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437Y1 -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437Y1
KR200489437Y1 KR2020180005521U KR20180005521U KR200489437Y1 KR 200489437 Y1 KR200489437 Y1 KR 200489437Y1 KR 2020180005521 U KR2020180005521 U KR 2020180005521U KR 20180005521 U KR20180005521 U KR 20180005521U KR 200489437 Y1 KR200489437 Y1 KR 2004894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door
connecting member
groo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5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란
Original Assignee
조영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란 filed Critical 조영란
Priority to KR20201800055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4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4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4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4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four parallel pins and two arms
    • E05D3/142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four parallel pins and two arms with at least one of the hinge parts having a cup-shaped fixing part, e.g.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7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the hinge having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05D7/0423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05Y2201/256Fluid or viscous friction with pistons or v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구부를 갖는 가구나 싱크대 등의 본체 내측면에 고정되는 본체고정부를 포함한 바디부와, 상기 본채의 개구부를 개폐시키기 위해 도어 내측면에 고정된 도어고정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조립시간 단축에 따른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for Hydraulic Hinge}
본 고안은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구부를 갖는 가구나 싱크대 등의 본체 내측면에 고정되는 본체고정부를 포함한 바디부와, 상기 본채의 개구부를 개폐시키기 위해 도어 내측면에 고정된 도어고정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조립시간 단축에 따른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짝이나 가구 및 싱크대 등은 본체에 도어를 고정하기 위한 부품으로서 경첩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첩은 도어가 본체로부터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도어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런데, 가구 및 싱크대 등에 설치되는 경첩은 문짝에 설치되는 경첩과는 달리 단순히 본체와 도어를 연결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도어의 개방시 도어가 본체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야 하고 도어의 폐쇄시 본체와 밀착될 수 있어야 한다.
예컨대, 싱크대에 설치되는 경첩은 싱크대의 본체에 부착되는 고정편과, 도어에 부착되는 가동편과, 상기 고정편과 가동편의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동편이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벌어지고 접혀지는 동작에 의하여 도어가 싱크대의 본체의 전방으로 열리고 닫혀지도록 하여 싱크대의 내부를 개폐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첩은 일반적으로 하부측에 고정편이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되며 싱크대 몸체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측에 제1,2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제1연결편 및 제2연결편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 인입되어 후단측이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는 결합돌기가 후단외측에 형성되고 내측에 후단부가 장입되고 선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며 선단부 끝단에 연결구멍이 통공된 실린더봉과, 상기 실린더봉의 후단 내측에 고정되는 내부와셔와, 상기 실린더봉의 외측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외부와셔와, 상기 외부와셔의 내측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패킹과, 상기 실린더봉의 후단 내측과 내부와셔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실린더봉을 밀어주는 스프링과, 내부에 충진되는 오일로 구성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의 끝단이 장입되어 제3힌지핀과 제4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결합부가 중앙 내측에 요입형성되고 양측에 싱크대의 도어에 체결되는 체결편이 연장형성되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유압실린더가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싱크대의 몸체에 결합된 고정편에 바디가 고정 결합되어 싱크대 몸체와 도어를 쉽게 조립 및 분리하기 어렵고, 운반이 불편하여 작업자의 운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어의 반복 사용에 따라 경첩에 유격이 발생하여 유동되는 경우 도어의 싱크대 몸체에 대한 고정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도어의 개폐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2014년03월21일 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20-2014-0002257호를 통하여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을 출원한 바 있다.
살펴보면, 상기한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은 본체와 도어를 서로 연결하여 도어가 개폐되도록 고정하는 경첩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 형성되고 상부에 결합홈과 조절공이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압실린더의 유압에 의해 진퇴 작동하는 실린더봉을 구비한 실린더부와, 상기 바디부와 실린더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결합홈과 조절공과 각각 연통되게 결합공과 조절홈이 형성되며, 본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바디부의 선단측의 상·하부에 각각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이 힌지 결합된 연결부 및 도어에 고정 체결되고, 상기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이 힌지 결합되어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가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홈과 결합공은 고정나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가 상기 고정부에 탈착이 용이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절공과 조절홈은 조절나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조절나사를 조임으로써 상기 바디부와 고정부의 사이의 유격 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를 지지하는 실린더 브라켓과, 상기 유압실린더를 상기 실린더 브라켓에 고정 결합하는 고정 브라켓과, 일단은 상기 실린더봉에 축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연결편과 축 연결되어 회동되는 회동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부의 제1연결편은 바디부와 제1연결축에 의해 축 연결되어 가동부의 회동시 함께 회동되되, 제1연결축에 코일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가동부의 회동을 단속하고, 제2연결편은 회동 브라켓에 제2회동축을 통하여 축 연결되고, 제2연결편의 중간부가 바디부의 전방 하단부에 관통 연결되는 제2연결축을 통하여 축 연결되며, 이로써 가동부의 회동에 따라 제2연결편과 이와 연결된 회동 브라켓이 함께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연결부의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고 그로 인해 조립 시간이 길어져 결국 제조단가가 상승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20-2014-0002257호, 출원일; 2014년03월21일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개구부를 갖는 가구나 싱크대 등의 본체 내측면에 고정되는 본체고정부를 포함한 바디부와, 상기 본채의 개구부를 개폐시키기 위해 도어 내측면에 고정된 도어고정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조립시간 단축에 따른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는, 도어 내측면에 양단이 고정되고 중앙부에는 수용홈(11a)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1a) 양측면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도어고정부(11)와, 상기 도어고정부(11)의 수용홈(11a)에 일단이 수용되어 상기 홀 중 어느 하나의 홀에 회동연결용축(12) 일단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되는 개폐용회동부(13)와, 상기 개폐용회동부(13)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축(14)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결합홈과 조절공이 형성된 바디부(15)와, 상기 바디부(15)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결합홈과 조절공과 각각 연통되도록 중앙부는 상부로 돌출되어 상면에 조절홈과 결합공이 형성되며, 양단은 본체에 고정 결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16)로 구성된 경첩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개폐시 도어가 본체에 충돌하지 않고 부드럽게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용회동부(13)의 저면에 위치되도록 일단은 상기 도어고정부(11)의 수용홈(11a)에 형성된 다른 홀에 상기 회동연결용축(12) 타단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부(15) 일단 저면에 위치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110)와, 상기 연결부재(110)의 타단을 양측면에 수용하면서 바디부(15)의 일단 내측으로 수용가능하게 형성되되, 일면에는 작동피스톤(120a)을 갖춘 유입실린더(120)의 일단을 수용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구비되는 수용부(130)와, 상기 연결부재(110)의 타단과 상기 회동축(14)이 관통하는 바디부(15)의 일단 일측을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부(130)의 저면을 지지하여 바디부(15)로부터 상기 수용부(1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가능하게 구비되는 이탈방지용축(140)과, 상기 바디부(15)의 일단 내측으로 수용되는 것에 의해 유입실린더(120)의 작동피스톤(120a)을 일단이 지지하고, 타단 양측은 상기 수용부(130) 양측면에 위치됨에 따른 상기 연결부재(110)의 타단과 걸림되어 도어의 개폐에 대응되게 회동하는 상기 연결부재(110)에 의해 상기 작동피스톤(120a)을 가압 및 가압 해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지지부재(150)와, 상기 회동축(14) 상에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도어고정부(11)의 수용홈(11a)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수용부(130)의 타면에 지지가능하게 구비되는 코일스프링(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에 따르면, 바디부와, 상기 본채의 개구부를 개폐시키기 위해 도어 내측면에 고정된 도어고정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장치를 간단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조립에 따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가 경첩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가 결합된 저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 및 경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가 경첩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는 바디부와, 상기 본채의 개구부를 개폐시키기 위해 도어 내측면에 고정된 도어고정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100)는 도어 내측면에 양단이 고정되고 중앙부에는 수용홈(11a)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1a) 양측면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도어고정부(11)와, 상기 도어고정부(11)의 수용홈(11a)에 일단이 수용되어 상기 홀 중 어느 하나의 홀에 "U자 형상의 회동연결용축(12) 일단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되는 개폐용회동부(13)와, 상기 개폐용회동부(13)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축(14)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결합홈과 조절공이 형성된 바디부(15)와, 상기 바디부(15)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결합홈과 조절공과 각각 연통되도록 중앙부는 상부로 돌출되어 상면에 조절홈과 결합공이 형성되며, 양단은 본체에 고정 결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16)로 구성된 경첩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개폐시 도어가 본체에 충돌하지 않고 부드럽게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용회동부(13)의 저면에 위치되도록 일단은 상기 도어고정부(11)의 수용홈(11a)에 형성된 다른 홀에 상기 회동연결용축(12) 타단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부(15) 일단 저면에 위치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110)와, 상기 연결부재(110)의 타단을 양측면에 수용하면서 바디부(15)의 일단 내측으로 수용가능하게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면에는 작동피스톤(120a)을 갖춘 유입실린더(120)의 일단을 수용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구비되는 수용부(130)와, 상기 연결부재(110)의 타단과 상기 회동축(14)이 관통하는 바디부(15)의 일단 일측을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부(130)의 저면을 지지하여 바디부(15)로부터 상기 수용부(1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가능하게 구비되는 이탈방지용축(140)과, 상기 바디부(15)의 일단 내측으로 수용되는 것에 의해 유입실린더(120)의 작동피스톤(120a)을 일단이 지지하고, 타단 양측은 상기 수용부(130) 양측면에 위치됨에 따른 상기 연결부재(110)의 타단과 걸림되어 도어의 개폐에 대응되게 회동하는 상기 연결부재(110)에 의해 상기 작동피스톤(120a)을 가압 및 가압 해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지지부재(150)와, 상기 회동축(14) 상에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도어고정부(11)의 수용홈(11a)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수용부(130)의 타면에 지지가능하게 구비되는 코일스프링(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100)의 연결부재(110)는, 상기 도어고정부(11)의 수용홈(11a)에 형성된 다른 홀에 상기 "U자 형상의 회동연결용축(12) 타단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부(15) 일단 저면에 위치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연결부재(110)는 회동연결용축(12)의 타단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일단은 축관통홀(111a)이 형성된 연결편(111)과, 상기 연결편(111) 타단 양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일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수용부(130)의 양측면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50)의 타단을 걸림시킬 수 있도록 걸림돌기(112a)가 형성되되, 상기 일단에는 상기 이탈방지용축(140)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이탈방지용축관통홀(112b)이 천공된 걸림편(112)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수용부(130)는 연결부재(110)의 타단을 양측면에 수용하면서 상기 바디부(15)의 일단 내측으로 수용가능하게 형성되고, 일면에는 작동피스톤(120a)을 갖춘 유입실린더(120)의 일단을 수용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한 수용부(130)는, 상기 바디부(15)의 일단 내측으로 수용가능하도록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면은 연결부재(110)와 지지부재(150)의 각 타단이 위치되도록 절취면(130a)이 형성되고, 일면에는 작동피스톤(120a)을 갖춘 유입실린더(120)의 일단을 수용가능하도록 요홈(130b)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이탈방지용축(14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130c)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수용부(130)의 상면 양단은 절취면(130a)과 동일면을 이루는 것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110)의 걸림편(112)이 상기 절취면(130a)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개구부(130d)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이탈방지용축(140)은, 상기 바디부(15)의 일단 내측으로 수용된 수용부(130)의 수용홈(130c)에 수용되면서, 상기 연결부재(110)의 타단과 상기 회동축(14)이 관통하는 바디부(15)의 일단 일측을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 설치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한 지지부재(150)는, 상기 바디부(15)의 일단 내측으로 수용되는 것에 의해 유입실린더(120)의 작동피스톤(120a)을 일단이 지지하고, 타단 양측은 상기 수용부(130) 양측면에 위치됨에 따른 상기 연결부재(110)의 타단과 걸림되어 도어의 개폐에 대응되게 회동하는 상기 연결부재(110)에 의해 상기 작동피스톤(120a)을 가압 및 가압 해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즉, 상기한 지지부재(150)는 상기 바디부(15)의 일단 내측으로 수용되는 것에 의해 유입실린더(120)의 작동피스톤(120a)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편(151)과, 상기 지지편(151)의 양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수용부(130) 양측면에 위치됨에 따른 상기 연결부재(110)의 걸림편(112)에 형성된 걸림돌기(112a)를 수용하여 걸림시킬 수 있도록 걸림요홈(152a)이 형성된 지지용걸림편(152)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코일스프링(160)은, 상기 개폐용회동부(12)의 타단과 상기 바디부(15)의 일단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축(14) 상에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도어고정부(11)의 수용홈(11a)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수용부(130)의 타면에 지지되어 도어 개폐에 따른 수용부측으로 가압력이 항상 작용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코일스프링(160)의 스프링력은 유압실린더(120)의 유압력보다 더 큰 힘이 작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가 설치된 경첩을 싱크대에 설치하여, 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30)를 가압하고 있던 코일스프링(160)이 해제되고 그로 인해, 수용부(130)에 수용된 유압실린더(120)의 작동피스톤(120a)이 인출된다.
따라서, 도어가 순간적으로 확 열리지 않고 부드럽게 개방됨에 따른 충격발생이 없어 도어고정부(11)와 고정부(16)가 도어와 본체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방된 도어를 본체측으로 닫게 되면, 코일스프링(160)이 회동하면서 수용부(130)를 가압시키고, 아울러, 인출된 유압실린더(120)의 작동피스톤(120a)이 지지부재(150)에 지지되면서 상기 유압실린더(120)측으로 삽입되므로 도어는 본체에 쾅하는 소리 없이 부드럽게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하게 되면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도어가 부드럽게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하여 도어가 본체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여 소음 발생 및 도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1 ; 도어고정부
12 ; 회동연결용축 13 ; 개폐용회동부
14 ; 회동축 15 ; 바디부
16 ; 고정부 100 ;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
110 ; 연결부재 120 ; 유압실린더
130 ; 수용부 140 ; 이탈방지용축
150 ; 지지부재 160 ; 코일스프링

Claims (4)

  1. 도어 내측면에 양단이 고정되고 중앙부에는 수용홈(11a)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1a) 양측면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도어고정부(11)와, 상기 도어고정부(11)의 수용홈(11a)에 일단이 수용되어 상기 홀 중 어느 하나의 홀에 회동연결용축(12) 일단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되는 개폐용회동부(13)와, 상기 개폐용회동부(13)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축(14)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결합홈과 조절공이 형성된 바디부(15)와, 상기 바디부(15)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결합홈과 조절공과 각각 연통되도록 중앙부는 상부로 돌출되어 상면에 조절홈과 결합공이 형성되며, 양단은 본체에 고정 결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16)로 구성된 경첩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개폐시 도어가 본체에 충돌하지 않고 부드럽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는,
    상기 개폐용회동부(13)의 저면에 위치되도록 일단은 상기 도어고정부(11)의 수용홈(11a)에 형성된 다른 홀에 상기 회동연결용축(12) 타단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부(15) 일단 저면에 위치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110)와;
    상기 연결부재(110)의 타단을 양측면에 수용하면서 바디부(15)의 일단 내측으로 수용가능하게 형성되되, 일면에는 작동피스톤(120a)을 갖춘 유입실린더(120)의 일단을 수용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구비되는 수용부(130)와;
    상기 연결부재(110)의 타단과 상기 회동축(14)이 관통하는 바디부(15)의 일단 일측을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부(130)의 저면을 지지하여 바디부(15)로부터 상기 수용부(1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가능하게 구비되는 이탈방지용축(140)과;
    상기 바디부(15)의 일단 내측으로 수용되는 것에 의해 유입실린더(120)의 작동피스톤(120a)을 일단이 지지하고, 타단 양측은 상기 수용부(130) 양측면에 위치됨에 따른 상기 연결부재(110)의 타단과 걸림되어 도어의 개폐에 대응되게 회동하는 상기 연결부재(110)에 의해 상기 작동피스톤(120a)을 가압 및 가압 해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지지부재(150)와;
    상기 회동축(14) 상에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도어고정부(11)의 수용홈(11a)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수용부(130)의 타면에 지지가능하게 구비되는 코일스프링(160)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110)는, 회동연결용축(12)의 타단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일단은 축관통홀(111a)이 형성된 연결편(111)과, 상기 연결편(111) 타단 양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일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수용부(130)의 양측면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50)의 타단을 걸림시킬 수 있도록 걸림돌기(112a)가 형성되되, 상기 일단에는 상기 이탈방지용축(140)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이탈방지용축관통홀(112b)이 천공된 걸림편(11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
  2. 삭제
  3. 도어 내측면에 양단이 고정되고 중앙부에는 수용홈(11a)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1a) 양측면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도어고정부(11)와, 상기 도어고정부(11)의 수용홈(11a)에 일단이 수용되어 상기 홀 중 어느 하나의 홀에 회동연결용축(12) 일단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되는 개폐용회동부(13)와, 상기 개폐용회동부(13)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축(14)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결합홈과 조절공이 형성된 바디부(15)와, 상기 바디부(15)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결합홈과 조절공과 각각 연통되도록 중앙부는 상부로 돌출되어 상면에 조절홈과 결합공이 형성되며, 양단은 본체에 고정 결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16)로 구성된 경첩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개폐시 도어가 본체에 충돌하지 않고 부드럽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는,
    상기 개폐용회동부(13)의 저면에 위치되도록 일단은 상기 도어고정부(11)의 수용홈(11a)에 형성된 다른 홀에 상기 회동연결용축(12) 타단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부(15) 일단 저면에 위치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110)와;
    상기 연결부재(110)의 타단을 양측면에 수용하면서 바디부(15)의 일단 내측으로 수용가능하게 형성되되, 일면에는 작동피스톤(120a)을 갖춘 유입실린더(120)의 일단을 수용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구비되는 수용부(130)와;
    상기 연결부재(110)의 타단과 상기 회동축(14)이 관통하는 바디부(15)의 일단 일측을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부(130)의 저면을 지지하여 바디부(15)로부터 상기 수용부(1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가능하게 구비되는 이탈방지용축(140)과;
    상기 바디부(15)의 일단 내측으로 수용되는 것에 의해 유입실린더(120)의 작동피스톤(120a)을 일단이 지지하고, 타단 양측은 상기 수용부(130) 양측면에 위치됨에 따른 상기 연결부재(110)의 타단과 걸림되어 도어의 개폐에 대응되게 회동하는 상기 연결부재(110)에 의해 상기 작동피스톤(120a)을 가압 및 가압 해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지지부재(150)와;
    상기 회동축(14) 상에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도어고정부(11)의 수용홈(11a)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수용부(130)의 타면에 지지가능하게 구비되는 코일스프링(160)을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130)는, 바디부(15)의 일단 내측으로 수용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양측면은 연결부재(110)와 지지부재(150)의 각 타단이 위치되도록 절취면(130a)이 형성되고, 일면에는 작동피스톤(120a)을 갖춘 유입실린더(120)의 일단을 수용가능하도록 요홈(130b)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이탈방지용축(14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130c)이 형성되며, 상면 양단은 절취면(130a)과 동일면을 이루는 것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110)의 걸림편(112)이 상기 절취면(130a)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개구부(130d)가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
  4. 도어 내측면에 양단이 고정되고 중앙부에는 수용홈(11a)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1a) 양측면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도어고정부(11)와, 상기 도어고정부(11)의 수용홈(11a)에 일단이 수용되어 상기 홀 중 어느 하나의 홀에 회동연결용축(12) 일단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되는 개폐용회동부(13)와, 상기 개폐용회동부(13)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축(14)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결합홈과 조절공이 형성된 바디부(15)와, 상기 바디부(15)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결합홈과 조절공과 각각 연통되도록 중앙부는 상부로 돌출되어 상면에 조절홈과 결합공이 형성되며, 양단은 본체에 고정 결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16)로 구성된 경첩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개폐시 도어가 본체에 충돌하지 않고 부드럽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는,
    상기 개폐용회동부(13)의 저면에 위치되도록 일단은 상기 도어고정부(11)의 수용홈(11a)에 형성된 다른 홀에 상기 회동연결용축(12) 타단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부(15) 일단 저면에 위치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110)와;
    상기 연결부재(110)의 타단을 양측면에 수용하면서 바디부(15)의 일단 내측으로 수용가능하게 형성되되, 일면에는 작동피스톤(120a)을 갖춘 유입실린더(120)의 일단을 수용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구비되는 수용부(130)와;
    상기 연결부재(110)의 타단과 상기 회동축(14)이 관통하는 바디부(15)의 일단 일측을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부(130)의 저면을 지지하여 바디부(15)로부터 상기 수용부(1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가능하게 구비되는 이탈방지용축(140)과;
    상기 바디부(15)의 일단 내측으로 수용되는 것에 의해 유입실린더(120)의 작동피스톤(120a)을 일단이 지지하고, 타단 양측은 상기 수용부(130) 양측면에 위치됨에 따른 상기 연결부재(110)의 타단과 걸림되어 도어의 개폐에 대응되게 회동하는 상기 연결부재(110)에 의해 상기 작동피스톤(120a)을 가압 및 가압 해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지지부재(150)와;
    상기 회동축(14) 상에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도어고정부(11)의 수용홈(11a)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수용부(130)의 타면에 지지가능하게 구비되는 코일스프링(160)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150)는, 바디부(15)의 일단 내측으로 수용되는 것에 의해 유입실린더(120)의 작동피스톤(120a)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편(151)과, 상기 지지편(151)의 양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수용부(130) 양측면에 위치됨에 따른 연결부재(110)의 타단을 수용하여 걸림시킬 수 있도록 걸림요홈(152a)이 형성된 지지용걸림편(15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


KR2020180005521U 2018-11-30 2018-11-30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 KR2004894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521U KR200489437Y1 (ko) 2018-11-30 2018-11-30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521U KR200489437Y1 (ko) 2018-11-30 2018-11-30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437Y1 true KR200489437Y1 (ko) 2019-06-17

Family

ID=67002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521U KR200489437Y1 (ko) 2018-11-30 2018-11-30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43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308257U (zh) * 2013-06-04 2013-11-27 广东泰明金属制品有限公司 家具用铰链
KR20140002257U (ko) 2014-04-01 2014-04-21 최찬두 힘받이를 설치한 삽 등
CN203684898U (zh) * 2014-01-17 2014-07-02 广东泰明金属制品有限公司 插入式阻尼器铰链
KR101438051B1 (ko) * 2006-08-31 2014-09-05 헷티히-오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가구용 힌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051B1 (ko) * 2006-08-31 2014-09-05 헷티히-오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가구용 힌지
CN203308257U (zh) * 2013-06-04 2013-11-27 广东泰明金属制品有限公司 家具用铰链
CN203684898U (zh) * 2014-01-17 2014-07-02 广东泰明金属制品有限公司 插入式阻尼器铰链
KR20140002257U (ko) 2014-04-01 2014-04-21 최찬두 힘받이를 설치한 삽 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55372B1 (en) Hinge device
JP3156516U (ja) 蝶番
KR100571378B1 (ko) 힌지
US8650711B1 (en) Hinge assembly with damping device
CA2714442C (en) Hinge having a damping device
CA2982158C (en) Furniture hinge comprising a damper and a spring
US20070096489A1 (en) Hinge structure of glove box for vehicle
EP3633128A1 (en) Device for doors
CA2982156C (en) Furniture hinge comprising a damper
KR20070004860A (ko) 댐퍼부착힌지
JP2018504537A (ja) 家具用減速ヒンジ
EP2315894B1 (en) Safety closure device for drawers and doors
KR200490969Y1 (ko) 도어 개폐용 유압식 경첩 연결장치
KR20100041005A (ko) 도어 댐퍼
EP2278104B1 (en) Snap hinge with damper and fixing plate for snap hinge
KR200489437Y1 (ko) 유압식 경첩용 연결장치
JP6754256B2 (ja) ヒンジ
CN210659654U (zh) 铰链及具有该铰链的家居装置
TWI647373B (zh) Controllable damper and easy-to-assemble hinge structure
CN113874590A (zh) 合叶装置
JP2010209638A (ja) ヒンジ装置
KR200325991Y1 (ko) 가구용 힌지장치
CN218581404U (zh) 一种铰接结构和转动门
KR101563598B1 (ko) 로터리 댐퍼 및 이를 장착한 힌지
JP7277322B2 (ja) ラッチ受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