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006Y1 - 빨래 처리 구조물 - Google Patents

빨래 처리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006Y1
KR200489006Y1 KR2020180004406U KR20180004406U KR200489006Y1 KR 200489006 Y1 KR200489006 Y1 KR 200489006Y1 KR 2020180004406 U KR2020180004406 U KR 2020180004406U KR 20180004406 U KR20180004406 U KR 20180004406U KR 200489006 Y1 KR200489006 Y1 KR 200489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guide member
cover
handle
positio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숙
김익현
Original Assignee
김의숙
김익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의숙, 김익현 filed Critical 김의숙
Priority to KR2020180004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0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0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5/00Laundry systems or arrangements of apparatus or machines; Mobile laundries 
    • D06F95/002Baskets or bags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or transporting laundry;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빨래 처리 구조물은, 지지 면 상에서 지지 면을 따라 이동하고 지지 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신축하는 위치 결정 부재를 포함하는 빨래 이동 도구; 및 빨래 이동 도구의 위치 결정 부재 상에 위치되어 빨래를 안착시키는 하부체 그리고 하부체를 둘러싸서 하부체의 맞은 편을 개구시키는 벽체로 이루어진 빨래 수거 부재와, 빨래 수거 부재의 벽체의 상부 측에서 벽체의 둘레를 따라 위치되는 가이드 부재와, 가이드 부재에 삽입되며 가이드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미끄러지고 회전되어 벽체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가지는 빨래 수거함;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빨래 처리 구조물{LAUNDRY TREATING STRUCTURE}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부에 위치되는 세탁기에 빨래를 쉽게 투입해주며, 건축물의 천장에 또는 건축물의 바닥에 위치되는 빨래 건조대의 높이에 상관없이 그리고 빨래 건조대의 사용자에게 신체적 고통을 주지 않으면서 빨래 건조대에 빨래를 쉽게 거치하게 해주는 빨래 처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세탁될 빨래는 주거지 또는 사무실 또는 공장에서 세탁기를 많이 사용하여 세탁된다. 상기 세탁될 빨래는 셔츠, 재킷, 스웨터, 가디건, 바지, 스커트, 양말, 모자, 신발 등등을 지칭한다. 상기 세탁기는 빨래판의 사용 대비 세탁될 빨래의 세탁 동안 사용자의 반복적인 근력 운동을 줄여주고 사용자에게 세탁될 빨래의 세탁시간 동안 여유로운 시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세탁기에서 세탁된 빨래는 주거지 또는 사무실 또는 공장에서 천장 또는 바닥에 위치되는 빨래 건조대에 주로 거치되어 자연 건조된다. 상기 빨래 건조대는 수평으로 넓이 조절 가능하며 수직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여 빨래의 양을 많이 수용하므로 사용자에게 주거지 또는 사무실 또는 공장의 바닥 상에서 이리 저리 걷는 수고를 덜어준다.
여기서, 상기 세탁될 또는 세탁된 빨래는 세탁기에 투입 전에 또는 빨래 건조대에 거치 전에 빨래 바구니에 담아 세탁기와 빨래 건조대 사이에서 이동 수단에 빨래 바구니를 태워 이동된다. 한편, 상기 이동 수단과 빨래 바구니의 결합물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6165호에 발명의 명칭 "이동이 용이한 접철식 다용도 보관함'으로 개시되고 있다.
상기 다용도 보관함은 두 개의 거치대에서 '∩' 형상의 개별 거치대를 가지고, 두 개의 거치대를 대각선으로 엇갈리게 겹쳐 두 개의 거치대를 힌지 결합시키고, 힌지 축의 상부 측에서 두 개의 거치대 사이에 보관함을 위치시켜 보관함의 양 측벽을 두 개의 거치대에 걸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관함은 두 개의 거치대에 태워 이동되면서 세탁물 또는 인형완구를 담는다.
그러나, 상기 다용도 보관함에서, 상기 보관함은 두 개의 거치대 사이에서 두 개의 거치대에 양 측벽을 걸치기 때문에 힌지 축 주변으로 두 개의 거치대의 회전을 제한한다. 즉, 상기 두 개의 거치대는 보관함의 양 측벽과 결합하면 보관함의 양 측벽 사이의 폭만큼 벌어지지만 보관함의 양 측벽에 고정되어서 보관함 때문에 벌어지는 폭을 좁힐 수도 넓힐 수도 없어서 바퀴와 보관함 사이의 높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다용도 보관함은 빨래 건조대에 세탁물의 거치시 또는 빨래 건조대로부터 세탁물을 거둘시 보관함의 위치에 맞게 빨래 건조대의 높낮이의 조정을 사용자에게 요구하고, 두 개의 거치대로부터 보관함의 분리시 주거지 또는 사무실 또는 공장의 바닥에 보관함을 위치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반복적 수작업을 필요로 하고, 세탁기에 세탁물의 주입시 세탁기의 투입구에 보관함을 자유롭게 정렬시키지 못해 사용자의 허리 굽힘을 반복적으로 요구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6165호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빨래 건조대에 빨래의 거치시 또는 빨래 건조대로부터 빨래를 거둘시 빨래 수거함의 위치에 맞게 빨래 건조대의 높낮이의 조정을 사용자에게 요구하지 않으며, 주거지 또는 사무실 또는 공장의 바닥에서 빨래 수거함의 정돈을 위해 사용자의 반복적 수작업을 최소화시키고, 세탁기의 투입구에 빨래 수거함을 정렬시켜 세탁기에 빨래의 투입을 위해 사용자의 허리굽힘을 반복적으로 요구하지 않는데 적합한 빨래 처리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빨래 처리 구조물은, 지지 면 상에서 상기 지지 면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지지 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신축하는 위치 결정 부재를 포함하는 빨래 이동 도구; 및 상기 빨래 이동 도구의 상기 위치 결정 부재 상에 위치되어 빨래를 안착시키는 하부체 그리고 상기 하부체를 둘러싸서 상기 하부체의 맞은 편을 개구시키는 벽체로 이루어진 빨래 수거 부재와, 상기 빨래 수거 부재의 상기 벽체의 상부 측에서 상기 벽체의 둘레를 따라 위치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미끄러지고 회전되어 상기 벽체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가지는 빨래 수거함; 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절첩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빨래 수거 부재는 상기 빨래 수거 부재의 내부로부터 세탁기를 향해 상기 빨래를 한꺼번에 밀어내기 위해 상기 벽체에 빨래 배출 문을 가지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탈부착되는 특징이다.
상기 지지 면은 주거 용도 또는 사무 용도 또는 공장 용도의 건축물에서 상기 건축물 천장 아래의 바닥 면이고, 상기 건축물 천장은 상기 빨래 이동 도구 상에서 빨래 건조대와 접촉하거나, 상기 바닥 면은 상기 빨래 이동 도구 아래에서 빨래 건조대와 접촉하고, 상기 빨래 건조대는 상기 건축물에서 천장 또는 바닥 고정형이거나 천장 또는 바닥 이동형일 수 있다.
상기 빨래 처리 구조물은 상기 빨래 수거함에 회전 고정되는 외력 적용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빨래 수거함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외력 적용 손잡이를 통해 수동으로 상하 신축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빨래 수거 부재 아래에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주행 축과, 개별 주행 축의 양 측에 위치되는 바퀴와, 상기 개별 주행 축 상에 두 개씩 위치되어 상기 바퀴로부터 상기 개별 주행 축의 중앙 영역을 향해 이격해서 상기 개별 주행 축과 상기 빨래 수거 부재를 절첩식으로 이어주는 신축관을 포함하고, 상기 신축관은 상기 절첩식으로 수직하게 접혀진 후 상기 빨래 수거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그리고 수동으로 회전되어 수평하게 접혀질 수 있다.
상기 빨래 이동 도구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 상에 위치되어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고정되는 빨래 처리 부재와, 상기 빨래 처리 부재 상에서 상기 빨래 처리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상하 신축하는 핸들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핸들 부재의 상하 신축에 따라 연동하여 수동으로 상하 신축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빨래 처리 부재 아래에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주행 축과, 개별 주행 축의 양 측에 위치되는 바퀴와, 상기 개별 주행 축 상에 두 개씩 위치되어 상기 바퀴로부터 상기 개별 주행 축의 중앙 영역을 향해 이격해서 상기 개별 주행 축과 상기 빨래 처리 부재를 절첩식으로 이어주는 신축관을 포함하고, 상기 신축관은 상기 절첩식으로 수직하게 접혀진 후 상기 빨래 처리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그리고 수동으로 회전되어 수평하게 접혀질 수 있다.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공압 장치를 통해 압축 공기를 동력 매체로 하여 자동으로 상하 신축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빨래 처리 부재 아래에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주행 축과, 개별 주행 축의 양 측에 위치되는 바퀴와, 상기 개별 주행 축 상에 두 개씩 위치되어 상기 바퀴로부터 상기 개별 주행 축의 중앙 영역을 향해 이격해서 상기 개별 주행 축과 상기 빨래 처리 부재를 절첩식으로 이어주는 신축 기구와, 상기 신축 기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공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 기구는, 상기 개별 주행 축에 고정되는 실린더 관과 상기 실린더 관의 내부에 위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빨래 처리 부재에 고정되는 피스톤 로드를 가지고, 상기 절첩식으로 수직하게 접혀진 후 상기 빨래 처리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그리고 수동으로 회전되어 수평하게 접혀질 수 있다.
상기 공압 장치는, 상기 핸들 부재 바로 아래에서 하나의 주행 축에 위치되는 조작 발판과, 상기 조작 발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조작 발판에 외부 힘의 적용 유무에 따라 상기 조작 발판의 버튼의 눌림과 복원에 연동되어 상기 실린더 관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거나 공급 중단하면서 상기 압축 공기의 공급 유무에 따라 상기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 로드를 상하 운동시키는 공압 밸브와 컴프레셔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공압 장치는, 상기 빨래 처리 부재 상에서 상기 핸들 부재 주변에 위치되는 조작 스위치와, 상기 조작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조작 스위치에 외부의 스위치 조작 수행 유무에 따라 상기 조작 스위치의 '온(On)'과 '오프(Off)'에 연동되어 상기 실린더 관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거나 공급 중단하면서 상기 압축 공기의 공급 유무에 따라 상기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 로드를 상하 운동시키는 공압 밸브와 컴프레셔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빨래 처리 부재는, 판 형상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상에서 상기 빨래 수거함의 상기 벽체와 접촉하여 상기 빨래 수거함의 움직임을 방지시키는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부재는, 상기 빨래 처리 부재의 받침대 상에서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어 마주하는 두 개의 반고리 연결 편과, 'T'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두 개의 반고리 연결 편에 상기 'T'자형의 상부측을 회전 고정시킨 회전관과, 상기 회전관에 절첩식으로 신축 고정되는 조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바는 상기 두 개의 반고리 연결 편과 상기 회전관을 통해 상기 위치 결정 부재와 상기 빨래 처리 부재를 밀고 당기거나 올리고 내릴 수 있다.
상기 빨래 처리 구조물은 상기 빨래 수거함에 회전 고정되는 외력 적용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빨래 수거 부재는, 사각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벽체에 공기의 순환을 위해 복수의 통풍구를 가지고, 상기 위치 결정 부재 상에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의 신축관 또는 신축 기구의 신장 상태에서 신장 길이를 따라 볼 때 천장 또는 바닥 면의 빨래 건조대의 빨래 걸이 라인 아래에 위치되며,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빨래 수거 부재는, 사각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벽체에 공기의 순환을 위해 복수의 통풍구를 가지고, 상기 빨래 처리 부재 상에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의 신축관 또는 신축 기구의 신장 상태에서 신장 길이를 따라 볼 때 천장 또는 바닥 면의 빨래 건조대의 빨래 걸이 라인 아래에 위치되며, 상기 빨래 처리 부재에 탈부착될 수 있다.
상기 빨래 배출 문은, 상기 빨래 수거 부재의 상기 벽체의 일 측에서 상기 벽체의 문 수용 창의 하부측에 힌지 결합되는 창 덮개를 가지고, 상기 창 덮개의 손잡이 홀을 통해 상기 벽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창 덮개를 회전시켜 상기 문 수용 창을 열어 상기 빨래 수거 부재의 내부를 외부에 노출하거나 상기 벽체의 문 수용 창의 상부 측으로부터 상기 빨래 수거 부재의 내부를 향해 돌출하는 회전 방지턱에 상기 창 덮개를 접촉시켜 상기 문 수용 창을 닫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벽체의 둘레를 따라 볼 때, 상기 빨래 배출 문의 위에 그리고 상기 빨래 배출 문의 맞은 편에 대응되는 일측 테두리에서 온전한 띠 형상을 이루고, 상기 일측 테두리에서 상기 빨래 배출 문의 상기 맞은 편에 외력 적용 손잡이를 회전 고정시키며, 상기 일측 테두리와 직각을 이루는 방향에 대응되는 타측 테두리에서 상기 타측 테두리의 내부면에 서로 연통하는 슬라이딩 슬럿(sliding slot) 및 분리 홀과 함께 상기 타측 테두리의 외부면에 거치 손잡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벽체의 둘레를 따라 볼 때, 상기 빨래 배출 문의 위에 그리고 상기 빨래 배출 문의 맞은 편에 대응되는 일측 테두리에서 온전한 띠 형상을 이루고, 상기 일측 테두리와 직각을 이루는 방향에 대응되는 타측 테두리에서 상기 타측 테두리의 내부면에 서로 연통하는 슬라이딩 슬럿(sliding slot) 및 분리 홀과 함께 상기 타측 테두리의 외부면에 거치 손잡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타측 테두리의 상기 슬라이딩 슬럿은, 상기 빨래 수거 부재의 높이 방향에서 볼 때 상기 타측 테두리의 상기 내부면에서 상기 타측 테두리의 중앙 영역을 따라 위치되고, 상기 타측 테두리의 상기 분리 홀은, 상기 빨래 수거 부재의 폭 방향에서 볼 때 상기 타측 테두리의 양 중심에 위치되어 상기 빨래 수거 부재의 개구부를 건너 마주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거치 손잡이는, 상기 타측 테두리의 상기 외부면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노출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 테두리의 상기 외부면에 고정되는 두 개의 힌지 돌기 사이에 'U'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 부재로부터 상기 빨래 수거 부재를 향해 현수(懸垂)되는 거치대를 가지고, 상기 두 개의 힌지 돌기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거치대를 회전시켜 상기 거치대를 통해 상기 빨래 수거함을 잡거나 양말을 거치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분리 홀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에서 상기 분리 홀의 일 편에 위치되는 제1 커버 부재와 상기 분리 홀의 타 편에 위치되는 제2 커버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커버 부재 또는 상기 제2 커버 부재는 함 덮개와 개폐 손잡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함 덮개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타측 테두리에서 상기 슬라이딩 슬럿에 힌지 축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 슬럿을 따라 미끄러지고, 상기 힌지 축을 통해 상기 타측 테두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을 차폐시켜 상기 빨래 수거 부재를 덮거나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상기 한정되는 영역을 개구시켜 상기 빨래 수거 부재의 내부를 구획(區劃)하고, 상기 힌지 축을 상기 분리 홀로부터 수직하게 이격시켜 상기 가이드 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함 덮개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상기 한정되는 영역을 차폐시킬 때 상기 힌지 축을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분리 홀에 삽입시키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일측 테두리의 내부면으로부터 상기 빨래 수거 부재의 개구부를 향해 돌출되는 걸림 턱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개폐 손잡이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을 상기 함 덮개를 통해 차폐시, 상기 함 덮개 상에서 상기 일 측 테두리에 상기 함 덮개의 힌지 축보다 더 가까이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슬라이딩 슬럿에 삽입되는 상기 함 덮개의 상기 힌지 축으로부터 이격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상기 한정되는 영역을 상기 함 덮개를 통해 개구시, 상기 함 덮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가이드 부재로부터 상기 함 덮개를 들어올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슬라이딩 슬럿을 따라 상기 함 덮개를 움직인 후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일측 테두리에 상기 함 덮개를 비스듬하게 기대게 해주고, 상기 가이드 부재로부터 상기 함 덮개를 분리시, 상기 함 덮개의 상기 힌지 축을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분리 홀에 정렬시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분리 홀로부터 상기 함 덮개를 들어 올릴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빨래 처리 구조물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서로에 대해 고정되는 빨래 이동 도구와 빨래 수거함을 구비하고, 빨래 이동 도구에 위치 결정 부재를 포함하며, 위치 결정 부재를 수직하게 절첩식으로 신축시켜 빨래 수거함의 높낮이를 조정시키고, 빨래 수거함의 외력 적용 손잡이를 사용하여 위치 결정 부재를 구름 운동시키면서 빨래 수거함을 밀고 당기거나 올리고 내리므로, 건축물의 천장 또는 바닥에 위치되는 빨래 건조대에 빨래의 거치 시 또는 빨래 건조대로부터 빨래를 거둘 시 빨래 수거함의 위치에 맞게 빨래 건조대의 높낮이의 조정을 사용자에게 요구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빨래 처리 구조물은, 빨래 이동 도구 상에 빨래 수거함을 태우고, 빨래 이동 도구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위치 결정 부재와 빨래 처리 부재와 핸들 부재를 포함하며, 위치 결정 부재를 수직하게 절첩식으로 신축시켜 빨래 처리 부재의 높낮이를 조정시키고, 핸들 부재를 사용하여 위치 결정 부재를 구름 운동시키면서 빨래 처리 부재를 밀고 당기거나 올리고 내리므로, 건축물의 천장 또는 바닥에 위치되는 빨래 건조대에 빨래의 거치 시 또는 빨래 건조대로부터 빨래를 거둘 시 빨래 수거함의 위치에 맞게 빨래 건조대의 높낮이의 조정을 사용자에게 요구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빨래 처리 구조물은, 빨래 이동 도구 상에 빨래 수거함을 태우면서, 빨래 이동 도구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위치 결정 부재와 빨래 처리 부재와 핸들 부재를 포함하여, 핸들 부재 또는 공압 장치를 사용하여 위치 결정 부재를 절첩식으로 신축시켜 빨래 처리 부재의 높낮이를 조정시키고, 빨래 처리 부재 상에서 빨래 수거함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빨래 처리 부재의 돌기부들을 통해 빨래 수거함을 협지(陜持)하므로, 빨래 이동 도구로부터 빨래 수거함의 분리 시 건축물의 바닥에 빨래 수거함을 위치시키기 위해 빨래 이동 도구의 수직 위치를 낮춘 후 사용자의 발을 사용하여 빨래 이동 도구로부터 빨래 수거함을 제거시켜 사용자의 반복적 수작업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빨래 처리 구조물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빨래 이동 도구와 빨래 수거함을 구비하고, 빨래 수거함의 벽체의 소정 영역에 여닫는 빨래 배출 문과 함께 벽체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빨래 수거함의 내부 영역을 구획하면서 빨래 수거함을 개폐시키는 커버 부재를 가지고, 빨래 수거함에 빨래를 담을 시 커버 부재를 사용하여 빨래를 종류 별로 그리고 색깔 별로 그리고 크기 별로 구분시키고, 세탁기 주변에서 빨래 이동 도구의 위치 결정 부재를 사용하여 빨래 수거함의 높낮이를 조정시키고, 세탁기의 투입구에 빨래 수거함을 정렬시킨 후 빨래 수거함의 벽체로부터 빨래 배출 문을 열어 빨래 배출 문을 통해 세탁기의 투입구에 빨래를 한꺼번에 밀어 투입하므로, 세탁기에서 빨래의 세탁을 위해 사용자의 허리굽힘을 반복적으로 요구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빨래 처리 구조물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빨래 이동 도구와 빨래 수거함을 구비하고, 세탁기에서 빨래 건조대로 빨래를 옮겨 놓은 후 빨래 이동 도구의 위치 결정 부재를 사용하여 빨래 수거함의 높이를 낮추고, 위치 결정 부재를 빨래 수거함의 주변 영역으로부터 중앙 영역을 향해 접어 빨래 이동 도구와 빨래 수거함의 전체 점유 부피를 최소화시키므로, 빨래 이동 도구와 빨래 수거함 중 적어도 하나를 건축물과 세탁기 사이의 공간에 또는 건축물의 모서리와 같은 협소한 장소에 용이하게 보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빨래 처리 구조물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빨래 처리 구조물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빨래 이동 도구를 좀 더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빨래 이동 도구에서 위치 결정 부재와 빨래 처리 부재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빨래 이동 도구에 대한 제1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빨래 이동 도구에서 위치 결정 부재의 구성 요소의 전기적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도 3의 빨래 이동 도구에 대한 제2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 또는 도 2의 빨래 수거함에서 빨래 수거함의 외관을 좀 더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빨래 수거함의 내부를 좀 더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 또는 도 2의 빨래 이동 도구를 사용하여 빨래 수거함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빨래 수거함과 세탁기의 정렬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빨래 처리 구조물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빨래 처리 구조물(260A)은, 빨래 이동 도구(9)와 빨래 수거함(250)와 외력 적용 손잡이(H)를 포함한다. 상기 빨래 이동 도구(9)는 빨래 수거함(250)에 고정되어 빨래 수거함(250)과 함께 구름 운동을 하여 빨래 수거함(250)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빨래 수거함(250)은, 도 8 및 도 9에 개시된 바와 같이, 빨래 수거 부재(140)와 가이드 부재(180)와 커버 부재(220, 240)를 포함한다.
상기 빨래 수거 부재(140)와 가이드 부재(180)와 커버 부재(220, 240)는 도 8 및 도 9에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한편, 상기 빨래 이동 도구(9)는 건축물(도면에 미도시)의 천장에 위치되는 빨래 건조대(270) 주변에 위치되어 빨래 건조대(270)를 향해 수직하게 절첩식으로 신축되어 빨래 수거함(250)을 빨래 건조대(270) 가까이에 위치시킨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빨래 이동 도구(9)는 건축물의 바닥에 위치되는 빨래 건조대(도면에 미도시) 주변에 위치되어 빨래 건조대를 향해 수직하게 절첩식으로 신축되어 빨래 수거함(250)을 빨래 건조대 가까이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빨래 이동 도구(9)는 지지 면(도면에 미도시) 상에서 지지 면을 따라 이동하고 지지 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신축하는 위치 결정 부재(7)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 면은, 주거 용도 또는 사무 용도 또는 공장 용도의 건축물에서 건축물 천장 아래의 바닥 면이다. 상기 건축물 천장은 빨래 이동 도구(9) 또는 빨래 수거함(250) 상에서 빨래 건조대와 접촉하거나, 상기 바닥 면은 빨래 이동 도구(9) 또는 빨래 수거함(250) 아래에서 빨래 건조대와 접촉한다. 상기 빨래 건조대는 건축물에서 천장 또는 바닥 고정형이거나 천장 또는 바닥 이동형이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 부재(7)는 절첩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 결정 부재(7)는 빨래 수거함(250)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빨래 수거함(250)에 회전 고정되는 외력 적용 손잡이(H)를 통해 수동으로 상하 신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위치 결정 부재(7)는, 빨래 수거함(250)에서 빨래 수거 부재(140) 아래에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주행 축(1)과, 개별 주행 축(1)의 양 측에 위치되는 바퀴(3)와, 개별 주행 축(1) 상에 두 개씩 위치되어 바퀴(3)로부터 개별 주행 축(1)의 중앙 영역을 향해 이격해서 개별 주행 축(1)과 빨래 수거 부재(140)를 절첩식으로 이어주는 신축관(5)을 포함한다.
상기 신축관(5)은 병진 운동(M)의 방향을 따라 절첩식으로 수직하게 접혀진 후 도 4의 받침대(33) 대신 빨래 수거 부재(140)로 대체되어 빨래 수거 부재(140)에 대해 상대적으로 그리고 수동으로 회전(도 4의 R1)되어 도 4와 같이 수평하게 접혀질 수 있다. 상기 빨래 이동 도구(9)는 위치 고정 부재(7)에서 두 개의 주행 축(1) 중 하나에 회전(R) 고정되는 기준 발판(8)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기준 발판(8)은 빨래 수거함(250)의 빨래 배출 문(160)과 대각선을 이루어 빨래 수거함(250)에 회전 고정되는 외력 적용 손잡이(H) 아래에 위치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빨래 처리 구조물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빨래 처리 구조물(260A)과 유사하게, 상기 빨래 처리 구조물(260)은, 빨래 이동 도구(103)와 빨래 수거함(250)을 포함한다. 상기 빨래 이동 도구(103)는 빨래 수거함(250)을 태워 구름 운동을 하여 빨래 수거함(250)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빨래 이동 도구(103)는 건축물의 천장에 위치되는 빨래 건조대(270) 주변에 위치되어 빨래 건조대(270)를 향해 수직하게 절첩식으로 신축되어 빨래 수거함(250)을 빨래 건조대(270) 가까이에 위치시킨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빨래 이동 도구(103)는 건축물의 바닥에 위치되는 빨래 건조대(도면에 미도시) 주변에 위치되어 빨래 건조대를 향해 수직하게 절첩식으로 신축되어 빨래 수거함(250)을 빨래 건조대 가까이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빨래 이동 도구를 좀 더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빨래 이동 도구에서 위치 결정 부재와 빨래 처리 부재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빨래 이동 도구(103)는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위치 결정 부재(24)와 빨래 처리 부재(40)와 핸들 부재(60)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결정 부재(24)와 핸들 부재(60)는 절첩 구조로 이루어진다. 우선적으로, 상기 위치 결정 부재(24)는 지지 면(도면에 미도시) 상에서 지지 면을 따라 이동하고 지지 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신축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 면은 주거 용도 또는 사무 용도 또는 공장 용도의 건축물에서 건축물 천장 아래의 바닥 면이다. 상기 건축물 천장은 도 2에 부분적으로 도시되지만 빨래 이동 도구(103) 상에서 빨래 건조대와 접촉하거나, 상기 바닥 면은 빨래 이동 도구(103) 아래에서 빨래 건조대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빨래 건조대는 건축물에서 천장 또는 바닥 고정형이거나 천장 또는 바닥 이동형이다.
한편, 상기 위치 결정 부재(24)는 핸들 부재(60)의 상하 신축에 따라 연동하여 수동으로 상하 신축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24)는, 빨래 처리 부재(40) 아래에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주행 축(12)과, 개별 주행 축(12)의 양 측에 위치되는 바퀴(14)와, 개별 주행 축(12) 상에 두 개씩 위치되어 바퀴(14)로부터 개별 주행 축(12)의 중앙 영역을 향해 이격해서 개별 주행 축(12)과 빨래 처리 부재(40)를 절첩식으로 이어주는 신축관(16)을 포함한다.
상기 신축관(16)은 도 3의 제1 병진 운동(M1)의 방향을 따라 절첩식으로 수직하게 접혀진 후 빨래 처리 부재(40)에 대해 상대적으로 그리고 수동으로 회전되어 수평하게 접혀진다. 즉, 상기 신축관(16)은 빨래 처리 부재(40)의 주변 영역에서 중앙 영역을 향해 도 4의 제1 회전 운동(R1)의 방향을 따라 수동으로 수평하게 접혀진다.
상기 빨래 처리 부재(40)는, 위치 결정 부재(24) 상에 위치되어 위치 결정 부재(24)에 고정된다. 상기 빨래 처리 부재(40)는, 판 형상의 받침대(33)와, 받침대(33) 상에서 빨래 수거함(도 2 또는 도 8의 250)의 벽체(도 8의 130)와 접촉하여 빨래 수거함(250)의 움직임을 방지시키는 복수의 돌기부(39)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빨래 처리 부재(40)는, 받침대(33) 바로 아래에 가이더(도 4의 36)을 구비하여 가이더(36)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치 결정 부재(24)의 신축관(16)의 회전을 유도한다. 상기 핸들 부재(60)는 빨래 처리 부재(40) 상에서 빨래 처리 부재(4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상하 신축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핸들 부재(60)는, 빨래 처리 부재(40)의 받침대(33) 상에서 받침대(33)에 고정되어 마주하는 두 개의 반고리 연결 편(53)과, 'T'자형으로 이루어져 두 개의 반고리 연결 편(53)에 'T'자형의 상부측을 도 2의 제2 회전 운동(R2)의 방향에 따라 회전 고정시킨 회전관(56)과, 회전관(56)에 도 2의 제2 병진 운동(M2)의 방향에 따라 절첩식으로 신축 고정되는 조정바(5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정바(59)는 두 개의 반고리 연결 편(53)과 회전관(56)을 통해 위치 결정 부재(24)와 빨래 처리 부재(40)를 밀고 당기거나 올리고 내린다.
도 5는, 도 3의 빨래 이동 도구에 대한 제1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빨래 이동 도구에서 위치 결정 부재의 구성 요소의 전기적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빨래 이동 도구(106)는 도 2의 빨래 이동 도구(103)와 구조적으로 유사하지만 빨래 이동 도구(103)의 위치 결정 부재(24)와 다른 위치 결정 부재(28)를 포함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28)는 공압 장치(도 6의 84)를 통해 압축 공기를 동력 매체로 하여 자동으로 도 5의 제4 병진 운동(M4)의 방향에 따라 상하 신축된다.
즉, 상기 위치 결정 부재(28)는, 빨래 처리 부재(40) 아래에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주행 축(12)과, 개별 주행 축(12)의 양 측에 위치되는 바퀴(14)와, 개별 주행 축(12) 상에 두 개씩 위치되어 바퀴(14)로부터 개별 주행 축(12)의 중앙 영역을 향해 이격해서 개별 주행 축(12)과 빨래 처리 부재(40)를 절첩식으로 이어주는 신축 기구(18)와, 신축 기구(1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공압 장치(8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신축 기구(18)는, 개별 주행 축(12)에 고정되는 실린더 관과 실린더 관의 내부에 위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빨래 처리 부재(40)에 고정되는 피스톤 로드를 가지고, 절첩식으로 수직하게 접혀진 후 빨래 처리 부재(40)에 대해 상대적으로 그리고 수동으로 회전되어 도 3과 같이 수평하게 접혀진다. 상기 실린더 관은, 도 5에서, 신축 기구(18)에서 하부 측에 위치된다. 상기 피스톤은 실린더 관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피스톤 로드는, 도 5에서, 신축 기구(18)의 상부 측에서 실린더 관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공압 장치(84)는, 도 5 및 도 6에서, 핸들 부재(60) 바로 아래에서 하나의 주행 축(12)에 위치되는 조작 발판(94)과, 조작 발판(9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조작 발판(94)에 외부 힘의 적용 유무에 따라 제3 병진 운동(M3)의 방향으로 조작 발판(94)의 버튼의 눌림과 복원에 연동되어 실린더 관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거나 공급 중단하면서 압축 공기의 공급 유무에 따라 피스톤과 피스톤 로드를 상하 운동시키는 공압 밸브(74)와 컴프레셔(78)를 갖는다.
상기 실린더 관은 개별 주행 축(12)을 통해 압축 공기를 공급받고 자체에 형성된 배출구(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압축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공압 장치(84)는 내부 전원(예를 들면 밧데리) 또는 외부 전원(예를 들면, 전력 회사의 상용 전원)을 사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빨래 이동 도구에 대한 제2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빨래 이동 도구(109)는 도 5의 빨래 이동 도구(106)와 구조적으로 유사하지만 빨래 이동 도구(106)의 공압 장치(도 6의 84)와 다른 공압 장치(도 6의 88)를 포함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공압 장치(88)는, 빨래 처리 부재(40) 상에서 핸들 부재(60) 주변에 위치되는 조작 스위치(98)와, 조작 스위치(9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조작 스위치(98)에 외부의 스위치 조작 수행 유무에 따라 조작 스위치(98)의 '온(On)'과 '오프(Off)'에 연동되어 실린더 관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거나 공급 중단하면서 압축 공기의 공급 유무에 따라 피스톤과 피스톤 로드를 도 5의 제4 병진 운동(M4)의 방향을 따라 상하 운동시키는 공압 밸브(74)와 컴프레셔(78)를 갖는다.
도 8은, 도 1 또는 도 2의 빨래 수거함에서 빨래 수거함의 외관을 좀 더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빨래 수거함의 내부를 좀 더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 또는 도 2의 빨래 이동 도구를 사용하여 빨래 수거함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빨래 수거함과 세탁기의 정렬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여기서, 상기 빨래 수거함(250)은 도 1, 8 및 9에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빨래 수거함(250)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공통적인 부분을 먼저 설명하고 다음으로 주변 구성 요소와 결합 관계를 고려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순서대로 설명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빨래 수거함(250)은 빨래 수거 부재(140)와 가이드 부재(180)와 커버 부재(220, 240)를 포함한다. 상기 빨래 수거 부재(140)는 빨래 이동 도구(103 또는 106 또는 109)의 빨래 처리 부재(도 3의 40) 상에 위치되어 빨래(도면에 미도시)를 안착시키는 하부체(110) 그리고 하부체(110)를 둘러싸서 하부체(110)의 맞은 편을 개구시키는 벽체(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빨래 수거 부재(140)는, 사각통으로 이루어지고, 벽체(130)에 공기의 순환을 위해 복수의 통풍구(124)를 가지고, 빨래 처리 부재(40) 상에서 위치 결정 부재(도 3의 24, 또는 도 5 및 도 7의 28)의 신축관(16) 또는 신축 기구(18)의 신장 상태에서 신장 길이를 따라 볼 때 건축물의 천장 또는 바닥 면의 빨래 건조대의 빨래 걸이 라인 아래에 위치되며, 빨래 이동 도구(103 또는 106 또는 109)의 빨래 처리 부재(40)에 탈부착된다.
여기서, 세탁기(도 10의 290) 주변에서 빨래 이동 도구(도 1의 9)의 위치 결정 부재(도 1의 7)를 사용하거나 빨래 이동 도구(103)의 위치 결정 부재(도 3의 24)를 사용하여 제1 병진 운동(M1)의 방향을 따라 빨래 수거함(250)의 높낮이를 조정시키고, 세탁기(290)의 출입문(284)을 연 상태에서 세탁기(290)의 투입구(288)에 빨래 수거함(250)을 도 10과 같이 정렬시키면, 상기 빨래 수거 부재(140)는 빨래의 세탁을 위해 빨래 배출 문(160)을 사용한다.
즉, 상기 빨래 수거 부재(140)는 빨래 수거 부재(140)의 내부로부터 세탁기(290)의 투입구(288)를 향해 빨래를 한꺼번에 밀어내기 위해 벽체(130)에 빨래 배출 문(160)을 갖는다. 상기 빨래 배출 문(160)은, 빨래 수거 부재(140)의 벽체(130)의 일 측에서 벽체(130)의 문 수용 창(128)의 하부측에 힌지 결합되는 창 덮개(158)를 갖는다.
또한, 상기 빨래 배출 문(160)은, 창 덮개(158)의 손잡이 홀(154)을 통해 벽체(1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창 덮개(158)를 회전시켜 문 수용 창(128)을 열어 빨래 수거 부재(140)의 내부를 외부에 노출하거나 벽체(130)의 문 수용 창(128)의 상부 측으로부터 빨래 수거 부재(140)의 내부를 향해 돌출하는 회전 방지턱(도면에 미 도시)에 창 덮개(158)를 접촉시켜 문 수용 창(128)을 닫는다.
상기 가이드 부재(180)는, 빨래 수거 부재(140)의 벽체(130)의 상부 측에서 벽체(130)의 둘레를 따라 위치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180)는, 벽체(130)의 둘레를 따라 볼 때, 빨래 배출 문(160)의 위에 그리고 빨래 배출 문(160)의 맞은 편에 대응되는 일측 테두리(173)에서 온전한 띠 형상을 이루고, 일측 테두리(173)와 직각을 이루는 방향에 대응되는 타측 테두리(173)에서 타측 테두리(173)의 내부면에 서로 연통하는 슬라이딩 슬럿(sliding slot; 176) 및 분리 홀(179)과 함께 타측 테두리(173)의 외부면에 거치 손잡이(200)를 도 8 또는 도 9와 같이 갖는다.
상기 타측 테두리(173)의 슬라이딩 슬럿(176)은, 빨래 수거 부재(140)의 높이 방향에서 볼 때 타측 테두리(173)의 내부면에서 타측 테두리(173)의 중앙 영역을 따라 위치된다. 상기 타측 테두리(173)의 분리 홀(179)은, 빨래 수거 부재(140)의 폭 방향에서 볼 때 타측 테두리(173)의 양 중심에 위치되어 빨래 수거 부재(140)의 개구부를 건너 마주하게 위치된다.
상기 거치 손잡이(200)는, 타측 테두리(173)의 외부면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노출되게 위치하도록, 타측 테두리(173)의 외부면에 고정되는 두 개의 힌지 돌기(194) 사이에 'U'자형으로 이루어져 가이드 부재(180)로부터 빨래 수거 부재(140)를 향해 현수(懸垂)되는 거치대(198)를 가지고, 두 개의 힌지 돌기(194)에 대해 상대적으로 거치대(198)을 회전시켜 거치대(198)를 통해 빨래 수거함(140)을 잡거나 양말을 거치한다.
상기 커버 부재(220, 240)는, 가이드 부재(180)에 삽입되며 가이드 부재(180)에 대해 상대적으로 미끄러지고 회전되어 빨래 수거 부재(140)의 벽체(130)의 개구부를 덮는다. 상기 커버 부재(220, 240)는 가이드 부재(180)에 탈부착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커버 부재(220, 240)는, 가이드 부재(180)의 분리 홀(179)을 기준으로, 가이드 부재(180)에서 분리 홀(179)의 일 편에 위치되는 제1 커버 부재(220)와 분리 홀(179)의 타 편에 위치되는 제2 커버 부재(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커버 부재(220)는 함 덮개(219)와 개폐 손잡이(213)를 갖는다. 상기 제2 커버 부재(240)는 함 덮개(239)와 개폐 손잡이(233)를 갖는다. 상기 함 덮개(219 또는 239)는, 가이드 부재(180)의 타측 테두리(173)에서 슬라이딩 슬럿(176)에 힌지 축(216 또는 236)을 통해 삽입되어 슬라이딩 슬럿(176)을 따라 미끄러진다.
또한, 상기 함 덮개(219 또는 239)는, 힌지 축(216 또는 236)을 통해 타측 테두리(173)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가이드 부재(180)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을 차폐시켜 빨래 수거 부재(140)를 덮거나 가이드 부재(180)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을 개구시켜 빨래 수거 부재(140)의 내부를 구획(區劃)하고, 힌지 축(216 또는 236)을 분리 홀(179)로부터 수직하게 이격시켜 가이드 부재(180)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함 덮개(219 또는 239)는 가이드 부재(180)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을 차폐시킬 때, 도 8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축(216 또는 236)을 가이드 부재(180)의 분리 홀(179)에 삽입시키면서 가이드 부재(180)의 일측 테두리(173)의 내부면으로부터 빨래 수거 부재(140)의 개구부를 향해 돌출되는 걸림 턱(도면에 미도시)에 걸려 지지된다.
상기 개폐 손잡이(213 또는 233)는, 가이드 부재(180)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을 함 덮개(219 또는 239)를 통해 차폐시, 함 덮개(219 또는 239) 상에서 일 측 테두리(173)에 상기 함 덮개의 힌지 축(216 또는 236)보다 더 가까이 위치되어 가이드 부재(180)의 슬라이딩 슬럿(176)에 삽입되는 함 덮개(219 또는 239)의 힌지 축(216 또는 236)으로부터 이격한다.
상기 개폐 손잡이(213 또는 233)는, 가이드 부재(180)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을 함 덮개(219 또는 239)를 통해 개구시, 함 덮개(219 또는 239))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면서 가이드 부재(180)로부터 함 덮개(219 또는 239)를 들어올리고 가이드 부재(180)의 슬라이딩 슬럿(176)을 따라 함 덮개(219 또는 239)를 움직인 후 가이드 부재(180)의 일측 테두리(173)에 함 덮개(219 또는 239)를 비스듬하게 기대게 해준다.
또한, 상기 개폐 손잡이(213 또는 236)는, 가이드 부재(180)로부터 함 덮개(219 또는 239)를 분리시, 함 덮개(219 또는 239)의 힌지 축(216 또는 236)을 가이드 부재(180)의 분리 홀(179)에 정렬시켜 가이드 부재(180)의 분리 홀(179)로부터 함 덮개(219 또는 239)를 들어 올린다.
한편, 도 1의 빨래 처리 구조물(260A)은 도 2의 빨래 처리 구조물(260)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빨래 처리 구조물(260A)은 빨래 수거함(250)에 회전 고정되는 외력 적용 손잡이(H)를 더 포함한다. 상기 빨래 처리 구조물(260A)의 빨래 수거함(250)에서, 상기 빨래 수거 부재(140)는, 사각통으로 이루어지고, 벽체(130)에 공기의 순환을 위해 복수의 통풍구를 가지고, 위치 결정 부재(7) 상에서 위치 결정 부재(7)의 신축관(5)의 신장 상태에서 천장 또는 바닥 면의 빨래 건조대(270)의 빨래 걸이 라인에 가까이 위치되며, 위치 결정 부재(7)에 도 1과 같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빨래 처리 구조물(260A)의 빨래 수거함(250)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180)는, 벽체(130)의 둘레를 따라 볼 때, 빨래 배출 문(160)의 위에 그리고 빨래 배출 문(160)의 맞은 편에 대응되는 일측 테두리(173)에서 온전한 띠 형상을 이루고, 일측 테두리(173)에서 빨래 배출 문(160)의 맞은 편에 외력 적용 손잡이(도 1의 H)를 회전 고정시키며, 일측 테두리(173)와 직각을 이루는 방향에 대응되는 타측 테두리(173)에서 타측 테두리(173)의 내부면에 서로 연통하는 슬라이딩 슬럿(sliding slot) 및 분리 홀과 함께 상기 타측 테두리(173)의 외부면에 거치 손잡이를 갖는다.
7; 위치 결정 부재, 8; 기준 발판
9; 빨래 이동 도구, 160; 빨래 배출문
250; 빨래 수거함, 260A; 빨래 처리 구조물
270; 빨래 건조대

Claims (24)

  1. 지지 면 상에서 상기 지지 면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지지 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신축하는 위치 결정 부재를 포함하는 빨래 이동 도구;
    상기 빨래 이동 도구의 상기 위치 결정 부재 상에 위치되어 빨래를 안착시키는 하부체 그리고 상기 하부체를 둘러싸서 상기 하부체의 맞은 편을 개구시키는 벽체로 이루어진 빨래 수거 부재와, 상기 빨래 수거 부재의 상기 벽체의 상부 측에서 상기 벽체의 둘레를 따라 위치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미끄러지고 회전되어 상기 벽체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가지는 빨래 수거함; 및
    상기 빨래 수거함에 회전 고정되는 외력 적용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절첩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빨래 수거 부재는,
    사각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 결정 부재 상에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의 신축관 또는 신축 기구의 신장 상태에서 신장 길이를 따라 볼 때 천장 또는 바닥 면의 빨래 건조대의 빨래 걸이 라인 아래에 위치되며,
    상기 벽체에 공기의 순환을 위해 복수의 통풍구를 가지고,
    상기 빨래 수거 부재의 내부로부터 세탁기를 향해 상기 빨래를 한꺼번에 밀어내기 위해 상기 벽체에 빨래 배출 문을 가지고,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벽체의 둘레를 따라 볼 때,
    상기 빨래 배출 문의 위에 그리고 상기 빨래 배출 문의 맞은 편에 대응되는 일측 테두리에서 온전한 띠 형상을 이루고,
    상기 일측 테두리에서 상기 빨래 배출 문의 상기 맞은 편에 상기 외력 적용 손잡이를 회전 고정시키며,
    상기 일측 테두리와 직각을 이루는 방향에 대응되는 타측 테두리에서 상기 타측 테두리의 내부면에 서로 연통하는 슬라이딩 슬럿(sliding slot) 및 분리 홀과 함께 상기 타측 테두리의 외부면에 거치 손잡이를 가지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탈부착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분리 홀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에서 상기 분리 홀의 일 편에 위치되는 제1 커버 부재와 상기 분리 홀의 타 편에 위치되는 제2 커버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커버 부재 또는 상기 제2 커버 부재는 함 덮개와 개폐 손잡이를 가지고,
    상기 함 덮개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타측 테두리에서 상기 슬라이딩 슬럿에 힌지 축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 슬럿을 따라 미끄러지고,
    상기 힌지 축을 통해 상기 타측 테두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을 차폐시켜 상기 빨래 수거 부재를 덮거나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상기 한정되는 영역을 개구시켜 상기 빨래 수거 부재의 내부를 구획(區劃)하고,
    상기 힌지 축을 상기 분리 홀로부터 수직하게 이격시켜 상기 가이드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빨래 처리 구조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면은 주거 용도 또는 사무 용도 또는 공장 용도의 건축물에서 상기 건축물 천장 아래의 바닥 면이고,
    상기 건축물 천장은 상기 빨래 이동 도구 상에서 빨래 건조대와 접촉하거나, 상기 바닥 면은 상기 빨래 이동 도구 아래에서 빨래 건조대와 접촉하고,
    상기 빨래 건조대는 상기 건축물에서 천장 또는 바닥 고정형이거나 천장 또는 바닥 이동형인 빨래 처리 구조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빨래 수거함에 회전 고정되는 외력 적용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빨래 수거함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외력 적용 손잡이를 통해 수동으로 상하 신축되는 빨래 처리 구조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빨래 수거 부재 아래에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주행 축과,
    개별 주행 축의 양 측에 위치되는 바퀴와,
    상기 개별 주행 축 상에 두 개씩 위치되어 상기 바퀴로부터 상기 개별 주행 축의 중앙 영역을 향해 이격해서 상기 개별 주행 축과 상기 빨래 수거 부재를 절첩식으로 이어주는 신축관을 포함하고,
    상기 신축관은 상기 절첩식으로 수직하게 접혀진 후 상기 빨래 수거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그리고 수동으로 회전되어 수평하게 접혀지는 빨래 처리 구조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빨래 이동 도구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 상에 위치되어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고정되는 빨래 처리 부재와, 상기 빨래 처리 부재 상에서 상기 빨래 처리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상하 신축하는 핸들 부재를 더 포함하는 빨래 처리 구조물.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핸들 부재의 상하 신축에 따라 연동하여 수동으로 상하 신축되는 빨래 처리 구조물.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빨래 처리 부재 아래에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주행 축과,
    개별 주행 축의 양 측에 위치되는 바퀴와,
    상기 개별 주행 축 상에 두 개씩 위치되어 상기 바퀴로부터 상기 개별 주행 축의 중앙 영역을 향해 이격해서 상기 개별 주행 축과 상기 빨래 처리 부재를 절첩식으로 이어주는 신축관을 포함하고,
    상기 신축관은 상기 절첩식으로 수직하게 접혀진 후 상기 빨래 처리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그리고 수동으로 회전되어 수평하게 접혀지는 빨래 처리 구조물.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공압 장치를 통해 압축 공기를 동력 매체로 하여 자동으로 상하 신축되는 빨래 처리 구조물.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빨래 처리 부재 아래에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주행 축과,
    개별 주행 축의 양 측에 위치되는 바퀴와,
    상기 개별 주행 축 상에 두 개씩 위치되어 상기 바퀴로부터 상기 개별 주행 축의 중앙 영역을 향해 이격해서 상기 개별 주행 축과 상기 빨래 처리 부재를 절첩식으로 이어주는 신축 기구와,
    상기 신축 기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공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 기구는,
    상기 개별 주행 축에 고정되는 실린더 관과 상기 실린더 관의 내부에 위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빨래 처리 부재에 고정되는 피스톤 로드를 가지고,
    상기 절첩식으로 수직하게 접혀진 후 상기 빨래 처리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그리고 수동으로 회전되어 수평하게 접혀지는 빨래 처리 구조물.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 장치는,
    상기 핸들 부재 바로 아래에서 하나의 주행 축에 위치되는 조작 발판과,
    상기 조작 발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조작 발판에 외부 힘의 적용 유무에 따라 상기 조작 발판의 버튼의 눌림과 복원에 연동되어 상기 실린더 관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거나 공급 중단하면서 상기 압축 공기의 공급 유무에 따라 상기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 로드를 상하 운동시키는 공압 밸브와 컴프레셔를 가지는 빨래 처리 구조물.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 장치는,
    상기 빨래 처리 부재 상에서 상기 핸들 부재 주변에 위치되는 조작 스위치와,
    상기 조작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조작 스위치에 외부의 스위치 조작 수행 유무에 따라 상기 조작 스위치의 '온(On)'과 '오프(Off)'에 연동되어 상기 실린더 관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거나 공급 중단하면서 상기 압축 공기의 공급 유무에 따라 상기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 로드를 상하 운동시키는 공압 밸브와 컴프레셔를 가지는 빨래 처리 구조물.
  12.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빨래 처리 부재는,
    판 형상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상에서 상기 빨래 수거함의 상기 벽체와 접촉하여 상기 빨래 수거함의 움직임을 방지시키는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빨래 처리 구조물.
  13.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재는,
    상기 빨래 처리 부재의 받침대 상에서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어 마주하는 두 개의 반고리 연결 편과,
    'T'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두 개의 반고리 연결 편에 상기 'T'자형의 상부측을 회전 고정시킨 회전관과,
    상기 회전관에 절첩식으로 신축 고정되는 조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바는 상기 두 개의 반고리 연결 편과 상기 회전관을 통해 상기 위치 결정 부재와 상기 빨래 처리 부재를 밀고 당기거나 올리고 내리는 빨래 처리 구조물.
  14. 삭제
  15. 삭제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빨래 배출 문은,
    상기 빨래 수거 부재의 상기 벽체의 일 측에서 상기 벽체의 문 수용 창의 하부측에 힌지 결합되는 창 덮개를 가지고,
    상기 창 덮개의 손잡이 홀을 통해 상기 벽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창 덮개를 회전시켜 상기 문 수용 창을 열어 상기 빨래 수거 부재의 내부를 외부에 노출하거나 상기 벽체의 문 수용 창의 상부 측으로부터 상기 빨래 수거 부재의 내부를 향해 돌출하는 회전 방지턱에 상기 창 덮개를 접촉시켜 상기 문 수용 창을 닫는 빨래 처리 구조물.
  17. 삭제
  18. 삭제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테두리의 상기 슬라이딩 슬럿은, 상기 빨래 수거 부재의 높이 방향에서 볼 때 상기 타측 테두리의 상기 내부면에서 상기 타측 테두리의 중앙 영역을 따라 위치되고,
    상기 타측 테두리의 상기 분리 홀은, 상기 빨래 수거 부재의 폭 방향에서 볼 때 상기 타측 테두리의 양 중심에 위치되어 상기 빨래 수거 부재의 개구부를 건너 마주하게 위치되는 빨래 처리 구조물.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손잡이는,
    상기 타측 테두리의 상기 외부면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노출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 테두리의 상기 외부면에 고정되는 두 개의 힌지 돌기 사이에 'U'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 부재로부터 상기 빨래 수거 부재를 향해 현수(懸垂)되는 거치대를 가지고,
    상기 두 개의 힌지 돌기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거치대를 회전시켜 상기 거치대를 통해 상기 빨래 수거함을 잡거나 양말을 거치하는 빨래 처리 구조물.
  21. 삭제
  22. 삭제
  2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함 덮개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상기 한정되는 영역을 차폐시킬 때 상기 힌지 축을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분리 홀에 삽입시키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일측 테두리의 내부면으로부터 상기 빨래 수거 부재의 개구부를 향해 돌출되는 걸림 턱에 걸려 지지되는 빨래 처리 구조물.
  2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손잡이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을 상기 함 덮개를 통해 차폐시, 상기 함 덮개 상에서 상기 일 측 테두리에 상기 함 덮개의 힌지 축보다 더 가까이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슬라이딩 슬럿에 삽입되는 상기 함 덮개의 상기 힌지 축으로부터 이격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상기 한정되는 영역을 상기 함 덮개를 통해 개구시, 상기 함 덮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가이드 부재로부터 상기 함 덮개를 들어올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슬라이딩 슬럿을 따라 상기 함 덮개를 움직인 후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일측 테두리에 상기 함 덮개를 비스듬하게 기대게 해주고,
    상기 가이드 부재로부터 상기 함 덮개를 분리시, 상기 함 덮개의 상기 힌지 축을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분리 홀에 정렬시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분리 홀로부터 상기 함 덮개를 들어 올리는 빨래 처리 구조물.
KR2020180004406U 2018-09-21 2018-09-21 빨래 처리 구조물 KR2004890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406U KR200489006Y1 (ko) 2018-09-21 2018-09-21 빨래 처리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406U KR200489006Y1 (ko) 2018-09-21 2018-09-21 빨래 처리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006Y1 true KR200489006Y1 (ko) 2019-04-17

Family

ID=66248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406U KR200489006Y1 (ko) 2018-09-21 2018-09-21 빨래 처리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006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8457A1 (en) * 1999-02-01 2003-02-27 Eskridge Eugene C. Multimode collapsible cart
KR200336165Y1 (ko) 2003-09-22 2003-12-18 유명곤 이동이 용이한 접철식 다용도 보관함
KR20160073012A (ko) * 2014-12-16 2016-06-24 정영욱 폭 및 높이 조절 기능을 보유한 카트
KR20160135246A (ko) * 2014-03-10 2016-11-25 피엠비에스, 엘엘씨 이동 살균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KR101877701B1 (ko) * 2018-01-23 2018-07-11 김태평 운반용 카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8457A1 (en) * 1999-02-01 2003-02-27 Eskridge Eugene C. Multimode collapsible cart
KR200336165Y1 (ko) 2003-09-22 2003-12-18 유명곤 이동이 용이한 접철식 다용도 보관함
KR20160135246A (ko) * 2014-03-10 2016-11-25 피엠비에스, 엘엘씨 이동 살균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KR20160073012A (ko) * 2014-12-16 2016-06-24 정영욱 폭 및 높이 조절 기능을 보유한 카트
KR101877701B1 (ko) * 2018-01-23 2018-07-11 김태평 운반용 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29519B (zh) 一种衣架、叠衣机及叠衣机的控制方法
US20090045231A1 (en) Hanger and clothes folding machine
KR101991782B1 (ko) 옷을 자동으로 접어주는 기능과 살균 건조 기능을 갖춘 세탁물 보관함
WO2013057562A2 (en) Machine for spreading out and loading flat clothing articles
EP3527708B1 (en) Integrated laundry care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8903334A (zh) 一种智能衣柜
KR200489006Y1 (ko) 빨래 처리 구조물
CN206109837U (zh) 洗衣机的底座、洗衣机和用于洗衣机的挂烫装置
CN109431097A (zh) 一种多功能衣柜
CN113911620B (zh) 一种智能更衣柜
KR101822379B1 (ko) 수납식 세탁물 건조대
JP2019058520A (ja) 布類展開装置
CN112442825B (zh) 一种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CN219297830U (zh) 基于机械臂的阳台衣物处理系统
JP3111050U (ja) 室内衣類乾燥機
KR101487428B1 (ko) 노출식 빨래 건조대
CN209741533U (zh) 便携式全自动熨烫机开门及侧帘结构
KR200324564Y1 (ko) 절첩 이동식 다림기구
KR200244995Y1 (ko) 행거
JPH08196799A (ja) 衣類乾燥装置
US20040123635A1 (en) Splash shutter for laundry machine
CN117626627A (zh) 一种连裤袜翻面装置
KR20040097806A (ko) 절첩 이동식 다림기구
CN105444560A (zh) 烘干机中的吸风输出结构
KR101059590B1 (ko) 세탁물 수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