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902Y1 - 캔들 용기 - Google Patents

캔들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902Y1
KR200488902Y1 KR2020180002744U KR20180002744U KR200488902Y1 KR 200488902 Y1 KR200488902 Y1 KR 200488902Y1 KR 2020180002744 U KR2020180002744 U KR 2020180002744U KR 20180002744 U KR20180002744 U KR 20180002744U KR 200488902 Y1 KR200488902 Y1 KR 2004889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ndle
present
coupled
container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7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혜영
Original Assignee
장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혜영 filed Critical 장혜영
Priority to KR20201800027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9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9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9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12Flameproof or explosion-proof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는, 양초가 내부에 채워지는 몸체와, 연성을 갖는 직물로 제작되어 상기 몸체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길이방향 양측에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결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는, 몸체를 둘러싸는 커버에 각종 무늬, 패턴, 메시지를 추가할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하고, 몸체의 크기 및 형상이 변경되더라도 커버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활용성이 우수하며, 커버만을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이고, 과열 시에도 화재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캔들 용기 {Candle container}
본 고안은 캔들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외관을 미려하게 꾸밀 수 있으면서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며 화재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캔들 용기에 관한 것이다.
양초는 심지 끝에 불을 붙여 촛대·초롱·제등(提燈) 등의 등화구(燈火具)에 꽂아 세워 조명을 하는 등화용품(燈火用品)의 하나로서 통상 원통 모양으로서 분위기를 고취시키는 실내장식용으로 사용하거나 종교행사나 제사 등의 의례적인 목적 또는 정전이나 단전 등 비상시 조명용품으로 흔히 사용된다.
과거에는 이러한 양초가 조명용으로 주로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각종 모임이나 선물을 위한 이벤트 용도나 기타 특수한 용도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양초가 대규모 매장이나 선물용품점은 물론 편의점과 같은 소규모 상점으로 시장을 확대함에 있어서 심미성, 기능성과 함께 경제성이 중요한 관건으로 인식된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9389호에 개시된 다기능 양초함은, 상부 양측 테두리로는 촛대 받침 날개편을 수용하게끔 'ㄷ"형 삽입홈이 형성된 몸체, 사방 측벽 내측으로는 원형 촛대 안착홈을 중심으로 방사상의 공기구멍, 측벽 외측으로는 통기홈과 날개편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ㄷ"형 삽입홈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는 촛대 받침, 상하 양면에 초꽂이홈을 중심으로 촛물 받이가 동심원상으로 형성된 원형 초꽂이, 초꽂이가 장착된 촛대받침을 사방에 형성된 방풍유리로 감싸서 바람을 막아주는 바람막이와 덮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다기능 양초함은 필요에 따라 조립 및 분해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바람부는 상태에서도 착화가 가능하여 사용자 편리하며 하나의 조립체로 다기능을 수행하여 경제적인 것으로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는 수납공간이 많아 근본적으로 소형화가 곤란한 형태이고 장식을 겸한 이벤트용으로 미흡하며 바람부는 상태에서 원활한 연소가 필요한 수요에 국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다기능 양초함은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여러 회에 걸쳐 반복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경제적인 문제점도 있다.
KR 20-0449389 Y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외관을 미려하게 꾸밀 수 있으면서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며, 화재방지 기능이 구비되어 사용이 안전한 캔들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는,
양초가 내부에 채워지는 몸체;
연성을 갖는 직물로 제작되어, 상기 몸체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커버;
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는,
방염직물로 제작되며,
길이방향 양측에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결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수벨크로테이프와,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 타측에 구비되는 암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는 방염층이 구비된다.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내피와, 상기 내피의 상단과 상기 내피의 상부 내측면 및 외측면을 덮도록 결합되는 외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는, 몸체를 둘러싸는 커버에 각종 무늬나 패턴을 추가할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하고, 몸체의 크기 및 형상이 변경되더라도 커버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활용성이 우수하며, 커버만을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이고, 과열 시에도 화재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커버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에 포함되는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 제3 실시예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 제3 실시예에 포함되는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 제4 실시예에 포함되는 커버의 분해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에 포함되는 커버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는 양초(10)가 내부에 채워질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되, 외관을 미려하게 꾸밀 수 있고,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으며, 활용성 및 안전성이 우수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는, 양초(10)가 내부에 채워지는 몸체(100)와, 연성을 갖는 직물로 제작되어 상기 몸체(100)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미사용 시에는 몸체(100) 내부에 채워진 양초(10)가 외부와 직접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몸체(100)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2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0)는 일정량의 양초(10)가 내부에 채워지되 기준치 이상의 큰 외력이 인가되지 아니하는 한 일정한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가지며, 양초(10)를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발화되거나 녹지 아니하도록 녹는점이 매우 높은 재료로 제작된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100)는 금속이나 유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몸체(100)는 종래의 캔양초나 글라스양초 등에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상기 몸체(100)의 재질이나 형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몸체(100)가 금속이나 유리 등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몸체(100)의 외측면에 각종 무늬나 글씨, 패턴 등의 이미지를 새기기 어려우므로, 각종 행사의 목적에 맞는 이미지나 문구 등을 삽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물론, 상기 몸체(100)의 표면에 인쇄용지를 부착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나 문구를 표시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 외관이 고급스럽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이미지나 문구 교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인쇄용지는 장시간 햇빛에 노출되는 경우 색상이 바래는 특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저렴한 느낌을 주는바, 몸체(100)의 표면에 인쇄용지를 부착시키는 경우에는 제품의 심미감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몸체(100) 내에 채워진 양초(10)가 모두 소진되었을 때에는 상기 몸체(100)를 버려야 하는데, 상기 몸체(100)의 표면에 접착된 인쇄용지는 재사용이 불가하므로 자원낭비를 유발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양초(10)가 모두 소진된 몸체(100)를 재활용품으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표면에 접착된 인쇄용지를 제거해야 하는데, 상기 인쇄용지는 일반적으로 접착제에 의해 몸체(100)에 부착되므로 상기 인쇄용지를 깨끗하게 제거하기가 매우 난해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나 문구 등이 표시된 커버(300)가 직물로 제작되어 상기 몸체(100)의 표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직물은 인쇄용지에 비해 외관이 심미감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이미지나 문구를 추가하였을 때 고급스러운 느낌이 나므로,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어 선물용으로도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커버(300)는 몸체(100)의 외측면을 강하게 압착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면, 면직물이나 모직물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부직포 등과 같은 합성수지 직물로도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직물은 인쇄용지에 비해 인장강도나 파열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햇빛에 노출되더라도 쉽게 색상이 바래지 아니하므로, 인쇄용지에 비해 내구성이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300)가 직물로 제작되는 경우, 수명이 길어지고 이에 따라 수 회에 걸쳐 재사용이 가능해진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를 둘러싸는 커버(300)를 직물재질로 제작하면, 몸체(100)에 채워진 양초(10)가 모두 소진되어 상기 몸체(100)를 폐기시키는 경우 커버(300)만을 분리시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커버(300)를 직물 중 방염직물이나 재활용방염재료로 구성된 직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커버(300)의 상측 일부가 촛불 주변을 둘러싸도록 장착되는 경우, 상기 커버(300)의 상측에 촛불의 열기가 직접 인가되므로 상기 커버(300)의 상측이 타거나 눌어붙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바, 상기 커버(300)를 방염직물이나 재활용방염재료로 구성된 직물로 구성할 경우, 커버(300) 중 촛불을 둘러싸는 부위가 높은 온도로 가열되더라도 불이 붙거나 눌어붙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화재 등의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커버(300)가 별도의 접착제에 의해 커버(300)에 부착되면 몸체(100)로부터 상기 커버(300)를 떼어 내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300)는, 길이방향 양측에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결합수단(310)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수단(310)은 커버(300)의 길이방향 양측(도 2에서는 좌측과 우측)을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수단(31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벨크로테이프 즉, 상기 커버(300)의 길이방향 일측(도 2에서는 좌측)에 구비되는 수벨크로테이프(312)와, 상기 커버(300)의 길이방향 타측(도 2에서는 우측)에 구비되는 암벨크로테이프(314)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커버(300)의 길이방향 양측을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결합수단(31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벨크로테이프 이외에, 단추나 지퍼 등 커버(300)의 길이방향 양측을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도 대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결합수단(310)이 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되면, 몸체(100)의 외경에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몸체(100)의 외측면에 밀착 결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수단(31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벨크로테이프(312)와 암벨크로테이프(314)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벨크로테이프(312)와 암벨크로테이프(314)의 규격 및 장착 위치는 커버(300)의 크기나 형상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가 원통형 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인잔과 같은 글라스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100)가 글라스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커버(300)는 몸체(100)의 외측면을 밀착하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몸체(100)는 외측면의 가운데 부위가 볼록하게 형성되는바, 상기 커버(300)가 직사각형 시트 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 내측면 전체가 상기 몸체(100)의 외측면에 밀착되지 못하고 들뜨는 부위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300)는 몸체(100)의 형상에 맞춰 적절한 형태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커버(300)는 몸체(100)의 형상이 어느 정도 변경되더라도 상기 몸체(100)의 외측면에 전체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시트 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 제3 실시예의 수직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 제3 실시예에 포함되는 커버(300)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에 포함되는 커버(300)는 단순히 몸체(100)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용도 즉, 심미적인 용도로만 활용되는 것이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촛불이 꺼지지 아니하도록 바람막이 역할을 하도록 활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평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0)가 몸체(100)의 외측면 전체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심미성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다가, 주변 바람이 강하게 불어 촛불이 꺼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상측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측 일부가 촛불의 바람막이 역할을 수행하도록 활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0)의 상측 일부가 촛불 주변을 둘러싸도록 장착되는 경우, 상기 커버(300)의 상측에 촛불의 열기가 직접 인가되므로 상기 커버(300)의 상측이 타거나 눌어붙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는 상기와 같이 커버(300)가 연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300)의 내측면에는 방염층(3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300)의 내측면에 방염층(320)이 구비되면, 커버(300) 중 촛불을 둘러싸는 부위가 높은 온도로 가열되더라도 불이 붙거나 눌어붙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화재 등의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방염층(320)은 촛불에 의해 불이 붙지 아니하도록 발화점이 매우 높은 재료로 제작되되, 상기 커버(300)의 내측면에 코팅 방식으로 부가될 수도 있고, 별도의 방염시트로 제작된 후 커버(300)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300)가 촛불의 바람막이 역할을 하는 경우에도 상기 커버(300)의 상측부위만이 촛불을 둘러싸고 상기 커버(300)의 나머지 부위는 몸체(100)를 둘러싸도록 장착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방염층(320)은 커버(300)의 내측면 전체에 걸쳐 구비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0)의 내측면 중 상부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방염층(320)의 재질 및 부가범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 제4 실시예에 포함되는 커버(300)의 분해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캔들 용기에 포함되는 커버(3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한 장의 시트로 구성될 수도 있고, 두 장 이상의 시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커버(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내피(302)와, 상기 내피(302)의 상단과 상기 내피(302)의 상부 내측면 및 외측면을 덮도록 결합되는 외피(30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300)는 몸체(100)를 강하게 감싸도록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가져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강도가 높은 직물은 바느질을 하거나 인쇄를 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300)가 내피(302)와 외피(304)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내피(302)는 강도가 높은 직물로 제작하고 상기 외피(304)는 바느질이나 인쇄가 용이한 부드러운 직물로 제작함으로써, 상기 언급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외피(304)가 내피(302)의 외측면을 단순히 둘러싸도록 결합되면 외피(304)가 내피(302)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상기 외피(304)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302)의 내측면과 상단,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외피(304)와 내피(302)의 결합방식은 별도의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는 방식이나, 바느질에 의해 결합되는 봉재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양초 100 : 몸체
200 : 덮개 300 : 커버
302 : 내피 304 : 외피
310 : 결합수단 312 : 수벨크로테이프
314 : 암벨크로테이프 320 : 방염층

Claims (5)

  1. 양초(10)가 내부에 채워지는 몸체(100);
    연성을 갖는 직물로 제작되어, 상기 몸체(100)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커버(300)로 구성된 캔들 용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300)는,
    촛불을 둘러싸는 부위가 높은 온도로 가열되더라도 불이 붙거나 눌어붙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여 화재와 같은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염직물로 제작되며, 길이방향 양측에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결합수단(310)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결합수단(310)은,
    상기 커버(300)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수벨크로테이프(312)와, 상기 커버(300)의 길이방향 타측에 구비되는 암벨크로테이프(31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 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00)의 상측에 촛불의 열기가 직접 인가되어 커버(300)의 상측이 타거나 눌어붙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300)의 상부 내측면에는 방염층(3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 용기.
  5. 삭제
KR2020180002744U 2018-06-19 2018-06-19 캔들 용기 KR2004889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744U KR200488902Y1 (ko) 2018-06-19 2018-06-19 캔들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744U KR200488902Y1 (ko) 2018-06-19 2018-06-19 캔들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902Y1 true KR200488902Y1 (ko) 2019-04-03

Family

ID=66103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744U KR200488902Y1 (ko) 2018-06-19 2018-06-19 캔들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9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154A (ko) * 2020-04-23 2021-11-02 안상정 광 생성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2522A (ja) * 2000-07-27 2002-02-08 Candle Life:Kk 組立式ほや,その可撓性シート,並びに組立式ほやを使用するほやアセンブリ及び照明ユニット
KR20030001424A (ko) * 2000-04-14 2003-01-06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열변색성 라벨을 구비한 발광장치
KR200449389Y1 (ko) 2007-06-08 2010-07-09 김석종 다기능 양초함
US20140022774A1 (en) * 2013-09-24 2014-01-23 Lisa Marie Eastman Decorative Candle Wrapp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424A (ko) * 2000-04-14 2003-01-06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열변색성 라벨을 구비한 발광장치
JP2002042522A (ja) * 2000-07-27 2002-02-08 Candle Life:Kk 組立式ほや,その可撓性シート,並びに組立式ほやを使用するほやアセンブリ及び照明ユニット
KR200449389Y1 (ko) 2007-06-08 2010-07-09 김석종 다기능 양초함
US20140022774A1 (en) * 2013-09-24 2014-01-23 Lisa Marie Eastman Decorative Candle Wrapp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154A (ko) * 2020-04-23 2021-11-02 안상정 광 생성 장치
KR102409637B1 (ko) 2020-04-23 2022-06-17 안상정 광 생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1686B1 (en) Candle light-diversifying device
US7252423B1 (en) Candle with magnetically activated internal illumination
KR200488902Y1 (ko) 캔들 용기
JP4483855B2 (ja) 装飾照明装置及び装飾照明製作用キット
KR101514993B1 (ko) 양초등
MX2010008878A (es) Lampara con adornos sensibles al calor.
CA2405996A1 (en) Luminary device with phosphorescent label
US20070297166A1 (en) Electric candle
KR200325073Y1 (ko) 2차광원과 렌즈를 이용한 투사형 스탠드 조명장치
USD505213S1 (en) Votive candle holder with beaded lamp shade
US20100104994A1 (en) Candle holder converter assembly
US20050254239A1 (en) Decoration having double light sources
US2316837A (en) Candle holder
KR101369247B1 (ko) Led를 이용한 촛불
CN212226978U (zh) 一种香薰灯
KR200179220Y1 (ko) 촛불의 장식기능을 갖는 양초
JP2013041790A (ja) 照明器具
CN220958423U (zh) 一种喷花底座蜡烛
CN214711975U (zh) 便携式祭奠灯
KR20110000748U (ko) 장식용 촛병
JP4009506B2 (ja) 照明スタンド
CN209839898U (zh) 一种装饰灯
JPH09223401A (ja) 発光キャンドル
KR20040102695A (ko) 2차광원과 렌즈를 이용한 투사형 스탠드 조명장치
US20220082224A1 (en) Ignitable electronic can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