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146Y1 - Automatic seasoning dispenser - Google Patents

Automatic seasoning dispen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146Y1
KR200489146Y1 KR2020170003235U KR20170003235U KR200489146Y1 KR 200489146 Y1 KR200489146 Y1 KR 200489146Y1 KR 2020170003235 U KR2020170003235 U KR 2020170003235U KR 20170003235 U KR20170003235 U KR 20170003235U KR 200489146 Y1 KR200489146 Y1 KR 2004891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easoning
disposed
discharge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23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0012U (en
Inventor
손성근
Original Assignee
손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성근 filed Critical 손성근
Priority to KR2020170003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146Y1/en
Publication of KR201900000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01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14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8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 B65G65/4881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horizontal ax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념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요리를 선택하면 요리에 사용되는 양념을 자동으로 혼합하여 배출함으로써 요리가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쉽게 적절한 양념을 얻을 수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한 양념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각각의 양념이 독립적으로 저장되고 일측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양념을 보충할 수 있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저장된 양념이 하단으로 이동시 이동속도를 향상시키고 이동되는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경사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양념저장부와,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저장된 양념을 일정량만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가 빈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 결합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상하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출부와, 사용자가 원하는 요리를 입력하여 이에 필요한 양념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며 양단에 각각 케이스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케이스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및 입력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입력된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터치패널부 및 상기 배출구의 하방에 배치되되 다수개의 배출구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배출구 보다 더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길이가 길게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서 내측을 향하여 요입 형성되어 용기가 안치되는 안치면이 구비된 용기안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mixed seasonings used for cooking when a user selects a desired dish, thereby allowing a user who is not familiar with cooking to easily obtain proper seasoning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easoning exhausting apparatus which can be easily cooked by anyon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se in which each sauce is independently stored and one side is openable and closable so as to supplement the sauce, the case having a housing space in which a receiving space is formed and one side is opened, And a ramp for guiding a path through which the sauce stor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space is moved and moved at a lower speed when the sauce is moved to the lower end thereof A case for storing a seasoning stored in a lower end of the case and discharg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seasoning to the outside; a discharge port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case, the discharge port having a hollow interior shape; A discharge unit comprising a plurality of discharge means disposed in a position, A frame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a side surface of a pair of case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ase at the outermost sides of the case, A touch panel unit including a display and an input button provided to be able to recognize a user's touch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inpu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A base plat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pair of outlets disposed at the outermost one of the plurality of outlets and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se plate; And a container housing part provided with the container housing part.

Description

양념 자동 배출장치{Automatic seasoning dispenser}Automatic seasoning dispenser

본 고안은 양념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요리를 선택하면 요리에 사용되는 양념을 자동으로 혼합하여 배출함으로써 요리가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쉽게 적절한 양념을 얻을 수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한 양념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mixed seasonings used for cooking when a user selects a desired dish, thereby allowing a user who is not familiar with cooking to easily obtain proper seasoning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easoning exhausting apparatus which can be easily cooked by anyone.

요리를 하는 과정에서 맛을 좌우하는 요소로는 재료의 신선도, 재료의 익힘 정도와 함께 양념이 있다. 이러한 양념은 음식의 맛을 내기 위해 쓰는 재료를 통칭하는 것으로, 재료의 누린내와 비린내를 제거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어떤 경우에는 음식 맛의 전부이기도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The factors influencing the taste in the process of cooking are the freshness of the ingredients, the degree of cooking of the ingredients, and the seasonings. These sauces are the ingredients used to taste the food, and they are essential for removing the nutrition and smell of the ingredients, and in some cases, they are all important ingredients of the food taste.

이러한 양념 중 한국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것으로는, 소금, 후추, 설탕, 간장, 고추장, 된장, 참기름, 고춧가루, 간마늘, 간생강 등이 있다.Among these seasonings, typical examples used in Korea include salt, pepper, sugar, soy sauce, hot pepper paste, miso, sesame oil, red pepper powder, liver garlic, and liver ginger.

근래에 증가하고 있는 1인가구 또는 신혼부부 등과 같이 아직 요리에 익숙하지 않거나 요리를 할 때 맛을 좌우하는 양념을 혼합하기 어려운 소비자들은 인터넷, 지인, 책자 등과 같이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양념을 혼합하는 비율을 확인한 후 이를 재료에 투입하게 되나, 인터넷, 책자 등에서 기재된 양념의 혼합비율은 일 예로서, ‘설탕 1큰술’‘간장 2큰술’‘간마늘 1/2 작은술’‘후춧가루 적당량’등과 같이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서 지칭하는 큰술, 작은술이 정확히 어느 정도의 크기를 지칭하는지 정확히 알 수 없고, 적당량이 어느 정도의 양을 말하는지가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양념의 혼합비율이 틀려서 요리의 맛이 이상하게 되고, 이러한 실패의 과정에서 자신감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sumers who are unfamiliar with cooking or who have difficulty mixing spices that influence their taste in cooking, such as one growing in recent years or newly married couples, can mix spices through various routes such as the Internet, acquaintances, and booklets The ratio of the seasonings described in the Internet, booklets, etc., is one example, such as "1 tablespoon of sugar, 2 tablespoon soy sauce, 1/2 tsp of liver garlic," "suitable amount of pepper powder" It is impossible to know exactly how much the size of the spoonfuls and tiny spices referred to herein is accurately known and it is not exactly how much the appropriate amount of the spoon is to be spelled. , There was a problem of losing confidence in the process of failure.

또한, 각각의 양념이 ‘그램)’으로 표기되는 경우 각각의 양념의 양을 측정해야 하는 것은 일반 가정에서는 매우 번거롭고 계량 저울 등과 같은 장비를 구비해야 하므로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고 사용 후 이를 세척하고 건조한 후 별도로 보관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each of the spices is indicated as "grams", it is very troublesome to measure the amount of each spice in general households, and it is necessary to equip such as a weighing scale, so that extra cost is incurred, It is troublesome to store them separatel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53448호(2001.10.27. 등록)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센서를 이용한 자동 양념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감지센서에 음식물이 검출되면 전기적인 신호가 내부 회로에 내장된 콘트롤러와 타이머 등에 전달되어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정된 시간 동안 개폐하여 정량의 양념을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이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has been proposed a registraion utility model No. 20-0253448 (registered on October 27, 2001), which is proposed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 electric signal is transmitted to a controller and a timer built in the internal circuit, and the electronic solenoid valve is opened and closed for a predetermined time to discharge a predetermined amount of seasoning.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이미 혼합이 완성된 양념을 일정량만큼만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배출되는 양념은 정해진 혼합비율을 통해 이미 완성된 것이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할 수는 없는 것이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s for discharging only a certain amount of the seasoning which has already been mixed, and the above-mentioned problem can not be completely solved because the seasoning to be discharged is already completed through a predetermined mixing ratio.

0001. 등록실용신안 제20-0253448호(2001.10.27. 등록)0001.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253448 (Registered on October 27, 2001)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원하는 요리에 사용되는 혼합된 양념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는 양념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한 양념 자동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ixed spice which is easily used by a person of all ages, and it is also possible to add spice used in various dishes selectively And to provide a discharge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각각의 양념이 독립적으로 저장되고 일측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양념을 보충할 수 있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저장된 양념이 하단으로 이동시 이동속도를 향상시키고 이동되는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경사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양념저장부와,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저장된 양념을 일정량만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가 빈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 결합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상하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출부와, 사용자가 원하는 요리를 입력하여 이에 필요한 양념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며 양단에 각각 케이스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케이스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및 입력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입력된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터치패널부 및 상기 배출구의 하방에 배치되되 다수개의 배출구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배출구 보다 더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길이가 길게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서 내측을 향하여 요입 형성되어 용기가 안치되는 안치면이 구비된 용기안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se in which each sauce is independently stored and one side is openable and closable to supplement the sauce,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ed side of the case to open or close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guide for guiding a path through which the sauce, which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seasoning stor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case to the outside, the discharge port being formed in an empty tubular shape and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ase;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means disposed at mutually spaced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air of cases which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ase and which are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case and which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sides of the cas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put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display unit including a frame and a display and input buttons disposed in the frame and capable of recognizing the touch of the user A base plat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extending outwardly from a pair of outlets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outlets, Container with an inner surface to hold the container It achieved by also.

또한,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배출구에 적어도 한 쌍이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양념을 일정량만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배출구의 개방된 하단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1개폐판과, 상기 제1개폐판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1구동수단과, 일측은 상기 제1개폐판의 일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1구동수단의 구동축에 결합된 제1회전축과, 상기 제1개폐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개폐판과, 상기 제2개폐판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2구동수단과, 일측은 상기 제2개폐판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구동수단의 구동축에 결합된 제2회전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harging means may include a first opening / closing plate for opening / closing the opened lower end of the discharge port, at least one pair of which is disposed at a position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port to discharge the seasoning by a predetermined amount, A first rotating shaft which is fix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plate and the other of which is coupled to a driving shaft of the first driving means, and a second driving shaft which is spaced upward from the first opening / And a second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second opening / closing plate. The second driving means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opening / closing plat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opening / And a control unit.

이때, 상기 제2개폐판은, 반원형의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테두리까지의 직경이 상기 배출구의 내경에 상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져 배출구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다수개가 제2회전축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인접한 판 사이에 양념이 일정량 만큼 저장되는 대기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open / close plate is formed in a semicircular plate shape and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discharge port and is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discharge port. And an atmosphere space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seasoning is stored between adjacent plates is formed.

나아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스의 후단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케이스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과 좌우측면 일부가 삽입되는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되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삽입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돌기의 하부에는 케이스의 하단부의 일부가 걸리며 상기 배출구가 관통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걸림턱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base plate may further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case is inser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rear end portion of the cas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The insertion portion is protru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lower end of the insertion protrusion is hooked to a lower end of the case and a groove is formed through which the outlet is inserted.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원하는 요리를 하기 위한 양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요리의 즐거움을 얻을 수 있고, 요리 중에서 어려운 양념의 혼합을 손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맛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일반 가정집 뿐만 아니라 프렌차이즈 식당 등에서도 정해진 레시피에 따라 동일한 양념을 복수의 프렌차이즈 식당에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프렌차이즈에서도 맛이 차이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ove-described concep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sauce for easy cooking by anyone, male and female, and enjoying cooking,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mix a difficult sauce during cooking, thereby maintaining a certain taste . This makes it possible to obtain the same sauce from a plurality of french restaurants in accordance with recipes determined not only in a typical home but also in a french restaurant, thereby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taste is different even in the same franchis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념 자동 배출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념 자동 배출장치를 내부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양념 자동 배출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념 자동 배출장치의 사용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양념 자동 배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utomatic seas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asoning automatic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Fig. 2
4A to 4C are diagram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seasoning automatic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use state of the seasoning automatic drai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asoning automatic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고안에 따른 양념 자동 배출장치(1)는, 양념저장부(10)와, 배출부(20)와, 터치패널부(30) 및 용기안치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automatic seasoning dispen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soning storage unit 10, a discharge unit 20, a touch panel unit 30, and a container holding unit 40.

상기 양념저장부(10)는, 각각의 양념이 독립적으로 저장되고 일측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양념을 보충할 수 있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12)이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케이스(11)와, 상기 수용공간(12)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1)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덮개(13)와, 상기 수용공간(12)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저장된 양념이 하단으로 이동시 이동속도를 향상시키고 이동되는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경사로(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easoning storage unit 10 has a storage space 12 in which a sauce is stored and a side is opened and closed to supplement sauce, A lid 13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ed side of the case 11 to open or close the accommodation space 12 and a lid 13 which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2, And a ramp (15) for guiding the traveling path to improve the moving speed when moving to the lower end.

상기 케이스(11)는, 내부가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부에서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11)는 복수개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되 각각의 케이스(11)가 인접한 케이스(1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각각의 양념이 독립적으로 보관된 케이스(11)를 다수개 배치할 수 있고, 양념의 종류를 변경하고자 할 때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The case 11 is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f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nside of the case 11 is hollow and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A plurality of cases 11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each case 11 is detachably coupled to an adjacent case 11 so that a plurality of cases 11 in which respective condiments are independently stored are arranged So that it can be easily changed even when it is desired to change the kind of seasoning.

이를 위해 일 예로서, 상기 케이스(11)에는 인접한 타 케이스(11)와 맞닿는 양측면에 각각 결합돌기(111)와 결합홈(11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111)와 결합홈(112)은 케이스(11)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돌기(111)와 결합홈(112)이 형성된다.For example, the case 11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111 and a coupling groove 112 on both sides of the case 11,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adjacent other case 11. The coupling protrusion 111 and the coupling groove 112, The coupling protrusions 111 and the coupling grooves 11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ase as shown in FIG.

상기 덮개(13)는 케이스(11)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11)의 일측면에 힌지(H)를 통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면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도면 중 미도시됨)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lid 13 is for opening and closing one side of the case 11. The lid 13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se 11 through a hinge H so as to be rotatable, A handle (not shown in the figure) may be further provided.

나아가, 상기 덮개(13)의 저면 즉, 수용공간(12)측에 배치되는 면에는 수용공간(12)에 수용된 양념의 종류에 따라 습기를 흡수하는 제습제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설탕, 소금, 고춧가루, 후춧가루 등과 같이 저장된 양념이 분말 형태인 경우 외부로부터의 습기 유입을 차단하고,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여 양념이 변질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Furthermore, a dehumidifying agent for absorbing moisture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13, that is, on the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2,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seasoning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2, Red pepper powder, pepper powder, etc., in case of the powdered form, to prevent moisture from entering from the outside and to remove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to minimize the deterioration of the spice.

상기 제습제(18)는 도 2의 확대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13)의 저면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보조덮개(16)와 상기 보조덮개(16)와 덮개(13)의 저면 사이에 형성된 배치공간(17)에 배치되며, 이때 상기 보조덮개(16)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천공되어 수용공간(12) 내에 포함된 습기가 제습제(18)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2, the dehumidifying agent 18 is dispos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13 and the auxiliary lid 16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13 in an openable and closable manner, A plurality of holes are drilled in the auxiliary lid 16 so that moisture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2 can be introduced into the desiccant 18 side.

이때 사용되는 제습제(18) 중 일 예로서 규조토(Diatomite)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규조토는 규조라 불리우는 수중 단세포 식물의 잔해가 해저(海底)나 호저(湖底)에 퇴적한 집합체로 일종의 화석토이다. 규조는 수중환경에서 실리카를 추출해내어 자신의 단단한 골격 구조를 구성하는 능력이 있는데, 규조 골격의 퇴적물이 속성 작용을 받아 굳어져 형성된 규조토 퇴적암은 대부분이 비정질 실리카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규모 응집상태로 산출된다.Diatomite may be used as an example of the dehumidifying agent (18) used herein. The diatomite is a collection of debris of a single-celled plant called diatomaceous earth, which is deposited on the seabed or the bottom of the lake and is a kind of fossil soil . Diatomaceous earth has the ability to extract silica from underwater environment to construct its own rigid skeletal structure. Most of the diatomaceous sedimentary rock formed by sedimentation of the diatomite skeleton is hardened and formed into a large scale aggregation state.

이러한 규조토는 활성탄(숯)의 5천배에 이르는 기공이 형성된 것으로, 통상 숯을 다공질체라고 한다면 규조토는 초다공질체라고 불리우며, 미세기공이 오염된 입자를 흡수한 후 여과한다. 또한, 규조토의 미세기공은 습도를 유지해 주거나, 냄새를 없애주는 효과가 있으며 표면적이 크고 밀도는 작은 친환경적인 소재이다.Such diatomaceous earth is formed with pores up to 5,000 times that of activated charcoal (charcoal). Normally, when char is a porous body, diatomaceous earth is called a super porous body. In addition, micropores of diatomaceous earth are eco-friendly materials with high surface area and small density, which maintains humidity or eliminates odors.

본 고안에서는 규조토를 알갱이 형태로 형성한 것을 상기 배치공간(17)에 배치하여 제습 및 탈취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알갱이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사용 중 손상되거나 파손된 알갱이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기존 제습수단이 하나의 큰 덩어리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 중 교체하기 위해서는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 비용이 상승하나, 알갱이 형태로 형성된 규조토는 필요한 만큼만 교환함으로써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diatomaceous earth is formed in a granular form so as to be placed in the arrangement space 17 so as to obtain the effect of dehumidification and deodorization. By forming it in a granular form, it is possible to easily replace damaged or broken granules And the existing dehumidifying means is formed into a single large lump shape. In order to replace the existing dehumidifying means, the maintenance cost is increased because the whole needs to be replaced. However, maintenance cost can be reduced by exchanging only the necessary amount of diatomaceous earth formed in the granular form There is an effect.

한편, 상기 보조덮개(16)는 힌지(H)를 통해 덮개(13)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일단부에 이동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금구(161)가 더 구비된다.The auxiliary lid 16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bracket 161 rotatably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13 through a hinge H and fixing the moved position of the auxiliary lid 16 at one end.

상기 경사로(15)는, 수용공간(12)의 하부에 형성되어 저장된 양념을 안내함과 동시에 이동하는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수용공간(12)을 형성하는 케이스(11)의 내벽 중 적어도 마주보는 한 쌍의 내벽이 하단부를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배치되어 형성된 것이다.The inclined path 15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2 to increase the speed at which the sauce is guided and moved. And the inner wall of the pair is gradually arrang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lower end.

이때 상기 경사로(15)의 하단부는 외부로 노출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배출구(21)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ramp 15 is exposed to the outside,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discharge port 21 to be described later is detachably screwed.

상기 배출부(20)는, 상기 케이스(11)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저장된 양념을 일정량만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가 빈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11)의 하단부에 결합하는 배출구(21)와, 상기 배출구(21)에 상하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배출수단(22)과, 양념이 배출되는 배출구(21)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알림수단(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ischarge unit 20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11 and discharges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stored sauce to the outside. The discharge unit 20 has an empty tube shape and is connected to a discharge port A plurality of discharge means 22 arranged at a position spaced vertically from each other in the discharge port 21 and notification means 23 for guiding the user to the discharge port 21 through which the spice is discharged .

상기 배출구(21)는 내부가 빈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11)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며, 이를 위해 내주면에 상기 경사로(15)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하는 대응나사산이 더 형성된다.The discharge port 21 is formed in a hollow tube shape and is removably screwed to the lower end of the case 11. For this purpose, a corresponding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21 to engage with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mp 15 do.

상기 배출수단(22)은 상기 배출구(21)에 적어도 한 쌍이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양념을 일정량만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배출구(21)의 개방된 하단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1개폐판(221)과, 상기 제1개폐판(221)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1구동수단(222)과, 일측은 상기 제1개폐판(221)의 일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1구동수단(222)의 구동축에 결합된 제1회전축(223)과, 상기 제1개폐판(221)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개폐판(224)과, 상기 제2개폐판(224)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2구동수단(225)과, 일측은 상기 제2개폐판(224)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구동수단(225)의 구동축에 결합된 제2회전축(2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ischarge means 22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vertically apart from the discharge port 21 so as to discharge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spice. The discharge means 22 includes a first opening / closing plate 2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ort 21, And a second driving means 222 for driving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late 221. One side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late 221 is fix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late 221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means 222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plate 224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late 221 and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plate 224 connected to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late 224 And a second rotating shaft 226 coupled to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late 224 and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second driving unit 225 at the other side.

상기 제1개폐판(221)은, 상기 배출구(21)의 하단부 내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전체적으로 원판형태로 이루어져 회전에 의해 상기 배출구(21)의 개구된 하단부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The first open / close plate 221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ort 21 and is formed in a disk shape as a whole, and opens or closes the opened lower end of the discharge port 21 by rotation.

상기 제1구동수단(222)은, 인가된 전원을 통해 구동하는 것으로, 제1구동수단(222) 및 상기 제2구동수단(225)의 동작시간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배출되는 양념의 양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제1구동수단(222)과 제2구동수단(225)은 제어부(34)를 통해 제어된다.The operation time of the first driving means 222 and the second driving means 225 is controlled by the amount of the seasoning discharged by the user's choice The first driving means 222 and the second driving means 225 ar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34. [

또한, 상기 제1구동수단(222)은 케이스(11)의 하단부에 결합된 다수개의 제1개폐판(221)을 동시에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제1구동수단(222)의 구동축에 벨트 또는 체인 등과 같은 동력전달수단(도면 중 미도시됨)이 더 구비되고 각각의 제1개폐판(221)에 결합된 제1회전축(223)이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결합된다.The first driving means 222 may b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open or close a plurality of first opening and closing plates 221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ase 11. For this purpose, (Not shown) such as a belt or a chain, and a first rotation shaft 223 coupled to each first opening / closing plate 221 is coupled to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상기 제2개폐판(224)은 상기 제1개폐판(221)의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되, 반원형의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테두리까지의 직경이 상기 배출구(21)의 내경에 상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져 배출구(21)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다수개가 제2회전축(226)의 위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인접한 판 사이에 양념이 일정량 만큼 저장되는 대기공간(A)이 형성된다.The second open / close plate 224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pen / close plate 221, and has a semicircular plate shape. The diameter of the second open / close plate 224 corresponds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discharge port 21 And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spaces A are formed radially on the upper major surface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226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seasoning is stored between adjacent plates.

이때, 상기 제2개폐판(224)은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제2회전축(226)을 중심으로 4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양념에 따라 배치되는 개수는 조절될 수 있다. 즉, 양념 중 소금, 후추 등과 같이 소량이 사용되는 양념의 경우 제2개폐판(224)의 개수를 보다 많이 배치하여 상기 대기공간(A)의 면적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although the second opening / closing plate 224 is shown as being radially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ating shaft 226 as shown in the figure, the number of the second opening / have. That is, in the case of a seasoning in which a small amount of seasonings such as salt, pepper and the like are used, it is preferable to arrange more second open / close plates 224 to reduce the area of the atmosphere space A.

상기 제2구동수단(225)은 제2개폐판(224)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후술할 제어부(34)를 통해 배출되는 양념의 양이 결정되면 결정된 신호를 전달받아 제2개폐판(224)을 일정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대기공간(A)에 수용된 양념이 배출구(21)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The second driving means 225 is for rotating the second opening / closing plate 224. When the amount of the seasoning discharged through the control unit 34 to be described later is determined, the second driving means 225 receives the determined signal, So that the seasoning contained in the waiting space A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21 side.

이를 위해 상기 제2구동수단(225)은 통상적인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나 모터와 제어구동보드를 포함한 서보모터(Servo Motor)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is purpose, the second driving unit 225 may be a conventional motor, but it is preferable that a servo motor including a motor and a control driving board be used.

도면 중 미설명부호 (229)는 배출구의 밀폐를 위한 실링(229)이다.Reference numeral 229 denotes a ceiling 229 for sealing the discharge port.

상기 알림수단(23)은 양념이 배출되는 배출구(21)를 사용자에게 안내해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11)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며 적어도 2가지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LED(231)와 외부로 소리를 배출하는 스피커(2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notification means 23 is for guiding the user to the discharge port 21 through which the spice is discharged. The notification means 23 includes an LED 231 provided at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1 and capable of expressing at least two colors, And a speaker 232 for discharging the sound.

상기 LED(231)와 스피커(232)를 통하여 양념이 배출되는 배출구(21)를 사용자에게 안내함으로써 배출되는 양념이 그릇 이외의 바닥이나 후술할 용기안치부에 직접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user can be guid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charge port 21 through which the seasoning is discharged through the LED 231 and the speaker 232 to prevent the discharged seasoning from dropping directly on the floor other than the bowl or the container holding portion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터치패널부(30)는, 사용자가 원하는 요리를 입력하여 이에 필요한 양념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1)의 전면에 구비되며 양단에 각각 케이스(11)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케이스(11)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31)과, 상기 프레임(31)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디스플레이(32) 및 입력버튼(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입력된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32)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touch panel unit 3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11 and is disposed at the outermost one of the cases 11 at both ends thereof, A frame 31 detachably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pair of cases 11 and a display 32 and an input button 33 disposed on the frame 31 and capable of recognizing the user's touch, And a control unit 34 for controlling the input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32. [

상기 프레임(31)은 상기 디스플레이(32)가 배치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단부에서 각각 절곡 형성되며 케이스(11)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면부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측면부에는 케이스(11)와의 결합을 위한 자석 또는 접착테이프 등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ame 31 is formed by bending a front portion on which the display 32 is disposed and both ends of the front portion and a side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case 11, It is preferable that a magnet or an adhesive tape or the like is further provided.

상기 디스플레이(32)와, 입력버튼(33) 및 제어부(34)의 동작관계는 통상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Since the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display 32, the input button 33, and the control unit 34 is normal,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용기안치부(40)는, 양념을 받는 용기(T)가 배출구(21)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배출구(21)의 하방에 배치되되 다수개의 배출구(21)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배출구(21) 보다 더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길이가 길게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4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1)의 상면에서 내측을 향하여 요입 형성되어 용기(T)가 안치되는 안치면(42)과, 상기 안치면(42)과 외부를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용기(T)가 출입하기 용이하도록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ntainer holding portion 40 is disposed below the discharging port 21 so that the container T receiving the spice is positioned directly below the discharging port 21 and is provid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discharging ports 21 A base plate 41 formed so as to be longer than a pair of outlets 21 to be disposed on the base plate 41 and a base plate 41 which is formed so as to be inwardly i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41, And an inclined surface 43 which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surface 42 and which is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container T can be easily taken in and out.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1)의 후단부에는 상기 케이스(11)의 후단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케이스(11)가 삽입되는 삽입부(4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411)는 케이스(11)의 후면과 좌우측면 일부가 삽입되는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되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삽입돌기(412)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돌기(412) 사이에 케이스(11)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삽입돌기(412)의 하부에는 케이스(11)의 하단부의 일부가 걸리며 상기 배출구(21)가 관통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걸림턱(413)이 더 구비된다.At this time, an insertion portion 411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ase plate 41 to insert the case 1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rear end of the case 11 is fitted. The insertion portion 411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rotrusion 412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11 by inserting a rear surface of the case 11 and a left and right side portion thereof, (11) is inserted. At this time,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case 11 is hook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protrusion 412, and a hooking protrusion 413 having a groove through which the outlet port 21 is inserted is further provided.

상기 경사면(43)은 용기(T)를 안치면에 투입하거나 뺄 때 적은힘으로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와 안치면(42)을 연통시키며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The inclined surface 43 is formed so as to allow the container T to be inserted with a small force when the container T is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The inclined surface 43 is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external surface 42 and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side.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념 자동 배출장치(1)가 냉장고 등에 일체로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로서,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전면에 구비된 홈바에 본 고안에 따른 양념 자동 배출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양념이 냉장 보관되도록 하여 장시간 보관에도 변질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FIG. 5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asoning automatic drain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provided in a refrigerator or the like.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home bar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By installing the device, the seasoning can be stored in the refrigerator, so tha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terioration even when stored for a long time.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가 외부에서 스마트폰 또는 인터넷 통신이 연결된 컴퓨터 등을 통해 미리 양념을 배출하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스마트폰(P) 또는 컴퓨터(C)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도면 중 미도시됨)을 통해 인터넷과 연결된 송수신부(110)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된 명령을 송수신하고, 이 신호를 제어부(34)로 전송하여 상기 배출부(20)에 구비된 제1구동수단(222) 및 제2구동수단(225)을 구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user sets the user to discharge the sauce in advance through a computer connected to a smart phone or Internet communication from the outside, and is provided in the smartphone P or the computer C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10 connected to the Internet via an application (not shown in the figure) transmits / receives a command transmitted through the application and transmits the received command to the control unit 34, 1 driving means 222 and the second driving means 225, respectively.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원하는 요리를 하기 위한 양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요리의 즐거움을 얻을 수 있고, 요리 중에서 어려운 양념의 혼합을 손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맛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일반 가정집 뿐만 아니라 프렌차이즈 식당 등에서도 정해진 레시피에 따라 동일한 양념을 복수의 프렌차이즈 식당에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프렌차이즈에서도 맛이 차이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auce for easy cooking by anyone, male and female, and enjoy the cooking,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mix the difficult seasonings in the cooking, so that a certain taste can be maintained. This makes it possible to obtain the same sauce from a plurality of french restaurants in accordance with recipes determined not only in a typical home but also in a french restaurant, thereby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taste is different even in the same franchis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the like,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such equivalents, or equivalents thereof, a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claims set forth below.

1 : 본 고안에 따른 양념 자동 배출장치
10 : 양념저장부
11 : 케이스 12 : 수용공간
13 : 덮개 15 : 경사로
16 : 보조덮개 17 : 배치공간
18 : 제습제
20 : 배출부
21 : 배출구 22 : 배출수단
23 : 알림수단
221 : 제1개폐판 222 : 제1구동수단
223 : 제1회전축 224 : 제2개폐판
225 : 제2구동수단 226 : 제2회전축
30 : 터치패널부
31 : 프레임 32 : 디스플레이
33 : 입력버튼 34 : 제어부
40 : 용기안치부
41 : 베이스플레이트 42 : 안치면
43 : 경사면
411 : 삽입부 412 : 삽입돌기
413 : 걸림턱
1: automatic spic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Seasoning storage
11: Case 12: accommodation space
13: lid 15: ramp
16: auxiliary lid 17:
18: Desiccant
20:
21: exhaust port 22: exhaust means
23: Notification means
221: first open / close plate 222: first drive means
223: first rotating shaft 224: second opening / closing plate
225: second driving means 226: second rotating shaft
30: Touch panel section
31: Frame 32: Display
33: input button 34:
40: container holder
41: base plate 42:
43:
411: insertion portion 412: insertion projection
413:

Claims (4)

각각의 양념이 독립적으로 저장되고 일측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양념을 보충할 수 있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12)이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케이스(11)와,
상기 수용공간(12)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1)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덮개(13)와,
상기 수용공간(12)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저장된 양념이 하단으로 이동시 이동속도를 향상시키고 이동되는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경사로(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양념저장부(10);와,
상기 케이스(11)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저장된 양념을 일정량만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가 빈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11)의 하단부에 결합하는 배출구(21)와,
상기 배출구(21)에 상하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배출수단(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출부(20);와,
사용자가 원하는 요리를 입력하여 이에 필요한 양념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1)의 전면에 구비되며 양단에 각각 케이스(11)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케이스(11)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31)과,
상기 프레임(31)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디스플레이(32) 및 입력버튼(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입력된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32)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터치패널부(30) 및
상기 배출구(21)의 하방에 배치되되 다수개의 배출구(21)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배출구(21) 보다 더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길이가 길게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4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1)의 상면에서 내측을 향하여 요입 형성되어 용기(T)가 안치되는 안치면(42)이 구비된 용기안치부(4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1)는,
상기 케이스(11)의 후단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케이스(11)가 삽입되는 삽입부(411)가 더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411)는,
상기 케이스(11)의 후면과 좌우측면 일부가 삽입되는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되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삽입돌기(412)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돌기(412)의 하부에는 케이스(11)의 하단부의 일부가 걸리며 상기 배출구(21)가 관통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걸림턱(413)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자동 배출장치.
A case 11 in which a storage space 12 is formed in the inside and a hollow shap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A cover 13 for opening and closing one side of the case 11 to open or close the accommodation space 12,
A seasoning storage unit 1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2 and including a ramp 15 for guiding the path through which the stored seasoning improves the traveling speed when the seasoning is moved to the lower end,
A discharge port 21 for discharg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seasoning stored in the lower end of the case 11 to the outside and having an empty tube shape and engaging with a lower end of the case 11;
A discharge unit 20 including a plurality of discharge means 22 arranged at positions spaced vertically from each other in the discharge port 21;
(11)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se (11) and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ase (11)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case (11) A frame 31 detachably coupled to the frame 31,
And a display 32 and an input button 33 disposed on the frame 31 and capable of recognizing the user's touch,
A touch panel unit 30 including a control unit 34 for controlling inpu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32,
A base plate 41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port 21 and having a longer length than the pair of discharge ports 21 disposed outermost among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21,
And a container holding part (40) formed inside the base plate (41) so as to protrude i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41) and provided with a cleaning surface (42)
The base plate (41)
And an insertion portion 411 into which the case 11 is inser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rear end of the case 11 is fitted,
The insertion portion 411,
The insertion protrusions 412 protruding at regular intervals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provided by inse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11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thereof,
Wherein the insertion protrusion (412) is further provided with a hooking protrusion (413) formed at a lower part of the case (11) and having a groove through which the outlet (21) is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22)은,
상기 배출구(21)에 적어도 한 쌍이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양념을 일정량만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배출구(21)의 개방된 하단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1개폐판(221)과,
상기 제1개폐판(221)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1구동수단(222)과,
일측은 상기 제1개폐판(221)의 일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1구동수단(222)의 구동축에 결합된 제1회전축(223)과,
상기 제1개폐판(221)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개폐판(224)과,
상기 제2개폐판(224)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2구동수단(225)과,
일측은 상기 제2개폐판(224)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구동수단(225)의 구동축에 결합된 제2회전축(2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자동 배출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discharge means (22)
At least one pair of the outlet 21 is disposed at a vertically spaced position to discharge a predetermined amount of seasoning.
A first opening and closing plate 22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wer end of the outlet 21,
First drive means 222 for operating the first open / close plate 221,
One side of which is fix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late 221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first driving means 222,
A second open / close board 224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first open / close board 221,
Second drive means 225 for operating the second open / close board 224,
And a second rotation shaft (226) coupled to the second opening / closing plate (224) and coupled to a driving shaft of the second driving unit (22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판(224)은,
반원형의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테두리까지의 직경이 상기 배출구(21)의 내경에 상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져 배출구(21)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다수개가 제2회전축(226)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인접한 판 사이에 양념이 일정량 만큼 저장되는 대기공간(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자동 배출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econd open / close board (224)
And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discharge port (21) and is disposed rotatably in the discharge port (21)
Wherein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spaces are radially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226), and an atmosphere space (A)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seasoning is stored between adjacent plates is formed.
삭제delete
KR2020170003235U 2017-06-23 2017-06-23 Automatic seasoning dispenser KR20048914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235U KR200489146Y1 (en) 2017-06-23 2017-06-23 Automatic seasoning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235U KR200489146Y1 (en) 2017-06-23 2017-06-23 Automatic seasoning dispen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12U KR20190000012U (en) 2019-01-03
KR200489146Y1 true KR200489146Y1 (en) 2019-05-07

Family

ID=65012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235U KR200489146Y1 (en) 2017-06-23 2017-06-23 Automatic seasoning dispen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146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0962A (en) * 2019-06-26 2019-08-23 吉林省东润智能厨房设备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machine for stir-frying dishes solid seasoning feeding system
CN110482182B (en) * 2019-07-08 2021-09-14 珠海优特智厨科技有限公司 Seasoning feeding device and seasoning feeding method
CN112294154A (en) * 2019-07-31 2021-02-02 江苏亨少米业发展有限公司 Novel powdered seasoning adding system
KR102584313B1 (en) * 2021-06-17 2023-09-27 권순욱 Device for Automatic Supply of Dru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084B1 (en) * 2015-03-25 2015-09-09 방주희 Automatic spice feed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18A (en) * 1994-06-17 1996-01-09 Iseki & Co Ltd Grain treating device
KR0168731B1 (en) * 1996-04-29 1998-12-01 이석규 Automatic rice cooker
KR200253448Y1 (en) 2001-07-21 2001-11-17 김수정 Sauce discharging apparatus using sensor
KR20090131319A (en) * 2008-06-18 2009-12-29 (주)이지탑 Auto fixed quantity suppl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084B1 (en) * 2015-03-25 2015-09-09 방주희 Automatic spice fee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12U (en)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146Y1 (en) Automatic seasoning dispenser
US20160029833A1 (en) Hot Beverage Brewer
CN209436874U (en) Cooking apparatus
KR101462045B1 (en) Food spice automatic supply apparatus and application executing method of device thereof
CN102908071A (en) Intelligent seasoning box
CN104101156B (en) Refrigerator
CN104058179A (en) Quantitatively supplying device and method for powdery food
CN108209643B (en) Automatic rice-washing electric rice cooker
US20020096528A1 (en) Decorative bowl
CN207152515U (en) Seasoning machine
KR200402879Y1 (en) Delivery Box for Food
US20140354132A1 (en) Translatable Support Mechanism
CN204872164U (en) Coffee allotment box
CN208582289U (en) A kind of flavouring box
KR200374845Y1 (en) A rice pot partitioned in the inside
KR200363094Y1 (en) A combined cereals exhausting apparatus and wall tapestry decoration
KR20160065707A (en) Fertilizer price in non-library
KR200416747Y1 (en) Electricity rice cooker having a division plate
CN203903139U (en) Powdered food rationing device
CN215899490U (en) Material platform equipment
JP2005000596A (en) Microcomputer-controlled automatic liquid seasoning container
IT201800009198A1 (en) CONTAINER FOR FOOD PRODUCTS AND ITS USES
CN211749148U (en) Kitchen seasoning storage and automatic discharging device
CN104329892B (en) Refrigerator
KR200315080Y1 (en) A Fixed quantity releasable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