로 보관 및 휴대가 가능한 젖병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케이스 내부에 분유 봉투를 포함하는 젖병 구조의 구성 및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젖병 구조는 상단 중앙에 분유 인출공을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된 젖꼭지, 상기 젖꼭지의 하단에 결합되고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가이드 링, 상기 가이드 링과 결합되는 원통형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제공되는 분유 봉투, 상기 분유 봉투의 토출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하단에 결합되는 분유 봉투 고정 링 및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분유 봉투의 노출을 차단하는 분유 봉투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의 내측면에는 상기 분유 고정 링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두 개 이상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분유 봉투는, 분유가 혼합되는 혼합부와 혼합된 분유가 토출되는 상기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부의 외경은 상기 토출구의 외경 및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의 내경보다 작으며, 상기 토출구의 외경은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의 내경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분유 봉투의 상기 토출구가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두 개 이상의 돌기 사이에 체결되며, 상기 분유 봉투의 혼합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은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며,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의 상기 상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단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분유 봉투의 상기 하부에는 상기 분유 봉투 덮개와 결합하는 나사선 및 나사홈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단에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의 상기 상부를 노출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단으로 연장하는 노출홈이 제공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는 한쌍의 상기 노출홈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한쌍의 상기 노출홈은 서로 마주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케이스 내부에 분유 봉투를 포함하는 젖병 구조의 구성 및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분유 봉투를 내부에 수납하여 휴대하는 젖병 구조에 있어서, 상단 중앙에 분유 인출공을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된 젖꼭지 하단에 젖병 구조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가이드 링, 상기 가이드 링과 결합하는 원통형의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보관되는 분유 봉투, 상기 분유 봉투의 토출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하단에 결합되는 분유 봉투 고정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은 내부에 두 개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유 봉투는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 내부에 포함되는 돌출부 사이 이격된 위치에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분유 봉투의 혼합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의 상부에는 케이스와 결합할 수 있는 체결부가 제공되고, 하부에는 상기 분유 봉투 덮개와 결합 할 수 있는 나사산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젖병 및 분유 봉투 수납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 하는 동시에, 상기 분유 봉투의 혼합부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외부 환경에 의한 오염을 막을 수 있다. 이로 인해, 휴대성이 용이하며 위생적인 젖병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젖병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젖병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젖병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분유 봉투 고정 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분유 봉투 덮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분유 봉투와 분유 봉투 고정 링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분유 봉투와 분유 봉투 고정 링의 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분유 봉투의 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분유 봉투의 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젖병 구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젖병 구조에 분유를 수유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젖병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젖병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젖병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분유 봉투 고정 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분유 봉투 덮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젖병 구조는, 분유 봉투 고정 링(100), 분유 봉투 덮개(110), 분유 봉투(120), 케이스(200), 가이드 링(300), 젖꼭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은, 소정 길이를 갖는 튜브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두 개 이상의 돌기(1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은, 상부(100a)와 하부(100b)로 구분되며,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의 상부(100a)는, 상기 케이스(200)에 삽입되어 결합하고,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의 하부(100b)는, 상기 분유 봉투 덮개(110)와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의 하부(100b)는,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은,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클로로프렌(Chloroprene), CSM(Chlorosulfonylpolyethylene), 실리콘(Silico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유 봉투 덮개(11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 구조이며 내부에 나사홈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분유 봉투 덮개(110)는,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의 하부(100b)에 형성된 나사 홈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유 봉투 덮개(110)는, 상기 분유 봉투(120)의 노출을 차단한다.
상기 분유 봉투(120)는, 분유(500)가 토출되는 토출구(120a)와 상기 분유(500)가 혼합되는 혼합부(120b)를 포함한다. 상기 분유 봉투(120)는, 케이스(200)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 구조이며 내부에 분유 봉투(12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0)의 표면에는, 상기 케이스(200)내의 내용물이 용량을 체크하기 위한 눈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0)의 상부는, 상기 가이드 링(300)과 결합하며, 상기 케이스(200)의 하부는,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과 결합한다. 상기 케이스(200)의 표면에는, 상기 케이스(200)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의 상부(100a)를 노출하고 상기 케이스(200) 상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노출홈(21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노출홈(210)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링(300)은,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 구조이며, 상기 가이드 링(300)의 내면 및 상기 가이드 링의 외면은, 각각 나사홈과 나사산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링(300) 하단부에는 나사홈을 제공하여 상기 케이스(200) 외면의 나사산과 결합하며, 상기 가이드링(300) 상단부에는 나사산이 제공되어 상기 젖꼭지(400)의 나사홈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링(300)은 상기 젖꼭지(40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상기 젖꽂지(400)을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젖꼭지(4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링(30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젖꼭지(400)는, 상단 중앙에 분유 인출공을 가지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로 분유(500)가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젖꼭지(400) 하부는, 상기 가이드 링(300)과 결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분유 봉투와 분유 봉투 고정 링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분유 봉투(120) 혼합부(120b)의 외경은 상기 분유 봉투(120) 토출구(120a)의 외경 및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의 내경보다 작으며, 상기 분유 봉투(120) 토출구(120a)의 외경은,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의 내경과 같거나 또는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의 내경보다 크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 내부에는,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두 개 이상의 돌기(101)가 제공된다.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에 돌출된 돌기(101)의 내경은, 상기 분유 봉투(120) 토출구(120a)의 외경의 크기 보다 작다.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에 돌출된 돌기(101)의 내경과 상기 분유 봉투(120) 토출구(120a)의 외경의 크기 차이로 인해, 상기 분유 봉투(120)는,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 내부로 채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유 봉투(120) 토출구(120a)는,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에 돌출된 돌기(101) 사이에 체결되며,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에 돌출된 돌기(101)로 인해 상기 분유 봉투(120)가 흘러 내려가는걸 방지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분유 봉투 고정 링(100)에 돌출된 돌기(101)의 크기는 높이가 0.3mm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 하부(100b)는 외부에 나사산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나사산은 상기 분유 봉투 덮개(110)의 내부에 있는 나사홈과 채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과 상기 분유 봉투 덮개(110)는 서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이 상기 분유 봉투 덮개(110)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과 채결된 상기 분유 봉투(120)의 내부는, 상기 분유 봉투 덮개(110)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분유 봉투(120) 자세하게는 상기 분유 봉투의 토출구(120a) 및 혼합부(120b)의 내부는 외부 오염 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분유 봉투와 분유 봉투 고정 링의 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분유 봉투(120)는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유 봉투(120)가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내로 삽입되어 상기 분유 봉투(120)의 토출구(120a)가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의 하단부 방향으로, 상기 분유 봉투(120)의 혼합부(120b)가,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의 상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채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에 적층된 상기 분유 봉투(120)은, 미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분유 봉투(120)의 수납을 늘리기 위해, 복수의 상기 분유 봉투(120)가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 내에 겹겹이 삽입될 수 있다. 상술될 본 고안의 실시 예와 달리,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이 복수의 상기 분유 봉투(120)를 수납하지 못하는 경우, 여분의 상기 분유 봉투(120)를 수납하기 위한 별도의 수납 장치를 항상 구비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분유 봉투(120)는, 외부 오염물질과 차단이 이루어지지 않는 수납 장치에 수납 되어, 외부 환경으로 인하여 상기 분유 봉투(120)가 오염될 수 있다.
하지만,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은, 한 장 이상의 상기 분유 봉투(120)를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은,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의 내부로 돌출 되어있는 두 개 이상에 돌출구(101)를 포함하여 다수의 상기 분유 봉투(120)가 채결되어도 체결 상태가 유지되며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분유 봉투의 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분유 봉투의 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분유 봉투(120)를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에서 분리하는 경우, 가장 내부에 보관된 상기 분유 봉투(120)를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의 하단 방향으로 뽑아서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분유 봉투(120)를 분리하기 위한 과정으로,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을 상기 케이스(200)와 분리하는 과정 및 상기 분유 봉투 덮개(110)를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과 분리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하지만 이 과정 동안 상기 분유 봉투 덮개(110)가,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과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에 체결된 미 사용된 상기 분유 봉투(120)의 토출구(120a)와 혼합부(120b)가, 외부 오염 물질에 노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분유 봉투(120)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덮개(110)와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을 분리하고 조립하는 과정이 추가되는 불편함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의 실시 예와 달리, 상기 분유 봉투(120)를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에서 분리하는 경우,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의 상단 방향으로 뽑아서 분리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 예에서, 상기 분유 봉투(120)를 분리하기 위해서,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과 상기 분유 봉투 덮개(110)를 분리하고 조립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유 봉투 덮개(110)에 의해, 상기 분유 봉투(120)의 토출구(120a)와 혼합부(120b)가 외부 오염 물질에 노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젖병 구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젖병 구조에 분유를 수유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미 사용된 분유 봉투(120)는, 케이스(200) 내면과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분유 봉투(120)의 토출구(120a)는 케이스(200) 상단에 결합하고 분유 봉투(120)의 혼합부(120b)는 케이스(200) 하단 방향으로 연장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하단에는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의 상부(100a)를 노출하고 상기 케이스(200)의 상단으로 연장하는 노출홈(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본 고안의 실시 예와 달리, 상기 케이스(200) 하단부에 상기 노출홈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분유 봉투(120) 혼합부(120b)에 담긴 상기 분유(500)를 혼합 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200) 하단 구멍에 손가락을 넣어서 상기 혼합부(120b)를 교반 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200) 하단 구멍의 한정된 구조로 인해 상기 혼합부(120b)를 고르게 교반하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있다.
하지만,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200) 하단에 노출홈(210)이 추가되어 손가락 움직임이 가능한 공간이 넓어지며, 상기 분유 봉투 혼합부(120b)내에 상기 분유(500)를 고르게 혼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하기 편리한 상기 케이스(200)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케이스(200)를 기울이면 분유(500)가 분유 봉투(120)를 따라 젖꼭지(400)로 흐른다. 이때 젖꼭지(400)상단 중앙에 인출공으로 분유(500)가 아이(600)에게 유입되고, 아이(600)는 젖꼭지의 형성된 돌출구를 이용하여 분유(500)를 수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분유(500)을 수유 시, 수유에 사용되지 않은 상기 미 사용된 분유 봉투(120)는,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에 채결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200)와 분리될 수 있다.
상술된 본 고안의 실시 예와 달리, 상기 분유 봉투(120)가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에 채결되지 않은 상태로 분리될 경우, 상기 분유 봉투(120)의 토출구(120a) 및 혼합부(120b)의 내부는,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 환경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하지만,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미 사용된 분유 봉투(120)의 내부는,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과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100)과 결합된 분유 봉투 덮개(110)에 의해 외부 환경과 차단되어 오염을 막을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분유 봉투 고정 링
110: 분유 봉투 덮개
120: 분유 봉투
120a: 분유 봉투 토출구
120b: 분유 봉투 혼합부
200: 케이스
210: 케이스 노출홈
300: 가이드 링
400: 젖꼭지
500: 분유

Claims (7)

  1. 분유 봉투를 내부에 수납하여 휴대하는 젖병 구조에 있어서,
    상단 중앙에 분유 인출공을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된 젖꼭지;
    상기 젖꼭지의 하단에 결합되고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가이드 링;
    상기 가이드 링과 결합되는 원통형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제공되고, 분유가 혼합되는 혼합부와 분유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 복수로 제공되는 분유 봉투;
    상기 분유 봉투의 토출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하단에 결합되는 분유 봉투 고정 링; 및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분유 봉투의 노출을 차단하는 분유 봉투 덮개를 포함하되,
    수유 상황의 경우, 상기 복수의 분유 봉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유 봉투가 포함하는 토출구는, 상기 가이드 링에 의해 고정되고,
    수유 상황을 제외한 경우, 상기 복수의 분유 봉투 각각의 토출구들이 모두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젖병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의 내측면에는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두 개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는 젖병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의 외경은 상기 토출구의 외경 및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의 내경보다 작으며,
    상기 토출구의 외경은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의 내경보다 같거나 큰 것을 포함하는 젖병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유 봉투의 상기 토출구가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두 개 이상의 돌기 사이에 체결되며,
    상기 분유 봉투의 혼합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포함하는 젖병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은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며,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의 상기 상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단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분유 봉투의 상기 하부에는 상기 분유 봉투 덮개와 결합하는 나사선 및 나사홈이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젖병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단에 상기 분유 봉투 고정 링의 상기 상부를 노출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단으로 연장하는 노출홈이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젖병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한쌍의 상기 노출홈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한쌍의 상기 노출홈은 서로 마주보는 것을 포함하는 젖병 구조.
KR2020180000982U 2018-03-07 2018-03-07 젖병 구조 KR2004895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982U KR200489522Y1 (ko) 2018-03-07 2018-03-07 젖병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982U KR200489522Y1 (ko) 2018-03-07 2018-03-07 젖병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522Y1 true KR200489522Y1 (ko) 2019-06-28

Family

ID=67002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982U KR200489522Y1 (ko) 2018-03-07 2018-03-07 젖병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52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6540U (ko) * 1988-12-23 1990-07-09
KR910003697Y1 (ko) * 1988-11-08 1991-05-31 서경득 우유병
KR20130002710U (ko) * 2013-04-16 2013-05-06 김민정 결합 날개부를 구비한 모유저장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697Y1 (ko) * 1988-11-08 1991-05-31 서경득 우유병
JPH0286540U (ko) * 1988-12-23 1990-07-09
KR20130002710U (ko) * 2013-04-16 2013-05-06 김민정 결합 날개부를 구비한 모유저장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6975B2 (en) Bottle with mixing system
US20200140135A1 (en) Portable Container And Method Of Use
US6367622B1 (en) Container with separate storage spaces
US6113257A (en) Two-compartment container
US20210085566A1 (en) Formula and powder mixing assembly
US20100072162A1 (en) Baby bottle
KR20040102120A (ko) 유아 수유 및 저장 시스템
US20090120894A1 (en) Multifunctional bottle cap
CN107427163B (zh) 用于一次性使用物质容器的瓶子
GB2489721A (en) A powder dispenser for attachment to a baby bottle
US20180360245A1 (en) Convertible Silicone Toddler Cup
KR200489522Y1 (ko) 젖병 구조
US65752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a multi-compartment container
JP2023099075A (ja) ポートおよびチューブホルダ組立体取り付け装置のためのシステムならびに使用方法
US8820549B1 (en) Multi-chamber nursing bottle having frangible portion for separately storing liquids and other substances
US8720712B1 (en) Feeding bottle
KR101817420B1 (ko) 다용도 저장팩
US20050263475A1 (en) Convenience system for handling of baby bottles
US10426280B2 (en) Multifunctional universal silicon spout adaptor for drinking vessels
CN110520365B (zh) 瓶子
WO2004103253A3 (en) Disposable snack or medicine dose for infants
KR101440916B1 (ko) 알약 정량배출 용기
KR200307225Y1 (ko) 젖병
KR200489168Y1 (ko) 젖꼭지 보관 케이스
KR20160027466A (ko) 약제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