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123Y1 - 차폐부를 갖는 고정 단자를 포함하는 개폐기 - Google Patents

차폐부를 갖는 고정 단자를 포함하는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123Y1
KR200489123Y1 KR2020180000166U KR20180000166U KR200489123Y1 KR 200489123 Y1 KR200489123 Y1 KR 200489123Y1 KR 2020180000166 U KR2020180000166 U KR 2020180000166U KR 20180000166 U KR20180000166 U KR 20180000166U KR 200489123 Y1 KR200489123 Y1 KR 2004891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ixed
fixed terminal
housing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0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1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1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1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12Auxiliary contacts on to which the arc is transferred from the main contacts
    • H01H33/121Load break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개폐기는, 하우징,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 단자 및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하여, 고정 단자에 접촉하거나 고정 단자로부터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단자를 포함하고, 고정 단자는,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부,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단자부 및 고정부와 단자부 사이에서 돌출되며, 고정부와 단자부를 연결하는 곡면으로 형성된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폐부를 갖는 고정 단자를 포함하는 개폐기{SWITCH COMPRISING FIXED CONTACT HAVING SHIELD PART}
다양한 실시예들은 차폐부를 갖는 고정 단자를 포함하는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개폐기는 전원으로부터 연장되는 회로를 개폐한다. 즉 개폐기는 회로에서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와 같은 이상전류를 검출하고 회로를 차단함으로써, 설비 및 인명을 보호한다. 개폐기는 고정 단자와 가동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단자는 회로에 연결되어 있으며, 가동 단자가 고정 단자에 대응하여, 이동 가능하다. 이를 통해, 가동 단자가 고정 단자에 접촉하여, 회로를 폐쇄시킬 수 있으며, 가동 단자가 고정 단자로부터 분리되어, 회로를 개방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개폐기에서, 고정 단자의 특정 지점에 전계가 집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고정 단자와 가동 단자 사이에 아크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 이를 통해, 고정 단자 또는 가동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폐기의 고장이 발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개폐기는, 차폐부를 갖는 고정 단자를 포함함으로써, 고정 단자에 대응하여, 전계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즉 고정 단자의 특정 지점에 대응하여, 전계의 집중이 완화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고정 단자와 가동 단자 간 아크의 발생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단자 또는 가동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폐기의 고장이 방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개폐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 단자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하여, 상기 고정 단자에 접촉하거나 상기 고정 단자로부터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단자부 및 상기 고정부와 단자부 사이에서 돌출되며, 상기 고정부와 단자부를 연결하는 곡면으로 형성된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차폐부는, 상기 단자부로부터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차폐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되는 곡면부 및 상기 곡면부로부터 오목하게 만곡되어, 상기 단자부로 연장되는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차폐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하우징에 체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정 단자는, 제 1 회로에 연결되는 제 1 고정 단자 및 상기 제 1 고정 단자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 2 회로에 연결되는 제 2 고정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가동 단자는, 상기 내부 공간을 통과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고정 단자 또는 제 2 고정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거나, 상기 제 1 고정 단자 및 제 2 고정 단자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차폐부는, 상기 가동 단자의 중심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고정 단자와 제 2 고정 단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동 단자의 맞은 편에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고정 단자와 제 2 고정 단자 각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동 단자가 상기 제 1 고정 단자 또는 제 2 고정 단자에 접촉하도록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스토퍼를 관통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탄성부 및 상기 제 1 고정 단자 또는 제 2 고정 단자에 대향하여, 상기 탄성부에 체결되고, 상기 가동 단자가 상기 제 1 고정 단자 또는 제 2 고정 단자에 접촉하도록 이동 시, 상기 가동 단자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정 단자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차폐부를 포함함으로써, 차폐부의 곡면을 따라, 전계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즉 고정 단자의 특정 지점에 대응하여, 전계의 집중이 완화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고정 단자와 가동 단자 간 아크의 발생 가능성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차폐부의 곡면을 따라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단자 또는 가동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폐기의 고장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개폐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개폐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개폐부를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한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단자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단자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정 단자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정 단자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 예컨대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또는 “제 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개폐기(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개폐기(100)는, 조작부(110; mechanism unit)와 개폐부(130; switch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개폐기(100)는 부하 개폐기(load break switch; LBS) 또는 단로기(disconnecting switch; D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10)는 개폐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작부(110)가 개폐부(130)와 결합될 수 있다. 조작부(110)는 지지부(111)와 회전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1)는 개폐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11)는 회전부(115)를 지지할 수 있다. 회전부(115)는 지지부(111)에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부(115)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부(111)에 체결될 수 있다.
개폐부(130)는 개폐부(130)의 제어 하에, 회로를 연결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회로는 제 1 회로(도시되지 않음) 또는 제 2 회로(도시되지 않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회로는 주 회로이고, 제 2 회로는 접지 회로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개폐부(130)는 지지부(111)에 결합되고, 회전부(115)에 연동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130)는 회전부(115)의 회전에 기반하여, 제 1 회로 또는 제 2 회로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할 수 있으며, 제 1 회로 및 제 2 회로를 개방할 수도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개폐부(13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개폐부(130)를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하우징(21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한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26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도 3a,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개폐부(130)는, 하우징(210), 고정 단자(220), 가동 단자(250) 및 스토퍼(2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조작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10)은 고정 단자(220)와 가동 단자(230)를 수용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210)은 내부 공간(211)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210)는 제 1 하우징(212)과 제 2 하우징(21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하우징(212)과 제 2 하우징(21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하우징(212)과 제 2 하우징(214)이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호에 결합됨으로써, 내부 공간(2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0)은 고정 단자(2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210)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부(215)는 홀 또는 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15)는 하우징(21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215)는 미리 정해진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210)은 절연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단자(220)는 하우징(2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고정 단자(220)는 하우징(210)의 결합부(215)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단자(220)는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211)에서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고정 단자(220)는 회로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단자(220)는 결합부(215)를 통해 하우징(210)의 외부로 노출되고, 하우징(210)의 외부에서 회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단자(220)는 제 1 회로 또는 제 2 회로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고정 단자(220)는 제 1 고정 단자(230)들과 제 2 고정 단자(24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 단자(230)들은 제 1 회로에 연결되고, 제 2 고정 단자(240)들은 제 2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고정 단자(230)들과 제 2 고정 단자(240)들은 상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고정 단자(230)들은 상호의 맞은 편에 배치되며, 제 2 고정 단자(240)은 상호의 맞은 편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고정 단자(230)들과 제 2 고정 단자(240)들 사이에서, 제 1 축과 제 2 축이 정의될 수 있다. 제 1 축과 제 2 축은 제 1 고정 단자(230)들과 제 2 고정 단자(240)들 사이를 각각 통과하며, 상호에 수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고정 단자(230)들 중 어느 하나와 제 2 고정 단자(240)들 중 어느 하나는 제 1 축 또는 제 2 축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 단자(230)들은 제 1 축과 제 2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들에 각각 배치되고, 제 2 고정 단자(240)들은 제 1 축과 제 2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가동 단자(250)는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211)에서 이동 가능하다. 이 때 가동 단자(250)는 내부 공간(211)에서 회전 가능하다. 여기서, 가동 단자(250)는 내부 공간(211)을 통과하는 중앙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앙 축은 제 1 축과 제 2 축에 수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동 단자(250)는 조작부(110)의 회전부(115)에 연동될 수 있다. 그리고 가동 단자(250)는 회전부(115)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동 단자(250)는 고정 단자(220)에 접촉되거나, 고정 단자(2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가동 단자(250)가 고정 단자(220)에 접촉되면, 회로가 연결되고, 가동 단자(250)가 고정 단자(220)로부터 분리되면, 회로가 개방될 수 있다.
가동 단자(250)는 제 1 고정 단자(230)들과 제 2 고정 단자(240)들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가동 단자(250)의 일 단부가 제 1 고정 단자(230)들 중 어느 하나와 제 2 고정 단자(240)들 중 어느 하나 사이에서 회전하고, 가동 단자(250)의 타 단부가 제 1 고정 단자(230)들 중 다른 하나와 제 2 고정 단자(240)들 중 다른 하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가동 단자(250)는 중앙 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동 단자(250)들은 제 1 고정 단자(230)들과 제 2 고정 단자(240)들을 연결하지 않고, 제 1 회로와 제 2 회로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가동 단자(250)는 제 1 고정 단자(230)들을 연결하여 제 1 회로를 연결하고, 제 2 회로를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가동 단자(250)는 중앙 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에 반대되는 타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동 단자(250)들은 제 1 고정 단자(230)들과 제 2 고정 단자(240)들을 연결하지 않고, 제 1 회로와 제 2 회로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가동 단자(250)는 제 2 고정 단자(240)들을 연결하여 제 2 회로를 연결하고, 제 1 회로를 차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동 단자(250)는 연결되어 있는 제 1 회로를 차단하고, 제 2 회로를 연결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단자(250)의 양 단부들이 제 1 고정 단자(230)들에 접촉되면, 가동 단자(250)가 제 1 회로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 때 가동 단자(250)가 제 2 고정 단자(240)들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제 2 회로가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단자(250)의 양 단부들이 제 1 고정 단자(230)들로부터 분리되면, 가동 단자(250)가 제 1 회로를 개방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동 단자(250)는 제 2 고정 단자(240)들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제 2 회로가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후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단자(250)의 양 단부들이 제 2 고정 단자(240)들에 각각 접촉되면, 가동 단자(250)가 제 2 고정 단자(240)들을 연결하여 제 2 회로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 때 가동 단자(250)가 제 1 고정 단자(230)들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제 1 회로가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동 단자(250)는 연결되어 있는 제 2 회로를 차단하고, 제 1 회로를 연결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단자(250)의 양 단부들이 제 2 고정 단자(240)들에 각각 접촉되면, 가동 단자(250)가 제 2 고정 단자(240)들을 연결하여 제 2 회로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 때 가동 단자(250)가 제 1 고정 단자(230)들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제 1 회로가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단자(250)의 양 단부들이 제 2 고정 단자(240)들로부터 분리되면, 가동 단자(250)가 제 2 회로를 개방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동 단자(250)가 제 1 고정 단자(230)들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제 1 회로가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후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단자(250)의 양 단부들이 제 1 고정 단자(230)들에 접촉되면, 가동 단자(250)가 제 1 회로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 때 가동 단자(250)가 제 2 고정 단자(240)들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제 2 회로가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스토퍼(260)는 하우징(2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스토퍼(260)는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211)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토퍼(26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260)는, 가동 단자(250)가 고정 단자(220)에 접촉하도록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고정 단자(220)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260)는 고정 단자(220)를 기준으로 가동 단자(250)의 맞은 편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스토퍼(260)는, 가동 단자(250)가 고정 단자(220)에 접촉하도록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고정 단자(220)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토퍼(260)는 가동 단자(250)를 고정 단자(220)에 접촉하도록 정지시켜, 가동 단자(2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260)는 제 1 고정 단자(230)들과 제 2 고정 단자(24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가동 단자(250)의 일 단부가 제 1 고정 단자(230)들 중 어느 하나와 제 2 고정 단자(240)들 중 어느 하나 사이에서 회전하는 경우, 스토퍼(260)가 제 1 고정 단자(230)들 중 어느 하나를 사이에 두고 가동 단자(250)의 맞은 편에 배치되고, 제 2 고정 단자(230)들 중 어느 하나를 사이에 두고 가동 단자(250)의 맞은 편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260)는 제 1 고정 단자(230)들 중 어느 하나와 제 2 고정 단자(240)들 중 어느 하나 각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가동 단자(250)의 타 단부가 제 1 고정 단자(230)들 중 다른 하나와 제 2 고정 단자(240)들 중 다른 하나 사이에서 회전하는 경우, 스토퍼(260)가 제 1 고정 단자(230)들 중 다른 하나를 사이에 두고 가동 단자(250)의 맞은 편에 배치되고, 제 2 고정 단자(230)들 중 다른 하나를 사이에 두고 가동 단자(250)의 맞은 편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260)는 제 1 고정 단자(230)들 중 다른 하나와 제 2 고정 단자(240)들 중 다른 하나 각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토퍼(260)는 가동 단자(250)를 제 1 고정 단자(230)들 또는 제 2 고정 단자(240)들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도록 정지시켜, 가동 단자(2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2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510), 탄성부(520) 및 접촉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510)는 스토퍼(260)를 관통할 수 있다. 이 때 삽입부(510)는, 가동 단자(250)가 고정 단자(220)에 접촉하도록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스토퍼(260)를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부(510)는 홀 또는 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520)는 삽입부(5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52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520)는, 가동 단자(250)가 고정 단자(220)에 접촉하도록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탄성부(520)의 탄성 계수가 스토퍼(260)의 탄성 계수를 초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520)는 스프링(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530)는 고정 단자(220)에 대향하여, 탄성부(520)의 일 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접촉부(530)가 고정 단자(220)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530)는 가동 단자(250)에 대향하여 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동 단자(250)가 고정 단자(220)에 접촉하도록 이동 시, 접촉부(530)가 가동 단자(250)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520)가 가동 단자(250)를 고정 단자(220)에 접촉된 상태로 정지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개폐부(130)가 고정 단자(220)와 가동 단자(250) 사이의 아크를 소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211)에, 가스가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스는 육불화황(SF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 단자(220)와 가동 단자(250) 사이에서 발생되는 아크가 가스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단자(도 2, 도 3a, 도 3b 및 도 3c의 220, 600)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단자(220, 600)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 때 도 7a는 고정 단자(220, 600)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전계의 분포를 등전위선으로 나타내고, 도 7b는 고정 단자(220, 600)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전계의 분포를 정량적으로 나타낸다. 도 7b에서, 노란 색으로부터 빨간 색에 가까울수록 전계의 강도가 높고, 노란 색으로부터 파란 색에 가까울수록 전계의 강도가 낮다.
도 6a,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단자(220, 600)는, 고정부(610), 단자부(620) 및 체결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610)는, 고정 단자(220, 600)가 하우징(도 2,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4의 210)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610)는 하우징(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610)는 하우징(210)을 관통할 수 있다. 이 때 고정부(610)는 하우징(210)의 결합부(도 2 및 도 4의 215)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610)는 결합부(215)에 삽입될 수 있다.
단자부(620)는, 고정 단자(220, 600)가 가동 단자(도 3a, 도 3b 및 도 3c의 250)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자부(620)는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도 2, 도 3a, 도 3b 및 도 3c의 211)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단자부(620)는 고정부(610)로부터 기울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체결부(630)는, 고정 단자(220, 600)가 하우징(210)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결부(630)는 고정부(610)와 단자부(6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체결부(630)는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211)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630)는 고정부(610)와 단자부(620) 사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630)는 가동 단자(250)의 중심 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체결부(630)는 내부 공간(211)에서 하우징(210)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630)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체결부(630)에서, 평면이 하우징(210)과 접촉하며, 평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내부 공간(211)에 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체결부(630)의 평면 상에, 고정 단자(220, 600), 하우징(210) 및 내부 공간(211)의 가스가 만나는 삼중점이 위치될 수 있다.
체결부(630)는 제 1 평면부(631)와 제 2 평면부(6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평면부(631)는 고정부(6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평면부(631)는 고정부(610)로부터 연장되면서, 적어도 한 번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평면부(631)는 가동 단자(250)의 중심 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다음, 절곡될 수 있다. 제 2 평면부(633)는 제 1 평면부(631)에 연결되어, 단자부(620)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평면부(633)는 제 1 평면부(631)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평면부(633)는 단자부(620)로 연장되면서, 적어도 한 번 절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평면부(631) 또는 제 2 평면부(633) 중 어느 하나에, 삼중점이 위치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단자(220, 600)가 회로에 연결됨에 따라,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단자(220, 600)를 중심으로 전계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고정 단자(230)들 중 어느 하나와 제 2 고정 단자(240)들 중 어느 하나 사이에 전계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체결부(630)의 평면 상에서, 고정 단자(220, 600), 하우징(210) 및 내부 공간(211)의 가스가 만나는 삼중점에 전계가 집중될 수 있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계를 나타내는 등전위선의 간격이 삼중점에 인접할수록 조밀하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중점에 인접하여, 빨간 색의 전계 강도가 넓게 분포된다. 여기서, 제 1 고정 단자(230)들 중 어느 하나와 제 2 고정 단자(240)들 중 어느 하나 사이에서, 전계의 최대 강도는 대략 5.2 kV/mm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삼중점에서, 고정 단자(220, 600)와 가동 단자(250) 간 아크가 집중적으로 발생됨으로써, 아크의 발생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 단자(220, 600) 또는 가동 단자(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폐기(도 1의 100)에 고장이 발생될 수 있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정 단자(도 2, 도 3a, 도 3b 및 도 3c의 220, 800)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정 단자(220, 800)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 때 도 9a는 고정 단자(220, 600)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전계의 분포를 등전위선으로 나타내고, 도 9b는 고정 단자(220, 600)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전계의 분포를 정량적으로 나타낸다. 도 9b에서, 노란 색으로부터 빨간 색에 가까울수록 전계의 강도가 높고, 노란 색으로부터 파란 색에 가까울수록 전계의 강도가 낮다.
도 8a,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정 단자(220, 800)는, 고정부(810), 단자부(820) 및 차폐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810)는, 고정 단자(220, 800)가 하우징(도 2,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4의 210)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810)는 하우징(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810)는 하우징(210)을 관통할 수 있다. 이 때 고정부(810)는 하우징(210)의 결합부(도 2 및 도 4의 215)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810)는 결합부(215)에 삽입될 수 있다.
단자부(820)는, 고정 단자(220, 800)가 가동 단자(도 3a, 도 3b 및 도 3c의 250)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자부(820)는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도 2, 도 3a, 도 3b 및 도 3c의 211)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단자부(820)는 고정부(810)로부터 기울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차폐부(830)는, 고정 단자(220, 800)가 하우징(210)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폐부(830)는 고정부(810)와 단자부(8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차폐부(830)는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211)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차폐부(830)는 고정부(810)와 단자부(820) 사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차폐부(830)는 가동 단자(250)의 중심 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폐부(830)는 내부 공간(211)에서 하우징(210)에 체결될 수 있다. 차폐부(830)는 적어도 하나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차폐부(830)에서, 곡면이 하우징(210)과 접촉하며, 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내부 공간(211)에 노출될 수 있다. 즉 차폐부(830)의 곡면 상에, 고정 단자(220, 800), 하우징(210) 및 내부 공간(211)의 가스가 만나는 삼중점이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폐부(830)가 고정 단자(220, 800)의 특정 지점으로 전계의 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다.
차폐부(830)는 곡면부(831) 및 만곡부(833)를 포함할 수 있다. 곡면부(831)는 고정부(6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곡면부(831)는 고정부(610)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곡면부(831)는 단일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만곡부(833)는 곡면부(831)에 연결되어, 단자부(820)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만곡부(833)는 곡면부(831)로부터 만곡되어, 볼록하게 형성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만곡부(833)는 단자부(820)로부터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만곡부(833)는 단일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곡면부(831)에, 삼중점이 위치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단자(220, 800)가 회로에 연결됨에 따라,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단자(220, 800)를 중심으로 전계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고정 단자(230)들 중 어느 하나와 제 2 고정 단자(240)들 중 어느 하나 사이에 전계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차폐부(830)의 곡면을 따라, 전계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즉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계를 나타내는 등전위선의 간격이 차폐부(830)의 곡면을 따라 균일하고,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간 색의 전계 강도가 좁게 분포된다. 여기서, 제 1 고정 단자(230)들 중 어느 하나와 제 2 고정 단자(240)들 중 어느 하나 사이에서, 전계의 최대 강도는 대략 3.6 kV/m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단자(220, 800)의 특정 지점에 대응하여, 전계의 집중이 완화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고정 단자(220, 800)와 가동 단자(250) 간 아크의 발생 가능성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차폐부(830)의 곡면을 따라 분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 단자(220, 800) 또는 가동 단자(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폐기(도 1의 100)의 고장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100 개폐기 110 조작부
111 지지부 115 회전부
130 개폐부 210 하우징
211 내부 공간 212 제 1 하우징
214 제 2 하우징 215 결합부
220, 600, 800 고정 단자 230 제 1 고정 단자
240 제 2 고정 단자 250 가동 단자
260 스토퍼 510 삽입부
520 탄성부 530 접촉부
610, 810 고정부 620, 820 단자부
630 체결부 631 제 1 평면부
633 제 2 평면부 830 차폐부
831 곡면부 833 만곡부

Claims (1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 단자;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하여, 상기 고정 단자에 접촉하거나 상기 고정 단자로부터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단자부; 및
    상기 고정부와 단자부 사이에서 상기 단자부의 돌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부와 단자부를 연결하는 곡면으로 형성된 차폐부를 포함하는 개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단자부로부터 만곡되어 형성되는 개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되는 곡면부; 및
    상기 곡면부로부터 오목하게 만곡되어, 상기 단자부로 연장되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개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개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개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자는,
    제 1 회로에 연결되는 제 1 고정 단자; 및
    상기 제 1 고정 단자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 2 회로에 연결되는 제 2 고정 단자를 포함하는 개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단자는,
    상기 내부 공간을 통과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고정 단자 또는 제 2 고정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거나, 상기 제 1 고정 단자 및 제 2 고정 단자로부터 분리되는 개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가동 단자의 중심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개폐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단자와 제 2 고정 단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동 단자의 맞은 편에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고정 단자와 제 2 고정 단자 각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개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동 단자가 상기 제 1 고정 단자 또는 제 2 고정 단자에 접촉하도록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스토퍼를 관통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탄성부; 및
    상기 제 1 고정 단자 또는 제 2 고정 단자에 대향하여, 상기 탄성부에 체결되고, 상기 가동 단자가 상기 제 1 고정 단자 또는 제 2 고정 단자에 접촉하도록 이동 시, 상기 가동 단자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개폐기.
KR2020180000166U 2018-01-11 2018-01-11 차폐부를 갖는 고정 단자를 포함하는 개폐기 KR2004891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166U KR200489123Y1 (ko) 2018-01-11 2018-01-11 차폐부를 갖는 고정 단자를 포함하는 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166U KR200489123Y1 (ko) 2018-01-11 2018-01-11 차폐부를 갖는 고정 단자를 포함하는 개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123Y1 true KR200489123Y1 (ko) 2019-05-03

Family

ID=6653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166U KR200489123Y1 (ko) 2018-01-11 2018-01-11 차폐부를 갖는 고정 단자를 포함하는 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12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404B1 (ko) * 2014-09-11 2016-05-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인터럽터
KR20170086367A (ko) * 2016-01-18 2017-07-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404B1 (ko) * 2014-09-11 2016-05-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인터럽터
KR20170086367A (ko) * 2016-01-18 2017-07-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1440B2 (en) Apparatus for electrically isolating circuit breaker rotor components
US10410812B2 (e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witch
WO2016118334A1 (en) Electrical system,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guard assembly therefor
KR200489123Y1 (ko) 차폐부를 갖는 고정 단자를 포함하는 개폐기
US6262384B1 (en) Switching device having an arc extinguishing device
KR101912699B1 (ko) 직류 기중차단기
EP2290667B1 (en) Slide type movable contactor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KR101912698B1 (ko) 조작기를 갖는 차단기
US10566155B2 (en) Switch
US20120176210A1 (en) Circuit interruption device and method of assembly
EP3242302A1 (en) Current limiting device of circuit breaker
KR102166906B1 (ko) 링메인유닛
KR100455436B1 (ko) 나이프 블레이드의 가동접점장치
US10037856B2 (en) Electrical system,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guard member therefor
JP7019095B2 (ja) 接続変換アダプタおよび電気機器
US11417480B2 (en) Electrode for a circuit breaker and the circuit breaker
CN220963207U (zh) 静触头组件及断路器
US11688571B2 (en) Electrical switch
KR20020079185A (ko) 회로차단기의 중성극 개폐장치
JP2598979Y2 (ja) ガス開閉器の消弧装置
KR101868753B1 (ko) 회로 차단기
KR100595465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가이드 구조
KR20180108005A (ko) 차단기의 보조 접점 장치
EP2423931B1 (en) Lever switch for safe breaking of a circuit of an exercise apparatus
AU2016259341A1 (en) Electric power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